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발녹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발녹단은 선비족 독발부 출신으로, 형제 상속을 통해 왕위에 올라 남량의 군주가 되었다. 그는 후량 공격을 이어갔으며, 후진에 복속되기도 했다. 북량과 지속적으로 대립하며 고장을 수도로 삼았으나, 하의 공격과 내부 반란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서진의 침입으로 나라를 잃고 항복했으며, 415년에 독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15년 사망 - 히파티아
히파티아는 고대 알렉산드리아에서 활동한 그리스의 철학자, 수학자, 천문학자로, 신플라톤주의 철학 학파의 지도자였으며, 아스트롤라베와 액체 비중계 발명에 기여하고 주요 수학, 천문학 서적에 대한 주석을 저술했으나, 정치적, 종교적 갈등 속에서 살해당해 학문과 이성의 상징으로 남았습니다. - 남량의 군주 - 독발오고
독발오고는 오호십육국시대 남량의 건국자로, 후량에 대항하여 서평왕을 자칭하며 남량을 건국하고 용맹과 지략, 인재 등용술로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나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 남량의 군주 - 독발리록고
독발리록고는 남량의 건국자 독발오고의 동생으로, 남량의 군주가 되어 주변 국가들과 외교 및 군사적 관계를 맺고 하서왕을 자칭하며 북량을 공격하여 저거몽손의 동생을 인질로 삼았으며, 강제 이주 정책을 펼치다가 402년에 사망했다.
독발녹단 | |
---|---|
기본 정보 | |
칭호 | 양왕(涼王) |
재위 기간 | 402년–414년 |
사후 칭호 | 경왕(景王, 결단력 있는) |
성 | 독발(禿髮) |
이름 | 녹단(傉檀, 또한 노단(Nùtán)으로 읽음) |
출생 연도 | 365년 |
사망 연도 | 415년 |
통치 | |
통치 시작 | 402년 |
통치 종료 | 414년 |
이전 통치자 | 독발녹고 |
후임 통치자 | 없음 |
연호 | 홍창(弘昌): 402년–404년 가평(嘉平): 408년–414년 |
관직 | |
404년–408년 | 절을 가지고, 하우의 군사 업무를 총괄하는 사령관, 거가대장군, 흉노를 호위하는 궁정 호위 장군, 양주 자사(使持節、都督河右諸軍事、車騎大將軍、領護匈奴中郎將、涼州刺史) |
가계 | |
아버지 | 독발사복건 |
2. 생애
402년 독발리록고가 병으로 죽자 독발녹단이 왕위에 올라 양왕(凉王)을 자칭하고 낙도(칭하이성 러두 현)로 천도하였다. 독발녹단은 독발리록고의 정책을 이어받아 후량을 지속적으로 공격하였는데, 403년 후량이 후진에 나라를 넘기게 되자 독발녹단도 후진에 명목상으로 복속하였다. 후진의 요흥은 독발녹단을 광무공(廣武公)에 봉하였고 독발녹단은 402년 연호를 폐하였다.
400년, 후량 황제 여조안이 북량을 공격했을 때, 독발녹단은 후량의 수도 고장(姑臧, 현재 우웨이 간쑤)을 급습하여 도시로 진입했고, 영구적으로 도시에 머물지는 않았지만 도시에서 연회를 열고 8,000 가구를 강제로 데리고 남량으로 이주했다.
독발녹단은 북량과 지속적으로 대립하였는데, 406년 북량을 공격하여 약탈한 말과 양을 후진에 바쳤다. 요흥은 이러한 독발녹단의 공물을 치하하고 그를 고장(姑臧)에 진수하도록 하였다. 독발녹단은 고장을 강제로 점령하여 후진의 양주 경영을 종식시켰으며, 뒤이어 고장으로 수도를 옮겼다. 408년 양왕(凉王)을 자칭하고 연호를 다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407년 하의 혁련발발이 독발녹단과 혼인 동맹을 청하였는데, 독발녹단은 이를 거절하였다. 이에 혁련발발은 남량을 공격하여 동쪽 변경을 약탈하였고, 독발녹단은 무리해서 반격에 나섰다가 대패하였다. 이 패배로 인해 고장 인근의 민심이 동요하였으며 반란이 잇따랐다. 408년 남량이 혼란스러운 틈을 타 후진군이 쳐들어왔으며, 독발녹단은 큰 피해를 입고 간신히 격퇴하였다.
한편 독발녹단은 북량에 대한 공격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독발녹단의 북량 정벌은 항상 실패하였으며, 매번 반격을 받아 수도 고장을 위협당하였다. 410년 북량에 크게 패배하여 고장을 포위당했고 독발녹단은 아들을 인질로 보내 포위를 풀었다. 이때 독발부의 본거지였던 영남(嶺南)에서 절굴기진(折掘奇鎮)이 반란을 일으켰고 본거지를 상실할 위기에 독발녹단은 수도를 낙도로 다시 옮겼다. 고장은 반란이 일어났고 411년 북량이 고장을 점령하였다. 이후에도 독발녹단은 계속해서 북량을 공격하였으나, 이 공격 역시 계속해서 실패하였으며, 항상 반격을 받아 낙도를 포위당했다. 독발녹단은 매번 아들을 인질로 보내 포위를 풀었으나 곧이어 다시 북량을 공격하였다가 포위당하기를 반복하였다. 또한 서진과도 대립하여 여러 차례 침략을 받았다.
414년, 칭하이 호 서쪽의 을불부(乙弗部) 등이 반란을 일으켰다.[1] 독발녹단은 이를 진압하기 위해 출병하였는데, 수도가 비어있는 틈을 타서 서진이 쳐들어와 나라를 모두 잃었다.[1] 독발녹단은 을불부를 근거로 하여 재기하려 하였으나 동요한 군대가 와해되어 결국 실패하고 서진에 항복하였다.[1] 415년에 걸복치반에 의해 독살되었다.[1] 걸복치반은 독발녹단에게 경왕(景王)이라 시호를 내렸다.[1]
대부분의 사료에는 독발녹단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위서》에는 독발귀단(禿拔劌檀)으로 나타나고 있다.
2. 1. 가계 및 즉위 전
독발사복건의 아들이자 독발오고, 독발리록고의 동생이다. 독발사복건은 독발녹단의 재능을 높이 사 후계자로 삼고 싶어했고, 독발오고와 독발리록고는 이러한 아버지의 뜻을 존중하여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지 않고 형제 상속을 통해 독발녹단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독발오고 치세에는 거기대장군·광무공(車騎大將軍·廣武公)에 임명되었고, 399년에는 독발오고가 수도를 하이둥 칭하이의 롄촨(廉川)에서 러두(樂都)로 옮긴 후, 독발녹단에게 중요한 도시인 시핑(西平, 현재 시닝 칭하이)을 맡기면서 광무공 칭호를 내렸다. 독발리록고 치세에는 도독중외제군사·양주목·녹상서사(都督中外諸軍事·涼州牧·録尚書事)를 역임하며 군사와 국정 전반을 총괄하였다. 399년 후반, 독발오고는 술에 취해 낙마하여 중상을 입었고, 유언으로 국사를 나이 많은 사람에게 맡기라는 말을 남겨 독발리록고가 뒤를 이었다. 독발리록고는 모든 중요한 정부 업무를 독발녹단에게 위임하여, 사실상 그를 차기 군주로 지명했다.400년 후반, 후진과의 패배로 인해 서진의 군주 치푸 강귀가 독발리록고에게 항복하자, 독발리록고는 독발녹단을 보내 그를 맞이하게 했다. 이때 독발녹단의 딸이 치푸 창귀의 아들 치푸 츠판과 혼인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
2. 2. 즉위 및 통치
독발녹단은 선비족 독발부 출신으로 아버지는 독발사복건이며 독발오고, 독발리록고의 동생이다. 독발사복건은 독발녹단의 재능을 높이 사서 후계자로 삼고 싶어 하였고, 독발오고와 독발리록고는 이러한 아버지의 뜻을 따라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지 않고 형제 상속을 하여 독발녹단에게 왕위가 돌아가게 하였다. 독발오고 치세에는 거기대장군·광무공(車騎大將軍·廣武公)에 임명되었고, 독발리록고 때에는 도독중외제군사·양주목·녹상서사(都督中外諸軍事·涼州牧·録尚書事)를 역임하였으며 군사와 나라의 모든 대사를 통괄하였다.402년 독발리록고가 병으로 죽자 독발녹단이 왕위에 올라 양왕(凉王)을 자칭하고 낙도(칭하이성 러두 현)로 천도하였다. 독발녹단은 독발리록고의 정책을 이어받아 후량을 지속적으로 공격하였는데, 403년 후량이 후진에 나라를 넘기게 되자 독발녹단도 후진에 명목상으로 복속하였다. 후진의 요흥은 독발녹단을 광무공(廣武公)에 봉하였고 독발녹단은 402년 연호를 폐하였다.
독발녹단은 북량과 지속적으로 대립하였는데, 406년 북량을 공격하여 약탈한 말과 양을 후진에 바쳤다. 요흥은 이러한 독발녹단의 공물을 치하하고 그를 고장(姑臧)에 진수하도록 하였다. 독발녹단은 고장을 강제로 점령하여 후진의 양주 경영을 종식시켰으며, 뒤이어 고장으로 수도를 옮겼다. 408년 양왕(凉王)을 자칭하고 연호를 다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407년 하의 혁련발발이 독발녹단과 혼인 동맹을 청하였는데, 독발녹단은 이를 거절하였다. 이에 혁련발발은 남량을 공격하여 동쪽 변경을 약탈하였고, 독발녹단은 무리해서 반격에 나섰다가 대패하였다. 이 패배로 인해 고장 인근의 민심이 동요하였으며 반란이 잇따랐다. 408년 남량이 혼란스러운 틈을 타 후진군이 쳐들어왔으며, 독발녹단은 큰 피해를 입고 간신히 격퇴하였다.
한편 독발녹단은 북량에 대한 공격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독발녹단의 북량 정벌은 항상 실패하였으며, 매번 반격을 받아 수도 고장을 위협당하였다. 410년 북량에 크게 패배하여 고장을 포위당했고 독발녹단은 아들을 인질로 보내 포위를 풀었다. 이때 독발부의 본거지였던 영남(嶺南)에서 절굴기진(折掘奇鎮)이 반란을 일으켰고 본거지를 상실할 위기에 독발녹단은 수도를 낙도로 다시 옮겼다. 고장은 반란이 일어났고 411년 북량이 고장을 점령하였다. 이후에도 독발녹단은 계속해서 북량을 공격하였으나, 이 공격 역시 계속해서 실패하였으며, 항상 반격을 받아 낙도를 포위당했다. 독발녹단은 매번 아들을 인질로 보내 포위를 풀었으나 곧이어 다시 북량을 공격하였다가 포위당하기를 반복하였다. 또한 서진과도 대립하여 여러 차례 침략을 받았다.
2. 3. 주변국과의 관계 및 몰락
독발녹단은 후진, 북량, 서진, 하 등 주변국들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403년 후량이 후진에 항복하자, 독발녹단도 명목상 후진에 복속하여 광무공(廣武公)에 봉해졌다. 그러나 406년 북량을 공격하여 얻은 전리품을 후진에 바치고 고장(姑臧)을 점령하는 등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했다. 408년에는 양왕(凉王)을 자칭하며 다시 독립적인 태도를 보였다.407년 하의 혁련발발이 혼인 동맹을 제안했으나, 독발녹단은 이를 거절하여 하의 공격을 받았다. 이로 인해 고장 인근에서 반란이 잇따르고, 후진의 침입까지 받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북량과의 관계는 더욱 적대적이었다. 독발녹단은 북량을 지속적으로 공격했지만 번번이 실패하고, 오히려 수도 고장을 위협받거나 포위당했다. 410년에는 북량에 크게 패배하여 아들을 인질로 보내는 굴욕을 겪기도 했다. 영남(嶺南)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수도를 낙도(樂都)로 옮겼으나, 411년 북량이 고장을 점령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이후에도 독발녹단은 북량을 공격했지만, 매번 패배하고 아들을 인질로 보내는 상황이 반복되었다.
서진과도 대립하여 여러 차례 침략을 받았다. 414년 칭하이 호 서쪽의 을불부(乙弗部) 등이 반란을 일으키자, 독발녹단은 이를 진압하기 위해 출병했다. 그러나 수도가 비어있는 틈을 타 서진이 침입하여 나라를 잃게 되었다. 독발녹단은 을불부를 근거로 재기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결국 서진에 항복했다. 415년 서진의 걸복치반(乞伏熾磐)에게 독살당했다.[1]
3. 가족 관계
구분 | 이름 |
---|---|
아버지 | 투발사복건 |
부인 | 절렬공주 |
장남 | 투발호태 (423년 걸복치반에게 살해됨) |
아들 | 투발명덕귀 |
아들 | 투발안주 |
아들 | 투발염간 |
아들 | 투발보주 |
아들 | 원하 (원래 이름은 투발하) |
딸 | 투발공주 (423년 걸복치반에게 살해됨) |
딸 | 걸복치반의 좌소의 |
4. 평가
(빈칸 - 출력할 내용 없음)
4. 1. 부정적 평가
역사학자들은 독발녹단이 국가의 피로감에도 불구하고 계속 전쟁을 일으켜 남량의 쇠퇴를 초래했다고 평가한다.[1] 그의 잦은 전쟁은 국력을 소모시켜 결국 남량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