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비족은 흉노가 쇠퇴한 후 만주와 요동 지역에서 세력을 확장하여 중국 북방을 침략한 유목 민족이다. 2세기 단석괴 시대에 세력이 강성해져 선비 제국을 이루었으나, 이후 여러 부족으로 분열되었다. 오호십육국 시대에는 탁발부, 모용부 등이 십육국을 건국했고, 탁발부가 북위를 세워 화북을 통일했다. 북위는 한족 문화를 수용하고 한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이에 반발한 선비족에 의해 분열되었고, 수나라와 당나라에 이르러 한족과 융합되었다. 선비족은 유목과 농업을 결합한 경제 기반과 칸국 체제를 발전시켰으며, 텡그리교와 불교를 수용했다. 언어는 몽골어 또는 파라몽골어 계통으로 추정되며, 유전학 연구를 통해 동북아시아인과 관련이 깊다는 것이 밝혀졌다. 고구려의 을지문덕, 중국의 화목란 등이 선비족 출신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호족 - 동호 (민족)
동호는 기원전 4세기부터 기원전 3세기 무렵 중국 북방에 존재했던 유목 민족으로, 흉노에게 멸망당한 후 오환과 선비로 분열되어 발전했으며 북방 민족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선비 - 발흐
발흐는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고대 도시로, 인도-이란 민족이 건설한 최초의 도시 중 하나이며, 조로아스터교 중심지이자 실크로드 요충지로서 다양한 문화와 종교의 영향을 받은 역사적인 도시이다. - 선비 - 모용부
모용부는 3세기부터 5세기 초 화북 지역에서 활동한 선비족의 한 부족으로, 요서 지역에서 유목과 농경을 병행하며 세력을 키워 여러 국가를 건국하고 토욕혼을 건국하기도 했으나, 5세기 초 북위의 화북 통일 과정에서 쇠퇴하였다. - 내륙아시아 - 만주
만주는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을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지배했으며, 지리적으로는 광활한 평야와 산맥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중국 정부가 "동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내륙아시아 - 하바롭스크 변경주
하바롭스크 변경주는 러시아 극동에 위치하며 광대한 면적에 다양한 지형과 하천, 뚜렷한 계절 변화를 보이는 대륙성 기후를 가지고 있고, 하바롭스크를 중심으로 기계 제작, 목재 가공, 어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러시아인과 소수 민족이 함께 거주하고 경상남도, 효고현과 자매결연을 맺은 러시아의 연방 주체이다.
선비족 | |
---|---|
기본 정보 | |
일반 명칭 | 선비 |
로마자 표기 | Xianbei |
중국어 간체 | 鲜卑 |
병음 | Xiānbēi |
웨이드-자일스 | Hsien¹-pei¹ |
민난어 | Tshinn-pi |
중고음 | Sjen-pjie |
고대음 | *S[a]r-pe |
옛 한국어 표기 | ᅟᅥᆫ비 |
민족 계통 | 동호족 |
종교 | 샤머니즘 텡그리교 불교 |
언어 | 선비어 |
기원/발상 | 만주 요동 헤이룽장 |
![]() | |
정치 | |
정치 체제 | 부족적 연맹 |
지위 | 유목 제국 |
수도 | 단한산 (현재의 내몽골 상도현 주변) |
주요 지도자 | 탄쉬화이 (기원후 약 156년–181년) 헬리안 (기원후 약 181년–189년) 쿠이토우 (기원후 190년대) |
역사 | |
존속 기간 | 기원전 3세기–기원후 3세기 |
주요 사건 | 건국: 기원전 3세기 멸망: 기원후 3세기 |
이전 | 흉노 |
이후 | 유연 한나라 대 |
면적 | |
200년경 | 4,500,000km² |
언어 정보 | |
사용 언어 | 선비어 |
2. 역사
선비족은 흉노가 약해진 틈을 타 흉노로부터 독립하여 만주와 요동에서 세력을 키워 중국 북방으로 침입하였다.[119] 1세기가 되자 흉노의 세력이 약해져 선비족이 강성하게 되었고, 흉노족 일파들이 선비족에 가세하여 세력이 강대해졌다.[120] 2세기에는 단석괴(壇石槐중국어)가 등장하여 선비 제국의 통합에 성공하여 세력이 매우 강대해졌다.[120] 단석괴 사후, 선비 제국은 우문선비, 모용선비, 탁발선비 등으로 분열되었다.[120]
이후, 오호십육국 시대에 돌입하여 탁발부, 모용부, 우문부, 단부 등의 부족들이 서로 항쟁하거나, 서진을 위해 흉노의 한(전조)과 후조와 싸우거나, 대국, 전연, 후연, 서진, 남량, 남연 등 스스로의 나라를 세웠지만, 최종적으로 탁발씨의 북위가 화북을 통일하여 남북조 시대를 맞이한다.
북위 건국 이후 지배층은 피지배층 한족이 사용하는 한자를 사용하였고, 이후 한족식 성씨를 사용하는 정책을 펼쳤다.[122] 이러한 정책에 반발하는 선비족이 많았고, 북위 멸망 이후 북주에서는 선비족 복고 정책이 일어나 북위 때 사용하던 한족 성씨를 폐지하고 다시 선비족 성씨로 돌아갔다.[122]
북제는 북주에 의해 멸망하고, 이후 수나라의 양견(楊堅중국어)이 북주를 이어받는다. 양견은 선비족 우문부가 세운 북주의 외척인 선비족이다.[126][127][128][129][130][131] 이연(李淵중국어)도 선비족이다.[126][132][133][134][135][136][137]
2. 1. 오호십육국 시대와 북위
선비족은 흉노가 약해진 틈을 타 흉노로부터 독립하여 만주와 요동에서 세력을 키워 중국 북방으로 침입하였다.[119] 1세기가 되자 흉노의 세력이 약해져 선비족이 강성하게 되었고, 흉노족 일파들이 선비족에 가세하여 세력이 강대해졌다.[120] 2세기에는 단석괴(壇石槐중국어)가 등장하여 선비 제국의 통합에 성공하여 세력이 매우 강대해졌다.[120] 단석괴 사후, 선비 제국은 우문선비, 모용선비, 탁발선비 등으로 분열되었다.[120]팔왕의 난 동안, 주로 단부를 포함한 동북쪽의 선비족은 진나라 제후들의 내전에 참전했다. 산시 성의 흉노가 반란을 일으켜 한조를 건국하자, 탁발씨는 진나라에 지원을 제공했다. 진나라가 오호 십육국 시대에 북쪽을 점차 잃으면서 선비족의 군사력에 크게 의존했다.
선비족은 중국 북부에 여러 십육국을 건국했다. 모용씨는 전연(337–370), 후연(384–407), 남연(398–410), 서연(384–394)을 건국했다. 기부씨는 서진 (385–431)을, 탁발씨는 남량 (397–414)을 세웠다. 탁발씨는 대 (310–376)를 유지했고, 315년에 왕국으로 승격되었지만, 전진에 의해 정복되었다. 이후 탁발씨는 북위 (386–535)를 건국하여 북조 (386–581)의 첫 번째 국가가 되었다. 439년, 북위는 마지막 십육국을 정복하여 북쪽을 통일하고 남북조 시대를 열었다.[48][49][50]
북위 건국 이후 지배층은 피지배층 한족이 사용하는 한자를 사용하였고, 이후 한족식 성씨를 사용하는 정책을 펼쳤다.[122] 이러한 정책에 반발하는 선비족이 많았고, 북위 멸망 이후 북주에서는 선비족 복고 정책이 일어나 북위 때 사용하던 한족 성씨를 폐지하고 다시 선비족 성씨로 돌아갔다.[122]
북제는 북주에 의해 멸망하고, 이후 수나라의 양견(楊堅중국어)이 북주를 이어받는다. 양견은 선비족 우문부가 세운 북주의 외척인 선비족이다.[126][127][128][129][130][131] 이연(李淵중국어)도 선비족이다.[126][132][133][134][135][136][137]
|thumb|북위 기병]]
|thumb|북위 기병]]
|thumb|right|전연(337–370) 무덤에 있는 선비 모용(鮮卑 慕容) 궁수를 묘사한 그림]]
|400px|thumb|서진 시대 북방 유목 민족의 영역]]
2. 2. 북위의 분열과 융합
선비족은 흉노가 약해진 틈을 타 흉노로부터 독립하여 만주와 요동에서 세력을 키워 중국 북방으로 침입하였다. 선비어에 남아있는 모용선비 언어 연구에서 몽골어와 유사한 언어들이 발견된다.[119] 2세기 반경 단석괴(鮮卑)가 등장하여 선비 제국의 통합에 성공하여 세력이 매우 강대해졌다. 단석괴의 사후 선비 제국에서 우문선비, 모용선비, 탁발선비가 서로 독립하여 세력을 이뤘다.[120] 이후 우문선비, 모용선비도 각자 세력을 이루었고 탁발선비도 북위를 건국하였다.선비족은 하북성에 있는 중국인들을 정복하기 시작하여 끝에는 화북을 재패하였다. 이 과정에서 많은 한족들이 노예로 전락하였고 선비족을 주군으로 신봉하는 한족들만이 직책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한족들의 화남 왕조로부터 조공을 받았는데 한족 화남 왕조는 북위에 정복된 한족들이 선비족 지배층을 섬긴다고 하여 간신배의 명칭 한간이라고 불렀다.[121] 북위 건국 이후 문자는 피지배층 한족이 사용하는 한자를 사용하였고 이후 한자 사용이 늘자 한족식 성씨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정책에 반발하는 선비족이 많았고 북위 멸망 이후 북주에서는 선비족 복고 정책이 일어나 북위 때 사용하던 한족 성씨를 폐지하고 다시 선비족 성씨로 돌아갔다. 청나라의 여진족이 한족(漢族)들에게 수치스로운 변발을 강요했던 것처럼 선비족들도 피지배인 한족들에게 선비족의 풍습과 선비족의 성씨를 따를 것을 강요하였다. 이러한 선비족들이 중국이라는 국가에서 확실한 지배층이 되어가는 과정은 선비족이 북위를 세우면서부터 시작되었으며 북제, 북주, 수나라, 당나라까지 선비족의 무천진 8주국 관롱집단들이 중국의 지배자로서 군림하고 한족(漢族)들은 피지배민족으로서 계속 계승되었다. 한족들은 피지배 위치에 있으면서도 한자 문명을 사용함으로서 이민족 지배층들이 한자 문명화하는 것을 지속시켰다.[122] 북주의 지배층으로 두각을 나타내던 선비족 관롱집단은 순수 선비족끼리만 결혼을 하였으며 이러한 풍습은 수나라의 양견과 당나라 이연까지 이어져 왔다.[123][124][125]
6개의 부족 선비족의 정체성이 강한 부족은 탁발부, 모용부이고, 단부, 우문부는 우환족에 가깝다. 흘복부, 독발부는 본래 선비족에서 나왔다고 하며, 남량이 망하고 북위에 귀속되었다. 이 외에 모용부로부터 나와 서천한 토욕혼(吐谷渾중국어)도 선비계인데 현지의 티베트인 강인(羌人중국어)도 융합했다.
탁발부의 북위(北魏중국어)는 439년에 화북을 통일하여 이 이후는 남북조 시대가 되었다. 그 후 중국 한족 남조를 정복하고 북주와 북제로 나뉘었다.
북주에 의해 북제가 멸망하고 이후 수나라의 양견(楊堅)이 북주를 이어받는다. 수나라의 양견은 선비족 우문부가 세운 북주(北周)의 외척인 선비족이다.[126][127][128][129][130][131] 그 이유는 북위 때부터 포함된 내몽골 지역인 관중과 농서지방의 무천진 군벌은 선비족이기 때문이다. 옛부터 내몽골에 포함되는 관중과 농서지방은 선비족들의 고향이며 북위 때부터 북주를 거쳐 계속 무천진 출신 선비족 8주국 관롱집단이 중국인들을 지배하던 지역이기 때문이다. 동일하게 선비족의 다얀씨(大野氏, 대야씨)는 북주(北周)의 귀족이며 선비족 8주국 관롱 집단의 출신의 당의 이연(李淵)도 선비족이다.[126][132][133][134][135][136][137] 선비족의 북위는 한자라는 문자를 가진 한족(漢族)의 풍습을 수용하는 정책으로 한족 썽씨를 쓰며 한족 문화를 채택하는 정책을 펼쳤다. 또한 최호 등이 북위 선비족 왕실의 지지를 받고 한호융합 정책을 실시하면 선비족들은 한자 사용에 더해 한족식 성씨를 선비족 왕실로부터 하사받게 되었다. 하지만 당시 중국인 한족(漢族)의 최호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정복된 피지배족 한족(漢族)이 얻을수 있는 높은 직책들은 한정적이였다. 이후 북위 왕실의 정책에 반발한 선비족들에 의해 북위는 멸망하였고 북주의 우문태 시절에는 몽골 제국과 여진족의 청나라가 피지배민족인 한족(漢族)들에게 했던 정책들처럼 피지배민족인 한족(漢族)들에게 선비족 풍습을 강요하고 선비족의 성씨를 쓰도록 강요했다.[122][138][139][140]
북위의 통일은 오랫동안 지속되었고 혼란스러운 십육국 시대 이후 북방에 상대적인 평화를 가져왔다. 선비족은 중국 내륙으로 처음 들어오면서 자연스럽게 한화 과정을 거쳤지만, 이 과정은 북위 말기에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 북위 효문제는 체계적인 한화 정책을 수립했고, 그의 계승자들에 의해 이어져 선비족의 전통은 대부분 버려졌다. 황실은 심지어 그들의 성을 탁발(Tuoba)에서 원(Yuan)으로 바꾸는 등, 선비족의 한족 성씨로의 변경을 포고하며 한화를 더욱 진전시켰다. 효문제는 또한 수도를 북부 변경 근처의 평성에서 중국의 중심부인 낙양으로 옮겼다. 낙양의 인구는 이러한 정책을 받아들이는 데 열려 있었지만, 옛 수도 근처의 인구는 더 보수적이었고 그들의 선비족 문화를 고수했다.
한족 명문가와의 혼인이 장려되었고, 북위는 480년대에 한족 엘리트들이 선비족 탁발 황실의 딸과 결혼하도록 주선하기 시작했다.[16] 북위의 탁발 선비족 공주들의 50% 이상이 남조의 황족과 귀족 출신으로, 북위에 투항하여 북위로 이주한 남부 한족 남성들과 결혼했다.[51] 일부 한족 망명 왕족은 남부 중국에서 도망쳐 선비족에게 투항했다. 선비족 북위 효문제의 여러 딸은 한족 엘리트들과 결혼했고, 유송의 왕족 유휘(劉輝)는 북위의 난릉 공주(蘭陵公主)와 결혼했으며,[52][53][54][55][56] 화양 공주(華陽公主)는 진(266–420) 왕족의 후손인 사마비(司馬朏)와, 제남 공주(濟南公主)는 노도건(盧道虔)과, 남양 장공주(南陽長公主)는 소보인 (蕭寶寅)과 결혼했는데, 소보인은 남제의 왕족이었다.[57] 북위 효장제의 누이인 수양 공주는 양나라 통치자 양 무제의 아들 소종(蕭綜)과 결혼했다.[58]
육진 반란과 그 이후의 사건 이후, 북위는 각각 동위 (534–550)와 서위 (535–556)로 분열된 후, 북제 (550–577)와 북주 (557–581)가 되었다.[59] 이러한 혼란은 선비족 변경 귀족들이 중원으로 진출하여 위나라의 한화 정책에 반발할 수 있게 했다. 북제는 선비족 엘리트들에게 의존하고 그들의 전통을 선호했던 선비화된 한족 가문인 고씨가 통치했다. 한편, 북주는 선비족 출신인 우문 씨가 통치했다. 주로 한족 인구를 지배했던 서위와 북주의 군사 개혁은 선비족 전사 문화를 부활시키려는 시도를 보였으며, 여기에는 북위의 한화된 이름을 되돌리고 한족 장교에게 선비족 이름을 하사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북주의 재상 수 문제인 양견(楊堅)은 나중에 이러한 이름을 다시 한족 이름으로 복원했다.
581년, 양견은 수나라 (581–618)를 건국하고 진나라 (557–589)를 병합한 후 589년에 중국을 통일했다. 수나라가 농민 반란과 배반한 군대에 의해 멸망했을 때, 그의 사촌 당 고조인 이연(李淵)이 당나라 (618–907)를 건국했다. 수와 당 모두 한족 계보를 자처하는 가문이 건국했으며, 공동의 이익을 보호하려는 북주의 한족 및 선비족 귀족들의 연합에 의해 뒷받침되었다.[60][61] 이러한 정치적 설립을 통해, 중국으로 들어온 선비족과 그들의 문화는 대체로 한족과 융합되었는데, 예를 들어 당 고조의 부인 두덕비와 당 태종의 부인 장손황후 모두 선비족의 혈통을 가지고 있으며,[62] 북방 초원에 남아 있던 사람들은 유연 카간과 거란의 부족으로 진화했다.
서쪽에서는 토욕혼의 선비족 왕국이 670년 토번에 패배할 때까지 독립을 유지했다. 왕국의 멸망 이후, 선비족은 북서부에서 중국 중부 및 동부 지역까지 광대한 영토에 걸쳐 디아스포라를 겪었다. 모용노혜발은 토욕혼 사람들을 동쪽으로 이끌어 중국 중부로 이주했고, 그들은 현재의 은천인 닝샤에 정착했다.
2. 3. 수·당 시대와 선비족의 후예
선비족은 흉노가 약해진 틈을 타 흉노로부터 독립하여 만주와 요동에서 세력을 키워 중국 북방으로 침입하였다. 언어학적으로는 선비어에 남아있는 모용선비 언어 연구에서 몽골어와 유사한 언어들이 발견된다.[119] 2세기 반경 단석괴(壇石槐중국어)가 등장하여 선비 제국의 통합에 성공하여 세력이 매우 강대해졌다. 단석괴의 사후 선비 제국에서 우문선비, 모용선비, 탁발선비가 서로 독립하여 세력을 이뤘다.[120]선비족은 중국과 만주의 징검다리 지역인 하북성에 있는 중국인들을 정복하기 시작하여 끝에는 화북을 재패하였다. 이 과정에서 많은 한족들이 노예로 전락하였고 선비족을 주군으로 신봉하는 한족들만이 직책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한족들의 화남 왕조로부터 조공을 받았는데 한족 화남 왕조는 북위에 정복된 한족들이 선비족 지배층을 섬긴다고 하여 간신배의 명칭 한간이라고 불렀다.[121]
탁발부(拓跋部중국어)의 북위(北魏중국어)는 439년에 화북을 통일하여 남북조 시대가 되었다. 그 후 중국 한족 남조를 정복하고 북주와 북제로 나뉘었다. 북위 건국 이후 문자는 피지배층 한족이 사용하는 한자를 사용하였고 이후 한자 사용이 늘자 한족식 성씨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정책에 반발하는 선비족이 많았고 북위 멸망 이후 북주에서는 선비족 복고 정책이 일어나 북위 때 사용하던 한족 성씨를 폐지하고 다시 선비족 성씨로 돌아갔다. 청나라의 여진족이 한족(漢族)들에게 수치스로운 변발을 강요했던 것처럼 선비족들도 피지배인 한족들에게 선비족의 풍습과 선비족의 성씨를 따를 것을 강요하였다.[122]
북제는 북주에 의해 멸망하고, 이후 수나라의 양견(楊堅중국어)이 북주를 이어받는다. 양견은 선비족 우문부가 세운 북주(北周중국어)의 외척인 선비족이다.[126][127][128][129][130][131] 북위 때부터 포함된 내몽골 지역인 관중과 농서지방의 무천진 군벌은 선비족이기 때문이다. 북주의 지배층으로 두각을 나타내던 선비족 관롱집단은 순수 선비족끼리만 결혼을 하였으며 이러한 풍습은 수나라의 양견과 당나라 이연까지 이어져 왔다.[123][124][125] 이연(李淵중국어)도 선비족이다.[126][132][133][134][135][136][137]
북위는 한자를 사용하는 한족(漢族)의 풍습을 수용하는 정책으로 한족 성씨를 쓰며 한족 문화를 채택하는 정책을 펼쳤다. 최호 등이 북위 선비족 왕실의 지지를 받고 한호융합 정책을 실시하면 선비족들은 한자 사용에 더해 한족식 성씨를 선비족 왕실로부터 하사받게 되었다. 하지만 당시 중국인 한족(漢族)의 최호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정복된 피지배족 한족(漢族)이 얻을수 있는 높은 직책들은 한정적이였다. 이후 북위 왕실의 정책에 반발한 선비족들에 의해 북위는 멸망하였고 북주의 우문태 시절에는 몽골제국과 여진족의 청나라가 피지배민족인 한족(漢族)들에게 했던 정책들처럼 피지배민족인 한족(漢族)들에게 선비족 풍습을 강요하고 선비족의 성씨를 쓰도록 강요했다.[122][138][139][140]
많은 사람들이 한족화되었으며, 북위 효문제 치세 하에서 진행되었다. 북위의 팔대 귀족 팔대 귀족은 불육고(步六孤), 하뢰(賀賴), 독고(獨孤), 하루(賀樓), 홀뉴(忽忸), 구목(丘穆), 흘계(紇奚), 위지(尉遲)였다.
선비 이름의 한족 이름으로의 변경
3. 주요 부족
소리·미가·궐기는 각각 大人(어른)이었지만, 요서·우북평·어양 등의 군의 장성 밖에 있어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국경 지대에 손해를 끼치는 일은 전혀 없었다.[94] 그러나 그 부족민의 수는 가비능보다 많았다.[94] 건안 연간에 그들은 염유를 통해 헌물을 바치고 한과의 교역을 요구해 왔다.[94] 조조는 그들을 각각 표창하고 후하게 대우하여 왕의 지위를 수여했다.[94] 궐기가 죽자, 대신 그의 아들 사말한을 세워 친한왕의 지위를 수여했다.[94] 연강 초년(220년)에 그들은 또 각각 사자를 보내 말을 헌상해 왔다.[94] 문제는 소리와 미가를 세워 귀의왕의 지위를 수여했다.[94] 소리는 가비능과 싸움을 벌였다.[94] 태화 2년(228년)에 소리가 죽었다.[94] 아들이 어렸기 때문에, 동생 성률귀를 왕으로 세워 대신 그 휘하를 통어하게 했다.[94]。
정시 원년(240년), 약수 이남의 선비 명왕들은 모두 사신을 보내 와서 헌상했다.[95] 정시 5년(244년) 9월, 선비가 내부했으므로, 요동속국을 설치하고 창려현을 설치하여 그들을 거기에 살게 했다.[96]
처음 선비 각 부족의 장은 대인(大人)이라고 불렸지만, 흉노처럼 통일적인 군주호는 없었다.[107] 탁발부 시대에 카간 호가 채용되면서 중앙 유라시아의 역대 왕조는 카간(Kakhan)을 군주호로 삼았지만, 중국을 정복하고 이주한 선비계 왕조는 중국풍의 왕이나 황제를 칭하게 되었다.
; 대인(大人, 부족장)
# 단석괴 (155년? - 181년?)
# 화련 (181년? - 189년?) … 단석괴의 아들
# 괴두 (?년 - ?년) … 화련의 조카
#* 건만 (?년 - ?년) … 화련의 아들
# 보도근 (?년 - 234년?) … 괴두의 동생. 220년 선비왕에 봉해짐.
#* 부라한 (?년 - 218년 살해) … 괴두의 동생, 보도근의 둘째 형.
#* 설귀니 (218년 - ?년) … 부라한의 아들. 귀의왕에 봉해짐.
; 어른(たいじん: 부족장)
<소리선비>
# 소리(?년 - 228년)… 220년 귀의왕에 봉해진다.
# 성률귀(228년 - ?년)… 소리의 아우
<궐기선비>
# 궐기(?년 - ?년)
# 사말한(?년 - ?년)… 궐기의 아들. 친한왕에 봉해진다.
<미가선비>
- 미가(?년 - ?년)… 220년 귀의왕에 봉해진다.
; 대인(たいじん: 부족장)
- 珂最
- 闕居(궐거)
- 慕容(모용)
;모용부의 대인(たいじん: 부족장)
#모호발… 모용부의 시조, 솔의왕을 받다
#모용목연… 모호발의 아들, 좌현왕을 받다
#모용섭귀(? - 283년)… 목연의 아들, 선비 선우를 받다
#모용내(삭제)(283년 - 285년 살해) … 섭귀의 동생
#모용외(285년 - 333년)… 섭귀의 차남 적자
;우문부의 대인(たいじん: 부족장)
- 갈오토(?년 - ?년)
- 보회(?년 - ?년)
- 막나(?년 - ?년)…보회의 아들
- 수 대 생략 -
- 막괴(?년 - 293년)
- 보발(293년 - ?년)…막괴의 동생
- 구불근(?년 - ?년)…보발의 아들
- 막규(막외, 막규)(?년 - ?년)…구불근의 아들
- 손니연(실독관)(?년 - ?년)…막규의 아들
- 걸득귀(?년 - 333년)…손니연의 아들
- 일두귀(사두귀)(333년 - 344년)
- *릉…일두귀의 아들
- *계…릉의 아들
- *도…계의 아들
- *굉…도의 아들
;단부의 대인(부족장)
#일륙권(?년 - ?년)
#걸진(?년 - ?년)…일륙권의 동생
#무물진(무목진)(?년 - ?년)…걸진의 아들. 303년, 요서공에 봉해져 대선우를 받았다.
#질륙권(취륙권)(?년 - 318년)…무물진의 아들
#섭복진(318년 살해)…무물진의 동생
#*필저(318년 - 321년)…질륙권의 동생
#말파(말배)(318년 - 325년)…질륙권의 종제
#아(325년 - ?년)…말파의 동생
#호료(?년 - 338년 살해)…일륙권의 손자. 331년, 표기장군이 되었다.
#울란(338년 - ?년)…호료의 동생
#감(?년 - 357년 살해)…울란의 아들
#*근(?년 - 359년)…말파의 아들. 조왕을 칭했다.
;拓跋部의 어른(타이진: 부족장)
- 성제(탁발모)(? - ?)
- 절제(탁발대)(? - ?)
- 장제(탁발관)(? - ?)
- 명제(탁발루)(? - ?)
- 안제(탁발월)(? - ?)
- 선제(탁발추인)(? - ?)…대택으로 남천하다.
- 경제(탁발리)(? - ?)
- 원제(탁발사)(? - ?)
- 화제(탁발사)(? - ?)
- 정제(탁발기)(? - ?)
- 희제(탁발개)(? - ?)
- 위제(탁발쾌)(? - ?)
- 헌제(탁발린)(? - ?)
- 성무제(탁발힐분)(? - ?)…남천하다
- 시조 신원제(탁발력미)(220년 - 277년)…힐분의 아들
- * 문제(탁발사막한)…력미의 아들, 어른이 되지는 못했다.
- 장제(탁발실록)(278년 - 286년)…력미의 아들
- 평제(탁발작)(287년 - 293년)…력미의 아들, 실록의 동생
- 사제(탁발불)(294년)…사막한의 막내아들
〈삼분 통치〉
;선비 족장
- 탁발필고(? - ?)
#독발수전(? - ?)…필고의 아들
#독발수기능(? - 279년)…수전의 손자
#독발무환(? - ?)…수기능의 사촌
#독발추근(? - ?)…무환의 손자
#독발사복건(? - ?)…추근의 아들
#독발오고(? - 397년)…사복건의 아들
;걸복부의 역대 군주
4. 문화
선비족의 경제 기반은 유목과 농업의 결합이었다.[63] 그들은 칸국 체제를 발전시켜 사회 계층 형성을 심화시키고 문학, 예술 및 문화 발달을 이루었다.[63] 십이지신 달력을 사용했고 노래와 음악을 선호했다.[63] 텡그리교와 이후의 불교가 선비족의 주요 종교였다.[63] 중국 북부로 이주한 후, 그들은 점차 유목 생활을 버리고 한화되어 한족과 동화되었다. 북위 효문제는 선비족 성씨를 한족 성씨로 변경하라는 칙령을 내렸다.[64] 단석괴 이전에는 세습 군주제가 없었고, 부족의 족장은 성격과 능력을 기준으로 부족 구성원을 선출하여 뽑았다.[65] 중원에 국가를 건설하고 중국식 세습 제도를 채택했음에도 불구하고, 선비족 통치자의 영향력 있는 형제, 삼촌 및 사촌들이 종종 왕위를 놓고 경쟁자로 나섰다.[65]
선비족 예술의 핵심 형태는 동물 도상학으로, 주로 금속 공예에서 구현되었다. 그들은 기하학적이고 추상화된 반복적인 형태로 웅크린 동물을 묘사했으며, 동물의 포식과 동종 간의 싸움을 묘사하여 그들의 문화와 예술을 구별했다. 일반적으로 양, 사슴, 말이 묘사되었다. 유물은 금속으로 만들어졌으며 배경은 투각 또는 산악 풍경으로 장식되었는데, 이는 선비족의 유목 생활 방식을 연상시킨다.[68] 오목한 판 뒷면은 판이 밀랍 주조를 사용하여 만들어졌거나 망치로 두드린 금속 시트 뒷면에 융기된 디자인이 새겨졌음을 암시한다.[68][69]
선비족의 유목 전통은 그들이 말을 예술 작품에 묘사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말은 유목 민족으로서 선비족의 존재에 큰 역할을 했다.[70] 선비족은 말을 위한 예술품뿐만 아니라, 말을 묘사하는 예술품도 만들었다. 날개 달린 말 모티프도 반복되는데, 고고학자 쑤 바이(Su Bai)는 이 상징이 선비족 신화에서 두드러진 위치를 차지했기 때문에 "말의 형상을 한 천상의 짐승"이라고 제안했다.[68] 이 상징은 초기 선비족의 남쪽 이동을 인도한 것으로 여겨지며, 많은 선비족 예술 형태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이미지이다.
선비는 오환과 동족이므로 습속은 거의 같다(''자세한 내용은 오환의 습속 참조''). 다만, 결혼 스타일은 오환과 달라서, 먼저 혼인 전에 삭발을 하고, 봄에 요락수(작락수) 기슭에서 개최되는 대회에서 술을 마신 후에 아내를 맞이한다.[103]
그 땅에 서식하는 동물은 중국의 것과 다르며, 야생마, 원양(原羊), 녹단우(甪端牛)가 있으며, 녹단우의 뿔은 활(녹단궁, 甪端弓)의 재료가 된다. 또한, 담비, 삵, 고양이도 서식하고 있으며, 그 모피는 매우 부드러워 고급 裘(가죽옷)가 되었다[104]。주로 방목을 생업으로 하지만, 농경도 할 줄 안다[105]。
4. 1. 유목 문화
선비족의 경제 기반은 유목과 농업의 결합이었다.[63] 그들은 칸국 체제를 발전시켜 사회 계층 형성을 심화시키고 문학, 예술 및 문화 발달을 이루었다.[63] 십이지신 달력을 사용했고 노래와 음악을 선호했다.[63] 텡그리교와 이후의 불교가 선비족의 주요 종교였다.[63] 중국 북부로 이주한 후, 그들은 점차 유목 생활을 버리고 한화되어 한족과 동화되었다. 북위 효문제는 선비족 성씨를 한족 성씨로 변경하라는 칙령을 내렸다.[64] 단석괴 이전에는 세습 군주제가 없었고, 부족의 족장은 성격과 능력을 기준으로 부족 구성원을 선출하여 뽑았다.[65] 중원에 국가를 건설하고 중국식 세습 제도를 채택했음에도 불구하고, 선비족 통치자의 영향력 있는 형제, 삼촌 및 사촌들이 종종 왕위를 놓고 경쟁자로 나섰다.[65]선비족 예술의 핵심 형태는 동물 도상학으로, 주로 금속 공예에서 구현되었다. 그들은 기하학적이고 추상화된 반복적인 형태로 웅크린 동물을 묘사했으며, 동물의 포식과 동종 간의 싸움을 묘사하여 그들의 문화와 예술을 구별했다. 일반적으로 양, 사슴, 말이 묘사되었다. 유물은 금속으로 만들어졌으며 배경은 투각 또는 산악 풍경으로 장식되었는데, 이는 선비족의 유목 생활 방식을 연상시킨다.[68] 오목한 판 뒷면은 판이 밀랍 주조를 사용하여 만들어졌거나 망치로 두드린 금속 시트 뒷면에 융기된 디자인이 새겨졌음을 암시한다.[68][69]
선비족의 유목 전통은 그들이 말을 예술 작품에 묘사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말은 유목 민족으로서 선비족의 존재에 큰 역할을 했다.[70] 선비족은 말을 위한 예술품뿐만 아니라, 말을 묘사하는 예술품도 만들었다. 날개 달린 말 모티프도 반복되는데, 고고학자 쑤 바이(Su Bai)는 이 상징이 선비족 신화에서 두드러진 위치를 차지했기 때문에 "말의 형상을 한 천상의 짐승"이라고 제안했다.[68] 이 상징은 초기 선비족의 남쪽 이동을 인도한 것으로 여겨지며, 많은 선비족 예술 형태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이미지이다.
선비는 오환과 동족이므로 습속은 거의 같다(''자세한 내용은 오환의 습속 참조''). 다만, 결혼 스타일은 오환과 달라서, 먼저 혼인 전에 삭발을 하고, 봄에 요락수(작락수) 기슭에서 개최되는 대회에서 술을 마신 후에 아내를 맞이한다.[103]
그 땅에 서식하는 동물은 중국의 것과 다르며, 야생마, 원양(原羊), 녹단우(甪端牛)가 있으며, 녹단우의 뿔은 활(녹단궁, 甪端弓)의 재료가 된다. 또한, 담비, 삵, 고양이도 서식하고 있으며, 그 모피는 매우 부드러워 고급 裘(가죽옷)가 되었다[104]。주로 방목을 생업으로 하지만, 농경도 할 줄 안다[105]。
4. 2. 한화 정책과 문화 융합
북위의 통일은 십육국 시대 이후 북방에 상대적인 평화를 가져왔다. 선비족은 중국 내륙으로 들어오면서 자연스럽게 한화 과정을 거쳤지만, 북위 효문제는 체계적인 한화 정책을 수립하여 선비족의 전통을 대부분 버리고, 황실의 성을 탁발(Tuoba)에서 원(Yuan)으로 바꾸는 등 선비족의 한족 성씨로의 변경을 포고했다.[16] 효문제는 수도를 평성에서 낙양으로 옮겼는데, 낙양의 인구는 이러한 정책을 받아들였지만, 옛 수도 근처의 인구는 선비족 문화를 고수했다.[51]북위는 한족 명문가와의 혼인을 장려하여, 북위의 탁발 선비족 공주들의 50% 이상이 남조의 황족 및 귀족 출신으로 북위에 투항하여 이주한 남부 한족 남성들과 결혼했다.[51] 유송의 왕족 유휘(劉輝)는 북위의 난릉 공주(蘭陵公主)와 결혼했고,[52][53][54][55][56] 화양 공주(華陽公主)는 진(266–420) 왕족의 후손인 사마비(司馬朏)와, 제남 공주(濟南公主)는 노도건(盧道虔)과, 남양 장공주(南陽長公主)는 소보인 (蕭寶寅)과 결혼했다.[57] 북위 효장제의 누이인 수양 공주는 양나라 통치자 양 무제의 아들 소종(蕭綜)과 결혼했다.[58]
육진 반란 이후, 북위는 동위와 서위로 분열되었고, 이후 북제와 북주가 건국되었다.[59] 북제는 선비족 엘리트들에게 의존하고 그들의 전통을 선호했던 선비화된 한족 가문인 고씨가 통치했다. 북주는 선비족 출신인 우문 씨가 통치했고, 서위와 북주의 군사 개혁은 선비족 전사 문화를 부활시키려는 시도를 보였으며, 여기에는 북위의 한화된 이름을 되돌리고 한족 장교에게 선비족 이름을 하사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북주의 재상 수 문제인 양견(楊堅)은 나중에 이러한 이름을 다시 한족 이름으로 복원했다.
581년, 양견은 수나라를 건국하고 진나라를 병합하여 589년에 중국을 통일했다. 당 고조인 이연(李淵)이 당나라를 건국했는데, 수와 당 모두 한족 계보를 자처하는 가문이 건국했으며, 공동의 이익을 보호하려는 북주의 한족 및 선비족 귀족들의 연합에 의해 뒷받침되었다.[60][61] 이러한 과정을 통해, 중국으로 들어온 선비족과 그들의 문화는 대체로 한족과 융합되었는데, 당 고조의 부인 두덕비와 당 태종의 부인 장손황후 모두 선비족의 혈통을 가지고 있다.[62] 한편, 북방 초원에 남아 있던 사람들은 유연 카간과 거란의 부족으로 진화했다.
서쪽에서는 토욕혼의 선비족 왕국이 670년 토번에 패배할 때까지 독립을 유지했다. 왕국의 멸망 이후, 선비족은 북서부에서 중국 중부 및 동부 지역까지 광대한 영토에 걸쳐 흩어졌다. 모용노혜발은 토욕혼 사람들을 동쪽으로 이끌어 중국 중부로 이주했고, 그들은 현재의 은천인 닝샤에 정착했다.
4. 3. 불교 수용
선비족의 불교 수용은 한족 문화와의 교류에서 비롯되었다.[66] 한족 관료들은 초기에 선비족이 국가를 운영하는 것을 도왔지만, 결국 선비족은 친중화 경향을 띠게 되었고 불교를 장려했다.[66]이러한 선비족의 불교 수용은 선비족 예술에서 나타나는 불상 이미지에서 증명된다.[66] 예를 들어, 부처의 형상이 새겨진 잎사귀 형태의 머리 장식은 전통적인 유목 민족 선비족의 잎사귀 머리 장식과 부처의 새로운 이미지를 결합하여 선비족의 불교적 융합을 보여준다.[66]
이러한 선비족의 종교적 개종은 북위 시대에 계속 발전했으며, 궁극적으로 운강 석굴의 창조로 이어졌다.[66]
5. 언어
선비족은 몽골어 또는 파라몽골어를 사용한 것으로 여겨지며, 초기에는 상당한 튀르크어의 영향을 받았다고 클라우스 셰니히는 주장한다.[72] 선비족이 여러 언어를 사용했을 가능성도 있다.[73][74][75][1]
}}
그러나 선비어로 쓰여진 작품은 남아 있지 않으며, 이는 한자를 사용하여 기록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간' '형'과 같은 몇 개의 단어만 남아있다.[76][77]
선비의 언어는 오환과 같다.[98] 선비의 언어 계통에 대해 옛날에는 튀르크어족이라고 하는 설[99]이 있었지만, 최근에 선비(특히 탁발부)의 언어인 선비어는 몽골어족이라는 설도 있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최근에는 부여어와의 공통점이 주목받고 있다.[100]
그러나 선비의 부족에는 원래 흉노에 참여했던 부족도 있는 등 비선비계의 이민족도 참여했기 때문에, 선비의 부족 전체의 언어를 특정하는 것은 어렵다.[101][102]
"선비"라는 명칭은 중국 측의 음역이지만, 그 원음이 무엇이었는지는 그들이 문자를 가지지 않았기 때문에 불명이다. 왕침의 『위서』 등에서는 "선비·오환이라는 족명은 산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한서』 흉노전 안사고의 주석에서는 "서비(犀毗, saihbi)란 호(胡)의 대구이니, 또한 선비, 사비라고도 한다"고 하여, 선비인이 착용하는 버클을 가리키는 명칭이라고 한다. 『사기색은』 흉노전 주에 인용된 장안설에서는 "선비·곽락은 띠의 신수(神獸)의 이름이다. 동호가 이를 좋아하여 착용했다."고 하여, 보다 정확하게는 버클에 그려진 신수(토템)라고 한다. 동양사학자 시라토리 구라키치 등은 고대 튀르크-몽골어로 대구를 이르는 , 만주어로 이방인을 이르는 sabi가 "선비"의 어원이라고 하며, 반대로 선비산이라는 산 이름은 선비 ()족이 근거지로 삼았기 때문에 선비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주장했다.[106] "선비"는 = 뚜렷하게 비열하다는 뜻으로 "흉노", "몽골", "토번" 등과 함께 한민족 주변의 지역·민족은 모두 부정적인 의미의 한자를 사용하였다.
6. 유전학
2006년 10월에 ''FEBS 저널''에 발표된 유전 연구는 중국 내몽골 자치구 칠랑산 묘지에 묻힌 21명의 선비족 투바족의 미토콘드리아 DNA(mtDNA)를 조사했다. 추출된 21개의 mtDNA 샘플은 O (9개 샘플), D (7개 샘플), C (5개 샘플), B (2개 샘플) 및 A에 속했다. 이 하플로 그룹은 동북아시아인의 특징이다. 현대 인구 중 이들은 오로첸족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014년 4월 러시아 유전학 저널에 발표된 유전 연구는 중국 내몽골 상두 동대경 묘지에 묻힌 17명의 투바 선비족의 mtDNA를 조사했다. 추출된 17개의 mtDNA 샘플은 D4 (4개 샘플), D5 (3개 샘플), C (5개 샘플), A (3개 샘플), G 및 B에 속했다.
2007년 11월 ''미국 물리 인류학 저널''에 발표된 유전 연구는 중국 랴오닝성 라마동의 모용선비 묘지에서 기원전 300년경에 매장된 17명의 개인을 조사했다. 이들은 모계 하플로 그룹 J1b1, D (3개 샘플), F1a (3개 샘플), M, B, B5b, C (3개 샘플) 및 G2a의 보균자로 확인되었다. 이 하플로 그룹은 동아시아인과 일부 시베리아인에게서 흔히 발견된다. 모용 선비족의 모계 하플로 그룹은 흉노족과 투바 선비족의 모계 하플로 그룹과 뚜렷이 달랐다.
2018년 8월 ''미국 물리 인류학 저널''에 발표된 유전 연구는 부계 하플로 그룹 C2b1a1b가 선비족과 유연 사이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아마도 동호족 사이에서 중요한 계통이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2023년 11월에 발표된 전체 게놈 분석은 (기원후 200년~300년경) 9명의 선비족 개인의 유전체 데이터를 이전 발표된 선비족 샘플과 함께 분석하여 선비족 시대 전체와 선비족 이전 및 이후 시대를 아울렀으며, 선비족은 거의 전적으로 고대 동북아시아 조상을 가진 동질적인 집단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했다. 저자들은 또한 이러한 결과가 선조 선비족의 기원이 아무르강 지역, 특히 대흥안령산맥 지역과 일치한다고 언급했다. 초기 선비족은 주변 집단과의 혼혈의 징후를 보이지 않았지만, 후기 선비족은 "후기 흉노-사르마티아계" 및 한족("황하 농부계") 집단과의 제한적인 혼혈을 보였다. 중국 북부의 후기 선비족은 농업 생활 방식을 채택하고 지역 인구와 섞여 중국 북부의 유전적 역사에 기여했다.
2024년 북주 무제의 유해를 포함한 선비족 유해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그들은 주로 고대 동북아시아인에서 유래되었으며 약 62~96%를 차지했고, 신석기 시대 '황하 농부'(한족과 연관됨)의 혼혈은 약 4~32%를 차지했다. 서쪽 스텝 유목민 조상은 다양한 선비족 유해에서 소량만 발견되거나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평균 약 2~7%). 분석된 선비족 유해는 고대 거란족과 말갈은 물론 현대의 몽골계 민족과 가장 가까운 유전적 친연성을 보였다. 고대 동북아시아와 황하 농부 조상의 양은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달랐으며, 이는 고대 선비족 사이의 이질성을 시사했다. 선비족과 대조적으로, 초기 돌궐 지배 계급인 아시나는 상당한 황하 조상 없이 거의 전적으로 고대 동북아시아인에서 유래된 것으로 밝혀졌다.
7. 한국사와의 관계
고구려의 장군인 을지문덕은 고구려에 귀화한 선비족 출신이라는 학설이 있다[109][110][111]。
중국의 영웅 화목란은 선비족 출신이라는 것이 학계의 주류 견해이다.[112][113][114] 화목란은 당대 이후 한인의 사회 개념을 가미한 구전 이야기로 한인에게 전해졌지만, 이후 작품의 개편으로 화목란의 유목민 출신이 삭제되었고, 명대에는 서위의 『여목란』에 북위나 호족이 행하지 않았던 전족이라는 이야기가 더해졌다.[115] 2020년, 고고학자인 크리스틴 리(Christine Lee)와 야히라 곤잘레스(Yahaira Gonzalez)는 몽골에서 출토된 여성 유골의 관절염, 골격의 외상, 근육 부착 흔적 등을 통해 생전에 "활 쏘는 무술에 뛰어났다"는 가능성이 있는 선비족 여성임을 특정하고, 흉노나 돌궐보다 선비족 여성이 말을 더 잘 탔다는 것을 발견하여, 선비족 평민 여성은 기병으로서 상시 전쟁에 참여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116]
7. 1. 고구려와의 관계
고구려의 장군인 을지문덕은 고구려에 귀화한 선비족 출신이라는 학설이 있다.[109][110][111]7. 2. 백제와의 관계
고구려의 장군인 을지문덕은 고구려에 귀화한 선비족 출신이라는 학설이 있다.7. 3. 신라와의 관계
고구려의 장군인 을지문덕은 고구려에 귀화한 선비족 출신이라는 학설이 있다.[109][110][111]7. 4. 성씨
고구려의 장군인 을지문덕은 고구려에 귀화한 선비족 출신이라는 학설이 있다.[109][110][111]중국의 영웅 화목란은 선비족 출신이라는 것이 학계의 주류 견해이다.[112][113][114] 화목란은 당대 이후 한인의 사회 개념을 가미한 구전 이야기로 한인에게 전해졌지만, 이후 작품의 개편으로 화목란의 유목민 출신이 삭제되었고, 명대에는 서위의 『여목란』에 북위나 호족이 행하지 않았던 전족이라는 이야기가 더해졌다.[115] 2020년, 고고학자인 크리스틴 리(Christine Lee)와 야히라 곤잘레스(Yahaira Gonzalez)는 몽골에서 출토된 여성 유골의 관절염, 골격의 외상, 근육 부착 흔적 등을 통해 생전에 "활 쏘는 무술에 뛰어났다"는 가능성이 있는 선비족 여성임을 특정하고, 흉노나 돌궐보다 선비족 여성이 말을 더 잘 탔다는 것을 발견하여, 선비족 평민 여성은 기병으로서 상시 전쟁에 참여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116]
8. 평가
참조
[1]
간행물
An overview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Xianbei ('Monguor'/'Tu')
https://doi.org/10.1[...]
2010-02
[2]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3]
문서
Nomads in Central Asia
UNESCO Publishing
[4]
문서
SGZ 30. 837–838, note. 1
[5]
서적
The Oxford World History of Empire: Volume One: The Imperial Experien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2-02
[6]
문서
[7]
문서
The Chinese and Their Neighbors in Prehistoric and Early Historic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
간행물
Heterarchy and hierarchy among the ancient Mongolian nomads
https://cyberleninka[...]
[9]
서적
Die frühen Türken in Zentralasien
Darmstadt
[10]
웹사이트
Xianbei 鮮卑
http://www.chinaknow[...]
2022-01-24
[11]
웹인용
The Sixteen States of the Five Barbarian Peoples 五胡十六國
http://www.chinaknow[...]
[12]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Medieval Chinese Society and the Local "commun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4]
서적
Conceiving Cosmopolitanism: Theory, Context and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Governing China: 150–1850
https://books.google[...]
Hackett
[16]
서적
Marriage and Inequality in Chinese Socie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학위논문
Divorce and the Divorced Woman in Early Medieval China (First through Sixth Century)
https://dash.harvard[...]
Harvard University
2016-05
[18]
간행물
The ''-yu'' Ending in Xiongnu, Xianbei, and Gaoju Onomastica. Appendix I: the ethnicon Xianbei
http://www.sino-plat[...]
2005
[19]
서적
ABC Etymological Dictionary of Old Chinese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07
[20]
웹사이트
“The Stateless Nomads of Central Eurasia”
https://maiet.cfuv.r[...]
Empires and Exchanges in Eurasian Late Antiquity Edited by DiCosmo, Maas
[21]
문서
Hou Hanshu vol. 90 "鮮卑者,亦東胡之支也,別依鮮卑山,故因號焉" "the Xianbei people branched off from the so-called 'Eastern Hu' and came to settle around Mt. Xianbei after which name they were designated" translated by Toh (2005)
[22]
문서
Weishu vol. 1
[23]
학위논문
The Making of the Tuoba Northern Wei: Constructing Material Cultural Expressions in the Northern Wei Pingcheng Period (398–494 CE)
University of Oxford
2012
[24]
간행물
Early Serbi-Mongolic-Tungusic lexical contact: Jurchen numerals from the 室韦 Shirwi (Shih-wei) in North China
https://www.academia[...]
2019-09-22
[25]
문서
Chu Ci, "Da Zhao"
https://ctext.org/ch[...]
[26]
문서
Guoyu, "Jinyu 8"
https://ctext.org/gu[...]
[27]
서적
A History Of Chu (Volume 1)
Enrich Professional Publishing
[28]
서적
A History Of Chu (Volume 1)
https://books.google[...]
Enrich Professional Publishing
[29]
문서
Guoyu, explained by Wei Zhao, "Jinyu 8"
https://commons.wiki[...]
Waseda University Library's copy
[30]
문서
Guoyu, explained by Wei Zhao, "Jinyu 8"
https://ctext.org/li[...]
[31]
문서
Guoyu, explained by Wei Zhao, "Jinyu 8"
https://ctext.org/li[...]
[32]
문서
Guoyu, "Jinyu 8", explained by Wei Zhao
https://ctext.org/li[...]
[33]
문서
Guoyu, "Jinyu 8", explained by Wei Zhao
https://ctext.org/li[...]
[34]
문서
Guoyu, explained by Wei Zhao, "Qiyu"
https://ctext.org/li[...]
[35]
문서
Guoyu, explained by Wei Zhao, "Qiyu"
https://ctext.org/li[...]
[36]
서적
Guoyu
https://commons.wiki[...]
Waseda University Library's copy
[37]
서적
Guoyu
https://commons.wiki[...]
Waseda University Library's copy
[38]
문서
Chunqiu Zuo Zhuan
https://zh.wikisourc[...]
[39]
서적
Chunqiu Zuozhuan – Collected Explanations
https://ctext.org/li[...]
[40]
서적
Discourses of the States – Collected Explanations
Zhonghua Book Company
2002
[41]
논문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re-Dynastic Khitan
https://helda.helsin[...]
University of Helsinki
2005
[42]
학술지
A-Gan Revisited — The Tuoba's Cultural and Political Heritage
1996
[43]
웹사이트
Xianbei 鮮卑
http://www.chinaknow[...]
[44]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45]
간행물
Nomads in Central Asia
UNESCO Publishing
1994
[46]
문서
SGZ
[47]
문서
SGZ
[48]
서적
Wuhuan yu Xianbei
Shanghai ren min chu ban she
1962
[49]
서적
Xianbei shi lun
Nan tian shu ju
1994
[50]
서적
Wei jin nan bei chao shi
Zhonghua shu ju
2007
[51]
PhD
Divorce and the Divorced Woman in Early Medieval China (First through Sixth Century)
https://nrs.harvard.[...]
Harvard University
2016-05
[52]
서적
Papers on Far Eastern History
https://books.googl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Far Eastern History.
[53]
서적
Women in Early Medieval Chin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8
[54]
서적
Women in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6
[55]
서적
Early Medieval China: A Sourceboo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4
[56]
서적
Papers on Far Eastern History, Volumes 27–30
https://books.googl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Far Eastern History.
1983
[57]
서적
China: Dawn of a Golden Age, 200–750 AD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Museum of Art
[58]
서적
Ancient and Early Medieval Chinese Literature (vol.3 & 4): A Reference Guide, Part Three & Four
https://books.google[...]
BRILL
2014-09-22
[59]
서적
A History of East Asia: From the Origins of Civilization to the Twenty-First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0]
서적
Tang dai zheng zhi shi shu lun gao
Shang wu
1943
[61]
서적
Tang dai zheng zhi shi shu lun gao
Shanghai gu ji chu ban she
1997
[62]
서적
Notable women of China: Shang dynasty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0-06-28
[63]
서적
History of Chinese society: Liao, 907–1125
1949
[64]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65]
학술지
From Family Crisis to State Crisis: The Case of Former Yan (Qian Yan 前燕, 285/337–370), a Xianbei Conquest Dynasty
https://www.research[...]
2021-12-15
[66]
서적
China: Dawn of a Golden Age, 200–750 AD
Metropolitan Museum of Art
[67]
PhD
Leaves That Sway: Gold Xianbei Cap Ornaments from Northeast China
https://repository.u[...]
UPenn Repository
[68]
서적
Nomadic Art of the Eastern Eurasian Steppes: The Eugene V. Thaw and Other New York Collection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69]
학술지
Han and Xiongnu: A Reexamination of Cultural and Political Relations (I)
[70]
학술지
The Stirrup and Its Effect on Chinese Military History
[71]
서적
Six Dynasties Civilization
Yale UP
[72]
서적
Languages of Ancient Southern Mongolia and North China: a Historical-Comparative Study of the Serbi or Xianbei Branch of the Serbi-Mongolic Language Family, with an Analysis of Northeastern Frontier Chinese and Old Tibetan Phonology
Harrassowitz Verlag
[73]
논문
The Xianbei in Chinese History
[74]
간행물
Early Serbi-Mongolic-Tungusic lexical contact: Jurchen numerals from the 室韦 Shirwi (Shih-wei) in North China
Brill
2019-09-22
[75]
서적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re-Dynastic Khitan
University of Helsinki
[76]
논문
Old Turkic Kinship Terms in Early Middle Chinese (co-athoured with David McCraw)
https://www.academia[...]
[77]
논문
Eski Orta Çincedeki Eski Türkçe Akrabalık Terimleri
https://tdkbelleten.[...]
2011
[78]
웹사이트
Tomb Murals with Largest Known Hunting Scene of the Northern Dynasties Discovered in Shanxi, NW China (2015)
http://www.kaogu.cn/[...]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CASS
[79]
논문
Ancient genome of the Chinese Emperor Wu of Northern Zhou
https://www.cell.com[...]
Elsevier
2024-03-28
[80]
웹사이트
Anthropology of Archaeological Populations from Northeast Asia
http://user.dankook.[...]
[81]
논문
Ancient DNA sheds light on the origin and migration patterns of the Xianbei confederation
https://doi.org/10.1[...]
2023-11-24
[82]
논문
Ancient genome of the Chinese Emperor Wu of Northern Zhou
https://doi.org/10.1[...]
2024-03
[83]
서적
Tu zu shi [The Tu History] 土族史
Zhongguo she hui ke xue chu ban she [Chinese Social Sciences Press] 中囯社会科学出版社
[84]
서적
Xibo zu shi lun kao [Examination on the History of the Xibo Nationality] 锡伯族史论考
Liaoning Nationalities Press
[85]
서적
Xibo zu [Xibo Nationality] 锡伯族
Nationalities Press
[86]
웹사이트
성씨정보 | 남원독고씨 (南原 獨孤氏) – 시조(始祖) : 독고신(獨孤信) :+
http://www.surname.i[...]
[87]
웹사이트
성씨정보 | 독고씨 (獨孤氏) – 인구 분포도 (人口 分布圖) :+
http://www.surname.i[...]
[88]
웹사이트
독고씨(獨孤氏)의 본관 :: 뿌리를 찾아서 ::
http://www.rootsinfo[...]
2016-07-01
[89]
웹사이트
성씨유래검색> 효문화 사이트
https://www.djjunggu[...]
2016-07-01
[90]
웹사이트
FamilySearch Catalog: 남원독고씨족보 南原獨孤氏族譜, 2권, 930–1935
https://www.familyse[...]
2022-01-24
[91]
웹사이트
성씨정보 | 남원 독고씨 (南原獨孤氏) – 상계 세계도(上系世系圖) :+
http://www.surname.i[...]
[92]
웹사이트
성씨정보 | 남원독고씨 (南原 獨孤氏) – 인구 분포도 (人口 分布圖) :+
http://www.surname.i[...]
[93]
문서
『三国志』鮮卑伝(王沈『魏書』)より。
[94]
문서
『三国志』鮮卑伝より。
[95]
문서
『晋書』帝紀第一より。
[96]
문서
『三国志』三少帝紀第四より。
[97]
문서
『晋書』帝紀第三より。
[98]
문서
『三国志』鮮卑伝(王沈『魏書』)「其言語習俗與烏丸同。」、『後漢書』鮮卑伝「其言語習俗與烏桓同。」
[99]
문서
Boodberg (1936) や Bazin (1950) は、東胡の子孫である鮮卑族、特に拓跋部の言語を turkish ないし proto-turkish original であるとした。《『騎馬民族史1』p9 注15、p218 注2》
[100]
문서
Pullyblank (1962) や Ligeti (1970) によると、鮮卑語(特に拓跋語)の特徴はモンゴル語であるという。《『騎馬民族史1』p9 注15、p218 注2》
[101]
문서
沢田 1996,p13
[102]
문서
内田吟風は「拓跋鮮卑が劉・賀・梁・呼延等の匈奴族その他の非鮮卑族を有力連合部族として包括していたことを考えれば(姚薇元 北朝胡姓考 科學出版社 1958 BN11992288 JP番号60010685 https://iss.ndl.go.jp/books/R100000002-I000001008538-00、馬長寿『烏桓与鮮卑』1962年 p31)、拓跋の言語をもって古代の鮮卑烏丸語の大体を推定することはできても、これを厳密細別的に断定することは不可能といわねばなるまい。」としている。《内田 1975,p4》
[103]
문서
『後漢書』鮮卑伝「其言語習俗與烏桓同。唯婚姻先髠頭,以季春月大會于饒樂水上,飲晏畢,然後配合。」
[104]
문서
『三国志』鮮卑伝(王沈『魏書』)「其獸異於中國者,野馬,原羊,甪端牛。甪端牛角為弓,世謂之甪端弓者也。又有貂,豽,鼲子,皮毛柔蠕,故天下以為名裘。」、『後漢書』鮮卑伝「又禽蓋異於中國者,野馬,原羊,甪端牛,以角為弓,俗謂之甪端弓者。又有貂,豽,鼲子,皮毛柔蠕,故天下以為名裘。」
[105]
문서
『三国志(日本語訳)』鮮卑伝、ちくま
[106]
문서
内田 1975,p7
[107]
문서
『三国志』および『後漢書』
[108]
문서
『魏書』および『晋書』
[109]
뉴스
을지문덕
https://www.culturec[...]
2021-09-21
[110]
뉴스
을지문덕(乙支文德)
http://encykorea.aks[...]
2021-09-23
[111]
뉴스
을지문덕 乙支文德,?~?
https://www.doopedia[...]
2021-09-23
[112]
서적
The Female Individual and the Empire: A Historicist Approach to Mulan and Kingston's Woman Warrior
Comparative Literature'', 55(3)
2003
[113]
뉴스
The Controversial Origins of the Story Behind Mulan
https://time.com/588[...]
2020-09-11
[114]
뉴스
木蘭與麒麟
https://www.google.c[...]
八旗文化
2019-05-15
[115]
뉴스
千年傳說的「中國化」:花木蘭如何從蒙古女戰士變成「漢人」?
https://www.storm.mg[...]
2020-09-10
[116]
뉴스
Researchers Uncover New Evidence That Warrior Women Inspired Legend of Mulan
2020-04-29
[117]
저널
A-Gan Revisited — The Tuoba's Cultural and Political Heritage
1996
[118]
저널
A-Gan Revisited — The Tuoba's Cultural and Political Heritage
1996
[119]
웹사이트
https://webcache.goo[...]
[120]
서적
China: Dawn of a Golden Age, 200-750 AD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21]
문서
[[姚薇元]]『北朝胡姓考(修訂本)』
[122]
문서
Watt, James C.Y. China: Dawn of a Golden Age, 200-750 AD. Comp. An Jiayao, Angela F. Howard, Boris I. Marshak, Su Bai, and Zhao Feng. New York: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4. Print.
[123]
문서
[[姚薇元]]『北朝胡姓考(修訂本)』([[中華書局]]、[[2007年]])P72-73
[124]
문서
청말 학자 진인각
[125]
문서
姚薇元은 당나라 이연을 철륵의 후손이라는 증거를 제시함
[126]
서적
대당제국과 그 유산 호한통합과 다민족국가의 형성
https://www.google.c[...]
세창출판사
2015-05-11
[127]
문서
姚薇元은 당나라 이연을 철륵의 후손이라는 증거를 제시함
[128]
문서
청말 학자 진인각
[129]
서적
문제 文帝,541~604
https://www.doopedia[...]
두산세계대백과사전
2021-10-02
[130]
서적
수 문제
https://www.culturec[...]
한국콘텐츠진흥원
2021-10-02
[131]
서적
중국역대 인명사전
https://terms.naver.[...]
이회문화사
2021-10-02
[132]
서적
당 고조 唐高祖
https://terms.naver.[...]
한국콘텐츠진흥원
2021-10-02
[133]
서적
이연 李淵
https://terms.naver.[...]
중국인물사전
2021-10-02
[134]
서적
고조 高祖,566~635
https://www.doopedia[...]
두산세계대백과사전
2021-10-02
[135]
서적
당 고조
https://www.culturec[...]
한국콘텐츠진흥원
2021-10-02
[136]
서적
이연 李淵
https://terms.naver.[...]
이회문화사
2021-10-02
[137]
뉴스
"당나라 황제 혈통은 선비족… 도읍 장안성엔 선비족의 문화 뒤섞여 있어"
https://www.chosun.c[...]
2019-08-29
[138]
웹사이트
Leaves That Sway: Gold Xianbei Cap Ornaments from Northeast China
http://repository.up[...]
UPenn Repository
2012-12-10
[139]
문서
청말 학자 진인각
[140]
문서
姚薇元은 당나라 이연을 철륵의 후손이라는 증거를 제시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