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티파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티파다'는 "전율", "떨림"을 의미하는 아랍어로, 이스라엘 점령에 저항하는 팔레스타인 봉기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팔레스타인 맥락에서 '인티파다'는 주로 제1차 인티파다(1987-1993)와 제2차 인티파다(2000-2005)를 가리키며, 비폭력 저항에서 자살 폭탄 테러와 같은 폭력 사태로 양상이 변화했다. '인티파다'는 팔레스타인뿐 아니라, 이라크, 레바논, 이집트 등 다른 아랍 국가의 봉기를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영어권에서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과 관련된 사건들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티파다 - 아랍의 봄
2010년 튀니지에서 시작되어 중동과 북아프리카로 확산된 아랍의 봄은 사회경제적 불만과 정치적 억압에 대한 저항으로, 소셜 미디어의 도움을 받아 여러 국가에서 정권 붕괴를 야기했으나 진압되거나 불안정을 초래하여 현재까지도 정치적, 사회적 불안정이 지속되고 있다. - 인티파다 - 2005년 프랑스 폭동
2005년 프랑스 폭동은 파리 교외 이민자 밀집 지역에서 북아프리카계 청소년 사망 사건을 계기로 촉발되어 높은 실업률, 사회적 차별, 경찰의 과잉 단속 등 누적된 사회·경제적 불만이 폭발하며 프랑스 전역으로 확산, 사회 불평등 문제와 사회 통합 실패를 드러낸 대규모 소요 사태이다. - 팔레스타인 - 가자
가자는 기원전 15세기부터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거쳐 1993년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2007년부터 하마스 통치 하에 있으며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으로 인도주의적 위기가 지속되는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의 최대 도시이다. - 팔레스타인 - 베들레헴
베들레헴은 팔레스타인 서안 지구에 위치한 도시로,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지로 알려진 중요한 순례지이자 관광 도시이며, 고대 유다 왕국의 도시이자 다윗 왕의 고향으로 구약성서에 언급되고, 다양한 문명의 지배를 거쳐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중심지 중 하나이며, 현재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통치 아래 이스라엘의 서안 지구 장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티파다 | |
---|---|
용어 | |
의미 | '아랍어: انتفاضة (intifāḍah), "떨쳐 일어섬", "봉기", "반란"' |
설명 | 억압에 대한 정당한 저항이라는 개념을 담고 있으며, 아랍 세계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감정적인 호소력이 큼 |
어원 | 무언가를 던져 버리는 것을 의미함 |
역사적 맥락 | |
주요 사건 | '제1차 인티파다(1987년 ~ 1993년)' '제2차 인티파다(2000년 ~ 2005년)' |
특징 | 팔레스타인 봉기를 지칭하는 용어로 주로 사용됨 |
사용 예시 | 1952년 이라크의 하심 왕조에 대한 봉기도 아랍어로 '인티파다'라고 불림 |
2. 용어의 어원과 의미
'''인티파다'''(Intifada)는 아랍어 단어 ''나파다''(nafada)에서 유래된 명사로, "흔들다", "떨쳐내다", "제거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10][12] 이는 마치 개가 물을 떨쳐내거나, 잠에서 깨어나거나,[13] 샌들에서 먼지를 털어내는 것과 같은 행동을 묘사한다.[15]
"인티파다"라는 용어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서 이스라엘의 통제에 대한 팔레스타인의 주요 봉기를 지칭한다. 제1차 인티파다는 1987년부터 1993년까지, 제2차 인티파다는 2000년부터 2005년까지 발생했으며, 두 봉기 모두 이스라엘 민간인과 보안군에 대한 수많은 공격을 포함했다.[1][14]
팔레스타인 맥락에서 이 단어는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에 대한 이스라엘의 점령을 "떨쳐내려는" 저항 운동을 의미하며, 제1차 인티파다와 제2차 인티파다에서 사용되었다.[1][14] 원래 이 용어는 "공격적인 비폭력 저항"을 의미하기 위해 선택되었으며,[10] 1980년대 팔레스타인 학생들의 투쟁에서 그 의미를 지녔고, 이전의 호전적인 수사에서 사용된 용어보다 덜 대립적인 것으로 채택되었는데, 이는 폭력의 뉘앙스를 전혀 담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15]
제1차 인티파다는 시위, 총파업, 경제 보이콧, 그리고 폭동으로 특징지어졌으며, 이스라엘 육군과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의 기반 시설에 대한 돌과 화염병 투척이 널리 행해졌다. 제2차 인티파다는 격화된 폭력의 시기로, 팔레스타인 공격자들이 감행한 자살 폭탄 테러가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였다. 이는 주로 이스라엘 민간인을 표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덜 폭력적이었던 제1차 인티파다와 대조적이다.
3. 팔레스타인의 인티파다
팔레스타인의 인티파다는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군사 점령에 대한 민중 봉기(혹은 저항 운동)를 의미한다. 이스라엘 강경파는 이를 국제 관계를 반이스라엘로 향하게 하려는 테러 작전의 일환으로 간주하기도 한다.[49] 그러나 이스라엘 내 일부에서는 인티파다를 통해 강경한 대 팔레스타인 점령 정책의 오류를 깨닫고, 양심적 병역 거부나 평화 지지 운동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원래 이 용어는 "공격적인 비폭력 저항"을 의미하기 위해 선택되었으며, 1980년대 팔레스타인 학생들의 투쟁에서 그 의미를 지녔고, 이전의 호전적인 수사에서 사용된 용어보다 덜 대립적인 것으로 채택되었다.[10][15] 제1차 인티파다는 시위, 총파업, 경제 보이콧, 그리고 폭동으로 특징지어졌으며, 이스라엘 육군과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의 기반 시설에 대한 돌과 화염병 투척이 널리 행해졌다. 제2차 인티파다는 격화된 폭력의 시기로, 팔레스타인 공격자들이 감행한 자살 폭탄 테러가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였으며, 주로 이스라엘 민간인을 표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제1차 인티파다와 대조적이다.
3. 1. 제1차 인티파다 (1987-1993)
1987년 12월 8일 가자 지구의 난민캠프에 사는 팔레스타인인 4명이 이스라엘 군용 트럭에 치여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제1차 인티파다가 시작되었다.[55] 이 사건은 요르단강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 전체로 빠르게 확산되어 이스라엘군의 장기 주둔에 저항하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제1차 인티파다는 시위, 총파업, 경제 보이콧, 폭동 등으로 특징지어졌으며, 팔레스타인 주민들은 돌과 화염병을 던지며 저항했고, 이스라엘 군은 강경 진압으로 대응했다. 이 과정에서 1000명이 넘는 팔레스타인인이 사망하고, 수만 명이 체포되었으며, 희생자 대부분은 어린이와 젊은이였다.[49]
1990년 걸프 전쟁 발발 후, 이라크를 지지했던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는 사우디아라비아 등 걸프만 산유국으로부터 재정 지원이 끊기면서 조직 존망의 위기를 맞게 되었다. 이에 1991년부터 1992년까지 이스라엘과 평화 협상을 진행하게 되었다.
1993년 9월, 이스라엘의 생존권을 인정하고 요르단강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에 5년간의 잠정 자치를 도입하는 내용을 담은 오슬로 협정(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설치에 관한 원칙 선언)이 체결되었다. 1994년 5월부터 잠정 자치가 시작되었고, 같은 해 7월 야세르 아라파트가 귀환하면서 인티파다는 종결을 선언했다.
3. 1. 1. 영향
이 민중 봉기는 장기 점령 지배의 가혹한 실태를 국제사회에 호소하여 팔레스타인의 해방과 독립을 희구하는 메시지를 전달했다.[49]
1988년 11월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는 팔레스타인 민족 평의회(PNC)를 개최, 팔레스타인 전 국토의 해방을 목표로 했던 기존의 운동 목표를 크게 전환하여 이스라엘 국가의 존재를 처음으로 인정하고, 요르단강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를 영토로 하는 팔레스타인 국가를 건설하는 '2국가 공존 방식'을 추진했다.
인티파다를 통해 힘을 얻은 팔레스타인 운동은 요르단강 서안 지구, 가자 지구 주민에게 뿌리내린 현실적인 국가 건설에 착수, 동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팔레스타인 독립 국가 안을 제시했고, 이에 대한 세계적인 지지와 승인이 이어졌다. 특히 미국은 대 팔레스타인 정책을 전환하여, 이전까지 '테러 조직'으로 간주하여 평화 교섭 대상으로 보지 않았던 PLO와 역사적인 대화를 시작했다.[49]
인티파다는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군사 점령에 대한 민중 봉기(혹은 저항 운동)"로 일반적으로 불린다. 이스라엘 강경파는 이를 "국제 관계를 반이스라엘로 향하게 하려는 테러 작전의 일환"이자 "봉기를 명목으로 한 불균형한 전쟁 (비대칭 전쟁)"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스라엘 일각에서는 인티파다와 그에 대한 탄압을 통해 "강경한 대 팔레스타인 점령 정책"의 오류를 깨닫고, 양심적 병역 거부나 평화 지지 운동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49]
2000년대 중반 이후 팔레스타인에서 인티파다라고 불리는 활동은 발생하지 않았다. 2017년 12월 6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루살렘을 이스라엘 수도로 선언했지만, 팔레스타인인들 사이에서 대규모 장기적인 항의 운동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에 대한 불신과 이스라엘 경제 의존도 심화 때문으로 분석된다. 텔아비브 대학교 안보 연구소의 코비 미하일 선임 연구원은 "팔레스타인은 과거 두 번의 인티파다에서 큰 대가를 치렀지만 아무것도 얻지 못했다. 자치 정부에 대한 불만이 크고, 자신의 생활을 희생하며 봉기하려는 사람은 적을 것이다"라고 지적했다.[50]
2018년 3월 2일 가자 지구를 지배하는 이슬람 원리주의 조직 하마스는 "미국이 예루살렘을 이스라엘 수도로 인정하면 '인티파다'를 촉구할 것"이라고 경고했지만,[51] '인티파다'라고 불리는 일은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인터넷에는 인터넷을 통해 팔레스타인의 현황과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국제 여론의 관심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일렉트로닉 인티파다(Electronic Intifada)"라는 명칭의 팔레스타인 저항 운동 사이트도 만들어졌다.[52]
3. 2. 제2차 인티파다 (2000-2005)
2000년 아리엘 샤론 당시 리쿠드 당 대표의 알 아크사 모스크 방문은 캠프 데이비드 협상 결렬 이후 팔레스타인인들에게 도발로 받아들여져 제2차 인티파다의 계기가 되었다.[56] 팔레스타인인들은 자살 폭탄 테러 등 이전보다 더욱 폭력적인 방법으로 저항했다.
2000년 9월 30일,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 군의 총격으로 12세 소년 무함마드 알 두라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 장면은 TV를 통해 전 세계에 방영되어 국제 사회의 분노를 일으켰다.[56]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자치 지역을 재점령하고 야세르 아라파트의 집무실을 포위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했다. 이에 팔레스타인 경찰도 민중 봉기에 참여하면서 상황은 준전쟁 상태, 즉 내전 상태로 악화되었다.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는 사실상 기능을 상실했고, 팔레스타인 민족해방전선(PFLP), 하마스, 이슬람 지하드와 같은 급진 세력은 자살 폭탄 테러와 요인 암살 등을 통해 팔레스타인의 저항을 주도했다.
3. 2. 1. 영향
2000년 9월 28일, 아리엘 샤론 전 국방장관이 동예루살렘 이슬람교 성지인 알 아크사 모스크를 방문한 것을 계기로 제2차 인티파다(알 아크사 인티파다)가 발발했다.[56] 이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2000년 7월 미국 캠프 데이비드에서 바라크 수상, 아라파트 의장, 클린턴 대통령 간의 평화 협상이 결렬된 후, 팔레스타인 민중은 봉기하였고, 이는 요르단강 서안 지구, 가자 지구, 팔레스타인 난민, 이스라엘 내 아랍인까지 확산되었다.
2000년 9월 30일, 가자지구에서 12세 소년 무함마드 라미 알 두라가 이스라엘군의 총격에 희생된 사건은 전 세계에 방영되며 이스라엘에 대한 분노를 일으켰다.[56] 이스라엘은 강경한 군사 정책으로 대응했고, 팔레스타인 자치 지역을 재점령하고 아라파트 집무실을 포위했다. 이로 인해 팔레스타인 경찰도 민중 봉기에 참여하며 내전 상태가 되었고,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는 기능을 상실했다. 팔레스타인 민족해방전선(PFLP), 하마스, 이슬람 지하드 등 급진 세력은 자살폭탄 테러와 요인 암살을 통해 민족 봉기를 자극했다.
이스라엘 내에서는 인티파다와 탄압을 통해 강경한 점령 정책의 오류를 깨닫고 양심적 병역 거부나 평화 지지 운동이 확산되기도 했다. 2004년 11월 야세르 아라파트 사망 이후 폭력 행위는 수그러들었고, 2005년에는 대체로 진정되었다.
2017년 12월 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루살렘을 이스라엘 수도로 선언했지만, 팔레스타인인들 사이에서 대규모 항의 운동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에 대한 불신과 이스라엘 경제 의존도 심화 때문으로 분석된다.[50] 2018년 3월 2일 하마스는 인티파다를 촉구했지만, 실제로 일어나지는 않았다.[51]
한편, 인터넷에는 팔레스타인 저항 운동 사이트인 "일렉트로닉 인티파다(Electronic Intifada)"가 만들어져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국제 여론의 관심을 높이고 있다.[52]
3. 3. 2000년대 이후
2000년대 중반 이후 팔레스타인에서 인티파다라고 불리는 활동은 발생하지 않았다. 2017년 12월 6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팔레스타인 측 주장에 반하는 예루살렘을 이스라엘 수도로 선언을 발표했지만, 일반 팔레스타인인들 사이에서 대규모 장기적인 항의 운동은 보이지 않았다.
이 배경에는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에 대한 불신감과 이스라엘 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점이 작용했다. 텔아비브 대학교 안보 연구소의 코비 미하일 선임 연구원은 "팔레스타인은 과거 두 번의 인티파다에서 큰 대가를 치렀음에도 불구하고 아무것도 얻은 것이 없었다. 자치 정부에 대한 불만이 강하고, 자신의 생활을 내던지고 봉기하려는 사람은 적을 것이다"라고 지적했다.[50]
2018년 3월 2일 가자 지구를 지배하는 이슬람 원리주의 조직 하마스는 "미국이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하면 '인티파다'라고 불리는 민중 봉기를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게 촉구할 것"이라고 경고했지만,[51] 최종적으로는 '인티파다'라고 불리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한편, 인터넷상에는 인터넷을 통해 팔레스타인의 현황과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국제 여론의 관심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일렉트로닉 인티파다(Electronic Intifada)"라는 명칭의 팔레스타인 저항 운동 사이트도 만들어졌다.[52]
4. 다른 지역의 인티파다
"인티파다"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서 이스라엘 통제에 대한 팔레스타인 봉기를 주로 지칭하지만, 다른 지역의 봉기, 혁명, 저항 운동에도 사용된다. 아랍어로는 1916년 부활절 봉기[19], 1943년 바르샤바 게토 봉기[20], 1949년 제주 4·3 사건[21] 등 모든 봉기를 '인티파다'로 부를 수 있다.
영어에서는 주로 아랍권 사건을 지칭하며, 1952년 이라크 인티파다, 수단 10월 혁명, 3월 인티파다, 젬라 인티파다 등이 있다. 레바논에서는 레바논 내전 중 2월 6일 인티파다, 라피크 하리리 암살 이후 레바논 삼나무 혁명이 '인티파다'로 불린다.
그 외에도 1990년대 바레인 봉기, 서사하라 분쟁 관련 봉기, 2005년 프랑스 폭동, 아랍의 봄 관련 혁명 등 다양한 사건들이 '인티파다'로 불린다.
4. 1. 이라크
1952년 이라크 인티파다는 하심 왕조 통치에 반대하는 일련의 파업과 폭동이었다.[22] 1991년 걸프 전쟁 직후, 시아파와 쿠르드족은 사담 후세인 정권에 반대하는 대규모 봉기를 일으켰는데, 이를 '''1991년 인티파다'''(1991년 이라크 봉기)라고 부른다.[36] 당시 쿠웨이트 주둔 이라크군이 패주하면서 반전·반 후세인 의식이 고조되었고, 한 장교가 바스라에서 사담의 초상을 공격한 것을 계기로 반란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반란 세력은 미군의 협력을 기대했지만, 미군은 관망했고 이라크 정부군이 진압에 성공하여 10만 명 가까이 학살된 것으로 알려졌다.2003년 이라크 전쟁 이후, 무크타다 알 사드르는 미군의 군사 점령 종료를 목표로 "이라크 인티파다(Iraqi Intifada)"[53]라고 불리는 폭동을 지휘했다.
4. 2. 레바논
- 2월 6일 인티파다 (1984): 레바논 내전 중에 발생했다.[26]
- 레바논 삼나무 혁명 (2005): 라피크 하리리 암살 이후 레바논에서 일어난 사건으로, '독립 인티파다'라고도 불린다.[27]
4. 3. 이집트
1984년 이집트 인티파다[28]는 피비린내 나는 봉기 및 시민 저항 운동이었다. 2011년 이집트 혁명[42]은 이집트 인티파다로 불리기도 한다.4. 4. 기타
아랍어에서 '인티파다'는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일어나는 모든 봉기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916년 부활절 봉기(انتفاضة الفصح|인티파다트 알피스흐ar)[19], 1943년 바르샤바 게토 봉기(انتفاضة غيتو وارسو|인티파다트 기투 와르수ar)[20], 1949년 제주 4·3 사건(انتفاضة جيجو|인티파다트 지주ar)[21] 등이 이에 해당한다.영어에서는 주로 아랍권에서 발생한 다음 사건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사건명 | 발생 시기 | 내용 |
---|---|---|
3월 인티파다 | 1965년 3월 | 바레인에서 영국 식민 통치에 반대한 좌익 봉기[24] |
젬라 인티파다 | 1970년 6월 | 당시 스페인령 사하라에서 스페인 식민 통치에 반대한 봉기[25] |
1990년대 바레인 봉기 | 1990년대 | 민주적 통치 복귀를 요구한 봉기 ("1990년대 인티파다"로도 불림)[35] |
서사하라 분쟁 관련 | 1999년–2004년, 2005년, 이후 | |
2005년 프랑스 폭동 | 2005년 | 역사학자 앤드루 허시에 의해 "프랑스 인티파다"로 불림[39] |
아랍의 봄 관련 | 2010년 12월 18일 ~ |
5.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Die Intifada im Ölscheichtum Bahrain: Hintergründe des Aufbegehrens von 1994–1998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03
[2]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litical Revolut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4-05-03
[3]
뉴스
What is an intifada?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24-01-28
[4]
웹사이트
What were the intifadas?
https://www.vox.com/[...]
Vox
2024-01-28
[5]
웹사이트
Intifadas: What you need to know – DW – 12/07/2017
https://www.dw.com/e[...]
2024-01-28
[6]
백과사전
Intifada
[7]
어원사전
Intifada
2024-05-12
[8]
사전
[9]
저널
Listen to What They're Chanting
https://www.theatlan[...]
2024-05-08
[10]
서적
Refugee Women and Their Mental Health: Shattered Societies, Shattered Liv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1]
서적
Intifada: The Palestinian Uprising Against Israeli Occupation
https://books.google[...]
South End Press
1989
[12]
서적
The Politics of Mass Violence in the Middle East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13]
서적
Intifada
https://books.google[...]
Casemate Publishers
2009
[14]
서적
Palestinian Women of Gaza and the West Bank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998
[15]
서적
A Quiet Revolution: The First Palestinian Intifada and Nonviolent Resistance
https://books.google[...]
Nation Books
2007
[16]
웹사이트
Amid terror wave in Israel, New York BDS group calls to 'globalize intifada' at rally
https://www.jns.org/[...]
2022-03-31
[17]
웹사이트
Pro-Palestinian NYC Rally Features "Globalize the Intifada" Chants
https://jewishjourna[...]
2023-11-12
[18]
웹사이트
Antisemitic incidents have spiked in New York since Hamas attack on Israel, NYPD says
https://forward.com/[...]
2023-10-25
[19]
웹사이트
الإيرلنديون يحيون ذكرى انتفاضة الفصح ضد البريطانيين
https://www.aljazeer[...]
2024-05-22
[20]
웹사이트
في الذكرى الـ80 للانتفاضة ـ هذا ما حدث في "غيتو وارسو"
https://www.dw.com/a[...]
2024-05-03
[21]
뉴스
في أسبوع: "القيامة" و"رهبان صبية" وانتفاضة "جيجو"
https://www.bbc.com/[...]
2024-05-22
[22]
웹사이트
THE 1952 UPRISING IN IRAQ AND REGENT'S ROLE IN ITS CRUSHING (Iraq from al-watba to al-intifāda: 1949 - 1952)
https://www.sav.sk/j[...]
Institute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Slovak Academy of Sciences
2024-05-03
[23]
서적
Civil Uprisings in Modern Sudan: The 'Khartoum Springs' of 1964 and 1985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5-01-29
[24]
웹사이트
لندن ناقشت أحداث البحرين مع واشنطن وسط مؤشر تحويل النفوذ في الخليج لأميركا - بانوراما - صحيفة الوقت البحرينية - يومية سياسية مستقلة
http://www.alwaqt.co[...]
[25]
뉴스
Western Sahara: 44th Anniversary of Zemla Uprising
http://allafrica.com[...]
2016-11-06
[26]
잡지
Lebanon Agonistes
http://www.charlesgl[...]
2009-10-17
[27]
저널
Spatial Transformations in the Lebanese "Independence Intifada"
https://www.jstor.or[...]
2024-05-10
[28]
뉴스
Egypt cuts food prices
https://news.google.[...]
2013-04-28
[29]
웹사이트
History Illustrated: The first Intifada against Israel
https://www.aljazeer[...]
[30]
웹사이트
What were the intifadas?
https://www.vox.com/[...]
2018-11-20
[31]
서적
Senses of Upheaval
https://books.google[...]
Anthem Press
2021-11-16
[32]
웹사이트
NGO: Israeli army has killed 49 children since October
https://www.middleea[...]
MEMO
2016-02-17
[33]
웹사이트
Hamas-Israel escalation: What we know so far, and whether it could lead to the Third Intifada
https://indianexpres[...]
2023-10-07
[34]
웹사이트
Pro-Palestinian protesters project 'student intifada' slogan onto university
https://www.telegrap[...]
2024-05-09
[35]
서적
Political Repression in Bahrai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05-10
[36]
웹사이트
Slippery Slope: Libya and the Lessons of Previous No-Fly Zones | the Washington Institute
https://www.washingt[...]
[37]
논문
Sovereignty on Borrowed Territory: Sahrawi Identity in Algeria
https://www.jstor.or[...]
JSTOR
2010
[38]
웹사이트
Looking back, looking forward: inheriting the revolutions of the 'Arab Spring' | openDemocracy
https://www.opendemo[...]
[39]
논문
The French intifada: The long war between France and its Arabs
https://www.tandfonl[...]
2016
[40]
PDF
https://www.dohainst[...]
2024-08
[41]
서적
Fault Lines, the New Updated Edition: Understanding America's Role in the Middle East and the Circumstances Leading to the Rise of ISIS
https://books.google[...]
Elevate
2016-05-24
[42]
웹사이트
The Egyptian Uprising: A Case Study in Intifadat and the Difficulty of Lasting Change - the SAIS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https://saisreview.s[...]
2013-04-16
[43]
웹사이트
Civil Uprisings in Modern Sudan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
[44]
웹사이트
Lebanon protests: Thousands demand 'fall of the regime' in Beirut
https://www.aljazeer[...]
[45]
서적
Iraq's Democratic Moment
https://books.google[...]
Hurst & Company
2024-05-10
[46]
웹사이트
Children of the repression
http://www.theguardi[...]
2006-06-05
[47]
웹사이트
المعاني - انتفض
https://www.almaany.[...]
2023-06-17
[48]
위키백과
en:Intifada
[49]
서적
ぼくの村は壁で囲まれた - パレスチナに生きる子どもたち
株式会社 現代書館
2017-04-20
[50]
뉴스
트럼프 선언에 팔레스타인 무반응의 이유
https://headlines.ya[...]
[51]
뉴스
인티파다란? 이슬람 원리주의 조직 "하마스"가 경고
https://www.huffingt[...]
[52]
웹사이트
ei:The Electronic Intifada
http://electronicint[...]
[53]
뉴스
Iraq Imam Muqtada al-Sadr launches Iraqi Intifada - Asia News
http://www.asianews.[...]
[54]
서적
예루살렘:분쟁의 도시에서 평화의 도시로
국제지역연구 제13권 제4호
2010-01-30
[55]
서적
중동의 민족문제
민족연구 제10호
2001-03
[56]
서적
중동평화와 팔레스타인 민족봉기
한국중동학회
20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