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게이트키퍼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 게이트키퍼즈는 드로르 모레 감독의 2012년 다큐멘터리 영화로, 이스라엘의 국내 보안 기관인 신 베트의 전직 수장 6명의 인터뷰를 통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역사를 조명한다. 영화는 신 베트의 역할과 이스라엘의 주요 결정에 미친 영향, 그리고 고문, 표적 살해 등 윤리적 문제들을 다룬다.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여러 매체에서 올해의 영화로 선정되었지만, 이스라엘 내에서는 외교관과 평론가들 사이에서 다양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러리즘을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 - 원 데이 인 셉템버
《원 데이 인 셉템버》는 1972년 뮌헨 올림픽 이스라엘 선수단 테러 사건을 다룬 1999년 다큐멘터리 영화로, 테러 과정과 영향, 희생자 가족 및 관계자 인터뷰, 독일 정부의 대응, 루프트한자 납치 사건 등을 상세히 다룬다. - 테러리즘을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 - 피트나 (영화)
피트나는 이슬람 극단주의의 위험성을 다룬 헤이르트 빌더르스 제작의 2008년 단편 영화로, 이슬람교에 대한 부정적 묘사와 네덜란드 내 이슬람 비판 시각을 담아 논란을 일으켰으며, 개봉 과정과 내용의 적법성 문제, 국제적 반응 및 법적 조치에 직면했고, 2024년 속편 제작 계획이 발표되었다. - 이스라엘의 다큐멘터리 영화 - 바시르와 왈츠를
아리 폴만 감독의 《바시르와 왈츠를》은 1982년 레바논 전쟁 당시 감독 자신의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가는 여정을 독특한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묘사한 2008년 이스라엘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영화로, 혁신적인 연출과 깊이 있는 주제 의식으로 전 세계적인 찬사를 받았지만 내용과 묘사에 대한 논쟁 또한 존재한다. - 이스라엘의 다큐멘터리 영화 - 히틀러의 아이들
히틀러의 아이들은 샤노흐 제에비 감독이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로, 나치 후손들의 인터뷰를 통해 홀로코스트의 공포와 증오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화해와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 2012년 다큐멘터리 영화 - 케이티 페리: 파트 오브 미
《케이티 페리: 파트 오브 미》는 2012년 개봉한 다큐멘터리 영화로, 가수 케이티 페리의 삶과 캘리포니아 드림스 투어 공연 실황, 그리고 러셀 브랜드와의 결혼 생활 등을 보여준다. - 2012년 다큐멘터리 영화 - I AM.
I AM.은 SM 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들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이며, 2012년 5월부터 여러 국가에서 개봉되었다.
더 게이트키퍼즈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도르르 모어 |
제작 | Estelle Fialon Philippa Kowarsky Dror Moreh |
출연 | 아미 아얄론 아비 디히터 유발 디스킨 카르미 길론 야코브 페리 아브라함 샬롬 |
음악 | Ab Ovo Jérôme Chassagnard Régis Baillet |
촬영 | Avner Shahaf |
편집 | Oron Adar |
배급사 | Cinephil (국제) Sony Pictures Classics (미국) |
상영 시간 | 95분 |
제작 국가 | 이스라엘 프랑스 벨기에 독일 |
사용 언어 | 히브리어 |
제작 예산 | 150만 달러 (130만 유로) |
흥행 수입 | 2,415,727 달러 |
히브리어 제목 | שומרי הסף |
히브리어 로마자 표기 | Shomrei HaSaf |
2. 제작 배경
드로르 모레 감독은 에롤 모리스 감독의 아카데미상 수상작인 다큐멘터리 ''전쟁의 안개''에서 영감을 받아 이 영화를 제작하게 되었다.[5] 그는 이전에 전 이스라엘 총리 아리엘 샤론에 관한 영화를 제작하던 중,[6] 지난 40년간 신 베트가 이스라엘의 주요 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음을 깨달았다. 모레 감독은 샤론 총리의 최측근 보좌관들과의 대화를 통해, 신 베트 전 수장들, 즉 '게이트키퍼'들의 비판이 샤론의 가자 지구 철수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밝혔다.[7]
이 영화는 7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다. 영화는 대략적인 연대기적 순서를 따르지만, 각 세그먼트는 부수적 피해 논란, 고문의 효과, 그리고 표적 살해의 도덕성과 같은 특정 주제를 탐구하기도 한다.
그러나 신 베트 조직의 비밀스러운 특성상, 전직 수장들이 카메라 앞에서 자신들의 경험과 견해를 이야기하도록 설득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그들은 이전까지 이러한 인터뷰에 응한 적이 없었으며, 다루어야 할 주제 중 상당수가 기밀이거나 민감한 사안이었다.
모레 감독은 먼저 아미 아얄론에게 접촉했다. 당시 크네세트 의원이었던 아얄론은 인터뷰에 동의했을 뿐 아니라, 다른 전직 수장들인 아브라함 샬롬, 야코브 페리, 카르미 길론, 아비 디히터와의 연락을 도왔다.[8] 당시 현직 수장이었던 유발 디스킨까지 총 여섯 명의 전현직 신 베트 수장이 인터뷰에 참여했다.
모든 수장들이 참여에 동의했지만, 일부는 특정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처음에는 주저했다. 예를 들어, 아브라함 샬롬은 자신의 사임으로까지 이어진 300번 버스 납치 및 테러범 2명 즉결 처형 당시 역할에 대해 언급하기를 꺼렸으나, 지속적인 설득 끝에 해당 사건에 대해서도 이야기하는 데 동의했다. 모레 감독은 이를 통해 "거의 반세기 동안 이스라엘의 의사 결정 과정을 이끌어온 사람들의 내밀한 공간에 들어갈 수 있는 전례 없는 기회"를 얻었다고 평가했다.[7]
3. 구성
영화에 묘사된 사건들은 기록 영상과 역사적 사진에 컴퓨터 생성 이미지(CGI)를 더해 생동감 있게 설명된다. 예를 들어, 300번 버스 사건은 사진과 목격자 증언을 바탕으로 CGI로 재연되었다. 영화의 컴퓨터 애니메이션은 프랑스 회사 맥 거프가 제작했다.
4. 주요 인터뷰 대상
이 영화는 6명의 전직 신 베트 수장과의 인터뷰로 구성되어 있다.
- 1980년부터 1986년까지 신 베트를 이끌었던 아브라함 샬롬은 아돌프 아이히만을 재판에 넘기는데 기여했으며, 테러리스트 2명을 즉결 처형하라는 명령을 내린 후 사임했다.[12]
- 그의 뒤를 이어 인티파다 당시 신 베트를 책임졌던 야코브 페리가 수장으로 취임했다.[13]
- 1994년부터 1996년까지 신 베트 수장이었던 카르미 길론은 극단주의자들이 라빈 총리를 암살하려 할 것이라고 경고했으며, 1995년 라빈 암살 사건은 신 베트의 명성에 큰 타격을 입혀 길론의 사임을 초래했다.[14]
- 그의 후임인 아미 아얄론은 이스라엘 지도자들에 대한 경호를 강화하고자 했다.[15]
- 2000년부터 2005년까지 신 베트 수장이었던 아비 디히터는 제2차 인티파다에 직면했다.[16]
- 그의 후임은 2011년까지 재임한 유발 디스킨이다.[17]
5. 영화에 대한 평가 및 반응
3년간의 제작 기간을 거쳐 완성된 이 영화는 예루살렘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 이후 북미의 텔루라이드 영화제, 토론토 국제 영화제, 뉴욕 영화제와 유럽의 암스테르담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등 여러 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18] 아카데미상 출품 자격을 얻기 위해 2012년 12월 1주간 제한 상영을 거친 후, 2013년 2월 1일 북미에서 정식 개봉되었다.
영화 공개 이후, 전직 신 베트 수장 6명의 인터뷰 내용이 큰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그들이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영토 점령 정책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낸 점이 주목받았다.[19] 이 영화는 이스라엘의 안보 정책과 그 딜레마, 그리고 장기적인 전략 부재 문제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다.[19][21]
영화는 평론가들로부터 전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여러 매체에서 2012년 최고의 다큐멘터리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22][23] 그러나 이스라엘 내에서는 영화가 자국의 민주주의를 보여준다는 긍정적 평가와 함께,[21] 반이스라엘 정서를 부추기거나 신 베트 활동의 정당성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비판적 시각이 공존했으며,[21][27] 일부 전직 수장들의 발언 내용과 영화의 편집 방향에 대한 논란도 제기되었다.[20][28]
감독 드로르 모레는 이 영화를 바탕으로 이스라엘 텔레비전용 5부작 시리즈와 책을 제작 중이라고 밝혔다.[20]
5. 1. 긍정적 평가
영화가 개봉되자 평론가들로부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종합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111명의 평론가로부터 94%의 지지율과 평균 8.3/10점의 평점을 얻었다. 사이트의 평가 요약은 "놀랍도록 간결하고, 솔직하며, 흥미롭게 구성된 ''더 게이트키퍼즈''는 겉으로는 해결할 수 없어 보이는 전쟁에 대해 그 전쟁을 치른 사람들의 입장에서 필수적인 시각을 제공한다."는 내용이다.[22] 메타크리틱에서는 27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91점을 받아 "만장일치 찬사"를 나타냈다.[23]뉴욕 타임스의 A. O. 스콧은 이 영화를 2012년 최고의 다큐멘터리로 선정하며 "중동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반드시 봐야 할, 눈을 뜨게 하는 영화"라고 평가했고,[24] 같은 신문의 마노라 다기스는 올해 최고의 영화 10편 중 하나로 꼽았다.[25] 월스트리트 저널의 조 모겐스턴 역시 이 영화를 올해 최고의 영화 10편 중 하나로 선정하며, "이 강인하고 강직한 사람들이 이스라엘 정치인과 이 나라가 적에 대해 취하는 현재 입장에 대해 말하는 것은 놀랍고 유익하다"고 언급했다.[26]
이 외에도 데이비드 에델스타인(뉴욕 매거진), 밥 몬델로(NPR), 데이비드 덴비(뉴요커), 케네스 터란(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리사 슈워츠바움(엔터테인먼트 위클리), 피터 레이너(크리스찬 사이언스 모니터), 토드 맥카시(할리우드 리포터) 등 다수의 평론가들이 ''더 게이트키퍼즈''를 올해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선정했다.[7]
뉴욕 타임스의 조디 루도렌은 영화가 "불안감을 주는 이야기"를 제공하며, 그 메시지는 "점령은 부도덕하고, 어쩌면 더 중요한 것은 비효율적이다. 이스라엘은 서안 지구에서 철수해야 한다. 그리고 팔레스타인 분쟁에 대한 두 국가 해법의 전망은 매일 줄어들고 있으며, 유대 민주주의로서의 이스라엘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분석했다.[20] 이스라엘 신문 하레츠의 영화 평론가 우리 클라인은 이 영화를 "최근 이곳에서 만들어진 가장 지적이고, 성숙하며, 자제력 있는 다큐멘터리 중 하나"라고 호평했다.[20] CNN은 전직 신 베트 수장들이 "놀라운 폭로"를 했으며, "6명 모두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영토 점령이 이스라엘 국가에 해롭다는 점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주장한다"고 보도했다. 또한 아브라함 샬롬의 말을 인용하며 "다큐멘터리의 핵심 주제는 이스라엘은 놀라운 전술을 가지고 있지만 장기적인 전략이 부족하다는 생각"이라고 지적했다.[19]
''더 게이트키퍼즈''는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하거나 후보에 오르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시상식 | 부문 | 결과 |
---|---|---|
아카데미상 (2013) | 장편 다큐멘터리 | 후보[29] |
이스라엘 영화 아카데미상 | 다큐멘터리 | 후보[29] |
골든 트레일러 어워드 | 외국 다큐멘터리 예고편 | 수상[29] |
비아리츠 국제 오디오비주얼 프로그래밍 페스티벌 (2013) | 특별 언급상 | 수상[29] |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 | 다큐멘터리/논픽션 영화 | 수상[29] |
시네마 포 피스 어워드 (2013) | 올해의 가장 가치 있는 다큐멘터리 | 공동 수상 (서칭 포 슈가맨과 함께)[29] |
전미 비평 위원회 | 올해의 5대 다큐멘터리 | 선정[29] |
전미 영화 비평가 협회 | 최우수 논픽션 영화 | 수상[29] |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최우수 논픽션 영화 | 2위[29] |
미국 제작자 조합 (PGA상) | 다큐멘터리 극장 영화 부문 최우수 프로듀서 | 후보[29] |
새틀라이트상 | 다큐멘터리 | 후보[29] |
아시아 태평양 스크린 어워드 (제7회) | 최우수 다큐멘터리 장편 영화 | 후보[30] |
5. 2. 이스라엘 내 반응
2013년 3월, 하레츠에 기고한 바라크 라비드는 이 영화를 둘러싸고 이스라엘 외교관들 사이에서 논쟁이 벌어졌다고 전했다. 논쟁의 핵심은 이 영화가 서방 세계에서 반이스라엘 정서를 강화하는지, 아니면 오히려 이스라엘 사회와 그 내부 논쟁의 복잡하고 긍정적인 측면을 보여주는지에 대한 것이었다.[21] 작가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는 이 영화가 "이스라엘 사회 일부 요소의 냉철함과 명확성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평가했다.[21]일부 외교관들은 이 영화를 긍정적으로 활용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스라엘 외무부의 라피 감주는 이 영화가 "최고 수준의 이스라엘 민주주의를 증명하는 것"이라고 평가했으며,[21] 독일 주재 이스라엘 대사 야코브 하다스-한델스만은 영화 상영회를 "이스라엘 민주주의의 강점과 정책 입안자들이 테러리스트 살해를 명령하기 전에 직면해야 하는 의문을 강조하는 기회"로 삼았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이스라엘의 안보 상황을 고려할 때, 그러한 토론을 볼 수 있는 민주주의 국가는 많지 않다"고 덧붙였다.[21]
반면, 영화에 대한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토론토 주재 이스라엘 부총영사 하다스 비텐베르크 실버스타인은 영화가 "관객들을 이스라엘이 직면한 정치·안보 딜레마에 직면하게 만드는 강력한 영화"라고 평가하면서도, "팔레스타인인의 고통을 묘사하는 데 있어 편향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21] 이스라엘 외무부 대변인 이가르 팔모르는 "영화에 신 베트 활동의 정당성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비판하며, 국제 관객에게는 더 많은 배경 설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터뷰에 응한 전직 수장들이 "규칙을 어기고 그만둔 반역자나 혁명을 일으키려는 파괴자가 아니"며, "자신을 기성세력의 일부로 보고 그들의 비판 목적은 그것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개선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21] 워싱턴 D.C. 주재 이스라엘 대사 마이클 오렌은 영화에 강하게 반대하며, 특히 아브라함 샬롬이 인터뷰에서 "이스라엘을 나치 독일과 어느 정도 비유"한 방식을 문제 삼았다. 오렌은 이로 인해 유대인 사회에서 이스라엘 지원에 대한 회의론이 제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21]
CNN은 2013년 1월, 당시 이스라엘 총리였던 베냐민 네타냐후가 이 영화를 볼 계획이 없다고 보도했다.[19]
이스라엘 언론과 시민 사회 내에서도 다양한 반응이 나타났다. 하레츠의 영화 평론가 우리 클라인은 이 영화를 "최근 이곳에서 만들어진 가장 지적이고, 성숙하며, 자제력 있는 다큐멘터리 중 하나"라고 호평했다.[20] 그러나 같은 신문의 편집장 알루프 벤은 칼럼을 통해 영화가 "신 베트에게 유리하며", 전직 수장들을 정치 지도자들의 희생양처럼 묘사하고 그들의 법률 위반 행위는 가볍게 다루었다고 비판했다.[20] 친이스라엘 옹호 단체 StandWithUs의 로즈 로스스타인과 Roberta Seid는 The Jerusalem Post 기고문에서 감독이 "지적으로 부정직"하며 "역사와 맥락"을 무시했다고 비난했다. 그들은 영화가 이스라엘의 대테러 정책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려 하지만, 실제 인터뷰 내용은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으며, 이스라엘의 평화 노력과 팔레스타인 발전에 대한 기여가 생략되었다고 주장했다.[27] 역사 교수이자 시오니스트 활동가인 Gil Troy 역시 The Jerusalem Post 기고문에서 전직 신 베트 수장들이 "정보 수장으로서의 관점을 설교와 정치로 전환"했다고 비판했으며, 감독이 아미 아얄론의 견해를 마치 6명 전체의 합의인 것처럼 보이게 편집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이스라엘 관객들이 팔레스타인 테러리스트의 사망에는 민감하게 반응하면서도 자살 폭탄 테러 희생자들에게는 무관심해 보이는 '분노의 격차'를 언급하며, 영화가 "이스라엘의 민주적 활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그것을 훼손하려 한다"고 평가했다.[28]
5. 3. 비판적 시각
하레츠의 바라크 라비드는 2013년 3월 기고에서 이 영화를 둘러싼 이스라엘 외교관들 사이의 내부 논쟁을 언급했다. 일부 외교관들은 이 영화가 서방 세계에서 반이스라엘 정서를 강화할 수 있다고 우려한 반면, 다른 외교관들은 이스라엘 사회와 내부 논쟁의 복잡하고 긍정적인 측면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21]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는 이 영화가 "이스라엘 사회 일부 요소의 냉철함과 명확성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21] 이스라엘 외무부의 라피 감주 역시 "최고 수준의 이스라엘 민주주의를 증명하는 것"이라고 평가했으며,[21] 독일 주재 이스라엘 대사 야코브 하다스-한델스만은 영화 상영회를 "이스라엘 민주주의의 강점과 정책 입안자들이 테러리스트 살해 명령 전 직면하는 고뇌를 강조하는 기회"로 삼았다고 밝혔다.[21]그러나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토론토 주재 이스라엘 부총영사 하다스 비텐베르크 실버스타인은 영화가 강력하지만 "팔레스타인인의 고통을 묘사하는 데 있어 편향적"이라고 지적했다.[21] 이스라엘 외무부 대변인 이가르 팔모르는 "영화에 신 베트 활동의 정당성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비판하며, 국제 관객을 위해 더 많은 배경 설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터뷰에 응한 신 베트 수장들이 기성 체제의 일부로서 비판하는 것이지, 체제를 파괴하려는 혁명가는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21] 워싱턴 D.C. 주재 이스라엘 대사 마이클 오렌은 아브라함 샬롬이 인터뷰에서 이스라엘을 나치 독일과 비교한 점을 강하게 비난하며, 이러한 내용이 이스라엘에 대한 지지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21]
하레츠의 영화 평론가 우리 클라인은 영화를 "지적이고 성숙하며 자제력 있는 다큐멘터리"로 호평했지만,[20] 같은 신문의 편집장 알루프 벤은 영화가 "신 베트에게 유리하게" 만들어졌으며, 전직 수장들을 정치 지도자들의 희생양처럼 묘사하고 그들의 법률 위반 행위는 가볍게 다루었다고 비판했다.[20]
시오니스트 단체 StandWithUs의 Roz Rothstein과 Roberta Seid는 더 예루살렘 포스트 기고를 통해 감독이 "지적 부정직"하며 "역사와 맥락"을 무시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들은 영화가 이스라엘의 대테러 정책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려 하지만, 실제 인터뷰 내용은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영화가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수립, 경제 발전, 복지 향상 등에 기여한 점을 간과하고, 이스라엘의 평화 제안이 거부당한 역사적 사실을 누락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2000년 레바논 철수와 2005년 가자 지구 철수 이후 오히려 헤즈볼라와 하마스의 위협이 증가한 현실을 무시했다고 비판했다.[27]
역사 교수이자 시오니스트 활동가인 Gil Troy 역시 더 예루살렘 포스트 기고에서 신 베트 전 수장들이 정보기관 수장으로서의 역할을 넘어 정치적 견해를 설파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감독이 아미 아얄론의 좌파적 견해를 마치 6명 전체의 합의된 입장처럼 보이도록 편집했다고 지적하며, 예루살렘 관객들이 팔레스타인 테러리스트의 사망에는 민감하게 반응하면서도 이스라엘 민간인을 대상으로 한 자살 폭탄 테러의 참상에는 무관심해 보이는 "분노의 격차"를 언급했다. 그는 이츠하크 라빈 암살이 아닌 하마스와 이슬람 지하드가 평화의 희망을 꺾었다고 주장하며, 영화가 이스라엘의 민주주의를 보여주는 동시에 이를 훼손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또한, 전직 수장들이 이스라엘을 비판하면서 팔레스타인에게는 책임을 묻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그들의 솔직함이 "스파이는 말해서는 안 된다"는 원칙에 어긋난다고 비판했다.[28]
한편, CNN은 2013년 1월 당시 이스라엘 총리였던 베냐민 네타냐후가 이 영화를 볼 계획이 없다고 보도했다.[19]
참조
[1]
웹사이트
"שומרי הסף": דוקומנטרי חשוב ומטלטל
http://e.walla.co.il[...]
Walla
2013-01-12
[2]
웹사이트
The Gatekeepers (2013)
http://www.boxoffice[...]
2013-11-05
[3]
웹사이트
Gatekeepers, the Film
http://www.thegateke[...]
2012-12-13
[4]
뉴스
Oscars 2013: Complete list of nominees
http://www.latimes.c[...]
2013-01-10
[5]
웹사이트
Interview with the director
https://www.youtube.[...]
2012-12-13
[6]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Dror Moreh
http://www.sanjose.c[...]
2012-12-14
[7]
웹사이트
The Gatekeepers {{!}} A Sony Pictures Classics Release
http://www.sonyclass[...]
Sony Classics
2013-10-28
[8]
뉴스
Dror Moreh's 'The Gatekeepers' sheds light on Israel's Shin Bet
http://touch.latimes[...]
2013-02-01
[9]
뉴스
The Q&A: Dror Moreh Power is in their hands
https://www.economis[...]
2013-04-09
[10]
뉴스
How I persuaded six intelligence chiefs to pour out their hearts
http://www.timesofis[...]
2013-10-28
[11]
웹사이트
Mac Guff website
http://www.macguff.c[...]
2012-12-15
[12]
웹사이트
AVRAHAM SHALOM / 1980-1986
http://www.thegateke[...]
The Gatekeeprs
2013-10-28
[13]
웹사이트
YAAKOV PERI / 1988-1995
http://www.thegateke[...]
The Gatekeepers
2013-10-28
[14]
웹사이트
CARMI GILLON / 1994-1996
http://www.thegateke[...]
The Gatekeepers
2013-10-28
[15]
웹사이트
AMI AYALON / 1996-2000
http://www.thegateke[...]
The Gatekeepers
2013-10-28
[16]
웹사이트
AVI DICHTER / 2000-2005
http://www.thegateke[...]
The Gatekeepers
2013-10-28
[17]
웹사이트
YUVAL DISKIN / 2005-2011
http://www.thegateke[...]
The Gatekeepers
2013-10-28
[18]
웹사이트
Telluride review
http://www.telluride[...]
2012-12-13
[19]
뉴스
Six Israeli security chiefs stun the world
https://archive.toda[...]
CNN
2013-01-28
[20]
뉴스
"'Most Israelis Are Not Listening' 'Gatekeepers,' Oscar Nominee, Has Muted Reaction in Israel"
https://www.nytimes.[...]
2013-01-25
[21]
뉴스
In a flurry of telegrams, Israeli diplomats respond to 'The Gatekeepers'
http://www.haaretz.c[...]
2013-10-28
[22]
문서
The Gatekeepers
[23]
웹사이트
The Gatekeepers Reviews
http://www.metacriti[...]
2016-03-18
[24]
뉴스
25 Favorites From A Year When 10 Aren't Enough
https://www.nytimes.[...]
2012-12-14
[25]
뉴스
Against the Odds, Smart Films Thrive at the Box Office
https://www.nytimes.[...]
2012-12-14
[26]
뉴스
Welcome Fruits of a Late Harvest
https://www.wsj.com/[...]
2012-12-27
[27]
뉴스
The dishonesty of 'The Gatekeepers'
http://www.jpost.com[...]
2013-10-28
[28]
웹사이트
"'The Gatekeepers': Speaking spooks' coup d'etat"
http://www.jpost.com[...]
2013-10-28
[29]
웹사이트
The Gatekeepers (2012) Awards
https://www.imdb.com[...]
IMDb
2013-10-28
[30]
웹사이트
Winners & Nominees 2013
http://www.asiapacif[...]
2013-12-19
[31]
뉴스
Oscars 2013: Complete list of nominees
http://www.latimes.c[...]
2013-0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