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해양경찰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은 해양에서의 경찰 및 오염 방제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외청이다. 1953년 해양경찰대로 창설되어, 경찰청 소속이었다가 1996년 해양수산부 외청으로 독립했다.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해체되어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로 개편되었으나, 2017년 해양수산부 외청으로 부활했다. 주요 업무는 해상 경비, 구조, 수사이며, 함정, 항공기, 특수부대(해양경찰특공대) 등을 운용한다. 조직은 청장, 차장, 6개 국, 23개 과로 구성되며, 16개의 해양경찰서와 74개의 지서, 245개의 파출소를 관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연수구 소재의 관공서 -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은 2003년 개청하여 인천경제자유구역의 개발 및 운영을 담당하며, 윤원석이 2024년 2월부터 청장으로 재임 중이다. - 인천 연수구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재외동포청
대한민국 재외동포청은 재외동포 정책 수립 및 지원을 담당하며, 2023년 6월 외교부의 관련 업무를 승계하여 정식 출범한 대한민국 정부 기관이다. - 세월호 침몰 사고 - 단원고등학교
단원고등학교는 2005년에 개교하여 세월호 침몰 사고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현재는 독도 관련 활동과 대학교와의 자매결연을 맺고 있는 대한민국 고등학교이다. - 세월호 침몰 사고 - 생일 (2019년 영화)
생일은 2019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드라마 영화로, 세월호 참사로 아들을 잃은 부모가 아들의 생일을 맞이하며 겪는 슬픔과 치유의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 평택해양경찰서
평택해양경찰서는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으로 여러 부서와 파출소, 출장소를 관할하며 해상 치안 유지, 해양 사고 구조 및 예방, 해양 환경 보호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 해양경찰연구센터
해양경찰연구센터는 해양경찰청 소속 기관으로, 해양 안전 확보와 효율적인 경비를 위한 연구 개발을 수행하며, 장비 개발, 해양 오염 분석, 정책 개발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센터장이 이를 총괄한다.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 |
---|---|
기본 정보 | |
![]() | |
![]() | |
![]() | |
한국어 명칭 | 해양경찰청 |
한자 명칭 | 海洋警察廳 |
로마자 표기 | Haeyang-gyeongchal-cheong |
영어 명칭 | Korea Coast Guard |
약칭 | KCG, 해경청 |
설립일 | 2017년 7월 (해양경찰청으로 재출범) |
설립일 (과거) | 1953년 12월 - 2014년 11월 (해양경찰청) |
설립일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 | 2014년 11월 - 2017년 7월 |
직원 수 | 10,095명 |
국가 | 대한민국 |
국가 기관 | 예 |
법률 근거 | 해양경비법, 2019 |
본부 | 인천광역시, 대한민국 |
장관 1 이름 | 조현배 |
장관 1 직책 | 해양경찰청장 |
장관 2 이름 | 오상원 |
장관 2 직책 | 차장 |
상위 기관 | 해양수산부 (2017년–현재), 국민안전처 (2014년–2017년), 해양수산부 (1996년–2014년), 경찰청 (1953년–1996년) |
웹사이트 | 해양경찰청 공식 웹사이트 |
위치 정보 | |
조직 정보 | |
직원 수 (정원) | 521명 |
세입 예산 | 53억 8800만 원 |
세출 예산 | 1조 8108억 8100만 원 |
기관장 직책 | 청장 |
기관장 성명 | 김종욱 |
기관장 2 직책 | 차장 |
기관장 2 성명 | 김용진 |
상급 기관 |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
산하 기관 | #조직 |
2. 소관 사무
해양에서의 경찰 및 오염방제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13] 해양수산부의 외청으로서 해상 범죄 단속, 밀수·밀입국 감시 및 단속, 해난구조, 영해 경비, 해양 환경 보전, 해상 교통 안전 등을 임무로 한다. 육상 경찰과의 유대가 강하며, 간부는 경찰청 출신으로 구성되고, 계급 명칭도 경찰관과 같다.[13] 2017년 현재, 총 인원 10,016명과 함정 328척, 항공기 24기를 보유하고 있다.[13] 해양경찰청은 발족 이래 독도의 영해 경비를 수행하고 있다.
해양경찰청은 1953년 12월 23일 부산에서 창설되었으며, 경찰청 소속으로 해상경찰대가 설립되었다. 1962년 10월에는 인천, 여수, 포항, 군산에 새로운 기지가 설립되었다. 1963년 2월 해양경찰청 항공대는 폐쇄되었으나 1980년대에 재개되었다.
최근 확대되는 한국의 해양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주안점으로 두고, 대형 경비함, 예인선 정비에 중점을 두고 있다.
3. 역사
1980년 이후 해양경찰청은 함정을 대폭 확장하였고, 1991년 8월 해상경찰대는 대한민국 해상경찰청으로 개칭되었다. 2007년 대한민국 해상경찰청은 해양경찰청에 통합되었다. 21세기 초에는 3,000톤이 넘는 다양한 함정이 추가되었고, 2002년 1월 '해양경찰 특수기동대'가 공식적으로 창설되었다. 2008년 5월 "수색구조정비대"가 신설되었고, 2008년 말 다양한 하위 기관들의 인프라 구성이 변경되었다.
한국 전쟁 종전 후인 1953년 12월 23일, 내무부 치안국 소속 해양경찰대가 부산에서 창설되었다. 초기에는 이승만 라인을 넘은 일본 어선의 나포를 주목적으로 하였다. 이듬해 목포와 제주도에도 설치되었고, 이후 연안 각지에 증설되어 1979년에는 본청 청사를 인천 중구 북성동(소월미도)에 설치하였다.
해양경찰대의 소속은 내무부에서 상공부 해무청, 다시 내무부로 바뀌었고, 1991년 치안본부가 경찰청으로서 내무부의 외청이 됨에 따라 해양경찰대도 해양경찰청으로 개칭되어 경찰청 소속 기관이 되었다. 지방의 지구 해양경찰대도 해양경찰서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93년, 서해 페리 침몰 사고가 발생하여 “해양 안전을 담당하는 전문 기관이 없어 희생자가 늘었다”[14]는 지적을 받았다.
2005년 12월에 본청 청사를 송도 신도시로 이전하였다. 2006년 4월, 해양경찰서의 상위 기관으로서 지방해양경찰본부(부산, 인천, 목포, 동해)를 설치하였으나, 같은 해 12월, 지방해양경찰청(서해, 남해, 동해)으로 개편되었고, 인천해양경찰서는 본청 직할이 되었다. 2012년 6월, 제주도 주변 해역의 치안 강화를 위해 제주지방해양경찰청을 새로 설치하였다.
2008년 2월, 이명박 정권 출범에 따른 정부 조직 개편으로 폐지된 해양수산부에서 신설된 국토해양부로 소속이 변경되었으나, 2011년에 인천해양경찰서의 이청호 경사가 불법 조업 중인 중국 어선 선장에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2013년 3월, 박근혜 정권 출범으로 해양수산부가 부활하여 다시 해양수산부 외청이 되었다.
3. 1. 연혁
3. 2. 명칭
해무청 시절 잠깐 쓰였던 영문 명칭 Coast Guard는 2004년에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는 여러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데, 특히 신분 변화와 관련이 깊다.3. 3. 해체 및 부활
1996년 8월 8일 해양에서의 경찰 및 오염방제 사무를 담당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해양경찰청이 발족하였다. 그러나 2014년 11월 19일, 세월호 침몰 사고 구조 실패에 대한 책임을 물어 박근혜 대통령이 해체를 발표하면서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로 개편되어 폐지되었다.[21] 해양경찰청 해체로 해상 수사 및 정보 기능은 경찰청으로, 해양 경비, 구조·구난, 해상 수사 기능은 신설되는 국민안전처 산하 해양경비안전본부로 이관되었다. 이는 미국의 해안경비대나 일본의 해상보안청과 유사한 조직으로의 개편이었다.
이후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2017년 7월 26일 해양경찰청은 해양수산부의 외청으로 독립하여 부활하였다.
4. 조직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이전 명칭 한국해양경찰청)은 해양수산부의 외청으로, 해양경찰청장과 차장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해상 범죄 단속, 밀수·밀입국 감시 및 단속, 해난구조, 영해 경비, 해양 환경 보전, 해상 교통 안전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육상 경찰과 유대가 강하며, 간부는 경찰청 출신으로 구성되고 계급 명칭도 경찰관과 같다.[13] 2017년 기준으로 총인원 10,016명, 함정 328척, 항공기 24기를 보유하고 있으며,[13] 발족 이래 독도의 영해 경비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확대되는 한국의 해양 권익 보호를 위해 대형 경비함 및 예인선 정비에 중점을 두고 있다.
4. 1. 간부
해양경찰청 간부는 청장, 차장 및 각 국과 과의 책임자들로 구성된다. 역대 해양경찰청장 13명 중 11명이 육지 경찰 출신이라는 점은 해양 전문가 부족을 드러내며, 이는 세월호 침몰 사고 구조 작업 실패의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기도 한다.[14]4. 2. 하부 조직
4. 3. 소속기관
해양경찰교육원, 중앙해양특수구조단, 해양경찰정비창은 청장의 관장 사무를 지원하는 기관이다. 중앙해양특수구조단 예하에는 서해해양특수구조대(전라남도 목포시)와 동해해양특수구조대(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가 있다. 해양경찰교육원 예하에는 해양경찰연구센터(충청남도 천안시)가 있다.지방해양경찰청은 청장의 관장 사무를 분장하는 기관으로, 예하에 해양경찰서를 두고 있다.
지방해양경찰청 | 해양경찰서 |
---|---|
중부지방해양경찰청 (인천광역시) | 인천해양경찰서, 평택해양경찰서, 태안해양경찰서, 보령해양경찰서 |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전라남도 목포시) | 군산해양경찰서, 부안해양경찰서, 목포해양경찰서, 완도해양경찰서, 여수해양경찰서 |
남해지방해양경찰청 (부산광역시) | 통영해양경찰서, 창원해양경찰서, 부산해양경찰서, 울산해양경찰서 |
동해지방해양경찰청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 포항해양경찰서, 울진해양경찰서, 동해해양경찰서, 속초해양경찰서 |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해양경찰서, 서귀포해양경찰서 |
5. 인력 및 재정
2023년 5월 현재 정원은 521명이다.[18] 2023년 재정 규모는 총수입 기준으로 53.88억원이며, 총지출 기준으로는 18108.81억원이다.[19][20]
5. 1. 정원
5. 2. 재정
총수입·총지출 기준 2023년 재정 규모는 다음과 같다.[19][20]구분 | 세입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일반회계 | 5388000000KRW | +2.75% |
합계 | 5388000000KRW | +2.75% |
구분 | 세출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
일반회계 | 1810881000000KRW | +7.43% | |
해경 | 1778873000000KRW | +6.89% | |
해양환경 | 32008000000KRW | +49.2% | |
합계 | 1810881000000KRW | +7.43% |
6. 장비
해양경찰청은 함정뿐만 아니라 항공기도 보유하여 해상 경비 및 구조 활동을 수행한다.
항공기 | 기종 | 운용 대수 | 순항 속도 | 탑승 정원 | 항속 시간 | 항속 거리 | 비고 |
---|---|---|---|---|---|---|---|
고정익기 | |||||||
CL-604 | 수색구조기 | 1대 | 833km/h | 승객 11명 | 8시간 | 6667km | |
C-212 | 수색구조기 | 1대 | 370km/h | 승객 7명 | 5시간 | 1482km | |
CN-235 | 수색구조기 | 4대 | 394km/h | 승객 12명 | 7시간 | 2037km | |
회전익기 | |||||||
벨 412 SP | SAR용 헬리콥터 | 1대 | 218km/h | 승객 9명 | 3.5시간 | 722km | |
KA-32C | SAR용 헬리콥터 | 8대 | 211km/h | 승객 12명 | 4시간 | 852km | |
AW-139 | SAR용 헬리콥터 | 2대 | 305km/h | 승객 10명 | 3.9시간 | 819km | |
AS565 팬서 MB | 함정탑재 헬리콥터 | 5대 | 296km/h | 승객 8명 | 3.3시간 | 796km | |
S-92 | SAR용 헬리콥터 | 2대, 최대 2대 추가 옵션[10] | 280km/h | 승객 19명 | 6시간 | 1000km |
해양경찰청은 1980년대 항공대를 재개하였으며, 2014년 해체되기 전까지 5,000톤 이상의 함정을 추가 운용하고 비대칭전력을 확장할 계획이었다.[13] 2017년 기준으로 총 10,016명의 인원과 함정 328척, 항공기 24기를 보유하고 있다.[13]
최근에는 확대되는 한국의 해양 권익 보호를 위해 대형 경비함과 예인선 정비에 힘쓰고 있다.
6. 1. 함정
해양경찰청은 해상보안청의 순시선, 순시정에 해당하는 경비구난함, 경비함, 경비정을 보유하고 있다.등급 | 배수량 (공선) | 배수량 (만재) | 현황 | 선체 번호/취역일 | 건조사 | 무장 |
---|---|---|---|---|---|---|
대형 순찰선 | ||||||
삼봉호 | 5,000톤 | 6,350톤 | 2척 | 5001/2002년 | 현대중공업 | 두산 DST 노봉 40mm 함포 2문, 시벌칸 20mm 함포 |
6,500톤 | 5002/2015년 | 두산 DST 노봉 40mm 함포 2문, 시벌칸 20mm 함포; 오토멜라라 76mm 함포 | ||||
태평양급 | 3,000톤 | ? 톤 | 13척 | 3001/1994년 | 미상 | 20mm 시벌칸 함포 2문 |
? 톤 | 3002/1998년 | 미상 | 20mm 시벌칸 함포 1문 | |||
4,450톤 | 3003/2003년 | 한진중공업 | 20mm 시벌칸 함포 1문 | |||
3,860톤 | 3005/2004년 | 한진중공업 | 20mm 시벌칸 함포 1문 | |||
3,900톤 | 3006/2005년 | 한진중공업 | 20mm 시벌칸 함포 1문 | |||
3007/2006년 | 한진중공업 | 20mm 시벌칸 함포 1문 | ||||
3008/2008년 | 한진중공업 | 오토멜라라 40mm 함포 1문, 20mm 시벌칸 함포 1문 | ||||
3009/2010년 | 현대중공업 | 두산 DST 노봉 40mm 함포 2문, 시벌칸 20mm 함포 | ||||
3010/2010년 | 현대중공업 | 두산 DST 노봉 40mm 함포 2문, 시벌칸 20mm 함포 | ||||
? 톤 | 3011/2012년(훈련용) | STX조선해양 | 20mm 시벌칸 함포 1문 | |||
4,200톤 | 3012/2012년 | 현대중공업 | 두산 DST 노봉 40mm 함포 2문, 시벌칸 20mm 함포 | |||
4,200톤 | 3013/2015년 | STX조선해양 | 두산 DST 노봉 40mm 함포 2문, 시벌칸 20mm 함포 | |||
4,200톤 | 3015/2015년 | STX조선해양 | 두산 DST 노봉 40mm 함포 2문, 시벌칸 20mm 함포 | |||
제민급 | 1,500톤 | 2,200톤 | 12척 | 1501/1988년 | 대우조선해양 | 시벌칸 20mm 함포 |
2,246톤 | 1502/1996년 | |||||
2,700톤 | 1503/2000년 | 한진중공업 | 시벌칸 20mm 함포 | |||
2,700톤 | 1505/2001년 | |||||
2,700톤 | 1506/2004년 | 현대중공업 | 시벌칸 20mm 함포 | |||
2,700톤 | 1507/2004년 | 현대중공업 | 시벌칸 20mm 함포 | |||
2,700톤 | 1508/2005년 | 현대중공업 | 시벌칸 20mm 함포 3문 | |||
2,700톤 | 1509/2007년 | 한진중공업 | ||||
2,700톤 | 1510/2007년 | 한진중공업 | 오토멜라라 40mm 함포 1문, 20mm 시벌칸 함포 1문 | |||
2,700톤 | 1511/2008년 | 현대중공업 | 두산 DST 노봉 40mm 함포 2문, 시벌칸 20mm 함포 | |||
2,265톤 | 1512/2011년 | STX조선해양 | ||||
2,265톤 | 1513/2012년 | STX조선해양 | ||||
한강급 | 1,000톤 | 1,530톤 | 9척 | 1001/2012년 | 현대중공업 | 두산 DST 노봉 40mm 함포 2문, 시벌칸 20mm 함포 |
1,530톤 | 1002/2012년 | |||||
1,600톤 | 1003/2013년 | STX조선해양 | 두산 DST 노봉 40mm 함포 2문, 시벌칸 20mm 함포 | |||
1005/2015년 | ||||||
1,630톤 | 1006/1997년 | 시벌칸 20mm 함포 | ||||
1,860톤 | 1007/2002년 | 대우조선해양 | 시벌칸 20mm 함포 | |||
1,860톤 | 1008/2004년 | 대우조선해양 | 두산 DST 노봉 40mm 함포 2문, 시벌칸 20mm 함포 | |||
1,860톤 | 1009/2009년 | 현대중공업 | 브레다 40mm 함포, 시벌칸 20mm 함포 | |||
1,530톤 | 1010/2012년 | 한진중공업 | 두산 DST 노봉 40mm 함포 2문, 시벌칸 20mm 함포 | |||
등급 | 배수량 (공선) | 현황 | 국가 | 선체 번호 | 비고 |
---|---|---|---|---|---|
중형 순찰선 | |||||
태극 | 500톤 | 16척 | 501~518 | ||
해우리(A형) | 300톤 | 22척 | 300~303, 305~307, 308~323 | ||
해우리(B형) | 250톤 | 2척 | 278, 279 | ||
해우리(C형) | 200톤 | 2척 | 201, 202 | ||
소형 순찰선 | |||||
해누리 | 100톤 | 26척 | 103~131 | ||
P급(A형) | 30~50톤 | 82척 | P01~P102, P105~P112, P127 | ||
P급(B형) | 30, 50, 100톤 | 20척 | |||
특수선 | |||||
S급(연안 순찰정) | 4.5톤 | 53척 | S01~S70 | ||
소방정 | 200톤 | 1척 | |||
구난선 | 12톤, 50톤, 85톤, 140톤, 150톤, 450톤 | 33척 | |||
전천후 수륙양용 호버크래프트 | 8척 |
- 5000톤급
- * 5001함 (삼봉호), 동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동해해양경찰서 배치
- * 5002함 (이청호함), 제주해양경찰청 소속 제주서귀포해양경찰서 배치
- 3000톤급 (태평양급 경비함)
- * 3012함 (주작함),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소속 제주해양경찰서 배치
- * 3011함 (바다로), 해양경찰청 소속 인천해양경찰서 배치
- * 3010함 (태평양10호),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군산해양경찰서 배치
- * 3009함 (태평양9호),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목포해양경찰서 배치
- * 3008함 (태평양8호), 해양경찰청 소속 인천해양경찰서 배치
- * 3007함 (태평양7호), 동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동해해양경찰서 배치
- * 3006함 (태평양6호),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소속 서귀포해양경찰서 배치
- * 3005함 (태평양5호), 해양경찰청 소속 인천해양경찰서 배치
- * 3003함 (태평양3호),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목포해양경찰서 배치
- * 3002함 (태평양2호),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소속 제주해양경찰서 배치
- * 3001함 (태평양1호), 남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부산해양경찰서 배치
- 1500톤급 (제민급 경비함)
- * 1513함 (제민13호), 동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동해해양경찰서 배치
- * 1512함 (제민12호), 동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동해해양경찰서 배치
- * 1511함 (제민11호), 동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동해해양경찰서 배치
- * 1510함 (제민10호), 동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포항해양경찰서 배치
- * 1509함 (제민9호),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목포해양경찰서 배치
- * 1508함 (제민8호),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소속 서귀포해양경찰서 배치
- * 1507함 (제민7호),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태안해양경찰서 배치
- * 1506함 (제민6호),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목포해양경찰서 배치
- * 1505함 (제민5호),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소속 제주해양경찰서 배치
- * 1503함 (제민3호), 남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부산해양경찰서 배치
- * 1502함 (제민2호),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소속 제주해양경찰서 배치
- * 1501함 (제민1호),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소속 서귀포해양경찰서 배치
- 1000톤급 (한강)
- * 1010함 (한강10호), 남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통영해양경찰서 배치
- * 1009함 (한강9호), 남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울산해양경찰서 배치
- * 1008함 (한강8호), 동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포항해양경찰서 배치
- * 1007함 (한강7호),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목포해양경찰서 배치
- * 1006함 (한강6호),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목포해양경찰서 배치
- * 1005함 (한강5호), 남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부산해양경찰서 배치
- * 1003함 (한강3호), 동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포항해양경찰서 배치
- * 1002함 (한강2호), 해양경찰청 소속 인천해양경찰서 배치
- * 1001함 (한강1호),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군산해양경찰서 배치
- 500톤급 (태극)
- * 517함 (태극17호), 남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여수해양경찰서
- * 516함 (태극16호),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평택해양경찰서
- * 515함 (태극15호), 남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통영해양경찰서
- * 513함 (태극13호),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목포해양경찰서
- * 512함 (태극12호), 남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통영해양경찰서
- * 511함 (태극11호), 중부지방해양경찰청 소속 보령해양경찰서
- * 510함 (태극10호), 동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속초해양경찰서
- * 509함 (태극9호), 동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속초해양경찰서
- * 508함 (태극8호), 남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여수해양경찰서
- * 507함 (태극7호), 동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포항해양경찰서
- * 506함 (태극6호),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소속 서귀포해양경찰서
- * 505함 (태극5호), 동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속초해양경찰서
- * 503함 (태극3호), 인천해양경찰서
- * 502함 (태극2호), 인천해양경찰서
- * 501함 (태극1호), 인천해양경찰서
- 300톤급 (해우리)
- 250톤급 (해우리)
- 100톤급 (해누리)
- 50톤급 (P정)
- 30톤급 (형사기동정)
- 소방정
- * 소방1호정, 울산해양경찰서 배치
- 방제정
- 예인정 (T정)
- 호퍼크래프트 (수륙양용정, H정)
- 순찰정 (S정, M정)
6. 2. 항공기
항공기 | 기종 | 운용 대수 | 순항 속도 | 탑승 정원 | 항속 시간 | 항속 거리 | 비고 |
---|---|---|---|---|---|---|---|
고정익기 | |||||||
CL-604 | 수색구조기 | 1대 | 833km/h | 승객 11명 | 8시간 | 6667km | |
C-212 | 수색구조기 | 1대 | 370km/h | 승객 7명 | 5시간 | 1482km | |
CN-235 | 수색구조기 | 4대 | 394km/h | 승객 12명 | 7시간 | 2037km | |
회전익기 | |||||||
벨 412 SP | SAR용 헬리콥터 | 1대 | 218km/h | 승객 9명 | 3.5시간 | 722km | |
KA-32C | SAR용 헬리콥터 | 8대 | 211km/h | 승객 12명 | 4시간 | 852km | |
AW-139 | SAR용 헬리콥터 | 2대 | 305km/h | 승객 10명 | 3.9시간 | 819km | |
AS565 팬서 MB | 함정탑재 헬리콥터 | 5대 | 296km/h | 승객 8명 | 3.3시간 | 796km | |
S-92 | SAR용 헬리콥터 | 2대, 최대 2대 추가 옵션[10] | 280km/h | 승객 19명 | 6시간 | 1000km |
7. 해양경찰관의 계급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의 해양경찰관 계급은 11개로 구분된다. 계급 명칭은 「경찰공무원법」등에 따른 것으로, 경찰청의 것과 같다.
계급 | 역할 및 인원 |
---|---|
치안총감 | 해양경찰청장 1명 |
치안정감 | 해양경찰청 차장 1명 |
치안감 | 기획조정관, 경비안전국장, 정보수사국장, 장비기술국장, 해양경찰교육원장, 서해·남해지방해양경찰청장 5명 |
경무관 | 국제협력관, 경비안전국장, 정보수사국장, 장비기술국장, 동해·제주지방해양경찰청장,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안전총괄부장 6명 |
총경 | 대변인, 본청 각 담당관, 본청·지방해양경찰청·해양경찰학교 각 과장, 해양경찰서장 등 48명 |
경정 | 본청·해양경찰서·해양경찰학교 각 과장, 해양경찰학교 훈련단장, 본청·지방해양경찰청·해양경찰학교 각 계장, 대형함 함장, 항공단장, 특공대장 등 |
경감 | 지방해양경찰청·해양경찰서·해양경찰학교 각 계장, 중형함 함장, 소형함정 정장, 파출소장, 항공단장, 특공대장 등 |
경위 | 소형함정 정장, 파출소장 등 |
경사 | 파출소 부소장 등 |
경장 | |
순경 |
8. 해양경찰특공대
해양경찰특공대(SSAT: Sea Special Attack Team)는 2001년 9월 11일 미국 동시다발 테러 사건을 계기로 2002년 1월, 2002년 FIFA 월드컵 직전에 창설된 해양경찰청의 특수부대이다. 인천해양경찰서와 3개 지방해양경찰청에 직할대가 설치되어 있다. 대원 대부분은 군 특수부대 출신으로, 해상 테러 사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훈련받았다. 또한 해양경찰에는 육상 경찰과 마찬가지로, 병역 의무자로 구성된 전투경찰도 있다.
임무는 해안가의 원자력발전소나 석유저장시설 등을 순찰하거나, 해난사고 인명 구조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다.
9. 상징
참조
[1]
웹사이트
Korean Coast Guard 2012 White Paper
http://ebook.kcg.go.[...]
2013-03-19
[2]
법률
Coast Guard Act
https://elaw.klri.re[...]
[3]
뉴스
New badges in town
https://www.koreatim[...]
2018-06-20
[4]
웹사이트
South Korean lawmakers approve plans to disband coast guard in wake of April's ferry disaster
https://www.foxnews.[...]
Associated Press (AP)
2015-03-24
[5]
웹사이트
BBC News — South Korea to break up coastguard after ferry disaster
https://www.bbc.com/[...]
BBC
1970-01-01
[6]
웹사이트
South Korean president dismantles coast guard after ferry disaster
http://www.cnn.com/2[...]
CNN
2014-05-19
[7]
웹사이트
South Korea disbands coast guard in wake of April's ferry disaster
http://globalnews.ca[...]
Associated Press (AP)
[8]
뉴스
South Korea approves plans to disband coast guard in wake of ferry disaster
https://www.theglobe[...]
[9]
웹사이트
South Korea Parliament Approves Plans To Disband Coast Guard After Ferry Disaster
http://www.huffingto[...]
[10]
웹사이트
SINGAPORE: Sikorsky to supply Korean Coast Guard S-92 helicopter
http://www.flightglo[...]
2012-02-21
[11]
웹사이트
해양경찰, '조직도 및 함정배치현황
http://blog.naver.co[...]
2013-03-20
[12]
기타
[13]
서적
2018년海洋警察白書
[14]
뉴스
<韓国旅客船沈没>海洋警察、61年で空中分解
https://japanese.joi[...]
2014-05-20
[15]
뉴스
韓国大統領、海洋警察庁を解体へ 沈没事故の対応不十分
http://www.asahi.com[...]
2014-05-19
[16]
뉴스
旅客船沈没:改編対象部署は悲痛な雰囲気
http://www.chosunonl[...]
2014-05-20
[17]
뉴스
New badges in town
http://www.koreatime[...]
2018-06-20
[18]
기타
[19]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예산편성현황(총수입)
https://www.openfisc[...]
2023-02-26
[20]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세목 예산편성현황(총지출)
https://www.openfisc[...]
2023-02-26
[21]
뉴스인용
朴대통령 "해양경찰청 해체…조만간 정부조직법 개정"
http://www.yonhapnew[...]
2014-05-19
[22]
법령
대통령령 제844호
[23]
법령
대통령령 제1010호 및 대통령령 제1083호
[24]
법률
법률 제1048호
[25]
법률
법률 제4268호 및 법률 제4369호
[26]
법률
법률 제5153호
[27]
뉴스인용
[인천/경기]해양경찰청 28일 송도 새청사로 이전
https://news.naver.c[...]
2005-11-18
[28]
법률
법률 제8852호
[29]
법률
법률 제11690호
[30]
법률
법률 제12844호
[31]
법률
법률 제14839호
[32]
뉴스인용
2년 3개월만에 인천 복귀한 해경청, 새 현판 걸고 입주식
https://www.yna.co.k[...]
2018-11-27
[33]
기타
[34]
기타
[35]
기타
[36]
기타
[37]
기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몰래 들어와 돈 벌려고…소형보트 밀입국 중국인 8명 구속
'밀입국 시도' 중국인 8명…'전속력 질주' 해상 추격 끝 '체포'
레저보트 타고 밀입국 시도 중국인…추적 끝에 전원 검거
태안 해상서 중국인 8명 탄 밀입국 추정 선박 나포…현재 조사 중
한가위에 레저보트 타고 밀입국하려던 중국인 8명 검거
경감이 하급자 근무지 찾아가 “사귀자”···해경 스토킹 범죄 심각
[단독] "앉아 있는 사람" 단어 바꿨다…곳곳 축소 정황
인천 연평도 조업 어선서 닻줄에 끼인 60대 숨져
무릎 꿇은 순직 해경 파출소 당직 팀장 "지켜주지 못해 죄송"
해경, 인명 구조현장서 5년간 순직·부상 91명…안전 대책 ‘있으나마나’
최악가뭄 ‘강릉’ 재난 선포 8일째…군사작전 방불케 하는 운반급수
강릉 가뭄에 독도 경비함 '삼봉호' 전격 투입…600t 급수 지원
19명 탄 낚싯배 다른 어선과 충돌해 전복…전원 구조
통영 욕지도서 차량 바다로 추락…60대 운전자 숨져
[단독] '충암고 출신' 해경 간부 압수수색…'합수부에 해경 포함' 계획 정황
세월호 구조 뒤 이송 지연돼 사망…2심도 국가 배상책임 인정
여수 신북항 선박 2척 불…1명 사망·2명 부상
[단독] 중국 불법조업 연 4천건...韓中서 동시 처벌한다
당진 선착장서 밧줄 풀던 60대 선주 추락…숨진 채 발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