대한인동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인동지회는 1921년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설립된 단체로, 이승만을 초대 총재로 추대하고 외교독립론을 지지하며 대한인국민회에서 분리되어 나왔다. 1920년대에는 동지촌 및 동지식산회사 사업을 추진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제단체 연합운동을 통해 하와이 한인 사회에서 영향력을 확대했다. 재미한족연합위원회에 참여했으나 탈퇴하였으며, 광복 이후에도 이승만의 정치 활동을 지원하며 하와이에서 활동을 이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승만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대한민국의 보수주의는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법치주의, 강력한 한미 동맹을 기반으로 반공주의와 민족주의를 중시하며, 경제 개입주의를 옹호하는 경향과 소득 재분배에 대한 제한적인 입장을 취하고, LGBT 권리와 페미니즘에 반대하는 경향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권위주의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을 받아왔으나 1987년 민주화 이후 신자유주의적 가치를 강조하며 변화를 거듭해왔다. - 이승만 - 6.25 전쟁
6.25 전쟁은 1950년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되어 1953년 휴전 협정으로 종결되었으며, 한반도의 분단과 막대한 인명 피해를 초래한 한국 전쟁을 의미한다. - 한국의 독립운동단체 -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3·1 운동 직후 독립운동 세력의 통합을 목표로 상하이에서 수립되어 일본 제국에 맞서 무장 투쟁과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해방 후 정치적 난관을 겪으며 정통성과 역할에 대한 논쟁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한국의 독립운동단체 - 대한광복단
대한광복단은 1915년 대구에서 결성된 항일 독립운동 단체로, 국권 회복과 공화정을 목표로 군자금 모집, 친일 부호 처단, 독립군 양성 등의 활동을 펼쳤지만 1918년 조직이 와해되었다. - 1924년 설립 -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는 일본 고등학교 야구 연맹과 마이니치 신문이 주최하는, 매년 3월에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열리는 전국 고등학교 야구 토너먼트 대회로, 가을 토너먼트를 거친 32개교가 출전하며 지역별 배정, 21세기 팀, 메이지 진구 대회 우승팀 등의 선발 방식을 통해 출전 학교가 결정되고, 고교 야구 선수들의 꿈의 무대이자 학교와 지역의 명예를 건 경쟁의 장으로 여겨진다. - 1924년 설립 - 춘천고등학교
1924년 개교한 춘천고등학교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3년제 공립 고등학교로 개편되었으며, 지속적인 시설 확충과 함께 2023년까지 31,913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고 이경주 교장이 취임하였다.
| 대한인동지회 | |
|---|---|
| 개요 | |
![]() | |
| 창립일 | 1921년 2월 10일 |
| 해산일 | 1945년 |
| 국가 | 미국 |
| 위치 | 하와이 |
| 이념 | 민족주의, 독립운동 |
| 주요 인물 | 민찬호 안현경 이종관 |
| 역사 | |
| 창립 배경 | 1920년 재미한인기독교회관에서 결성된 국민회 하와이 지방회의 내부 분열 흥사단 계열의 이승만 지지 세력과 박용만 지지 세력 간의 갈등 심화 |
| 창립 과정 | 1921년 2월 10일, 흥사단 계열의 민찬호, 안현경, 이종관 등이 주축이 되어 호놀룰루에서 창립 창립 당시 회원은 70여 명 |
| 주요 활동 | 기관지 《동지》 발행 이승만 지지 및 후원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교 활동 지원 독립운동 자금 모금 |
| 해산 | 1945년 해산 |
| 조직 | |
| 주요 조직 | 중앙총회 지방분회 (각 섬) |
| 주요 간부 | 총회장 부회장 서기 회계 |
| 관련 단체 | |
| 관련 단체 | 국민회 흥사단 대한민국 임시정부 |
| 평가 및 영향 | |
| 평가 | 이승만 지지 세력의 대표적인 단체 하와이 한인 사회의 정치적 분열 심화 |
| 영향 | 하와이 한인 사회의 독립운동 지원 대한민국 건국 과정에 참여 |
2. 역사
2. 1. 결성 (1921)
1921년 7월 7일, 호놀룰루에서 민찬호, 안현경, 이종관이 대한인동지회 설립을 공고하였다. 사무실은 1929년까지 대한인하와이교민단 총회관인 호놀룰루시 밀러가 1306번지였다.[1] 7월 15일 15개조 규약을 발표하였다.[1] 동지회는 일부 조항을 통해 총재에게 복종할 의무를 규약으로 삼고 있었고, 이승만은 동지회의 초대 총재로 취임하였다.

대한인국민회 내부에서 외교독립론을 주장하는 이승만, 실력양성론을 주장하는 안창호, 무장투쟁론을 주장하는 박용만 간에 내분이 발생하자 이승만을 위시한 하와이의 한인 교민들은 대한인국민회를 탈퇴하고 동지회에 합류하였다.
2. 2. 동지촌 및 동지식산회사 사업 (1924~1931)
1924년 11월 17일부터 11월 20일까지 동지회는 호놀룰루에서 하와이한인대표회의를 개최하여 동지합자회사 설립을 결정하였다.[4][5] 1925년 12월 13일에는 동지식산회사를 창립하였다.[6] 이승만은 1925년 11월 20일부터 1931년 4월 7일까지 5년 반 동안 동지식산회사에 전력을 기울였다.[5]
1931년 4월, 동지촌은 파산하였다.[7] 동지촌은 강우량이 많은 지역이라 포장되지 않은 도로로 제재소와 숯가마 물자를 수송하기 어려웠다. 이승만은 1931년 11월 21일 여행길에 올랐으며, 1932년 12월 11일자 일지에 "동지식산회사가 실패하였기 때문에 포기하고, 조용히 워싱턴으로 떠났다"고 심경을 밝혔다. 이승만은 로스앤젤레스, 뉴욕, 워싱턴, 제네바, 런던, 모스크바를 거쳐 1933년 8월 16일 뉴욕으로 돌아왔다.
이승만은 1931년 12월 8일 하와이 출신 미 하원 의원 휴스턴(Victor Stewart Kaleoaloha Houston)을 통해 동지식산회사 구제 청원안(H. R. 2872)을 하원에 제출했다. 이 청원안은 1933년 2월 8일 하원, 2월 16일 상원을 통과했고, 3월 1일 대통령 서명으로 진주만 해군 계약 벌금이 탕감되었다.[8]
1933년 7월 12일, 963에이커의 동지촌 부지는 12,500달러에 매각되었다.[7] 이는 당초 예상했던 10만 달러의 10분의 1을 조금 넘는 금액이었다.[8] 당시 재미 한인들은 여러 회사를 설립했지만 대부분 3~4년 만에 폐사했다. 이승만 계열의 동지식산회사나 안창호와 흥사단 계열의 북미실업주식회사도 마찬가지였다.[8]
2. 3. 제단체 연합운동 (1933~1941)
1933년 동지회는 제단체 연합운동을 추진하여 1933년 4월 9일 하와이 한인연합협의위원회(韓人聯合協議委員會)를 설립했다. 동지회는 이 조직을 통해 1930년대 중반 이후 하와이 한인사회의 중심적인 단체로 성장했다. 1944년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의사부에서 조사한 회원수를 보면 대한인국민회가 650여 명, 동지회가 650여 명으로 대한인동지회의 세력은 하와이 대한인국민회와 대등한 수준이었다.[9] 1933년 10월 30일, 동지회는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에 가입하였다.[10]1939년 8월 9일, 이승만이 하와이를 떠나 워싱턴으로 갈때 LA 동지회원들이 송별연회를 베풀어주었다.

중일 전쟁 이후 1937년 10월 10일 하와이에서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와 동지회의 통합을 위한 합동 결의안이 상정되었다.[11] 1938년 6월, 동지회 호상부가 조직되었다.[12] 1940년 10월 13일, 동지회,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 대조선독립단, 중한민중동맹단, 동지회 측 대한부인구제회, 대한인국민회 측 대한부인구제회 등 6개 단체가 연합기관 설치를 위해 연합한인위원회를 결성하였다.[13]
1941년 4월 20일, 해외한족대회(海外韓族大會)가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개최되어, 원동(遠東)지방의 대표가 불참한 가운데 8일간 해외 한족대표가 모여 새로운 국제정세 변화에 대비한 독립운동의 진로를 협의하였다.[14]
2. 4.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참여 및 탈퇴 (1941~1944)
1941년 4월 29일, 동지회는 재미한족연합위원회의 결성에 참여하였다.[15] 1942년 6월 18일, 시카고에서 북미지방 동지회 대표회의가 개최되어 로스앤젤레스, 몬태나, 시카고, 뉴욕의 지방 대표가 참석하였다.[16] 1942년 10월 27일, 동지회는 호놀룰루시 북 킹 스트리트 931번지에 동지회관을 매입하였다.[17] 1943년 12월 23일, 동지회는 재미한족연합위원회를 탈퇴하였다.[18] 이후 재미한족연합위원회는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단독으로 운영되었다.[18] 1944년 10월 28일부터 11월 5일까지 재미한족전체대표회가 진행되었으며,[19] 대한인동지회와 대한인동지회 측 대한부인구제회가 이탈한 가운데 미주 단체들이 모여 주미외교위원부 개조안을 제출하였다.[20]2. 5. 광복 이후 (1945~)

대한인동지회는 해방 이후에도 조직을 그대로 유지하며 이승만의 국내 정치활동을 지원하였다. 1948년 정부수립 이후 한인 교민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동지회는 하와이에서 활동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승만을 최고의 정치가, 위대한 독립운동가로 기억하고 각종 추모사업 등을 주관, 참여하고 있다.
3. 갤러리
참조
[1]
웹인용
재외동포사 연표 미국 > 민찬호, 안현경, 이종관이 호놀룰
http://db.history.go[...]
1921-07-07
[2]
웹인용
동지회(同志會)
https://encykorea.ak[...]
[3]
문서
맨 앞줄 왼쪽 끝이 [[이승만]], 바로 뒷줄 왼쪽에서 두번째가 [[민찬호]] 목사.
[4]
웹인용
재외동포사 연표 미국 > 대한인동지회가 호놀룰루시에서 하와
http://db.history.go[...]
[5]
웹인용
동지식산회사와 동지촌 설립
http://db.history.go[...]
[6]
웹인용
재외동포사 연표 미국 > 대한인동지회에서 동지식산회사를 창
http://db.history.go[...]
[7]
웹인용
재외동포사 연표 미국 > 대한인동지회의 동지촌 파산. 19
http://db.history.go[...]
[8]
웹인용
동지식산회사 파산
http://db.history.go[...]
[9]
웹인용
대한인동지회[大韓人同志會]
http://contents.hist[...]
[10]
웹인용
재외동포사 연표 미국 > 대한인동지회가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
http://db.history.go[...]
[11]
웹인용
재외동포사 연표 미국 > 중일전쟁 이후 하와이에서 대한인국
http://db.history.go[...]
[12]
웹인용
재외동포사 연표 미국 > 대한인동지회에서 호상부 조직
http://db.history.go[...]
[13]
웹인용
재외동포사 연표 미국 > 대한인동지회, 대한인국민회하와이지
http://db.history.go[...]
[14]
웹인용
1) 해외한족대회 선언
http://db.history.go[...]
1941-04-20
[15]
웹인용
2) 해외한족대회 결의안
http://db.history.go[...]
1941-04-29
[16]
웹인용
재외동포사 연표 미국 > 시카고에서 북미지방대한인동지회 대
http://db.history.go[...]
[17]
웹인용
재외동포사 연표 미국 > 대한인동지회가 호놀룰루시 북 킹
http://db.history.go[...]
1942-10-27
[18]
웹인용
재외동포사 연표 미국 > 대한인동지회가 재미한족연합위원회를
http://db.history.go[...]
1943-12-23
[19]
웹인용
5) 재미한족전체대표회 회록
http://db.history.go[...]
[20]
웹인용
재미한족연합위원회
http://contents.hi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