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덴마크의 왕실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덴마크의 왕실 국가는 1778년 처음 등장한 요하네스 에발트의 연극 《어부들》에 실린 가사를 바탕으로 한다. 이 노래는 17, 18세기 스웨덴과의 전쟁에서 덴마크-노르웨이 해군 영웅들의 활약을 주제로 하며, 크리스티안 4세, 닐스 율, 페터 토르덴쇼엘드와 같은 인물들을 언급한다. 작곡가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오늘날에는 특정 작곡가가 없는 것으로 여겨지며, 1828년 프리드리히 쿨라우가 편곡하여 대중적인 찬가로 자리 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의 상징 - 덴마크의 국가
    덴마크의 국가는 아담 외렌슐레거가 가사를 쓰고 한스 에른스트 크뢰이어가 곡을 붙여 덴마크의 아름다움과 역사, 국민의 단결을 노래하며 스포츠 경기 등에서 일부만 불리기도 한다.
  • 덴마크의 상징 - 덴마크의 국장
    금색 바탕에 파란 사자 세 마리와 붉은 하트 아홉 개로 구성된 덴마크의 국장은 12세기 인장에서 유래되었으며 1819년에 현재 디자인으로 채택되어 왕실 문장과 함께 사용되고 주변 지역 문장에도 영향을 주었다.
  • 왕실 국가 - 영국의 국가
    영국의 국가인 "God Save the King/Queen"은 1745년 자코바이트 반란 당시 조지 2세에 대한 충성 노래로 널리 퍼지면서 국가로 자리매김했지만, 정확한 기원과 작곡가는 논란이 있으며, 현재 1절과 3절이 주로 불리고, 여러 영연방 국가에서 사용되었으나 종교적 내용, 군주제 찬양, 전쟁 미화에 대한 비판이 있다.
  • 왕실 국가 - 헌장 찬가
    헌장 찬가는 포르투갈 국왕, 종교, 헌법에 대한 충성과 찬양을 담은 4절로 구성된 포르투갈어 노래이며, 각 절은 후렴으로 이어진다.
덴마크의 왕실 국가
기본 정보
영어 제목'King Christian Stood by the Lofty Mast' (크리스티안 왕은 높은 돛대 곁에 섰네)
다른 제목(크리스티안 왕)
다른 제목 2(왕의 노래)
영어 다른 제목 2'The King's Anthem' (왕의 찬가)
1644년 콜베르거 하이데 해전에서
1644년 콜베르거 하이데 해전에서 "트리니티"호의 크리스티안 4세
국가덴마크
사용 목적왕실 국가 및 국가
작사가요하네스 에발트
작사 연도1778년
작곡가미상
채택1780년

2. 역사

덴마크 왕실 국가 "왕 크리스티안은 높은 돛대 옆에 섰네"(Kong Christian stod ved højen mastda)는 18세기 후반에 등장하여 덴마크 해군의 영웅적인 역사를 기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가사는 1778년 요하네스 에발트의 연극 《어부들》을 통해 처음 소개되었으며[3], 특히 스웨덴과의 해전에서 활약한 크리스티안 4세와 같은 인물들의 용맹함을 노래한다. 음악의 원작곡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하며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19세기 프리드리히 쿨라우가 자신의 연극 음악에 편곡하여 삽입하면서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2. 1. 가사의 유래

가사는 1778년 5월에 처음 등장했으며[3], 요하네스 에발트의 보드빌 연극 《어부들》에 실렸다. 이 연극은 셸란 북부의 어부들이 익사 위기에 처한 많은 선원들을 구출하고 그 대가를 거절하는 영웅적인 행위를 묘사하고 있다.[4] 《어부들》은 1780년 1월 덴마크 왕립 극장에서 크리스티안 7세의 생일에 초연되었다. 이 연극은 특히 "왕 크리스티안" 노래 때문에 해군에 대한 찬사로 여겨졌다. 그러나 초연 당시에는 마지막 4절만 불렸는데, 이는 처음 3절이 당시 영국에 대항하는 무장 중립 동맹의 일원으로서 중요한 동맹국이었던 스웨덴에 대한 적대감을 나타냈기 때문에 생략된 것이었다.

2. 2. 주제

이 노래는 17세기와 18세기에 스웨덴과의 전쟁에서 활약한 덴마크-노르웨이 선원들의 영웅적인 모습을 주제로 다룬다. 특히 크리스티안 4세 국왕, 닐스 율, 페터 토르덴쇼엘드와 같은 덴마크-노르웨이 해군의 영웅들을 언급하며 그들의 업적을 기린다. 노래의 첫 번째 절은 1644년에 있었던 콜베르거 하이데 해전을 배경으로 한다. 이 전투에서 크리스티안 4세는 파편에 맞아 심각한 부상을 입고 쓰러져 사망한 것으로 여겨졌으나, 곧 다시 일어나 선원들에게 전투를 계속 이어갈 것을 촉구하며 용기를 북돋았다.

2. 3. 음악의 유래

음악 작곡가가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논쟁이 있어왔다. 가사가 처음 등장한 원작 연극 《피스케르네》(Fiskerne)의 악보를 쓴 작곡가 요한 하르트만이 원래 음악 작곡자로 인정받았다.[5]

다른 주장으로는 요하네스 에발트(Johannes Ewald)의 친구이자 바이올린 연주자였던 고등법원 판사 디틀레프 루드비 로게르트가 원작 작곡가였다는 설이 있다. 이 주장은 19세기 여러 지식인들의 지지를 받았다. 1880년, 빌헬름 카를 라븐은 악보가 에발트의 시보다 훨씬 이전에 존재했으며, 특정 작곡가가 없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이 이론이 오늘날 가장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에도 악보는 종종 프리드리히 쿨라우의 작품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한다. 쿨라우는 1828년 11월 당시 왕세자였던 프레데리크 7세와 빌헬미네 마리 공주의 결혼식에서 자신의 편곡을 연극 《엘버호이》[6]에 사용하여 "크리스티안 왕"을 대중적인 찬가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3. 가사

덴마크 왕실 국가의 가사는 덴마크어로 작성되었으며, 아래 하위 섹션에서 원문 가사와 국제 음성 기호(IPA) 표기, 그리고 한국어 번역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절은 덴마크 해군 역사의 중요한 인물과 사건, 특히 콜베르게르 하이데 전투의 크리스티안 4세, 쾰게 만 해전의 닐스 율, 대북방 전쟁의 페데르 토르덴숄드 등의 활약을 기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

3. 1. 덴마크어 가사

wikitext

덴마크어 가사국제 음성 기호
Kong Christian stod ved højen mast[kʰɔŋ ˈkʰʁes.tjæn stoðˀ ʋeð ˈhɔ.jən mæst]


3. 2. 국제 음성 기호(IPA) 표기

덴마크어 원문IPA 표기
Kong Christian stod ved højen mast[kʰɔŋ ˈkʰʁes.tjæn stoðˀ ʋeð ˈhɔ.jən mæst]


3. 3. 한국어 번역



안개와 연기 속에서;

그의 검은 너무나 빠르게 내리쳤네,

고트족의 투구와 머리를 꿰뚫었네;

그러자 적들의 함선과 돛대는 모두 가라앉았네,

안개와 연기 속으로.

"도망쳐라!" 그들이 외쳤네, "살 수 있는 자는 도망쳐라!

누가 감히 덴마크크리스티안에게 맞서랴,

누가 감히 덴마크의 크리스티안에게 맞서랴,

그 일격에?"

닐스 율은 폭풍우의 함성에 귀 기울였네,

지금이 바로 그때다!

그는 다시 핏빛 깃발을 높이 올렸네,

그리고 적에게 맹렬히 타격을 가했네,

그리고 폭풍우의 함성 속에서 크게 외쳤네,

"지금이 바로 그때다!"

"도망쳐라!" 그들이 외쳤네, "숨을 곳으로 도망쳐라!

누가 감히 덴마크의 율에게 맞서랴,

누가 감히 덴마크의 율에게 맞서랴,

싸움에서?"

북해여! 베셀의 섬광이

너의 어두운 하늘을 갈랐네!

그러자 용사들이 네 품으로 보내졌네;

그가 가는 곳마다 공포와 죽음이 번뜩였네;

파도로부터 통곡 소리가 들려왔고, 그것이

너의 어두운 하늘을 갈랐네!

덴마크로부터 토르덴숄드가 천둥처럼 치네,

모두 하늘에 그의 영혼을 맡겨라,

모두 하늘에 그의 영혼을 맡겨라,

그리고 도망쳐라!

명성과 권력으로 가는 덴마크인의 길이여!

검푸르게 출렁이는 파도여!

도망을 경멸하는 네 친구를 받아다오,

경멸하는 마음으로 위험을 맞으러 가네,

폭풍의 힘에 맞서는 너처럼 당당하게,

검푸르게 출렁이는 파도여!

그리고 환락과 위기 속에서,

그리고 전쟁과 승리 속에서, 네 품이 되리라,

그리고 전쟁과 승리 속에서, 네 품이 되리라,

나의 무덤이!

참조

[1] 웹사이트 Instruks for Udenrigstjenesten https://www.retsinfo[...] Retsinformation 2001-08-06
[2] 웹사이트 Not one but two national anthems http://denmark.dk/e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Denmark 2014-05-15
[3] 웹사이트 Tekstens historie og den tidligste melodi http://www.kb.dk/da/[...] Royal Danish Library 2010-04-10
[4] 서적 Store og gode Handlinger af Danske, Norske og Holstenere Copenhagen 1777
[5] 웹사이트 Spørgsmålet om komponisten http://www.kb.dk/da/[...] Royal Danish Library 2010-04-15
[6] 웹사이트 Kongesang http://www.kb.dk/da/[...] Royal Danish Library 2010-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