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의 국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덴마크의 국장은 덴마크를 상징하는 문장으로, 금색 바탕에 세 마리의 푸른 사자와 아홉 개의 붉은 하트, 그리고 왕관을 특징으로 한다. 이 문장은 1194년경 크누드 6세의 인장에서 유래되었으며, 1819년 프레데리크 6세에 의해 현재의 디자인이 채택되었다. 덴마크 왕실, 정부, 군대 등에서 사용되며, 에스토니아 및 탈린의 문장, 슐레스비히의 문장 등 다른 국가 및 지역의 문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 문장 - 페로 제도의 문장
페로 제도의 문장은 페로 제도를 상징하며, 1513년에 처음 사용된 은색 방패의 붉은 숫양 문장이 1816년 중단되었다가 1952년 부활하여 2004년 디자인이 변경된 파란색과 금색 방패, 방어적인 자세의 숫양으로 현재 페로 제도 정부와 대표자들에 의해 널리 사용된다. - 덴마크의 상징 - 덴마크의 왕실 국가
덴마크의 왕실 국가(Kong Christian stod ved højen mast)는 1778년 요하네스 에발트가 작사한 덴마크의 국가로, 보드빌 연극 《어부들》에 처음 등장했으며 덴마크-노르웨이 해군 영웅들의 용맹함을 기리고, 작곡가는 특정 인물이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 덴마크의 상징 - 덴마크의 국가
덴마크의 국가는 아담 외렌슐레거가 가사를 쓰고 한스 에른스트 크뢰이어가 곡을 붙여 덴마크의 아름다움과 역사, 국민의 단결을 노래하며 스포츠 경기 등에서 일부만 불리기도 한다. - 곰 문장 - 그린란드의 문장
그린란드의 문장은 1989년 젠스 로싱이 디자인하여 제정되었으며, 푸른 방패 안의 은색 북극곰이 왼쪽을 향한 모습으로 이누이트 족의 긍정적 믿음을 반영하고, 덴마크 왕국과의 연합 관계 속에서 덴마크 정부 대표부에서 사용되며, 독립 지지자들은 변형된 버전을 사용하기도 한다. - 곰 문장 - 카렐리야 공화국의 문장
카렐리야 공화국의 문장은 빨간 바탕에 은색 곰이 카렐리야 방패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곰은 힘과 풍요를, 방패는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며, 방패는 파란색, 빨간색, 녹색 삼색으로 카렐리야의 자연을 나타내고, 주변에는 금색 오크 잎사귀와 "카렐리야" 문구가 새겨진 빨간 리본이 장식되어 카렐리야의 자연, 사회주의적 정체성, 다민족적 정체성을 표현한다.
덴마크의 국장 | |
---|---|
국장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명칭 | 덴마크의 국장 (Danmarks rigsvåben) |
종류 | 국장 (rigsvåben), 국가 문장 (nationalvåben), 왕가 문장 (kongevåben) |
사용 정보 | |
사용자 | 프레데리크 10세, 덴마크 국왕 (대형 버전), 덴마크 정부 (소형 (국가) 버전) |
채택 시기 | 1190년대 최초 기록, 1819년 수정, 1959년 왕조 문장 지정, 1972년 7월 5일 최종 수정 |
구성 요소 | |
투구 장식 | 크리스티안 5세 국왕의 왕관 |
술 장식 | 금색 술 장식 |
방패 | 은색 십자가와 붉은색 테두리로 4등분, 1, 4분면은 금색 바탕에 파란색 사자 세 마리가 금색 왕관을 쓰고 붉은 혀를 내밀고 걸어가는 모습, 붉은색 연잎 9개 (덴마크 상징), 2분면은 금색 바탕에 파란색 사자 두 마리가 걸어가는 모습 (슐레스비히 상징), 3분면은 파란색 바탕에 상단은 금색 왕관 세 개 (칼마르 연합 상징), 하단은 세로로 분할, 오른쪽은 은색 양 (페로 제도 상징), 왼쪽은 흰색 북극곰 (그린란드 상징). 전체적으로 금색 방패 안에 붉은색 막대 두 개 (올덴부르크 상징) |
지지자 | 곤봉으로 무장한 두 명의 야인 |
받침대 | 받침대 |
모토 | (관대함의 가치) |
훈장 | 데네브로그 훈장, 코끼리 훈장 |
기타 요소 | 군주는 이 문장을 흰 담비 모피로 안감을 댄 붉은색 망토 위에 배치한다. 망토 위에는 다시 왕관이 얹혀진 붉은색 누각이 있다. |
이전 버전 | |
이전 버전 | 1815년 8월 24일 |
2. 역사
덴마크 국장의 기원은 12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 가장 오래된 묘사는 크누드 6세가 1194년경에 사용한 인장에서 비롯되며, 색상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270년경의 것이다.[1]
역사적으로 국장 속 사자는 보는 사람을 향하고 있었고 하트의 수는 정해지지 않았었다. "하트" 모양은 원래 수련 잎을 나타냈으며, 1972년 왕실 칙령에 의해 søbladeda("호수 잎")로 명시되었다.
프레데릭 6세 재위 기간인 1819년, 하트의 수를 아홉 개로 고정하고 문장 속 짐승들을 사자로, 앞을 보도록 하는 현재의 디자인이 채택되었다.[1] 에리크 폼메른 국왕 재위 기간에는 세 마리의 사자가 덴마크 깃발을 함께 들고 있는 희귀한 버전도 있었다.
1960년경까지 덴마크는 "소" 국장과 "대" 국장을 모두 사용했으나, 이후 "대" 국장은 왕실 문장으로 분류되었고, 현재는 하나의 국가 국장만 사용된다.
방패 위의 왕관은 크리스티안 5세의 왕관을 바탕으로 한 문장 구성이다.[1]
덴마크 국장은 에스토니아 국장 및 탈린의 대형 국장과 거의 동일하며, 이는 발데마르 2세와 덴마크 통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2] 또한 슐레스비히 공작령의 국장에도 영감을 주었다.
2. 1. 초기 역사 (12세기 ~ 14세기)
덴마크 국장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크누드 6세가 사용한 인장에서 비롯된다. 색상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270년경이다.[1]
역사적으로 사자는 보는 사람을 향하고 있었고 하트의 수는 규제되지 않아 훨씬 더 많을 수 있었다. "하트" 모양은 원래 수련 잎을 나타냈다. 1972년의 왕실 칙령은 이 도형을 søbladeda("호수 잎")로 명시하고 있다.
2. 2. 중세 시대 (14세기 ~ 16세기)
에리크 7세는 14세기 말 자신의 인장에 덴마크, 노르웨이 (스베르 가문 문장), 스웨덴 (세 왕관)의 문장을 결합하여 칼마르 동맹을 상징하는 문장을 사용했다.[8] 15세기 크리스토퍼 3세는 바이에른과 팔츠의 문장을 추가하여 자신의 출신 배경을 나타냈다.[8] 16세기 프레데리크 2세는 아이슬란드를 상징하는 왕관을 쓴 은색 대구를 문장에 추가했다.[8]문장 | 보유자 | 설명 |
---|---|---|
발데마르 4세 | 발데마르 4세의 덴마크 문장. | |
![]() | 마르그레테 1세 | 덴마크 (왼쪽 필드), 스웨덴 (오른쪽 필드, 비엘보 가문의 문장), 노르웨이 (중앙에 3개의 왕관) 문장. |
에리크 7세 | 덴마크의 에리크 7세와 노르웨이의 에리크 3세 (1396–1439, 칼마르 동맹) 문장. 십자가 색상은 빨간색으로 표시되지만 입증되지 않음. | |
크리스토퍼 3세 | 크리스토퍼 3세의 문장 | |
크리스티안 1세, 한스 1세, 크리스티안 2세 | 올덴부르크 왕가 문장 삽입. | |
프레데리크 1세 | 프레데리크 1세의 문장 | |
크리스티안 3세 | 크리스티안 3세의 문장 | |
프레데리크 2세, 크리스티안 4세, 프레데리크 3세, 크리스티안 5세 | 1559–1699년 덴마크와 노르웨이 문장 |
2. 3. 근세 시대 (16세기 ~ 19세기)
16세기부터 덴마크 국장은 덴마크-노르웨이 연합 왕국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1819년 프레데리크 6세는 하트의 수를 9개로 고정하고, 사자가 앞을 보도록 변경하여 현재 디자인의 기틀을 마련했다.[1]문장 | 보유자 | 설명 |
---|---|---|
크리스티안 1세 왕 한스 1세 왕 크리스티안 2세 왕 | 올덴부르크 왕가의 문장을 문장 내부에 삽입한 크리스티안 1세, 한스 1세, 크리스티안 2세의 문장. | |
프레데리크 1세 왕 | 프레데리크 1세의 문장 | |
크리스티안 3세 왕 | 크리스티안 3세의 문장 | |
프레데리크 2세 왕 크리스티안 4세 왕 프레데리크 3세 왕 크리스티안 5세 왕 | 1559–1699년에 사용된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문장 | |
프레데리크 4세 왕 크리스티안 6세 왕 프레데리크 5세 왕 크리스티안 7세 왕 | 1699–1819년에 사용된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대 문장 | |
프레데리크 6세 왕 크리스티안 8세 왕 프레데리크 7세 왕 크리스티안 9세 왕 | 1819년부터 1903년까지 사용된 덴마크의 대 문장. 노르웨이 문장이 1814년 이후 덴마크가 유지했던 노르웨이의 세 부분( 아이슬란드의 대구, 페로 제도의 수양, 그린란드의 북극곰) 문장으로 대체된 이후의 첫 번째 덴마크 문장. |
2. 4. 현대 (19세기 ~ 현재)
프레데릭 6세 국왕 재위 기간인 1819년에 현재의 디자인이 채택되었는데, 이때 하트의 수를 아홉 개로 고정하고 문장 속 짐승들을 사자로, 앞을 보도록 정했다.[1] 1903년에는 아이슬란드를 상징하던 대구가 매로 변경되었다.[10] 1948년 아이슬란드 공화국의 건국 이후 아이슬란드의 매는 제거되었다.[6]1959년까지 덴마크는 "소" 국장과 "대" 국장을 모두 사용했다.[1] 1959년에 "세 마리의 사자" 문장이 유일한 국가 문장이 되었고, 이전의 "대 문장"은 덴마크 왕실의 문장으로 지정되었다.[6] 1972년 왕실 문장이 이전보다 단순화되었고,[3] 덴마크 왕실, 왕실 근위대 등에서 독점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방패 위의 왕관은 크리스티안 5세 국왕의 왕관을 바탕으로 한 문장 구성이다.[1]
이 휘장은 에스토니아 국장과 탈린의 대형 국장과 거의 동일하며, 발데마르 2세 국왕과 1219년부터 1346년까지 북부 에스토니아에서의 덴마크 통치로부터 기원한다.[2] 덴마크 국장은 또한 과거 덴마크의 지방이었던 슐레스비히 공작령의 국장 (금색 방패에 두 마리의 파란 사자)의 영감이 되었다.
3. 디자인
덴마크 국장의 현재 디자인은 1819년 프레데리크 6세 때 채택되었다. 프레데리크 6세는 하트 수를 아홉 개로 고정하고, 문장 속 짐승을 사자로 정하여 앞을 보도록 했다. 방패 위 왕관은 크리스티안 5세의 왕관을 본뜬 것이다.[1]
이 휘장은 에스토니아 국장, 탈린의 대형 국장과 거의 같다. 이들은 모두 발데마르 2세와 1219년부터 1346년까지 북부 에스토니아를 통치했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주요 차이점은 덴마크 국장에서는 사자가 왕관을 쓰고 앞을 보며 아홉 개의 하트가 있다는 것이다.
3. 1. 변천
덴마크 국장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1194년경 크누드 6세가 사용한 인장에서 찾을 수 있다.[1] 색상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270년경의 자료에 나타난다.[1]역사적으로 국장에 표현된 사자는 보는 사람을 향하고 있었고, 하트의 수는 정해져 있지 않아 훨씬 많았다. '하트' 모양은 원래 수련 잎을 나타냈으며, 1972년 왕실 칙령에서 søblad|쇠블라da('호수 잎')으로 명시되었다.
1819년 프레데릭 6세는 하트의 수를 9개로 정하고, 사자가 앞을 보도록 규정했다. 에리크 폼메른 시대에는 세 마리의 사자가 덴마크 깃발을 들고 있는 희귀한 형태도 있었다.[2] 이는 남유틀란트주의 국장과 유사하다. 1960년경까지 덴마크는 '소형' 국장과 '대형' 국장을 모두 사용했으나, 이후 '대형' 국장은 왕실 문장으로 한정되었고, 현재는 하나의 국가 국장만 사용된다.
방패 위 왕관은 크리스티안 5세의 왕관을 본뜬 것으로, 크리스티안 4세의 왕관과는 다르다. 실제 왕관은 진주가 아닌 taffelsten|타펠스텐da (테이블 컷) 다이아몬드로 덮여 있다. 두 왕관과 다른 왕실 휘장은 코펜하겐의 로센보르 성에 보관되어 있다.
문장학 용어로 덴마크 국장을 묘사하면 다음과 같다. "금색 바탕에 세 마리의 파란색 사자가 팔(passant) 형태로 서 있고, 금색 왕관을 쓰고 있으며, 금색으로 무장하고, 붉은 혀를 내밀고, 아홉 개의 붉은색 하트가 있다."
덴마크 국장은 에스토니아 국장 및 탈린의 대형 국장과 거의 동일하다. 이는 1219년부터 1346년까지 발데마르 2세의 북부 에스토니아 통치와 관련이 있다. 덴마크 국장의 사자는 왕관을 쓰고 앞을 보며 아홉 개의 하트가 있지만, 에스토니아 국장의 '표범'은 보는 사람을 향하고 왕관이 없으며 하트도 없다. 탈린 국장은 에스토니아 국장과 유사하지만, 표범은 금색 왕관을 쓰고 있다.[2] 덴마크 국장은 슐레스비히 공작령의 국장과 독일 뤼네부르크 국장에도 영향을 주었다.
역대 덴마크 국장
4. 상징
덴마크의 국장은 세 마리의 사자와 아홉 개의 하트로 구성된다. 이 하트는 원래 수련 잎을 나타냈으나, 1972년 왕실 칙령에 의해 søbladeda("호수 잎")으로 명시되었다.[1]
이 국장은 에스토니아 국장, 탈린 국장과 거의 동일하며, 발데마르 2세와 1219년부터 1346년까지 북부 에스토니아의 덴마크 통치와 관련이 있다. 덴마크 국장의 사자는 왕관을 쓰고 앞을 보며, 아홉 개의 하트가 함께 있다는 점이 주요 차이점이다. 덴마크 국장은 과거 덴마크의 지방이었던 슐레스비히 공작령의 국장(금색 방패에 두 마리의 파란 사자)에도 영감을 주었으며, 국장에 있는 하트는 독일 뤼네부르크의 국장에도 나타난다.
4. 1. 왕실 문장
덴마크의 왕실 문장은 국장보다 더 복잡하며, 현재 버전은 1972년 7월 5일 왕령에 의해 제정되었다.[3] 이전 버전보다 훨씬 단순화되었다.
방패는 빨간색 테두리가 있는 은색 십자가로 4등분되어 있으며, 이는 Dannebrog에서 유래되었다. 첫 번째와 네 번째 구획은 9개의 하트와 함께 3마리의 왕관을 쓴 사자가 덴마크를 나타낸다. 두 번째 구획에는 현재 덴마크와 독일로 분할된 이전 덴마크 지역인 슐레스비를 나타내는 두 마리의 사자가 있다. 세 번째 구획에는 총 3개의 상징이 있는데, 세 개의 왕관은 공식적으로 이전 칼마르 동맹의 상징으로 해석된다.[4] 파란색 배경의 은색 수양은 페로 제도를, 비슷한 색상의 북극곰은 그린란드를 나타낸다.
중앙의 작은 방패는 금색 방패에 두 개의 빨간색 막대이며, 15세기 중반부터 덴마크-노르웨이를 통치했던 이전 왕실 왕조인 올덴부르크 가문을 나타낸다. 이 왕조의 직계가 1863년에 단절되자 왕위는 방계인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의 크리스티안 왕자에게 넘어갔고, 그의 후손들이 그 이후로 덴마크에서 통치해 왔다. 글뤽스부르크 가문은 이전 올덴부르크 왕조의 문장을 계속 사용하고 있으며, 이 상징은 여전히 과거의 연관성을 통해 공식적으로 언급된다.
두 명의 야인(vildmændda)이 지지자 역할을 한다. 이 요소는 올덴부르크 왕조 초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5] 비슷한 지지자가 이전 프로이센 문장에도 사용되었다. 방패에는 다네브로 기사단과 코끼리 기사단의 문장이 주변에 새겨져 있다.
방패와 지지자들은 왕관이 얹혀진 왕실 에르민 로브로 둘러싸여 있다.
왕실 문장은 1960년경부터 왕령에 따라 국왕, 덴마크 왕가, 왕실 근위대, 왕실에서 독점적으로 사용하도록 했다. 일부 덴마크 왕실 납품업체도 왕실 문장을 사용할 수 있다.
5. 다른 국가 및 지역과의 관계
덴마크의 국장은 에스토니아 국장, 탈린의 대형 국장과 매우 유사하다. 이 두 국장은 모두 발데마르 2세 국왕과 1219년부터 1346년까지 북부 에스토니아에서의 덴마크 통치와 관련이 있다.[2] 주요 차이점은 덴마크 국장에서는 사자가 왕관을 쓰고 앞을 바라보며 아홉 개의 하트가 있다는 점이다. 반면 에스토니아 국장에서는 "표범"이 보는 사람을 향하고, 왕관을 쓰지 않으며, 하트가 없다. 탈린의 국장은 에스토니아 국장과 유사하지만, 표범이 덴마크 국장의 표범처럼 금색 왕관을 쓰고 있다.[2]
덴마크 국장은 잉글랜드의 사자심왕 리처드의 휘장,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현재 문장과도 매우 유사하다. 또한 과거 덴마크의 지방이었던 슐레스비히 공작령의 슐레스비히 국장 (금색 방패에 두 마리의 파란 사자)에도 영감을 주었으며, 국장에 있는 하트는 독일 뤼네부르크의 국장에도 나타난다.
- 에스토니아의 문장과 수도 탈린의 문장
- 슐레스비히의 문장 (덴마크 왕가의 문장에도 표현됨)
- 리베, 바르데, 할름스타드, 위스타드의 도시 문장
- 구 남유틀란트 주의 문장
- 구 북유틀란트 주의 문장
- 독일 뤼네부르크 지역의 문장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문장
- 독일 도시 단넨베르크의 문장
- 에스토니아 기사단의 문장
- 필립 공의 개인 문장은 방패의 첫 번째 (왼쪽 상단) 구획에 덴마크의 문장을 포함했으며, 왼쪽 지지자는 덴마크 문장의 야만인을 기반으로 했다. 그는 덴마크 올덴부르크 가문의 그리스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가문의 후손이기 때문에 이 문장을 사용했다.
- 덴마크 사자와 하트는 그리스 왕가가 수여하는 성 게오르기우스 및 콘스탄티누스 훈장과 성 올가 및 소피아 훈장에 등장한다.
6. 현대적 사용
덴마크 왕실 문장은 왕국의 정부, 의회, 법원에서 다양한 버전으로 사용된다. 왕국 정부와 그 기관들은 일반적으로 망토, 파빌리온, 왕관이 없는 단순화된 왕실 문장을 사용한다.[12] 이 단순화된 문장은 여권, 덴마크 왕국의 대사관 및 영사관 표지에도 사용된다.[13]
6. 1. 왕실 문장의 사용
왕실 문장은 1960년경부터 왕령에 따라 국왕, 덴마크 왕가, 왕실 근위대, 왕실에서 독점적으로 사용하도록 했습니다.[3] 일부 덴마크 왕실 납품업체도 왕실 문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덴마크 왕실 문장은 국장으로도 자주 사용됩니다. 두 명의 야인이 받치고 있는(서포터]), 덴마크의 국기의 적십자(赤十字)로 구분된 방패 중앙에는 덴마크 왕가였던 올덴부르크 왕조를 나타내는 금색 바탕에 붉은 가로줄 두 개가 있는 작은 방패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십자형으로 분할된 배경에는 국장의 사자와 하트, 남유틀란드의 사자 2마리, 칼마르 동맹의 왕관 3개, 페로 제도의 수양, 그린란드의 북극곰 등이 장식되어 있습니다. 현재의 문장은 1972년에 프리스(Claus Achton Friis)가 디자인했습니다.
7. 그 외의 문장
덴마크 왕실 문장에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왕족 구성원마다 고유한 문장을 사용한다.
문장 | 소지자 | 설명 |
---|---|---|
마리 왕세자빈 | 마리 여왕의 문장은 2004년에 수여된 자신의 문장과 남편의 문장이 합쳐진 형태이다. 마리 여왕의 문장의 주요 부분은 금색이며, 그녀의 스코틀랜드 혈통을 상징하는 붉은색 맥도날드 독수리와 검은색 배를 보여준다. 상단은 파란색이며, 오스트레일리아의 국장에서 따온 두 개의 금색 연방 별과 개인적인 상징을 나타내는 그 사이의 금색 장미를 보여준다. 방패는 덴마크 왕관으로 장식되어 있다. | |
크리스티안 왕세자 | 크리스티안 왕세자의 문장은 왕위 계승자의 왕관과 보라색 망토를 제외하고는 왕실 문장과 유사하다. | |
요아킴 왕자 | 요아킴 왕자의 문장은 중앙 방패를 제외하고는 왕실 문장과 유사하며, 중앙 방패는 올덴부르크 가문과 드 라보르드 드 몽페자 가문으로 나뉘어 있다. 왕관은 덴마크 왕자의 왕관이다. | |
마리 공주 | 마리 공주의 문장은 2010년에 수여된 자신의 문장과 남편의 문장이 합쳐진 형태이다. 기사 또는 기수를 의미하는 그녀의 처녀 이름인 카발리에를 나타내는 기수가 파란색으로 묘사되어 있다. 두 번째 문양은 덴마크와 프랑스 국가 상징의 조합이다. 즉, 하트와 플뢰르 드 리이다. 세 개의 붉은 하트(덴마크 상징)는 플뢰르 드 리(프랑스 상징)로 잘려져 있다. |
참조
[1]
웹사이트
Valdemarernes våben
http://www.sa.dk/con[...]
Danish National Archives
2013-02-11
[2]
웹사이트
Tallinna täisvapp
http://www.tallinn.e[...]
Official website of Tallinn
2013-02-11
[3]
웹사이트
The Royal Coat of Arms
http://kongehuset.dk[...]
Official website of the Danish monarchy
2016-09-19
[4]
서적
Alverdens heraldik i farver
Politikens forlag
[5]
파일
Seal of Christian I (1449)
[6]
웹사이트
Departmental circular concerning the Danish coat of arms
http://www.statensne[...]
2016-03-03
[7]
서적
Et dansk Flag fra Unionstiden i Maria-Kirken i Lübeck
C.A. Reitzel
[8]
서적
Det danske rigsvåben og kongevåben
Odense University Press
[9]
간행물
Om danske By- og Herredsvaaben
[10]
문서
Betænkning vedrørende det danske rigsvåben (betænkning nr. 216)
[11]
서적
Det danske rigsvåben og kongevåben
Odense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Danish Government website
http://www.stm.dk
2017-04-10
[13]
웹사이트
diplomatic missions of Denmark
https://commons.wiki[...]
2017-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