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어 앙그리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어 앙그리프는 1927년 나치당의 베를린 지역 지도자 요제프 괴벨스에 의해 창간된 신문으로, 나치당원 결집 및 선동을 목적으로 발행되었다. 바이마르 공화국, 공산당, 사회민주당에 대한 공격, 반유대주의 선동 등 거칠고 공격적인 언어를 사용했으며, 발행 부수는 나치 정권 장악 이후 증가했다. 1945년 4월 24일까지 발행되었으며, 2차 세계 대전 중 베를린 시민의 사기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를린 - 베를린-브란덴부르크 방송
베를린-브란덴부르크 방송(RBB)은 2002년 베를린주와 브란덴부르크주 간 협약으로 설립된 독일 공영 방송으로, 자유 베를린 방송(SFB)과 브란덴부르크-동부 독일 방송(ORB)의 통합체이며, RBB Fernsehen과 Radio Berlin 88.8 등 다양한 채널을 운영하고 ARD 회원으로서 지역 특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 1927년 창간 - 이와나미 문고
이와나미 문고는 이와나미 서점 창업자가 1927년 창간한 일본 문고본 시리즈로, 저렴한 가격에 학술 및 문학 작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별표 가격 표시, 절판 없는 품절 원칙, 꾸준한 복간 및 재발행 등의 특징을 가진다. - 나치 신문 - 흑군단
흑군단은 나치즘과 친위대의 이념을 선전하고 사기를 진작시키기 위해 1935년에 창간된 잡지로, 새로운 엘리트주의 옹호, 여성의 역할 제한, 가톨릭 교회 비판, 반유대주의 조장, 히틀러 숭배, 전쟁 참여 독려 등의 활동을 했으며 1945년에 종간되었다. - 나치 신문 - 푈키셔 베오바흐터
'푈키셔 베오바흐터'는 1919년부터 1945년까지 발행된 나치당의 기관지로, 반유대주의 성향의 '뮌헨 베오바흐터'에서 시작되어 나치당에 인수된 후 당의 선전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데어 앙그리프 | |
---|---|
기본 정보 | |
![]() | |
신문 종류 | 일간 신문 |
정치 성향 | 국가사회주의 |
창간 | 1927년 |
폐간 | 1945년 |
창립자 | 요제프 괴벨스 |
소유주 | 나치당 |
본사 위치 | 베를린 |
언어 | 독일어 |
역사 | |
창간 배경 | 1927년, 요제프 괴벨스가 베를린의 가우에서 창간 |
성격 | 나치당 베를린 가우의 선전 도구 |
주요 활동 | "체계적인 명예훼손" 캠페인 바이마르 공화국 정부 공격 정치적 반대자 조롱 |
대상 | 특히 유대인 |
편집 스타일 | 공격적이고 선동적인 어조 |
괴벨스의 역할 | 직접 기사 작성 정기적으로 사설 기고 |
주요 기고자 | 빌헬름 셰퍼 에리히 쇤바흐 한스 슈바이처 (별칭: 므론츠) |
판매 부수 변화 | 1927년: 2,000부 1933년: 110,000부 이상 |
종전 | 1945년 4월, 베를린 전투 중단 |
추가 정보 | |
특징 | 나치 선전의 중요한 도구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발행 지속 반유대주의 선전의 주요 매체 |
2. 발행 배경
1926년 요제프 괴벨스는 나치당 베를린 지역 지도자로 취임했으나, 당시 베를린은 나치당보다 독일 공산당의 세력이 우세했다.[9] 나치당과 괴벨스는 연설을 금지당하는 상황에 놓이자, 신문을 통해 베를린에서 독일 공산당, 독일 사회민주당, 그리고 바이마르 공화국에 맞서 싸우기로 결심했다.[9] 이러한 배경에서 데어 앙그리프는 나치당원 결집 및 선동을 위한 목적으로 창간되었다.
1926년 나치의 베를린 대관구 지도자로 취임한 요제프 괴벨스는 당의 지원을 받아 ''데어 앙그리프''를 창간했다. 이 신문은 1927년 7월 4일 앙그리프 언론사에서 처음 발행되었으며, "착취자에 맞서 억압받는 자를 위해"라는 모토를 내걸었다.[1]
3. 역사
초대 편집장은 빌리 크라우스(Willi Krause)였으며, 필명 ''페터 하겐''을 사용했다. 이후 율리우스 리페르트 (:de:Julius Lippert)가 2대 편집장을 맡았고, 1933년 부터는 카롤리 캄프만이, 1935년부터는 괴벨스의 신임을 받은 한스 슈바르츠 판 베르크(:de:Hans Schwarz van Berk)가 편집장을 역임했다.[1] 괴벨스는 1933년까지 발행인으로서 주요 기사를 작성했으며, "Dr. G."라는 서명을 사용했다.[1] 한스 슈바이처는 정치 풍자 만화를 기고하여 신문의 또 다른 매력을 더했다.[1]
''데어 앙그리프''는 거칠고 공격적인 언어를 사용하며, 당의 선전, 바이마르 공화국에 대한 선동, 반유대주의를 주요 내용으로 다루었다.[1] 특히, 유대인이었던 베른하르트 바이스 베를린 경찰 부국장을 정기적으로 공격했다.[8] 이로 인해 1931년 11월 4일 베를린 경찰청장 알베르트 그제진스키(:de:Albert Grzesinski)에 의해 일시적으로 발행이 금지되기도 했다.[1]
처음에는 주 1회 발행되었으나, 1929년 10월 1일부터 주 2회, 1930년 11월 1일부터는 "베를린 독일 저녁 신문"이라는 부제를 달고 일간 신문으로 발행되었다.[1] 1932년 10월 1일부터는 "정오의 공격"과 "야간 공격"으로 하루 두 번 발행되었고, 1933년 2월 1일 이후에는 에어 출판사에서 "독일 노동 전선의 일간 신문"으로 발행되었으나, 괴벨스는 발행인으로 남았다.[1]
신문의 발행 부수는 1930년 9월 국회 선거 이후 급격히 증가했다.[2] 1927년에는 약 2,000부, 1936년에는 146,694부, 1944년에는 306,000부로 증가했다. 1933년 나치가 정권을 장악한 이후, 데어 앙그리프의 중요성은 점차 감소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군의 베를린 폭격이 시작되면서부터 베를린 시민의 사기를 유지하기 위해 발행 부수는 증가했다. 데어 앙그리프는 독일 항복 직전인 1945년 4월 24일까지 발행을 계속했다. 1945년 2월 19일 이후 ''데어 앙그리프''는 ''베를리너 일러스트리에르테 나흐트아우스가베''(베를린 일러스트레이티드 야간판)와 합병되었다.[1]
3. 1. 발행 주기 및 부수 변화
데어 앙그리프는 처음에는 주간으로 발행되었으나, 1929년 10월 1일부터 주 2회 발행으로 변경되었다.[1] 1930년 11월 1일부터는 "베를린 독일 저녁 신문"이라는 부제를 달고 일간 신문으로 발행되기 시작했다.[1] 1932년 10월 1일부터는 "정오의 공격"과 "야간 공격" 두 가지 판으로 하루 두 번 발행되었다.[1] 1933년 2월 1일 이후에는 에어 출판사에서 "독일 노동 전선의 일간 신문"으로 발행되었으며, 요제프 괴벨스는 발행인으로 남았다.[1]
1927년 창간 당시 발행 부수는 약 2,000부에 불과했으나, 1930년 9월의 국회 선거 이후 급격히 증가했다.[2] 1930년 말에는 독자가 거의 6만 명, 1931년 3월에는 약 8만 명, 1932년 7월 국회 선거 직전에는 110,600명에 달했다.[2] 1936년에는 146,694부, 1944년에는 306,000부를 기록했다.[1]
1933년 나치가 권력을 장악한 이후 신문의 중요성은 점차 감소했다.[1]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베를린 폭격이 시작되면서 베를린 시민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기 위해 발행 부수가 다시 증가했다.[1]
1945년 2월 19일, 데어 앙그리프는 ''베를리너 일러스트리에르테 나흐트아우스가베''(베를린 일러스트레이티드 야간판)와 합병되었다.[1] 데어 앙그리프의 마지막 판은 1945년 4월 24일에 발행되었다.[1]
4. 내용 및 성격
이 신문은 나치당 초기 선전물(propaganda)에서 주요 모티브를 제공하기도 했다.[10] 공산주의자와 싸우다 죽은 돌격대 대원 호르스트 베셀을 영웅으로 미화한 것도 이 신문이었다. 그와 관련된 전설은 데어 앙그리프에서 퍼뜨리기 시작한 것들이다.[10] 그 외에 오토 슈트라서와 그레고르 슈트라서 형제와 괴벨스 간에 벌어진 당 권력 투쟁의 수단 역할을 하기도 했다.
5. 신문의 역할
《데어 앙그리프》는 나치당 초기 선전 활동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10] 공산주의자와 싸우다 죽은 돌격대 대원 호르스트 베셀을 영웅으로 미화하는데에도 기여했다.[10] 호르스트 베셀과 관련된 전설은 데어 앙그리프에서 퍼뜨리기 시작한 것들이다. 그 외에 오토 슈트라서, 그레고르 슈트라서 형제와 괴벨스 간에 벌어진 당 권력 투쟁의 도구 역할도 했다.[10]
6. 대중문화에서의 등장
1942년 영화 카사블랑카에서 릭이 자신의 카지노 출입을 금지한 나치 민간인이 "데어 앙그리프"에 이 모욕을 고발하겠다고 화를 낸다. 1968년 TV 시트콤 호간의 영웅들의 에피소드 "전쟁은 휴가를 간다"에서 호건 대령은 휴전이 선언되었다는 거짓 속임수를 꾸미기 위해 "데어 앙그리프"의 가짜 사본을 사용한다. 1984년 TV 영화 제시 오웬스 스토리에서 "데어 앙그리프"는 1936년 베를린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선수들에 대한 비하적인 의견을 게재했다. "데어 앙그리프"는 바빌론 베를린 시즌 4에 크게 등장하며, 그 본부는 나치당 내부의 쿠데타 시도의 현장이다.
7. 관련 출판물
참조
[1]
웹사이트
Isidor
http://www.calvin.ed[...]
Der Angriff
[2]
서적
Goebbels And Der Angriff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4
[3]
간행물
A Jewish Collaborator in Nazi Germany: The Strange Career of Georg Kareski, 1933–37
https://www.cambridg[...]
1975-09
[4]
간행물
Did the Nazis plan to extend the final solution beyond Europe? Assessing the evidence
https://www.tandfonl[...]
2024-07-02
[5]
웹사이트
Kareski Quoted by Angriff As Justifying Nuremberg Laws
https://www.jta.org/[...]
2024-07-24
[6]
문서
Some issues can be found in the Bodleian Library at Oxford.
[7]
문서
Some issues can be found in the British Library, the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and Warwick University Library.
[8]
웹사이트
Isidor
http://www.calvin.ed[...]
Der Angriff
2008-09-22
[9]
문서
1926년은 히틀러가 뮌헨 폭동을 일으켰다가 실패하고 수감 생활을 한 뒤에 막 정치 활동을 재개한 시점이다.
[10]
웹인용
데어 앙그리프 관련 사이트
http://www.angriff.i[...]
2007-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