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전은 한 국가 내에서 정부 또는 권력을 장악하려는 조직적인 집단 간의 무력 충돌을 의미한다. 내전은 일반적으로 무력을 사용하는 형태로 발전한 사건을 지칭하며, "시민 전쟁" 또는 "시민 간의 전쟁"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내전의 원인으로는 개인의 이윤 극대화, 사회경제적 불의, 그리고 폭력적인 동원에 참여하기 쉽게 만드는 요인 등이 있으며, 경제적 요인, 불평등, 정치적 요인 등 다양한 복합적인 요소가 작용한다. 내전은 국가의 경제를 파탄시키고, 난민과 국내 실향민 문제를 야기하며, 인접국의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냉전 시대에는 초강대국들의 개입이 있었으나, 냉전 종식 이후에는 인도주의적 목적이나 지역 안정 목적을 위한 개입이 증가했다. 내전은 무력으로 종결되거나, 협상을 통해 평화협정이 체결될 수 있으며, 종결 후에도 재발 가능성이 높다. 17세기 후반 이후 근대 국제 질서 하에서 다양한 내전이 발생했으며, 2019년 현재 50개 이상의 국가가 내전 상태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전 - 1972년 예멘 전쟁
1972년 예멘 전쟁은 남북으로 분단된 예멘에서 남예멘이 소련의 지원을 받아 사회주의를 채택한 후 양국 간의 긴장 고조로 인해 발생한 전쟁이다. - 내전 - 웨이코 포위전
웨이코 포위전은 1993년 미국 텍사스주 웨이코 인근에서 미국 연방 정부와 다윗교 분파인 브랜치 다비디언 간에 벌어진 무력 충돌 사건으로, ATF의 급습과 FBI의 포위 끝에 다비디언 신자들이 사망하며 종료되었고, 공권력 과잉 진압 논란 등 다양한 사회적 쟁점을 제기하며 미국 사회에 영향을 남겼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내전 | |
---|---|
지도 정보 | |
개요 | |
다른 이름 | 비국제적 무력 충돌 국내전 |
법적 명칭 | 비국제적 무력 충돌 |
정의 | |
특징 | 한 국가 내에서 발생하는 무력 충돌 |
관련 용어 | 내부 전쟁 국내 갈등 국내 무력 분쟁 |
원인 | |
정치적 요인 | 정치적 불만 권력 투쟁 부패 소외된 집단 |
사회적 요인 | 경제적 불평등 인종적 갈등 종교적 갈등 |
역사적 요인 | 식민지배의 유산 과거의 갈등 국가 형성 과정에서의 실패 |
외부 요인 | 외국 세력의 개입 주변 국가의 영향 |
영향 | |
인도적 위기 | 대규모 사망자 발생 난민 발생 식량 부족 질병 확산 |
정치적 불안정 | 국가 붕괴 정부 전복 정치 체제 변화 |
경제적 파괴 | 경제 기반 붕괴 무역 감소 투자 감소 |
사회적 분열 | 사회 통합 저해 사회적 트라우마 갈등 장기화 |
관련 연구 | |
주요 연구 분야 | 전쟁 원인 분석 갈등 해결 평화 구축 국제 개입 |
주요 학자 | 제임스 D. 피어슨 앤 히로나카 |
추가 정보 | |
관련 문서 | 내전 목록 비국제적 무력 충돌 |
2. 용어
"내전(civil war)"과 "내란(rebellion)"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일반적으로 무력을 사용하는 형태로 발전한 사건을 "내전"이라고 칭한다.[47] 유럽과 미국 언어에서는 "civil war"(영어), "bellum civile"(라틴어), "Bürgerkrieg"(독일어)처럼 "시민 전쟁", "시민 간의 전쟁"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스페인 내전은 "스페인 내란"이라고도 불리지만, 폭동의 범위 내에 있는 사건을 "내란"이라고 부르고, 무력을 사용하는 형태로까지 발전한 사건을 "내전"이라고 구분하기도 한다.[47]
2017년 내전 연구 검토 연구에 따르면, 내전에 대한 세 가지 주요 설명이 있는데, '''이익 기반 설명'''은 개인의 이윤 극대화 욕구, '''불만 기반 설명'''은 사회경제적 또는 정치적 불의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갈등, '''기회 기반 설명'''은 폭력적인 동원에 참여하기 쉽게 만드는 요인에 초점을 맞춘다.[11] 이 연구에 따르면, 내전 발발에 대한 가장 영향력 있는 설명은 제임스 피어런(James Fearon)과 데이비드 레이틴(David Laitin)이 2003년 미국 정치학회지(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에 발표한 기회 기반 설명이다.[11]
스탠퍼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의 제임스 피어런(James Fearon)은 내전을 "중앙 정부 또는 특정 지역에서 권력을 장악하거나 정부 정책을 변경하려는 조직적인 집단 간에 벌어지는 한 국가 내의 폭력적인 갈등"으로 정의한다.[3] 안 히로나카(Ann Hironaka)는 내전의 한쪽 당사자가 국가(state)임을 명확히 한다.[5] 스타시스 칼리바스(Stathis Kalyvas)는 내전을 "적대 행위 개시 시 공통의 권위에 종속되는 당사자들 간에 인정된 주권 국가의 경계 내에서 발생하는 무장 분쟁"으로 정의한다.[6][7]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이전 시대에는 내전과 대외 전쟁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았다. 정부가 무너지고 정치 체제가 전환된 경우에는 프랑스 혁명, 공산주의 혁명, 1989년 루마니아 혁명처럼 내전이나 내란이 아닌 "혁명"이라는 표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국제법상으로는 1949년 제네바 협약 공통 3조에서 내전 시 비전투원에 대한 인도적 대우가 의무화되었고, 1977년 제네바 협약 제2 추가 의정서에 의해 보호가 더욱 강화되었다.[47] 또한 같은 해 제네바 협약 제1 추가 의정서에 의해 민족 해방 전쟁에는 전시 국제법의 전면적인 적용이 가능하게 되었다.[47]
3. 원인
우선 내전은 전국 정부의 지위를 놓고 싸우는 것과, 분리 독립이나 자치권 확립 등 지역 분리주의에 의한 것의 두 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48] 1960년부터 2006년까지의 데이터에서는 발생한 내전 중 약 7할이 전국 통치를, 3할이 분리 독립을 놓고 싸우는 내전이었다.[49] 전자의 예로는 보신 전쟁, 국공 내전, 시리아 내전, 앙골라 내전 등이 있다. 후자에 대해서는, 독립 전쟁을 참조.
==== 경제적 요인 ====
내전의 경제적 요인으로는 빈곤, 경제 성장 정체, 그리고 천연자원에 대한 경제 의존 등이 내전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0][51] 특히, 1차 생산품에 대한 높은 의존도는 내전 위험을 증가시키지만,[54] 석유 수입이 경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내전 위험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57] 이는 풍부한 자금으로 치안 유지와 국민 복지를 강화하여 국민의 불만을 줄이고 통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57]
세계은행의 연구에 따르면, 국가 수출에서 1차 원자재의 비중이 높으면 갈등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13] 원자재가 국내총생산의 32%를 차지하는 국가는 내전 위험이 22%에 달하는 반면, 1차 원자재 수출이 없는 국가는 1%의 위험만 가진다.[13] 그러나 석유와 비석유 그룹은 다른 결과를 보였는데, 석유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는 다른 1차 원자재 의존 국가보다 내전 위험이 더 높았다.[14] 이는 1차 원자재가 다른 형태의 부에 비해 쉽게 탈취될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14]
또한, 낮은 1인당 소득은 불만의 원인이 되어 무장 반란을 촉발할 수 있다.[16][17] 빈곤국에서는 치안 유지 예산 부족으로 경찰 및 국군 능력이 낮아 반란이 일어나기 쉽고, 주민 소득이 낮으면 반란을 통해 더 나은 소득을 확보하려는 경향이 강해진다.[52] 예를 들어, 실업률이 낮고 문해율이 높은 지역에서는 반란 발생률이 낮아진다.[52]
가뭄과 같은 중대한 경제적 충격은 지역 주민의 소득 감소를 초래하여 내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53] 에드워드 미겔(Edward Miguel) 등의 연구에 따르면, 아프리카에서 가뭄이 발생한 해는 평년에 비해 내전 위험이 매우 높아졌다.[53]
천연자원의 존재 장소 또한 내전 위험에 영향을 미친다. 육상 유전이 있는 국가에서는 내전 위험이 높아지는 반면, 해저 유전만 있는 국가에서는 내전 위험이 감소한다.[58] 이는 반군이 접근하기 어렵고 방어가 용이하기 때문이다.[58] 마찬가지로, 하천 퇴적층에서 쉽게 채굴 가능한 다이아몬드 사광상이 있는 국가는 내전 위험이 증가하지만, 단단한 암반 속 다이아몬드 광상이 있는 국가에서는 내전 위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59]
한편, 탐욕 대 불만(greed versus grievance) 논쟁은 내전 연구의 큰 흐름이지만,[50] 이러한 틀에서의 분류가 부적절하다는 연구자들도 있다.[50] 데이비드 킨(David Keen)은 갈등의 원인을 하나의 동기로 특정할 수 없으며, 훨씬 더 복잡하다고 주장한다.[19]
==== 불평등과 불만 ====
민족, 종교적 다양성 자체보다는 국가 체제로부터 소외되는 민족 집단의 존재, 민족 집단 간의 불평등이 내전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61] 런던정경대학교 개발학연구소의 데이비드 킨(David Keen) 교수는 갈등의 원인을 단순히 하나의 동기로만 특정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갈등은 훨씬 더 복잡하기 때문에 단순화된 방법으로 분석해서는 안 된다고 비판한다.[19] 크리스티나 보데아(Cristina Bodea)와 이브라힘 엘바다위(Ibrahim Elbadawi)는 "폭동, 쿠데타, 내전: 탐욕과 불만 논쟁 재검토"에서 경험적 데이터가 탐욕 이론 지지자들의 많은 주장을 반박하고 그 개념을 "무의미하게"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한다.[20]
일부 학자들은 민족 및 종교적 다양성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 데이터에 결함이 있다고 비판한다. 라르스-에릭 세더만(Lars-Erik Cederman)은 민족언어 분열 지수(ELF)가 국가 전체 인구 수준에서 다양성을 측정하며, 국가와 군대의 권력에서 각 민족 집단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수치를 고려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24] 또한, 민족언어 분열이 국가 내 민족 집단 간의 기존 경제적 불평등 정도를 정량화하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26]
마이클 블리니(Michael Bleaney)는 분열을 통해 측정된 민족 종교적 다양성이나 인구 내 개인이 다른 민족 집단에 분포하는 정도로 정의된 민족 양극화는 "갈등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성의 충분한 척도가 아니다"라고 결론지었다.[27]
일반적인 이미지와는 달리, 민족이나 종교 등의 다양성이 반드시 내전 가능성을 높이는 것은 아니다.[60] 역사적으로 불평등 수준이 높을수록 내전 발생 확률이 높았으며, 식민주의 또는 인구 규모가 내전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바바라 F. 월터 교수는 저서 「미국은 내전으로 향하는가」에서 과거 우월적 지위에 있던 다수파 민족이 소수파로 전락하면서 힘을 잃어갈 때, 체제가 유리한 빠른 시일 내에 정치적 변화를 위해 내전을 일으키려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하며, 구 유고슬라비아, 이라크, 시리아, 리비아의 내전을 예로 들었다.
==== 정치적 요인 ====
중앙 정부의 통치 능력이 낮으면 내전으로 이어지기 쉽다.[62] 경제적 불만이나 지역적 대립 등의 불안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정부의 통치 능력이 높으면 내전 발발 위험은 크게 감소한다.[63] 정부의 통치 능력이 극도로 낮은, 소위 실패 국가에서는, 특히 실패의 정도가 심한 경우 폭력 독점이 무너지고 각지에 군벌이 할거하여 내전이 발발하는 경우가 있다.[64] 내전이 격화되면 1991년 이후의 소말리아처럼 중앙 정부 자체가 사실상 붕괴되어 무정부 상태가 되는 경우도 있다.[65] 제임스 피어론(James Fearon)과 데이비드 레이틴(David D. Laitin)은 2003년 연구에서 통치 능력이 낮은 국가에서는 치안 유지 능력 강화와 교통망 정비가 부족하여 반란이 일어나기 쉽다고 지적했다.[62]
정체에 관해서는, 폐쇄적인 독재 정치와 성숙한 민주주의 체제에서는 모두 내전 위험이 매우 낮아지는 반면, 독재라고 할 정도는 아니지만 민주적이지도 않은 혼합 체제 국가에서 내전 위험이 높아진다.[66] 즉, 독재도 또는 민주도가 높은 체제일수록 내전이 일어나기 어렵고, 양쪽 중간에 가까울수록 내전이 일어나기 쉽다.[66] 쿠데타나 혁명 등 비제도적인 이유로 권력을 잡은 지도자의 통치하에서는 국민이 정권에 정치적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내전이 발발하기 쉽고, 내전 위험이 일반적인 지도자와 같은 수준으로 감소하는 데에는 약 15년이 필요하다.[67]
지형에 관해서는, 평지가 많고 시야가 좋은 지형의 국가보다 산악 지대가 많고 지형이 복잡한 국가일수록 반군이 발견되기 어렵기 때문에 내전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68] 높은 수준의 인구 분산과, 다소 낮은 수준이지만 산악 지형의 존재는 갈등의 가능성을 증가시켰다. 이 두 요소는 모두 반군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데, 국경 쪽으로 분산된 인구는 중앙 지역에 집중된 인구보다 통제하기 어렵고, 산악 지형은 반군이 피난처를 찾을 수 있는 곳을 제공하기 때문이다.[14] 험준한 지형은 2006년 체계적 검토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강조되었다.[23]
3. 1. 경제적 요인
내전의 경제적 요인으로는 빈곤, 경제 성장 정체, 그리고 천연자원에 대한 경제 의존 등이 내전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0][51] 특히, 1차 생산품에 대한 높은 의존도는 내전 위험을 증가시키지만,[54] 석유 수입이 경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내전 위험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57] 이는 풍부한 자금으로 치안 유지와 국민 복지를 강화하여 국민의 불만을 줄이고 통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57]
세계은행(World Bank)의 연구에 따르면, 국가 수출에서 1차 원자재(commodity)의 비중이 높으면 갈등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13] 원자재가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의 32%를 차지하는 국가는 내전 위험이 22%에 달하는 반면, 1차 원자재 수출이 없는 국가는 1%의 위험만 가진다.[13] 그러나 석유와 비석유 그룹은 다른 결과를 보였는데, 석유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는 다른 1차 원자재 의존 국가보다 내전 위험이 더 높았다.[14] 이는 1차 원자재가 다른 형태의 부에 비해 쉽게 탈취될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14]
또한, 낮은 1인당 소득은 불만의 원인이 되어 무장 반란을 촉발할 수 있다.[16][17] 빈곤국에서는 치안 유지 예산 부족으로 경찰 및 국군 능력이 낮아 반란이 일어나기 쉽고, 주민 소득이 낮으면 반란을 통해 더 나은 소득을 확보하려는 경향이 강해진다.[52] 예를 들어, 실업률이 낮고 문해율이 높은 지역에서는 반란 발생률이 낮아진다.[52]
가뭄과 같은 중대한 경제적 충격은 지역 주민의 소득 감소를 초래하여 내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53] 에드워드 미겔(Edward Miguel) 등의 연구에 따르면, 아프리카에서 가뭄이 발생한 해는 평년에 비해 내전 위험이 매우 높아졌다.[53]
천연자원의 존재 장소 또한 내전 위험에 영향을 미친다. 육상 유전이 있는 국가에서는 내전 위험이 높아지는 반면, 해상 유전만 있는 국가에서는 내전 위험이 감소한다.[58] 이는 반군이 접근하기 어렵고 방어가 용이하기 때문이다.[58] 마찬가지로, 하천 퇴적층에서 쉽게 채굴 가능한 다이아몬드 사광상이 있는 국가는 내전 위험이 증가하지만, 단단한 암반 속 다이아몬드 광상이 있는 국가에서는 내전 위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59]
한편, 탐욕 대 불만(greed versus grievance) 논쟁은 내전 연구의 큰 흐름이지만,[50] 이러한 틀에서의 분류가 부적절하다는 연구자들도 있다.[50] 데이비드 킨(David Keen)은 갈등의 원인을 하나의 동기로 특정할 수 없으며, 훨씬 더 복잡하다고 주장한다.[19]
3. 2. 불평등과 불만
민족, 종교적 다양성 자체보다는 국가 체제로부터 소외되는 민족 집단의 존재, 민족 집단 간의 불평등이 내전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61] 런던정경대학교 개발학연구소의 데이비드 킨(David Keen) 교수는 갈등의 원인을 단순히 하나의 동기로만 특정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갈등은 훨씬 더 복잡하기 때문에 단순화된 방법으로 분석해서는 안 된다고 비판한다.[19] 크리스티나 보데아(Cristina Bodea)와 이브라힘 엘바다위(Ibrahim Elbadawi)는 "폭동, 쿠데타, 내전: 탐욕과 불만 논쟁 재검토"에서 경험적 데이터가 탐욕 이론 지지자들의 많은 주장을 반박하고 그 개념을 "무의미하게"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한다.[20]
일부 학자들은 민족 및 종교적 다양성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 데이터에 결함이 있다고 비판한다. 라르스-에릭 세더만(Lars-Erik Cederman)은 민족언어 분열 지수(ELF)가 국가 전체 인구 수준에서 다양성을 측정하며, 국가와 군대의 권력에서 각 민족 집단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수치를 고려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24] 또한, 민족언어 분열이 국가 내 민족 집단 간의 기존 경제적 불평등 정도를 정량화하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26]
마이클 블리니(Michael Bleaney)는 분열을 통해 측정된 민족 종교적 다양성이나 인구 내 개인이 다른 민족 집단에 분포하는 정도로 정의된 민족 양극화는 "갈등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성의 충분한 척도가 아니다"라고 결론지었다.[27]
일반적인 이미지와는 달리, 민족이나 종교 등의 다양성이 반드시 내전 가능성을 높이는 것은 아니다.[60] 역사적으로 불평등 수준이 높을수록 내전 발생 확률이 높았으며, 식민주의 또는 인구 규모가 내전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바바라 F. 월터 교수는 저서 「미국은 내전으로 향하는가」에서 과거 우월적 지위에 있던 다수파 민족이 소수파로 전락하면서 힘을 잃어갈 때, 체제가 유리한 빠른 시일 내에 정치적 변화를 위해 내전을 일으키려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하며, 구 유고슬라비아, 이라크, 시리아, 리비아의 내전을 예로 들었다.
3. 3. 정치적 요인
중앙 정부의 통치 능력이 낮으면 내전으로 이어지기 쉽다.[62] 경제적 불만이나 지역적 대립 등의 불안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정부의 통치 능력이 높으면 내전 발발 위험은 크게 감소한다.[63] 정부의 통치 능력이 극도로 낮은, 소위 실패 국가에서는, 특히 실패의 정도가 심한 경우 폭력 독점이 무너지고 각지에 군벌이 할거하여 내전이 발발하는 경우가 있다.[64] 내전이 격화되면 1991년 이후의 소말리아처럼 중앙 정부 자체가 사실상 붕괴되어 무정부 상태가 되는 경우도 있다.[65] 제임스 피어론(James Fearon)과 데이비드 레이틴(David D. Laitin)은 2003년 연구에서 통치 능력이 낮은 국가에서는 치안 유지 능력 강화와 교통망 정비가 부족하여 반란이 일어나기 쉽다고 지적했다.[62]
정체에 관해서는, 폐쇄적인 독재 정치와 성숙한 민주주의 체제에서는 모두 내전 위험이 매우 낮아지는 반면, 독재라고 할 정도는 아니지만 민주적이지도 않은 혼합 체제 국가에서 내전 위험이 높아진다.[66] 즉, 독재도 또는 민주도가 높은 체제일수록 내전이 일어나기 어렵고, 양쪽 중간에 가까울수록 내전이 일어나기 쉽다.[66] 쿠데타나 혁명 등 비제도적인 이유로 권력을 잡은 지도자의 통치하에서는 국민이 정권에 정치적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내전이 발발하기 쉽고, 내전 위험이 일반적인 지도자와 같은 수준으로 감소하는 데에는 약 15년이 필요하다.[67]
지형에 관해서는, 평지가 많고 시야가 좋은 지형의 국가보다 산악 지대가 많고 지형이 복잡한 국가일수록 반군이 발견되기 어렵기 때문에 내전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68] 높은 수준의 인구 분산과, 다소 낮은 수준이지만 산악 지형의 존재는 갈등의 가능성을 증가시켰다. 이 두 요소는 모두 반군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데, 국경 쪽으로 분산된 인구는 중앙 지역에 집중된 인구보다 통제하기 어렵고, 산악 지형은 반군이 피난처를 찾을 수 있는 곳을 제공하기 때문이다.[14] 험준한 지형은 2006년 체계적 검토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강조되었다.[23]
4. 최근 경향
히로나카 안(Ann Hironaka)은 저서 ''끊임없는 전쟁(Neverending Wars)''에서 내전의 역사를 19세기 이전, 19세기에서 20세기 초, 그리고 20세기 후반으로 구분한다. 19세기 유럽에서는 국가 권력의 중심부를 둘러싼 투쟁의 성격, 중앙 정부의 강력함, 그리고 정부를 지원하기 위한 다른 국가들의 신속하고 결정적인 개입으로 인해 내전의 지속 기간이 크게 단축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많은 후기 식민지 국가들의 약화와 갈등 양측에 대한 주요 강대국의 개입으로 인해 내전의 지속 기간이 19세기 이전의 기준을 넘어섰다. 내전의 가장 명확한 공통점은 취약 국가에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1990년대에는 평균적으로 약 20개의 내전이 동시에 발생했는데, 이는 19세기 이후 역사적 평균치의 약 10배에 달하는 수치이다. 그러나 새로운 내전의 발생률은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지속 중인 전쟁 수의 급격한 증가는 내전의 평균 지속 기간이 4년 이상으로 3배 증가한 결과였다. 이러한 증가는 국가 수 증가, 1945년 이후 형성된 취약 국가의 증가, 국가 간 전쟁 감소, 그리고 냉전 경쟁의 결과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주요 유럽 열강들은 식민지를 점점 더 빠른 속도로 포기했다. 전후 식민지 출신 국가 수는 약 30개에서 거의 120개로 급증했다. 국가 형성률은 1980년대에 정체되었는데, 이 시점에 남아 있는 식민지는 거의 없었다. 더 많은 국가는 더 긴 내전을 겪을 수 있는 더 많은 국가를 의미했다. 히로나카는 통계적으로 증가한 탈식민지 국가 수의 영향을 측정하여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내전 발생률이 1945년 이전 수치보다 +165% 증가했다고 측정했다.
탈식민화를 통해 새롭게 만들어진 국가들은, 중앙집중 정부, 명확한 경계로 둘러싸인 영토, 명확한 권리를 가진 시민을 포함하여, 국기, 국가, 국제 연합의 자리, 공식 경제 정책과 같은 부수적인 요소들을 따르는 것처럼 보였지만, 실제로는 그들이 모델로 삼았던 서구 국가들보다 훨씬 약했다. 서구 국가들에서는 정부의 구조가 수세기 동안 힘들게 발전해 온 국가의 실제 능력과 밀접하게 일치했다. 특히 세금 징수와 관련된 강력한 행정 구조의 발전은 17세기와 18세기 약탈적인 유럽 국가들 사이의 격렬한 전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혹은 찰스 틸리의 유명한 공식처럼 "전쟁이 국가를 만들고 국가가 전쟁을 만들었다"라고 할 수 있다.[39]
이와는 대조적으로, 탈식민화는 국가 형성과는 다른 과정이었다. 대부분의 제국 열강은 식민지의 독립을 준비할 필요성을 예상하지 못했다. 예를 들어, 영국은 인도와 스리랑카에 제한적인 자치권을 부여했지만, 영국 소말릴란드는 단순한 무역 기지로 취급했고, 프랑스 식민지에 대한 모든 주요 결정은 파리에서 이루어졌으며, 벨기에는 1960년에 갑자기 식민지에 독립을 부여할 때까지 어떠한 자치도 허용하지 않았다. 이전 세기의 서구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탈식민지 국가들은 자율적인 관료 조직이 부족하여 특정 이익 집단을 선호하는 부패와 족벌주의에 대응하기보다는 사회 전체에 이익이 되는 결정을 내릴 것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파벌들은 국가를 조작하여 자신들에게 이익을 가져다주거나, 또는 국가 지도자들은 관료 조직을 이용하여 자신의 이익을 증진시킨다. 신뢰할 수 있는 통치의 부족은 대부분의 식민지가 독립 시에 경제적으로 손실을 입었고, 생산적인 경제 기반과 경제 활동으로부터 자원을 효과적으로 끌어낼 수 있는 조세 시스템이 부족했던 사실에 의해 더욱 악화되었다. 탈식민화 시에 수익을 낸 드문 국가 중 하나는 인도였으며, 학자들은 우간다, 말레이시아, 앙골라를 포함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제국 열강은 영토 통합을 우선순위로 삼지 않았고, 그들의 통치에 대한 위협으로서 초기 민족주의를 억제했을 수도 있다. 따라서 많은 신생 독립 국가들은 빈곤에 처해 있었고, 분열된 사회에서 최소한의 행정 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현대 국가의 요구를 즉각적으로 충족해야 한다는 기대에 직면했다. 이러한 국가는 "약한" 또는 "취약한" 국가로 간주된다. "강한"-"약한" 범주는 "서구"-"비서구"와 동일하지 않다. 아르헨티나와 브라질과 같은 일부 라틴 아메리카 국가와 이집트와 이스라엘과 같은 중동 국가는 "강력한" 행정 구조와 경제 인프라를 갖춘 것으로 간주된다.
역사적으로 국제 사회는 영토 흡수 또는 식민지 지배를 위해 약한 국가를 표적으로 삼았거나, 또는 그러한 국가는 지역 세력이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확보할 수 있을 만큼 작은 조각으로 분열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약한 국가의 존재를 지지하고 유지하는 방식으로 주권에 대한 국제적 규범이 바뀌었다. 약한 국가는 실제 주권이나 자국 영토에 대한 통제권이 없더라도 다른 국가와 동등한 ''사실상'' 주권을 부여받으며, 국제 외교적 승인의 특권과 국제 연합에서 동등한 투표권을 포함한다. 또한 국제 사회는 약한 국가에 개발 원조를 제공하여 국가가 통제와 질서라는 암시된 책임을 이행할 수 있다는 외관을 제공함으로써 기능하는 현대 국가의 외관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39] 강력한 국제법 체제와 영토 침략에 반대하는 규범의 형성은 국가 간 전쟁 수의 급격한 감소와 강하게 관련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영토 합병으로 이어지는 군사적 공격은 국제 사회의 비난, 외교적 질책, 국제 원조 감소 또는 경제 제재 도입, 또는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의 경우와 같이 영토 침략을 되돌리기 위한 국제 군사 개입을 초래할 가능성이 점점 더 높아졌다. 마찬가지로 국제 사회는 분리주의 지역을 인정하지 않고, 소말릴란드와 같은 일부 분리주의 자칭 국가를 외교적 인정의 중간 상태로 유지해 왔다. 히로나카의 통계 연구에 따르면, 주요 국제 반분리주의 선언마다 진행 중인 내전 수가 +10% 증가했거나, 1945년부터 1997년까지 총 +114% 증가했다는 상관관계를 발견했다. 국제 사회가 제공하는 외교적, 법적 보호, 약한 정부에 대한 경제적 지원, 분리주의 억제는 의도치 않게 내전을 조장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1945년 이후 내전에 대한 국제적 개입이 엄청나게 많았으며, 일각에서는 이것이 전쟁을 장기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 패트릭 M. 리건(Patrick M. Regan)의 저서 『내전과 외세(Civil Wars and Foreign Powers)』(2000)에 따르면, 제2차 세계 대전 종전부터 2000년까지 발생한 138건의 국내 분쟁 중 약 3분의 2가 국제적 개입을 경험했으며, 그중 미국은 35건의 분쟁에 개입했다.[4]
냉전(1947~1991)은 종종 주로 약한 옛 식민지 국가들에서 벌어진 내전을 지속시키는 데 도움이 된 물질적, 이념적 지원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제공했다.
어떤 경우에는 초강대국들이 냉전 이념을 지역 분쟁에 덧씌우기도 했고, 다른 경우에는 냉전 이념을 사용하는 지역 행위자들이 초강대국의 지원을 얻기 위해 주목을 끌기도 했다.
상기의 개입에 대해 사용된 것과는 별개의 통계적 평가를 사용하면, 친 또는 반 공산주의 세력이 포함된 내전은 평균적인 냉전 이전 분쟁보다 141% 더 오래 지속되었고, 초강대국의 개입을 끌어들인 냉전 내전은 다른 내전보다 일반적으로 세 배 이상 오래 지속되었다. 반대로,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를 특징으로 하는 냉전의 종식은 냉전 내전의 지속 기간을 92% 단축했거나, 다른 말로 하면 냉전 내전 해결률이 약 1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단된 장기간의 냉전 관련 내전에는 과테말라 전쟁(1960~1996), 엘살바도르 전쟁(1979~1991) 및 니카라과 전쟁(1970~1990)이 포함된다.
2019년 현재, 국제연합 회원국 193개국 중 50개국 이상이 내전 상태에 있다.[69][70] 냉전 종식 이후 국가 간 무력 충돌은 매우 적어졌으며, 무력 분쟁의 대부분은 내전이다.[49]
우프살라 분쟁 데이터 프로그램에 따르면, 1940년대에는 연간 20건 미만이었던 내전은 1980년대에는 연간 40건 이상이 되었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쟁이 시작된 1992년에는 연간 50건을 넘었다.[69] 이후 2000년대에는 연간 30건대로 감소했지만, 아랍의 봄이 시작된 2010년대에 급증하여 2015년 이후로는 매년 50건을 넘었다.[69] 또한 시리아 내전처럼 주변국이나 글로벌 강대국이 내전에 개입하는 '''국제화된 내전'''도 2013년 이후 급증하여 2015년에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으로 연간 20건을 넘었고, 그 이후로도 초과가 계속되고 있다.[69][70]
냉전 시대에는 높은 군사력을 가진 정부군에 대해 반정부군이 게릴라전을 벌이는 것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던 반면, 냉전 이후에는 정부군의 군비도 열악해지고, 양측이 명확한 전선을 형성하지 못하고 게릴라전을 벌이는 유형의 내전이 증가하고 있다. 양측이 충분한 군비를 보유하고 전선을 형성하여 정면으로 충돌하는 유형의 내전은 냉전 전후를 통해 발생 수에 큰 변화가 없다.[71]
내전 지속 기간에 관해서는, 전국 지배권을 둘러싼 내전은 짧고, 분리 독립을 목표로 하는 내전은 장기화되는 경향이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다. 2004년 피아론의 연구에 따르면, 전국 지배형 내전은 평균 3년간 지속되는 반면, 자원 산지에서 이권을 둘러싸고 발생한 내전은 평균 25년, 소수파 집단이 토지 지배를 요구하여 일으킨 내전은 평균 30년으로 매우 오랫동안 지속된다. 이 때문에, 자원형이나 분리형 반란이 많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내전은 장기화되는 경향이 있다.[72]
또한, 반정부 세력이 복수로 존재하는 것은 드물지 않으며, 정부 대 반정부 세력뿐만 아니라, 반정부 세력 간의 무력 충돌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콩고 민주 공화국 내전이나 소말리아 내전, 다르푸르 분쟁 등에서는 이러한 반정부 세력의 군웅할거가 일어나 평화 협상이 매우 어려워졌다.[73]
5. 영향
내전은 발생국의 경제에 큰 타격을 주며, 경제성장률을 감소시킨다.[74] 두 건의 연구에 따르면 내전이 1년 지속될 때마다 한 국가의 GDP 성장률이 약 2% 감소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또한 이는 지역적 영향을 미쳐 인접 국가의 GDP 성장률도 감소시킨다. 내전은 한 국가를 갈등의 덫에 빠뜨릴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각 갈등이 향후 갈등의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45]
내전은 심각한 난민과 국내 실향민 문제를 야기한다. 2015년 말 기준으로 세계 난민은 1,548만 명, 내전 및 폭력으로 인한 국내 실향민은 4,080만 명으로 추정된다.[75] 2015년 기준으로 난민 발생 수가 가장 많은 국가는 시리아로 485만 명이 해외 난민이 되었으며, 그 뒤를 아프가니스탄, 소말리아, 남수단, 수단 등 심각한 내전으로 고통받는 국가들이 난민 발생 수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76] 또한, 내전 중 공중보건 시스템의 붕괴와 난민의 대량 이동은 전염병 유행 위험을 증가시킨다.[77]
내전은 인접국의 무역과 투자도 감소시키는 데다, 해당 국가는 군사비를 증대하여 내전의 확산에 대비하기 때문에 분쟁국 인접 지역의 경제까지 악화시킨다.[78] 내전 국가의 권력 공백과 치안 붕괴는 마약 등 불법 물품의 생산 및 유통 거점을 만들어 인접국뿐 아니라 더 넓은 지역에도 악영향을 미친다.[79]
인접국의 내전이 직접 확산되어 새로운 내전이 발발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예를 들어, 제1차 리베리아 내전 중이던 1991년, 리베리아 반군인 리베리아 국민애국전선(NPFL)은 시에라리온의 혁명통일전선(RUF)을 지원하여 시에라리온에 침공을 감행하였고, 이것이 시에라리온 내전의 발단이 되었다. 또한 1994년 르완다 내전 당시 콩고민주공화국 동부로 대량 유입된 난민은 로랑 카빌라의 콩고 자이르 해방 민주 세력 연합(AFDL)의 봉기를 촉진하여 제1차 콩고 전쟁으로 이어졌다.[80]
6. 개입
냉전 시대에는 초강대국들이 이념적, 군사적 지원을 통해 내전에 개입했다. 소비에트 연방은 사회주의를 표방하는 게릴라에게 군사 원조를 제공했고,[81] 서구 국가들은 자국민 보호를 명분으로 자국 이익을 위해 개입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예로,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발생한 그리스 내전(1946~1949)은 유고슬라비아와 소련의 지원을 받은 공산주의 중심의 그리스 민주군과 영국, 미국의 지원을 받은 그리스 왕국이 대립한 분쟁으로, 트루먼 독트린과 마셜 플랜에 따른 것이었다. 그러나 냉전 종식 이후 이러한 노골적인 개입은 자제되는 경향이 있다.[82] 친 또는 반 공산주의 세력이 포함된 내전은 평균적인 냉전 이전 분쟁보다 141% 더 오래 지속되었고, 초강대국의 개입을 끌어들인 냉전 내전은 다른 내전보다 일반적으로 세 배 이상 오래 지속되었다. 반대로,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를 특징으로 하는 냉전의 종식은 냉전 내전의 지속 기간을 92% 단축했거나, 다른 말로 하면 냉전 내전 해결률이 약 1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단된 장기간의 냉전 관련 내전에는 과테말라 전쟁(1960~1996), 엘살바도르 전쟁(1979~1991) 및 니카라과 전쟁(1970~1990)이 포함된다.[4]
안보, 정치적, 경제적 이익을 위해 주변 국가들이 직접 군사 개입하는 경우는 여전히 존재한다. 제1차 콩고 전쟁·제2차 콩고 전쟁에서 르완다나 앙골라 등이 콩고민주공화국 내전에 개입한 것이 그 예이다.[83]
냉전 이후, 인도주의적 목적이나 지역 안정 목적 등을 위한 내전 개입이 증가하고 있다.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ECOWAS), 아프리카 연합, 유럽 연합 등 지역 협력 기구를 통한 파병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유엔 평화유지 활동(PKO)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84] 냉전 시대의 PKO는 휴전 감시와 병력 철수가 주요 임무였지만,[85] 냉전 종식 이후 1992년 당시 부트로스 부트로스 갈리 유엔 사무총장은 예방 외교 개념을 제창하고 PKO를 대규모화·강화했다. 그러나 소말리아 내전(UNOSOM II),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분쟁(UNPROFOR), 유엔 루완다 지원단(UNAMIR)의 사례처럼 분쟁 억제에 실패한 경우도 있었다.[86] 하지만 그 이후에도 PKO는 확대 강화되어, 내전 이후 평화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87] 이러한 개입은 인도적 위기 대응, 인접 국가로의 분쟁 확산 방지, 테러리즘 거점 제공 방지 등 국가 안보상의 이유로 국제 질서 유지에 필수적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88]
내전의 자금원을 차단하기 위한 경제 제재, 무역 제한 등의 조치도 취해진다. 1990년대 일부 국가의 반정부 세력이 분쟁 다이아몬드를 주요 자금원으로 삼아 인도적 위기를 초래하자, 2003년 킴벌리 프로세스가 발효되어 분쟁 다이아몬드의 유통을 막고 있다.[89]
7. 종결과 내전 후
내전은 한쪽 세력이 무력으로 다른 세력을 제압하거나, 협상을 통해 참여 세력 간에 평화협정이나 휴전협정이 체결될 경우 종결된다. 평화협상에는 외국이나 국제기구와 같은 제3자가 중재하여 평화를 위한 조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의지는 평화 이후의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친다.[90] 내전 종결 후에도 상황 안정을 위해 PKO(평화유지군)가 남아 신생 국가의 제도 정비 및 선거 지원 등의 평화 구축 활동을 수행한다.[91]
내전 중의 인권 침해와 전쟁 범죄에 대해서는, 특히 중대한 범죄를 저지른 개인에 대해 국제형사재판소에 기소하여 재판을 진행하지만, 가입국의 편향성이 지적되고 있으며,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국제형사재판소 자체에 대한 반발과 불만도 발생하고 있다.[92]
내전이 종결된 후 재발할 가능성은 매우 높으며, 5년 이내에 약 20%[93], 10년 이내에는 약 40%가 재발한다고 추정된다.[94] 내전 종결 후의 정치 체제에서는, 폐쇄적인 독재 체제 국가에서는 내전 재발률이 25%에 그치는 반면, 민주적인 체제에서는 70%에 달하며, 비민주적인 강권 체제일수록 내전 재발 위험이 낮다고 여겨진다.[95] 또한 내전 종결 후 실시되는 선거에서는, 선거 실시 전년도의 내전 위험은 매우 감소하는 반면, 선거 실시 후부터 다음 해까지는 내전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이는 선거에서 패배한 측이 승자의 횡포를 예상하여 패배를 받아들이지 않고 다시 내전으로 호소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96]
강력한 정치 및 법적 제도가 부족하여 협상을 촉진하고, 분쟁을 해결하며, 평화협정을 시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국가들은 종종 갈등의 함정(반복되는 내전 갈등)에서 벗어나지 못한다.[30] 평화협정을 고려할 때, 관련 당사자들은 한쪽이 군사적, 정치적 또는 경제적 힘을 약화시키는 행동을 취한 후에는 협정에서 이탈할 강력한 유인을 알고 있으며, 약속 문제는 당사자들이 미래에 합의 내용을 이행할 수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지속적인 평화협정을 저해할 수 있다.[29]
8. 내전 목록
17세기 후반 이후 형성된 근대 국제 질서 하에서 발생한 주요 내전 목록은 다음과 같다.
- 1605년–1618년 : 대혼란 (러시아)
- 1641년–1649년 : 잉글랜드 내전 (잉글랜드 - 삼국 간의 전쟁)
- 1648년–1667년 : 대홍수 시대 (폴란드)
- 1648년–1653년 : 프롱드의 난 (프랑스)
- 1673년-1681년:삼번의 난 (중국)
- 1700년 : 리투아니아 내전 (리투아니아)
- 1793년–1796년 : 반데 반란 (프랑스)
- 1796년-1804년:백련교도의 난 (중국)
- 1814년–1880년 : 아르헨티나 내전 (:es:Guerras civiles argentinas, 아르헨티나)
- 1820년–1823년 : 스페인 내전 (1820년-1823년) (스페인)
- 1825년-1826년:데카브리스트의 난 (러시아)
- 1828년–1834년 : 포르투갈 내전 (포르투갈)
- 1833년–1839년 : 제1차 카를리스트 전쟁 (스페인)
- 1835년 : 톨레도 전쟁 (미국)
- 1839년–1851년 : 대전쟁 (우루과이)
- 1845년–1872년 : 뉴질랜드 전쟁 (:en:New Zealand land wars, 뉴질랜드)
- 1847년 : 분리 동맹 전쟁 (스위스)
- 1851년–1864년 : 태평천국 운동 (중국)
- 1857년–1861년 : 레포르마 전쟁 (멕시코)
- 1859년–1863년 : 연방 전쟁 (:en:Federal War, 베네수엘라)
- 1861년–1865년 : 남북 전쟁 (미국) - :Category:남북 전쟁
- 1868년–1869년 : 보신 전쟁 (일본) - :Category:보신 전쟁 - :Category:보신 전쟁의 전투
- 1877년 : 사쓰마 반란 (일본) - :Category:사쓰마 반란
- 1891년 : 칠레 내전 (:en:Chilean Civil War, 칠레)
- 1899년–1903년 : 천일 전쟁 (콜롬비아)
- 1918년–1922년 : 러시아 내전 (러시아)
- 1918년 : 핀란드 내전 (핀란드)

- 1922년–1923년 : 아일랜드 내전 (아일랜드)
- 1926년–1929년 : 크리스테로 전쟁 (멕시코)
- 1927년–1949년 : 중화민국 정부 및 여러 군벌의 항쟁, 국공 내전 (중국)
- 1936년–1939년 : 스페인 내전 (스페인)

- 1946년–1949년 : 그리스 내전 (그리스)
- 1947년 : 파라과이 내전 (파라과이)
- 1948년 : 코스타리카 내전 (:en:Costa Rican Civil War, 코스타리카)
- 1948년–계속 : 버마 내전 (미얀마)
- 1953년–1975년 : 라오스 내전 (라오스)
- 1955년–계속 : 키프로스 분쟁 (키프로스)
- 1955년–1972년 : 제1차 수단 내전 (수단)
- 1959년–2011년 : 바스크 분쟁 (스페인)
- 1960년–1966년 : 콩고 혼란 (콩고 민주 공화국)
- 1960년–1980년 : 로디지아 분쟁 (로디지아)
- 1960년–1996년 : 과테말라 내전 (과테말라)
- 1962년–1970년, 북예멘 내전 (예멘)
- 1964년–2017년 : 콜롬비아 내전 (콜롬비아)
- 1965년 : 도미니카 내전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침공이라고도 함)
- 1965년–1979년 : (차드)
- 1967년–1970년 : 나이지리아 내전 (나이지리아, 비아프라 전쟁이라고도 함)
- 1969년–계속 : 필리핀 분쟁(필리핀)
- 1970년–1991년 : 캄보디아 내전 (캄보디아)
- 1970년 : 요르단 내전 (요르단)
- 1971년 : 파키스탄 내전 (당시 동파키스탄)
- 1974년–1991년 : 에티오피아 내전 (에티오피아)
- 1975년–2002년 : 앙골라 내전 (앙골라)
- 1975년–1991년 : 레바논 내전 (레바논)
- 1977년–1992년 : 모잠비크 내전 (모잠비크)
- 1978년–계속 : 터키-쿠르드노동자당 분쟁 (:en:Turkey–Kurdistan Workers' Party conflict, 터키)
- 1978년–계속 : 아프가니스탄 분쟁 (아프가니스탄)
- 1979년–1990년 : 니카라과 내전 (니카라과)
- 1980년–1992년 : 엘살바도르 내전 (엘살바도르)
- 1980년–2006년 : 카자망스 분쟁 (세네갈의 카자망스)
- 1980년–2000년 : 페루 내전 (:en:Internal conflict in Peru, 페루)
- 1981년–1986년 : 우간다 내전 (:en:Ugandan Bush War, 우간다)
- 1983년–2009년 : 스리랑카 내전 (스리랑카)
- 1983년–2005년 : 제2차 수단 내전 (수단)
- 1987년–계속 : 신의 저항군의 반란 (:en:Lord's Resistance Army insurgency, 우간다, 수단, 콩고 민주 공화국,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 1989년–1996년 :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 (라이베리아)
- 1990년–1993년 : 르완다 내전 (르완다)
- 1991년–1994년 : 조지아 내전 (:en:Georgian Civil War, 조지아)
- 1991년–2000년 : 유고슬라비아 분쟁·보스니아 분쟁·코소보 분쟁 (유고슬라비아)
- 1991년–계속 : 소말리아 내전 (소말리아)
- 1991년–2002년 : 시에라리온 내전 (시에라리온)
- 1991년–2002년 : 알제리 내전 (알제리)
- 1992년–1997년 : 타지키스탄 내전 (타지키스탄)
- 1994년 : 예멘 내전 (예멘)
- 1994년–1996년 : 제1차 체첸 전쟁 (체첸)
- 1994년–1997년 : 이라크 쿠르드 내전 (:en:Iraqi Kurdish Civil War, 이라크)
- 1996년–2006년 : 네팔 내전 (네팔)
- 1996년–1997년 : 제1차 콩고 전쟁 (콩고 민주 공화국)
- 1998년–1999년 : 기니비사우 내전 (기니비사우)
- 1998년–2003년 : 제2차 콩고 전쟁 (콩고 민주 공화국)
- 1999년–2009년 : 제2차 체첸 전쟁 (체첸 및 그 주변)
- 1999년–2002년 : 동티모르 분쟁 (동티모르)
- 1999년–2003년 :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
- 2002년–2007년 : 코트디부아르 내전 (:fr:Crise politico-militaire en Côte d'Ivoire, 코트디부아르)
- 2003년–계속 : 다르푸르 분쟁 (수단)
- 2004년–2007년 :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내전 (:en:Central African Republic Bush War,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2005년–2010년 : (차드)
- 2011년 : 제1차 리비아 내전 (리비아)
- 2011년–2024년 : 시리아 내전 (시리아)
- 2013년–계속 : 남수단에서의 정부군과 반군의 내전 (남수단)
- 2014년–계속 : 2014년 우크라이나 분쟁 (우크라이나)
- 2014년–2020년 : 제2차 리비아 내전 (리비아)
- 2015년–계속 : 예멘 내전 (예멘)
- 2018년–계속 : 에티오피아 내전 (에티오피아)
19세기와 20세기 초의 내전은 평균 1년 반 정도 지속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대부분 국가 통제권을 둘러싼 싸움이었다. 수도와 군대를 장악한 쪽이 승리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미국 남북 전쟁과 스페인 내전과 같이 예외적인 경우도 있었다. 특히 스페인 내전은 양측 모두 외세의 지원을 받아 장기화되었다.
참조
[1]
서적
Revisiting the Geneva Conventions: 1949-2019
Brill
2019
[2]
학술지
Towards an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Intrastate War
https://www.cambridg[...]
2017-01-05
[3]
웹사이트
Iraq's Civil War
http://www.foreignaf[...]
2007-03-17
[4]
학술지
Civil Wars and Foreign Powers: Outside Intervention in Intrastate Conflict
https://www.foreigna[...]
2015-11-06
[5]
서적
Neverending War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eak States, and the Perpetuation of Civil War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6]
웹사이트
Civil Wars
https://www.oxfordha[...]
2009
[7]
서적
The Logic of Violence in Civil War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11-09
[8]
뉴스
A Matter of Definition: What Makes a Civil War, and Who Declares It So?
https://www.nytimes.[...]
2006-11-26
[9]
간행물
Final Record of the Diplomatic Conference of Geneva of 1949
[10]
웹사이트
http://www.icrc.org/[...]
[11]
논문
Dynamics and Logics of Civil War
http://discovery.ucl[...]
2017-07-26
[12]
서적
The Collier-Hoeffler Model of Civil War Onset and the Case Study Project Research Design
Collier & Sambanis
[13]
서적
Collier & Sambanis
[14]
서적
Collier & Sambanis
[15]
웹사이트
A CLASH OF GENERATIONS? YOUTH BULGES AND POLITICAL VIOLENCE
https://www.un.org/e[...]
2012-12-28
[16]
논문
Income Inequality and the Taste for Revolution
https://www.jstor.or[...]
2005
[17]
논문
The inequality–conflict nexus re-examined: Income, education and popular rebellions
http://journals.sage[...]
2014
[18]
서적
Collier & Sambanis
[19]
간행물
Complex Emergencies: David Keen Responds
African Arguments: Royal African Society
[20]
간행물
Riots, coups and civil war : revisiting the greed and grievance debate
Policy Research
[21]
논문
Greed-Grievance Reconsidered: The Role of Power and Survival in the Motivation of Armed Groups
2007
[22]
저널
Ethnicity, Insurgency, and Civil War
2003
[23]
뉴스
Americans hate each other. But we aren't headed for civil war.
https://www.washingt[...]
2020-10-29
[24]
저널
Beyond Fractionalization: Mapping Ethnicity onto Nationalist Insurgencies
https://www.cambridg[...]
2007-02
[25]
저널
Ethno-Nationalist Dyads and Civil War
http://dx.doi.org/10[...]
2009-05-27
[26]
저널
Horizontal Inequalities and Ethnonationalist Civil War: A Global Comparison
http://dx.doi.org/10[...]
2011-07-11
[27]
저널
Incidence, onset and duration of civil wars: A review of the evidence
https://www.econstor[...]
2009
[28]
서적
Institutions as a fundamental cause of long-run growth
2005
[29]
저널
Fostering Peace after Civil War: Commitment Problems and Agreement Design
https://www.jstor.or[...]
2009
[30]
저널
Why Bad Governance Leads to Repeat Civil War
2015-10-01
[31]
논문
Complicit States and the Governing Strategy of Privilege Violence: When Weakness is Not the Problem
[32]
논문
Poverty and Civil War: Revisiting the Evidence
[33]
논문
Does poverty cause conflict? Isolating the causal origins of the conflict trap
http://pure-oai.bham[...]
[34]
논문
Does Inequality Lead to Civil Wars? A global long-term study using anthropometric indicators (1816-1999)
2011
[35]
논문
Evolutionary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Civil Wars
[36]
논문
Polygyny or Misogyny? Reexamining the "First Law of Intergroup Conflict"
http://www.unige.ch/[...]
2017-10-24
[37]
서적
Insurgent collective action and civil war in El Salvado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 Press
2003
[38]
서적
Insurgent collective action and civil war in El Salvado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 Press
2003
[39]
서적
[40]
서적
Does peacekeeping work? shaping belligerents' choices after civil wa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41]
서적
Can intervention work?
National Geographic Books
[42]
논문
Bases, Bullets and Ballots; The Effect of US-Military Aid on Political Conflict in Colombia
2015
[43]
웹사이트
Autonomous Recovery and International Intervention in Comparative Perspective, CGDEV Working Paper
https://www.cgdev.or[...]
2005-04-01
[44]
논문
The New New Civil Wars
2017-01-01
[45]
논문
The Consequences of Contention: Understanding the Aftereffects of Political Conflict and Violence
2019
[46]
서적
比較政治学
ミネルヴァ書房
2014-09-30
[47]
서적
国際法 第5版
有斐閣
2007-03-20
[48]
서적
戦争とは何か
中公新書
2020-01-25
[49]
서적
石油の呪い 国家の発展経路はいかに決定されるか
吉田書店
2017-02-10
[50]
서적
比較政治学
ミネルヴァ書房
2014-09-30
[51]
서적
民主主義がアフリカ経済を殺す 最底辺の10億人の国で起きている真実
日経BP社
2010-01-18
[52]
서적
戦争の経済学
[53]
서적
悪い奴ほど合理的 腐敗・暴力・貧困の経済学
NTT出版
2014-02-28
[54]
서적
民主主義がアフリカ経済を殺す 最底辺の10億人の国で起きている真実
日経BP社
2010-01-18
[55]
서적
戦争の経済学
[56]
서적
戦争の経済学
[57]
서적
比較政治学
ミネルヴァ書房
2014-09-30
[58]
서적
石油の呪い 国家の発展経路はいかに決定されるか
吉田書店
2017-02-10
[59]
서적
比較政治学
ミネルヴァ書房
2014-09-30
[60]
서적
比較政治学
ミネルヴァ書房
2014-09-30
[61]
서적
戦争とは何か
中公新書
2020-01-25
[62]
서적
比較政治学
ミネルヴァ書房
2014-09-30
[63]
서적
暴力的紛争リスクの経済学 内戦・テロの発生要因・予防と対策に焦点を当てて
日本経済新聞出版社
2014-01-10
[64]
서적
政治学の第一歩
有斐閣
2015-10-15
[65]
서적
国家の破綻
有斐閣
2011-12-10
[66]
서적
比較政治学
ミネルヴァ書房
2014-09-30
[67]
서적
比較政治学
ミネルヴァ書房
2014-09-30
[68]
서적
民主主義がアフリカ経済を殺す 最底辺の10億人の国で起きている真実
日経BP社
2010-01-18
[69]
논문
Organized violence, 1989-2019
https://www.ucdp.uu.[...]
[70]
서적
内戦と和平 現代戦争をどう終わらせるか
中央公論新社
2020-01-25
[71]
서적
比較政治学
ミネルヴァ書房
2014-09-30
[72]
서적
戦争とは何か
中公新書
2020-01-25
[73]
서적
新・現代アフリカ入門 人々が変える大陸
岩波新書
2013-04-19
[74]
서적
最底辺の10億人 最も貧しい国々のために本当になすべきことは何か?
日経BP社
2008-06-30
[75]
서적
難民問題
中公新書
2016-09-25
[76]
서적
難民問題
中公新書
2016-09-25
[77]
서적
最底辺の10億人 最も貧しい国々のために本当になすべきことは何か?
日経BP社
2008-06-30
[78]
서적
戦争の経済学
[79]
서적
最底辺の10億人 最も貧しい国々のために本当になすべきことは何か?
日経BP社
2008-06-30
[80]
서적
新・現代アフリカ入門 人々が変える大陸
岩波新書
2013-04-19
[81]
서적
比較政治学
ミネルヴァ書房
2014-09-30
[82]
서적
戦争と平和の間 紛争勃発後のアフリカと国際社会
アジア経済研究所
2008-11-05
[83]
서적
戦争と平和の間 紛争勃発後のアフリカと国際社会
アジア経済研究所
2008-11-05
[84]
서적
戦争と平和の間 紛争勃発後のアフリカと国際社会
アジア経済研究所
2008-11-05
[85]
서적
国際関係学 地球社会を理解するために 第2版
有信堂高文社
2017-04-20
[86]
서적
国際政治の基礎知識 増補版
芦書房
2002-05-01
[87]
서적
国際関係学 地球社会を理解するために 第2版
有信堂高文社
2017-04-20
[88]
서적
戦争と平和の間 紛争勃発後のアフリカと国際社会
アジア経済研究所
2008-11-05
[89]
웹사이트
ダイヤモンド原石の輸出入管理
https://www.meti.go.[...]
日本国経済産業省
2022-11-28
[90]
서적
戦争と平和の間 紛争勃発後のアフリカと国際社会
アジア経済研究所
2008-11-05
[91]
서적
国際関係学 地球社会を理解するために 第2版
有信堂高文社
2017-04-20
[92]
서적
国際関係学 地球社会を理解するために 第2版
有信堂高文社
2017-04-20
[93]
서적
石油の呪い 国家の発展経路はいかに決定されるか
吉田書店
2017-02-10
[94]
서적
民主主義がアフリカ経済を殺す 最底辺の10億人の国で起きている真実
日経BP社
2010-01-18
[95]
서적
民主主義がアフリカ経済を殺す 最底辺の10億人の国で起きている真実
日経BP社
2010-01-18
[96]
서적
民主主義がアフリカ経済を殺す 最底辺の10億人の国で起きている真実
日経BP社
2010-01-18
[97]
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아프리카 이주민들, 예멘 앞바다서 보트 전복…최소 68명 사망
묘장 스님 “섭씨 40도 찜통 더위, 지진 피해 미얀마 구호 손길 절실”
한국과 미얀마의 계엄령이 닮은 네가지 [왜냐면]
미국, 내전 위기 남수단에 “즉시 비자 취소”
만달레이엔 구호품이 없다…군부, 원조 물자 차단 의혹
제2의 계엄, 근거 없는 공포가 아니다 [뉴스룸에서]
[전문가의 세계 - 이종필의 과학자의 발상법]과학계 상처 주더니 계엄까지…헌재, 파면 서둘러 사회 혼란 막아야
‘1만명 사망 추정’ 미얀마 강진…“재난 타이밍, 이보다 더 나쁠 수 없다”
한빛부대 파병 12주년…남수단서 인프라 복구·인도주의 활동
잔해 밑 ‘SOS’ 들려도 장비 없어 속수무책…“맨손으로라도 땅 파”
“이게 쿠데타란 걸 인정하지 않으면, 쿠데타는 성공한다”
당연한 봄을 기다리며… [한겨레 프리즘]
[전문] 김부겸 "심우정 탄핵은 또 다른 고려 여지 있어…지금은 윤석열 탄핵 집중할 때" | JTBC 뉴스
내전 민주콩고 “광물자원 줄 테니 군사 지원 좀”
분노 증폭하는 소셜미디어, 극단주의자들의 폭력 부추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