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홍단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홍단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소속 선박으로, 2001년 제주해협을 북한 선박 최초로 통과했다. 2007년에는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되었으나, 선원들의 반격과 미 해군 구축함의 지원으로 탈환에 성공했다. 이 사건은 북미 간 협력의 사례로 언급되었으나, 일각에서는 과장된 측면이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2004년에는 박영환 선장이 노력영웅 칭호를 받았으며, 2007년에는 불법 활동 혐의로 나포 요구를 받았으나 미국 측에서 거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러 사건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은 1976년 8월 18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서 유엔군 사령부의 미루나무 가지치기 작업 중 북한군의 기습 공격으로 미군 장교 2명이 사망하고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한 사건으로, 폴 버니언 작전 감행과 김일성의 유감 성명 발표 이후 공동경비구역 내 군사분계선 설정 및 남북한 인원 분리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 1978년 선박 - HMS 일러스트리어스 (R06)
영국 해군의 인빈시블급 항공모함 중 두 번째 함인 HMS 일러스트리어스 (R06)는 1982년 포클랜드 전쟁에 급파되어 종전 후 방공 임무를 수행하고, 해리어 전투기 운용 능력 향상 개량을 거쳐 여러 지역에서 작전에 참여 후 2014년 퇴역, 2016년 해체되었다. - 1978년 선박 - 파이나호
파이나호는 2008년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파나마 선적 화물선으로, 러시아제 무기를 싣고 있었으며 해적들은 몸값을 요구했지만 국제 사회의 대응과 유엔 결의안 채택 후 몸값을 지불하고 석방되었고, 이후 무기의 최종 목적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 대홍단호 | |
|---|---|
| 개요 | |
![]() | |
| 종류 | 화물선 |
| 기원 | 북한 |
| 건조 | 1978년 ~ 1980년 |
| 상태 | 퇴역 |
| 특징 | |
| 총 톤수 | 1593 톤 |
| 길이 | 86.3 m |
| 폭 | 10.4 m |
| 흘수 | 4.9 m |
| 갑판 | 1개 |
| 속도 | 11 노트 |
| 용량 | 115 TEU |
| 역사 | |
| 이름 유래 | 대홍단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 운항 중단 | 1990년대 경제난으로 운항 중단 |
| 기타 정보 | |
| 참고 | 만경대호와 유사한 선박 |
2. 제주해협 통과
2001년 6월 4일, 중화인민공화국을 출발하여 7일 도착을 목표로 청진시로 향하던 대홍단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박으로는 처음으로 제주해협을 통과했다. 당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에는 정식 국교가 수립되지 않은 상태였기에, 해양경찰 경비정은 대홍단호의 통과에 문제를 제기했다. 해양경찰은 국교가 없으므로 통과할 수 없다고 주장했으나, 대홍단호 측은 제주해협이 국제해협이므로 통항의 자유가 보장된다고 맞섰다. 양측의 입장이 대립했으나, 추후 유사한 통과 시에는 사전에 협의하기로 약속하면서 합의가 이루어졌고, 대홍단호는 제주해협을 무사히 통과할 수 있었다.[1]
2007년 10월 29일 밤 모가디슈 근해에 정박 중이던 대홍단호가 소말리아의 해적들에게 피랍되었다. 선원들은 즉시 SOS 구조 신호를 보냈고, 약 50해리 거리에 있던 미국 해군 소속 구축함 제임스 E. 윌리엄스호(
2004년 대홍단호의 박영환 선장은 화물 수송에 기여하고 창의적인 제안을 많이 한 공로로 노력영웅 칭호를 받았다.[3]
[1]
웹인용
북한 상선-남한 경비정 교신내용
http://news.khan.co.[...]
경향신문/연합뉴스
2001-06-05
3. 소말리아 해적과의 교전
3. 1. 북미 협력 논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미국은 이 사건에 대해 북미가 협력하여 해적을 소탕했다고 홍보했다.[6],[7] 그러나 이춘근 당시 자유기업원 부원장은 미국 해군 소속 구축함 윌리엄스호가 본래 대홍단호를 감시하고 있었기에 가까운 거리에서 지원할 수 있었던 것일 뿐이며, 부상당한 대홍단호 선원들을 치료해 준 것 역시 교전 중인 적국의 병사라도 부상을 입으면 치료하는 일반적인 관습에 따른 것일 뿐이라고 지적하며 북미 협력으로 보는 시각에 반론을 제기했다.[8]
4. 기타
2007년 11월, 항해사지원프로그램 Seafarers' Assistance Programmeeng은 대홍단호가 가짜 선명(船名)을 사용하며 소말리아에서 불법 활동을 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미 해군에 나포를 요청했으나, 미국 측은 이를 거부했다.[9][5]
참조
[2]
웹인용
Pirates attack
http://www.highbeam.[...]
Guns magazine
2008-03-01
[3]
웹인용
해적제압 대홍단호는 北에선 이미 ‘영웅’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7-10-31
[4]
웹인용
Crew wins deadly pirate battle off Somalia
http://www.cnn.com/2[...]
CNN
2007-10-30
[5]
웹인용
Pirates 'overpowered' off Somalia
http://news.bbc.co.u[...]
BBC
2007-10-31
[6]
웹인용
미국, '해적 납치 북한선박 구출' 적극 홍보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7-11-02
[7]
웹인용
美해군, 北 대홍단호 구조…北 "對테러전 北·美협력 상징”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7-11-09
[8]
웹인용
북한 화물선 대홍단호를 구출한 미국: 사건의 진정한 본질
http://www.konas.net[...]
코나스넷
2007-12-19
[9]
웹인용
"해적 격퇴 北화물선 '의심스러운 활동'에 연루"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7-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