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순양함 뤼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 순양함 뤼초는 나치 독일의 해군 재무장 계획에 따라 건조된 아드미랄 히퍼급 중순양함의 한 척이다. 베르사유 조약의 군비 축소 조항을 거부한 독일은 1935년 영독 해군 협정을 통해 10,000톤급 조약 순양함 5척 건조를 승인받았고, 뤼초는 이 계획의 일환으로 건조되었다. 뤼초는 20.3cm 주포 8문, 10.5cm, 3.7cm, 2cm 대공포, 53.3cm 어뢰 발사관 등을 탑재할 예정이었으며, 1939년 소련에 미완성 상태로 매각되었다. 소련 해군에 인도된 후 페트로파블로프스크, 탈린, 드녜프르로 개명되었으며, 레닌그라드 방어전에서 활약하다가 연습함으로 변경된 후 1958년 퇴역하여 1960년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순양함 - 키로프급 미사일 순양함
키로프급 미사일 순양함은 소련 해군이 건조한 원자력 추진 순양함으로, 강력한 무장과 스텔스 설계를 통해 미국 해군 항모 강습단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 러시아의 순양함 - 카라급 순양함
카라급 순양함은 소련 해군이 NATO의 SSBN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한 대형 대잠함으로, 가스터빈 엔진을 탑재하고 함대공 미사일 시스템으로 방공 능력을 강화하여 냉전 시대 핵심 전력으로 활동했으나 소련 붕괴 후 대부분 퇴역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순양함 - SMS 니오베
SMS 니오베는 독일 제국 해군의 경순양함으로, 두 차례의 세계 대전 동안 독일 해군과 유고슬라비아 해군, 이탈리아 해군에서 복무하며 현대화 개장을 거쳤으나 결국 소련 공군의 공격으로 침몰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순양함 - 독일 순양함 프린츠 오이겐
독일 순양함 프린츠 오이겐은 나치 독일 해군이 건조한 아드미랄 히퍼급 중순양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라인 연습 작전에 참여하여 영국 해군의 순양전함 후드 격침에 기여하고 발트해에서 소련군 포격 지원 임무를 수행했으며, 종전 후 미국에 인수되어 핵 실험 표적함으로 사용되다 콰잘레인 환초에 침몰했다. - 1939년 선박 - 독일 전함 티르피츠
독일 전함 티르피츠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해군이 건조한 비스마르크급 전함의 2번함으로, 자매함 비스마르크와 함께 독일 해군력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나 실제 해전에서 큰 활약은 없었고 연합군에게 위협적인 존재로 남아 영국 해군 전력을 묶어두다 1944년 격침되었다. - 1939년 선박 - 운요 (항공모함)
운요는 다이요급 항공모함의 2번함으로, 여객선 야하타마루에서 개조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 해군에서 항공기 수송 임무에 투입되었으나 1944년 미국 잠수함에 의해 격침되었다.
독일 순양함 뤼초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함명 | 뤼초우 (Lützow) |
건조국 | 나치 독일 |
기공 | 1937년 8월 2일 |
진수 | 1939년 7월 1일 |
운명 | 1940년 2월 11일 소련 해군에 매각 |
함선 경력 (소련) | |
국가 | 소련 |
함명 | 페트로파블롭스크 (Petropavlovsk) (1940년 9월부터) |
인수 | 1940년 4월 15일, 레닌그라드로 예인 |
개명 | 탈린 (Tallinn) (1944년 9월 1일부터) 드네프르 (Dniepr) (1953년) PKZ-112 (1956년) |
운명 | 1953년~1961년경 해체 |
특징 | |
함급 | 아드미랄 히퍼급 순양함 |
배수량 | 정상: 만재: |
길이 | (전체) |
흘수 | 만재: |
추진 | 3 × Blohm & Voss 증기 터빈 3 × 추진기 |
승조원 | 장교 42명 사병 1,340명 |
무장 | 8 × 함포 12 × SK C/33 함포 12 × SK C/30 함포 8 × C/30 함포 12 × 어뢰 발사관 |
장갑 | 벨트: 갑판 장갑: 포탑 전면: |
항공기 | 3대 |
항공 시설 | 1 × 사출기 |
기타 정보 | |
건조 회사 | Deutsche Schiff- und Maschinenbau, 브레멘 |
2. 건조 배경 및 설계
아드미랄 히퍼급 순양함 5번함인 Lützow|뤼초de는 1937년 2월 8일 브레멘의 데시마르크 조선소(de:Deutsche Schiff- und Maschinenbaude)에서 기공되었으며, 1939년 7월 1일 진수되었다.[3][4] 뤼초의 건조 배경과 상세한 설계 제원은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2. 1. 건조 배경

아드미랄 히퍼급 중순양함은 나치당이 정권을 잡고 베르사유 조약의 군비 축소 조항을 거부하며 해군 재무장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건조되었다. 1935년, 독일은 영국과 영독 해군 협정을 체결하여 해군력 증강의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이 협정은 독일이 약 10160470.00kg급 조약 순양함 5척을 건조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아드미랄 히퍼급은 명목상 약 10160470.00kg 제한을 따르는 것처럼 보였지만, 실제로는 이 기준 배수량을 상당히 초과하여 건조되었다.
2. 2. 설계
뤼초는 아드미랄 히퍼급 중순양함으로, 나치당이 정권을 장악하고 베르사유 조약의 군비 제한 조항을 파기하면서 추진된 독일 해군 재무장의 일환으로 건조되었다. 1935년 영국과 체결된 영독 해군 협정은 독일 해군 재무장의 법적 근거를 마련해주었으며, 이 협정에 따라 독일은 약 10160470.00kg급 "조약 순양함" 5척을 건조할 수 있게 되었다. 아드미랄 히퍼급 순양함들은 공식적으로는 이 10,000톤 제한을 준수하는 것으로 발표되었지만, 실제로는 이 배수량을 상당히 초과하여 건조되었다.
뤼초의 전체 길이는 210m였고, 흘수선 폭은 21.8m, 최대 흘수는 7.9m였다. 함선의 설계 배수량은 17,600MT이었고, 만재 시 배수량은 20,100MT에 달했다. 3세트의 기어식 증기 터빈과 12개의 초고압 유류 보일러로 구동되었으며, 최고 속도는 32kn이었고 출력은 132,000 shp였다. 설계상 표준 승무원은 장교 42명과 사병 1,340명으로 구성되었다.
주무장은 8문의 20.3cm SK C/34 함포를 4개의 쌍열 포탑에 나누어 장착했으며, 이 포탑들은 함선 앞쪽과 뒤쪽에 각각 2기씩 배치되었다. 대공 무장은 12문의 10.5cm L/65포, 12문의 3.7cm포, 그리고 8문의 2cm포를 탑재할 예정이었다. 또한, 함미 상부 구조물 양측에는 3연장 53.3cm 어뢰 발사관 2기를 장착할 계획이었다. 항공 장비로는 3대의 Arado Ar 196 수상 비행기와 1대의 캐터펄트를 탑재할 예정이었다.
장갑 방호는 장갑대의 두께가 70mm 에서 80mm였고, 상부 갑판은 12mm 에서 30mm, 주 장갑 갑판은 20mm 에서 50mm 두께였다. 주 포탑의 전면 장갑은 105mm 두께였으며, 측면은 70mm 두께의 장갑으로 보호되었다.
3. 함생
뤼초는 원래 독일 크릭스마리네 소속의 아드미랄 히퍼급 중순양함 5번함으로 브레멘의 데시마크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3] 처음에는 15cm 포를 탑재한 경순양함으로 계획되었으나, 건조 중 아드미랄 히퍼급과 동일한 20.3cm 포를 탑재하는 중순양함으로 변경되어 1937년 2월 8일 기공, 1939년 7월 1일 진수되었다.[4][5]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등의 이유로 완공되지 못한 채, 독소 불가침 조약에 따른 독소 협력의 일환으로 1940년 2월 미완성 상태로 소련에 매각되었다.[6][7] 이때 가격은 1억 5천만 제국 마르크였다.[3]
소련으로 인도된 후 함선은 레닌그라드의 오르조니키제 기념공장(제189조선소)에서 독일 기술자들의 지원하에 건조가 재개되었고, 1940년 9월 25일 '''Петропавловск|페트로파블로프스크ru'''(Petropavlovsk)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었다.[7] 1941년 6월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건조가 중단되었고, 당시 약 70% 완성된 상태였던 페트로파블로프스크는[7] 부유 포대로서 레닌그라드 포위전에 긴급 투입되었다.[7] 독일군을 향해 함포 사격을 가하는 등 방어전에 기여했으나, 1941년 9월 독일군의 포격으로 크게 손상되어 항구 내에서 침수, 좌초되었다.[9] 이후 독일 공군의 공습으로 추가 피해를 입었다.
1942년 9월 인양되어[10] 크론시타트에서 응급 수리를 받고 다시 전선에 복귀했으며[10], 1944년 1월 레닌그라드 포위 돌파 작전에서 화력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같은 해 9월 1일에는 '''Таллин|탈린ru'''(Tallinn)으로 함명이 변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함선의 완공은 최종적으로 포기되었다. 1953년 3월 11일에는 '''Днепр|드녜프르ru'''(Dnepr)로 다시 개명되어 연습함으로 활용되었다. 이후 1956년 12월에는 '''ПКЗ-112|PKZ-112ru'''라는 이름의 해상 병영으로 개조되어 사용되다가, 1958년 4월 소련 해군 함정 목록에서 제적되었고 1959년부터 1960년 사이에 해체되었다.
3. 1. 독일 해군 시기 (1937-1940)

Lützow|뤼초de는 브레멘의 Deschimag|데시마크de 조선소에서 크릭스마리네(독일 전쟁해군)에 의해 발주되었다.[3] 원래 Lützow|뤼초de는 아드미랄 히퍼급 중순양함의 경순양함 버전으로 설계되어, 아드미랄 히퍼의 20.3cm 포 8문 대신 15cm 포 12문을 장착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크릭스마리네는 1936년 11월 14일에 아드미랄 히퍼와 동일한 선체와 무장(20.3cm 포 8문)으로 건조하기로 결정했다.[4] 1937년 2월 8일, 건조 번호 941로 기공되었으며[5], 1939년 7월 1일에 진수되었다. 진수식에는 에리히 레더 원수와 다수의 해군 장교가 참석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순양전함 SMS 뤼초의 함장이었던 하르더 대령의 미망인이 명명하였다.[3][4] 하지만 함선은 완공되지 못했다.[5]
1939년 8월 23일 독소 불가침 조약이 체결된 이후, 같은 해 10월 소련은 독일에게 당시 미완성이었던 Admiral Hipper|아드미랄 히퍼de급 순양함 Lützow|뤼초de, Seydlitz|자이들리츠de, 그리고 Prinz Eugen|프린츠 오이겐de의 구매 의사를 타진했다. 또한 독일 전함 설계도, 해군 포병 기술 등 해군 관련 기술 이전을 요청했다. 크릭스마리네는 Seydlitz|자이들리츠de와 Prinz Eugen|프린츠 오이겐de에 대한 요청은 거부했지만, Lützow|뤼초de의 판매에는 동의했으며, 추가로 38cm 주포 포탑과 기타 무기를 판매하기로 결정했다.[6] 중순양함 Lützow|뤼초de의 가격은 로 책정되었는데, 이는 원래 건조 비용인 의 거의 두 배에 달하는 금액이었다.[3] 판매 계약에는 완전한 기술 사양, 엔진 시험 결과, 예비 부품이 포함되었으며, 자재의 80%는 이전 후 12개월 이내, 나머지는 15개월 이내에 제공하기로 했다.[7] 소련으로의 이전을 위해 Lützow|뤼초de는 원래 계약명이었던 "L"로 잠시 개명되었다.[8] 한편, 독일 해군은 1939년 11월 15일에 도이칠란트급 장갑함 1번함 도이칠란트를 '뤼초'로 개명했는데, 이는 소련에 판매될 신형 중순양함 '뤼초'의 존재를 감추고 양도를 위장하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940년 2월, 매각 합의가 체결될 당시 Lützow|뤼초de는 브레멘에서 장비 설치 작업 중이었다. 함선의 주포는 이미 독일 육군으로 이전되어 철도포로 개조될 예정이었으나, 소련으로 인도하기 위해 다시 해체하여 브레멘으로 돌려보내야 했다. 1940년 4월 15일, 독일의 민간 예인 회사에 의해 레닌그라드로 예인되기 시작했다.[7] 양국 해군은 예인 작전 중 독일 구축함과 소형 선박을 포함한 해군 호위를 독일이 담당하기로 합의했으며, 오토 파이게 소장이 작전을 지휘했다.[9] 파이게 소장은 이후 함선 완공을 위한 소련의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파견된 독일 기술 자문 위원회를 이끌게 되었다.[6] 소련 측에서는 레닌그라드의 오르조니키제 기념공장(제189조선소)에서 독일 기술자들의 지도로 건조 작업을 재개하여 1942년경 완성을 목표로 했다.[6]
3. 2. 소련 해군 시기 (1940-1958)
1939년 독소 불가침 조약 체결 이후, 독일은 미완성 상태였던 중순양함 뤼초를 소련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1940년 2월 매각 계약이 체결되었고[6], 함선은 레닌그라드의 오르조니키제 기념공장(제189조선소)으로 예인되었다. 4월 15일부터 독일 기술진의 도움을 받아 건조 작업이 재개되었다.1940년 9월 25일, 함명은 Петропавловск|페트로파블로프스크ru로 변경되었다[7]. 1941년 6월 독소전쟁이 발발했을 당시 함선의 완성도는 약 70%(일부 자료에서는 51%[7]) 수준이었다. 미완성 상태였지만, 페트로파블로프스크는 최소한의 운용 능력을 갖춘 것으로 판단되어 1941년 8월 15일에 실전에 배치되었다[7]. 부유 포대로서 레닌그라드 포위전에 참가하여 독일군을 향해 포격을 가했다. 그러나 1941년 9월 17일, 독일군의 포격을 받고 크게 파손되어 항구 내에서 침수 후 좌초되었다[9]. 이후 1942년 4월 초에는 독일 공군의 공습으로 추가적인 손상을 입었다.
1942년 9월 10일(혹은 17일[10])에 인양되어[10] 수리를 위해 크론시타트로 옮겨졌다. 주포 3문만 사용 가능한 상태로 부분적인 수리를 마친 후 다시 전선에 복귀했다[10]. 1944년 1월, 붉은 군대가 독일군의 레닌그라드 포위를 돌파하는 전투에서 화력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같은 해 9월 1일에는 함명이 Таллин|탈린ru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함선의 상태를 점검한 결과 대부분의 기계와 장비가 수리 불가능할 정도로 손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획한 독일 순양함 자이틀리츠의 부품을 이용해 완공하자는 제안도 있었으나[10] 실현되지 않았고, 결국 함선 완공은 포기되었다. 이후 정박 훈련함으로 사용되다가, 1953년 3월 11일에는 Днепр|드녜프르ru로 개명되고 연습함으로 함종이 변경되었다. 1956년 12월부터는 해상 막사로 개조되어 PKZ-112 (ПКЗ-112ru)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최종적으로 1958년 4월에 제적되었으며, 1959년에서 1960년 사이에 해체된 것으로 추정된다.
4. 평가 및 영향
독소 불가침 조약 체결 이후, 건조 중이던 뤼초는 1940년 11월 소련에 미완성 상태로 매각되었다.[6] 이는 당시 독일과 소련 간의 협력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였으며, 소련은 이 함선을 통해 독일의 선진적인 해군 기술을 습득하고자 했다. 레닌그라드로 예항된 뤼초는 '페트로파블로프스크'(Петропавловскru)로 개명되었고[7], 독일 기술자들의 지도 아래 건조가 재개되었다.
그러나 1941년 독소전쟁이 발발하면서 독일 기술자들이 철수하고 함선의 건조는 중단되었다. 당시 완성도는 약 70% 정도였으나[7], 최소한의 운용 능력을 갖춘 상태로 판단되어 부유 포대로서 레닌그라드 포위전에 투입되었다.[7][9] 페트로파블로프스크는 레닌그라드를 방어하는 과정에서 독일군을 향해 포격을 가했으나, 1941년 9월 독일군의 포격과 폭격으로 큰 피해를 입고 침몰했다.[9] 이후 1942년 인양되어 수리를 거쳐 다시 전선에 복귀했으며, 1944년 레닌그라드 해방을 위한 붉은 군대의 공세를 지원했다.[10]
뤼초(페트로파블로프스크)는 비록 완공되지 못했지만, 소련 해군에게 중요한 기술적 영향을 미쳤다. 소련 해군은 이 함선의 용접 구조 선체, 장갑 배치 방식, 신형 고온 증기 보일러, 10.5cm 연장 고각포 등의 설계를 통해 독일의 함선 건조 기술을 습득하고 자국 해군 기술 발전에 활용했다.[8] 특히, 뤼초의 설계 개념은 이후 소련의 스탈린그라드급 순양전함(프로젝트 82) 설계에 영감을 준 것으로 평가된다.
전후 뤼초는 '탈린'(Таллинru), '드녜프르'(Днепрru), 'PKZ-112'(ПКЗ-112ru) 등으로 여러 차례 이름이 바뀌며 연습함, 병영선 등으로 사용되다가 1958년 4월 제적되었고, 1960년경 해체되었다. 결국 뤼초는 원래 설계된 중순양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건조 중 타국에 매각되어 미완성 상태로 전쟁에 참여하고 전후에는 보조적인 역할에 머무른 독특한 이력을 남기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獨逸海軍の新鋭艦進水
https://hojishinbun.[...]
Shin Sekai Asahi Shinbun, 1939.07.03
2024-11-02
[2]
서적
ドイツ海軍の重巡洋艦 1939-1945
[3]
간행물
同盟時事月報第3巻第19号(通号074号)(防衛省防衛研究所)
https://www.jacar.ar[...]
[4]
웹사이트
獨巡洋艦進水式
https://hojishinbun.[...]
Manshū Nichinichi Shinbun, 1939.07.03
2024-11-02
[5]
뉴스
質と魂の最新鋭海軍 封鎖突破は朝飯前~リーツマン大佐の豪語(中略)重巡洋艦 五隻 一〇,〇〇〇 リュッツォ級 内三隻竣工 二隻未竣工(以下略)
https://hojishinbun.[...]
Singapōru Nippõ, 1939.10.25
2023-06-03
[6]
서적
幻のソ連戦艦建造計画
[7]
서적
ソ連/ロシア巡洋艦建造史
[8]
서적
幻のソ連戦艦建造計画
[9]
서적
幻のソ連戦艦建造計画
[10]
서적
幻のソ連戦艦建造計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