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경 92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경 92도는 북극점에서 시작하여 남극점으로 이어지는 경선으로, 러시아, 몽골, 중국, 인도, 부탄, 방글라데시를 지나 인도양과 남극해를 통과한다. 러시아의 세베르나야 제믈랴 제도,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인도의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등을 지나며, 남극해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드라이갈스키 섬 서쪽을 통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선 - 파리 자오선
파리 자오선은 파리 천문대를 기준으로 하는 자오선으로, 프랑스에서 지도의 기준으로 사용되었고 지구 크기 측정과 미터법 정의에 기여했으나, 그리니치 자오선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된 후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일부 지도나 예술 작품에 활용된다. - 경선 - 경도 180도
경도 180도는 북극점에서 남극점까지 이어지는 지리 좌표의 한 종류이며, 러시아, 피지, 남극 대륙 등을 통과하고, 열대 저기압 명칭 구분 기준이 되며, 지리 데이터 처리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동경 92도 | |
---|---|
개요 | |
종류 | 경선 |
위치 | 동경 92도 |
통과 지역 | 북극해, 러시아, 몽골, 중국, 인도, 방글라데시, 인도양, 남극해, 남극 |
상세 정보 | |
북극해 | 90 |
러시아 | 80 |
카라 해 | 79 |
러시아 | 77 |
카라 해 | 77 |
러시아 | 75 |
몽골 | 50 |
중화인민공화국 | 45 |
인도 | 27 |
중화인민공화국 | 27 |
부탄 | 27 |
인도 | 26 |
방글라데시 | 25 |
인도 | 24 |
방글라데시 | 23 |
인도양 | 21 |
안다만 제도 | 11 |
남극해 | 60 |
드라이갈스키 섬 | 65 |
남극 | 66 |
2. 통과 지역
북극점에서 시작하여 남극점으로 향하는 동경 92도선은 여러 국가와 해역을 통과한다.
북극점에서 출발하여 북극해를 지나 러시아의 세베르나야 제믈랴 제도(슈미트 섬 동쪽, 콤소몰레츠 섬, 피오네르 섬, 세도프 제도)와 키로프 섬을 통과하고, 카라해를 건넌다. 이후 러시아 본토(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투바 공화국)를 지나 남하한다.
아시아 대륙에서는 몽골을 거쳐 중화인민공화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칭하이 성, 티베트 자치구를 통과한다. 이후 히말라야 산맥 지역으로 접어들어 인도의 아루나찰프라데시 주(중화인민공화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지역), 부탄, 다시 인도의 아삼 주와 메갈라야 주, 방글라데시, 인도의 트리푸라 주, 그리고 다시 방글라데시를 차례로 지난다.
남쪽으로 계속 이동하여 인도양으로 들어서며, 인도의 안다만 제도 바로 서쪽을 통과한다. 더 남하하면 남극해에 도달하고, 오스트레일리아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드리갈스키 섬 서쪽을 지나 최종적으로 남극 대륙의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지역에서 끝난다.
2. 1. 북극
북극점에서 시작하여 남쪽으로 남극점을 향해 가는 동경 92도선은 먼저 북극해를 지난다. 이 경선은 러시아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의 세베르나야 제믈랴 제도에 속한 슈미트 섬 바로 동쪽을 통과한다. 이후 같은 제도의 콤소몰레츠 섬, 피오네르 섬, 세도프 제도를 지나 카라해로 들어선다. 카라해를 건너 키로프 섬을 통과하고, 다시 카라해를 지나 남쪽으로 계속된다.2. 2. 아시아
투바 공화국칭하이 성
티베트 자치구
메갈라야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