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오도루 다 폰세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오도루 다 폰세카는 브라질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브라질 제1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다. 알라고아스 주 출신으로 군인으로 경력을 시작하여, 프라이에이라 반란 진압, 삼국 동맹 전쟁 참전 등을 통해 군부 내에서 입지를 다졌다. 공화주의 지식인들과 교류하며, 노예제 폐지를 지지하는 군벌을 지휘했으며, 1889년 군사 쿠데타를 통해 황제를 퇴위시키고 임시 정부를 수립했다. 1891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었으나, 부통령과의 갈등, 의회와의 대립 등으로 인해 1891년 사임했다. 1892년 사망했으며, 브라질의 역사적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브라질 사람 - 페드루 1세 (브라질)
포르투갈 왕족 출신인 페드루 1세는 브라질 독립을 선언하고 초대 황제가 되었으며, 포르투갈 왕위를 계승 후 딸에게 양위하고 포르투갈 내전에 참여하여 자유주의 세력을 지원했다. - 19세기 브라질 사람 - 페드루 2세 (브라질)
페드루 2세는 1825년 브라질에서 태어나 1831년 브라질 황위에 올랐으며, 노예 제도 폐지, 교육, 과학,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쿠데타로 폐위되어 망명 생활을 하다 사망했다. - 브라질의 원수 - 플로리아누 페이쇼투
플로리아누 페이쇼투는 브라질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891년부터 1894년까지 브라질 대통령을 역임하며 해군 반란과 연방주의 혁명을 진압하고 권력 집중화, 공화주의 강화에 기여하며 "플로리아누주의"라는 인물 숭배 현상을 낳았다. - 브라질의 원수 - 아르투르 다 코스타 이 시우바
아르투르 다 코스타 이 시우바는 1964년 브라질 쿠데타를 주도하고 국방부 장관을 거쳐 1967년부터 1969년까지 브라질 대통령을 역임하며 경제 성장을 이뤘으나, 제도법 5호를 발표하여 독재 체제를 강화했다는 평가를 받는 군인 출신 정치인이다.
데오도루 다 폰세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마누엘 데오도루 다 폰세카 |
출생일 | 1827년 8월 5일 |
출생지 | 알라고아스 다 라고아 두 술, 알라고아스주, 브라질 제국 |
사망일 | 1892년 8월 23일 |
사망지 | 리우데자네이루, 연방구, 브라질 |
배우자 | 마리아나 세실리아 지 소우사 메이렐리스(1860년) |
학력 | 프라이아 베르멜랴 군사 학교 |
정당 | 무소속 |
부모 | 마누엘 멘데스 다 폰세카 갈벙 (아버지) 호자 마리아 파울리나 지 바후스 카발칸치 (어머니) |
친척 | 에르메스 다 폰세카 (조카) |
![]() | |
군사 경력 | |
소속 | 브라질 합중국 |
군종 | |
계급 | 원수 (육군) 제독 (해군) |
복무 기간 | 1843년-1892년 |
주요 전투 | 몬테비데오 대공방전 프라이에이라 반란 파라과이 전쟁 에스테로 베야코 전투 투유티 전투 포트레로 오벨라 전투 타지 전투 우마이타 포위전 앙고스투라 전투 피리베부이 전투 브라질 해군 반란 |
지휘 | 제1 포병대대 제24 조국 의용군단 제1 기마 포병 연대 바이아 무기 사령관 히우그란지두술 무기 사령관 육군 병참감 마투그로수 무기 사령관 |
훈장 | 남십자성 훈장 |
정치 경력 | |
직책 | 브라질 대통령 |
임기 시작 | 1889년 11월 15일 |
임기 종료 | 1891년 11월 23일 |
부통령 | 없음 (1889–1891) 플로리아누 페이쇼투 (1891) |
이전 대통령 | 직책 신설 |
다음 대통령 | 플로리아누 페이쇼투 |
기타 직책 | |
직책 | 군사 클럽 회장 |
임기 시작 | 1887년 6월 26일 |
임기 종료 | 1889년 11월 15일 |
이전 회장 | 직책 신설 |
다음 회장 | 벤자민 콘스탄트 |
직책 | 히우그란지두술 주 대통령 |
임기 시작 | 1886년 5월 8일 |
임기 종료 | 1886년 11월 9일 |
이전 대통령 | 바랑 지 루세나 |
다음 대통령 | 미겔 칼몬 두 핀 |
2. 생애
알라고아스주의 군인 가문에서 태어나 군인의 길을 걸었다. 1848년 페르남부쿠주에서 일어난 프라이에이라 반란 진압에 참여했으며, 삼국 동맹 전쟁(1864년 ~ 1870년)에도 참전하여 군 경력을 쌓았다.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용맹함으로 명성을 얻어 1884년에는 육군 원수에 이어 군 최고사령관의 자리에 올랐고, '나라의 상징'으로 여겨졌다.[1]
히우그란지두술주 주지사 시절 공화주의 지식인들과 교류하며 공화주의 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노예제 폐지를 둘러싼 정치적 갈등 속에서 군부 내 공화주의 세력을 이끌었으며, 1889년 11월 15일 군사 쿠데타를 주도하여 황제 페드루 2세를 폐위시키고 브라질 제국을 종식시켰다. 이후 임시 정부 수반을 거쳐 1891년 브라질 합중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대통령 재임 중 문민 공화주의자 및 부통령 플로리아누 페이쇼투와 심각한 정치적 갈등을 겪었다. 권위주의적인 통치 방식과 의회와의 대립이 격화되면서 1891년 11월 3일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의회를 해산시켰으나, 이는 해군을 중심으로 한 군부의 반발과 내전 위기를 초래했다. 결국 1891년 11월 23일 대통령직에서 사임하고 페이쇼투에게 정권을 이양했다. 사임 이듬해인 1892년 8월 23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데오도루 다 폰세카는 1827년 8월 5일, 당시 아라고아스 다 라고아 도 술이라 불렸던 알라고아스주의 도시(현재는 그와 그의 형 세베리누 다 폰세카 남작을 기려 마레샤우 데오도루로 불림)에서 군인 집안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마누엘 멘데스 다 폰세카 갈바웅(1785–1859)이었고, 어머니는 로자 마리아 파울리나 데 바호스 카발칸티(1802–1873)였다. 그의 형인 세베리누 마르틴스 다 폰세카는 브라질 제국 시대에 초대 알라고아스 남작 작위를 받았다. 포르투갈 르네상스 인문주의 학자였던 프란시스쿠 데 올란다(1585년 사망)도 그의 먼 친척 중 한 명이었다.폰세카는 가문의 전통을 따라 군인의 길을 걸었다. 그는 1848년 페르남부쿠주에서 발생한 프라이에이라 반란 진압 작전에 참여하며 군 경력을 시작했다. 이 반란은 같은 해 유럽 대륙을 휩쓴 1848년 혁명의 영향을 받은 것이었으나, 유럽에서 빈 체제가 무너진 것과 달리 브라질 제국은 이 시기를 넘기고 유지될 수 있었다.[1]
이후 폰세카는 파라과이 전쟁(1864년 ~ 1870년)에 육군 대위로 참전하여 대령 계급까지 진급했다.[1] 전쟁 후에도 군에서 계속 경력을 쌓아 1884년에는 야전 원수(Field Marshal)로 진급했으며, 이후 정식 원수(Marshal) 계급과 함께 군 최고사령관의 자리에 올랐다. 그의 뛰어난 용기와 군사적 능력, 그리고 당당한 풍채는 그를 브라질 국민들에게 '나라의 상징'과 같은 인물로 만들었다.[1]
2. 2. 공화주의 운동 참여
히우그란지두술주 주지사 시절, 폰세카는 상파울루의 벤자민 콘스탄트 보텔류와 후이 바르보자 같은 공화주의 지식인들과 교류하며 공화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1886년, 제국 정부가 공화주의자들에 대한 탄압을 시작하자, 폰세카는 리우데자네이루로 이동하여 노예제 폐지를 지지하는 군부 세력의 중심인물이 되었다.당시 브라질 황제 페드루 2세는 노예제 폐지에 원칙적으로 동의했으나 경제적 충격을 우려하여 점진적인 폐지를 선호했다. 그는 이미 1840년에 자신의 노예를 해방시킨 바 있었다. 그러나 황제의 딸이자 섭정이었던 이자베우 공주는 1888년 전격적으로 노예제를 완전히 폐지했다. 이 조치는 노예 소유에 기반한 대지주 등 보수적인 과두 정치 세력의 격렬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이들은 제정 타도 움직임에 가담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군부 내 명망이 높았던 폰세카는 공화주의 쿠데타의 지도자로 추대되었다. 1889년 11월 15일, 폰세카가 이끄는 군대는 쿠데타를 일으켜 페드루 2세를 폐위시키고 공화정 수립을 선포했다(Proclamation of the Republic (Brazil)|브라질 공화국 선포영어). 그는 즉시 임시 정부의 수반이 되어 브라질 합중국의 새로운 헌법 제정을 위한 제헌 의회를 소집했다.
하지만 공화정 수립 이후, 폰세카는 문민 공화주의 지도자들과 권력 배분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기 시작했다. 1891년 2월 25일 실시된 1891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에서 폰세카는 군부의 압력을 동원하여 근소한 표 차이로 초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며칠 후, 그는 리우데자네이루의 옛 황궁인 킨타 다 보아 비스타(현재 브라질 국립박물관)에서 대통령 취임 선서를 했다.
2. 3. 브라질 공화국 선포와 대통령 취임
히우그란지두술주 주지사 시절, 폰세카는 상파울루의 벤자민 콘스탄트와 루이 바르보자 같은 공화주의 지식인들과 교류하며 영향을 받았다. 1886년, 제국 정부가 공화주의자들에 대한 탄압을 시작하자 폰세카는 리우데자네이루로 이동하여 노예제 폐지를 지지하는 군부 세력의 지도자가 되었다.당시 황제 페드루 2세는 점진적인 노예제 폐지를 선호했으나, 그의 딸이자 섭정이었던 이자벨 공주는 1888년 노예제를 전면 폐지하는 황금법에 서명했다. 이 조치는 노예 소유에 기반한 대지주 과두 세력의 격렬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이는 이후 공화정 수립 쿠데타의 한 배경이 되었다. 군부 내에서 높은 명망을 얻고 있던 폰세카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쿠데타의 중심인물로 부상했다.
1889년 11월 15일, 폰세카는 군사 쿠데타를 이끌어 페드루 2세 황제를 폐위시키고 브라질 제국을 종식시켰다. 그는 즉시 임시 정부의 수반이 되어 브라질 합중국의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기 위한 제헌 의회를 소집했다. 그러나 공화정 수립 이후, 폰세카는 문민 공화주의 지도자들과 점차 갈등을 겪기 시작했다.
1891년 2월 25일, 군부의 지지를 바탕으로 의회에 압력을 가한 끝에 폰세카는 1891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에서 근소한 차이로 승리하여 브라질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며칠 후, 그는 리우데자네이루의 옛 황궁이었던 킨타 다 보아 비스타(현재 브라질 국립박물관)에서 대통령 취임 선서를 했다.
2. 4. 대통령 재임과 사임
1889년 11월 15일, 데오도루 다 폰세카는 군사 쿠데타를 주도하여 황제 페드루 2세를 퇴위시키고, 브라질 합중국의 새 헌법을 제정할 임시 정부의 수반이 되었다. 그러나 그는 곧 문민 공화주의 지도자들과 대립하기 시작했다.1891년 2월 26일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폰세카는 의회에 군사적 압력을 가하며 근소한 차이로 과반수를 얻어 초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며칠 후, 그는 리우데자네이루의 옛 황궁인 킨타 다 보아 비스타(현재 브라질 국립박물관)에서 대통령 취임 선서를 했다.
폰세카 행정부는 시작부터 정치적, 개인적으로 부통령 플로리아누 페이쇼투와 적대 관계에 놓여 있었다. 폰세카는 대통령 재임 초기 몇 달 동안 장관들에게 거의 무제한적인 부처 통제 권한을 부여했으며,[2] 토레스 항구를 사기업에 양도하는 결정, 아프리카인을 제외한 이민을 허용하는 법령 528 제정 등 독단적인 정책을 추진했다. 또한, 경제 거품 현상인 Encilhamento|엔실리아멘투pt 기간 동안의 경제 정책 실패는 의회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3] 의회 내 반대 세력은 부통령 페이쇼투를 중심으로 결집했고, 국민 여론도 악화되었다. 남부 공화주의자들 역시 폰세카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다.[3]
의회와의 갈등이 심화되자, 폰세카는 1891년 11월 3일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민의회를 해산시키는 강경책을 선택했다. 그러나 이는 해군 제독 Custódio José de Melo|쿠스토지우 조제 지 멜루pt를 포함한 해군 고위 장교들과 일부 하원의원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다. 국가가 내전 직전의 위기 상황에 놓이자, 폰세카는 결국 1891년 11월 23일 대통령직에서 사임하고 부통령 플로리아누 페이쇼투에게 권력을 넘겨주었다.
2. 5. 사망
1891년 11월 23일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후, 폰세카는 1892년 8월 23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사망했다. 그는 "호흡 곤란"으로 널리 알려진 위험한 발작으로 고통받았다. 처음에는 카주 묘지에 있는 가족 묘소에 안장되었으나, 1937년 그의 유해는 발굴되어 리우데자네이루의 파리 광장에 세워진 기념비로 이장되었다.3. 대중문화
브라질의 배우이자 성우인 Castro Gonzaga|카스트루 곤자가por는 미니시리즈 ''아볼리상'' (1988)과 ''헤푸블리카'' (1989)에서 데오도루 다 폰세카를 연기했다.
4.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891년 선거 | 브라질의 대통령 | 1대 | 무소속 | 55.13% | 129표 | 1위 | 당선 |
참조
[1]
논문
Marshal Deodoro and the Fall of Dom Pedro II
https://read.dukeupr[...]
1968-02-01
[2]
논문
The Brazilian Republic: An Overview
https://www.cambridg[...]
1991-10-01
[3]
논문
Deodoro da Fonseca, Fate's Dictator
https://www.cambridg[...]
1963-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