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벨라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벨라루스는 19세기 말 벨라루스인이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한 지역 중 하나로, 현재 벨라루스 영토의 동쪽 부분을 지칭한다. 1917년 이전에는 러시아 제국에 속했으며, 서부 벨라루스와 달리 벨라루스 민족주의 발전이 정치적 무관심으로 인해 방해받았다. 2월 혁명 이후 벨라루스 민족 의식이 확산되었고, 10월 혁명과 제1차 전(全) 벨라루스 회의를 거치며 동부와 서부 벨라루스는 정치적 노선에 따라 분열되었다. 1921년 리가 조약으로 동부 벨라루스는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고, 서부 벨라루스와는 다른 농민 기반의 민족주의 형태를 발전시켰다. 1991년 벨라루스 독립 이후 동부와 서부 간의 분열은 정치적 문제로 남아있으며, 동방 정교회가 우세한 종교적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라루스의 역사적 지역 - 빌뉴스 지역
    빌뉴스 지역은 리투아니아와 폴란드 간 분쟁 지역으로, 현재는 리투아니아와 벨라루스 국경에 걸쳐 있으며, 역사적으로 민족 구성 변화와 영토 분쟁을 겪었다.
  • 벨라루스의 역사적 지역 - 폴레시아
    폴레시아는 동유럽 평원 서부에 위치한 늪과 숲으로 이루어진 지대로, 폴란드,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러시아에 걸쳐 있으며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과 함께 체르노빌 사고의 영향 및 생태계 보존 가치를 지닌 지역이다.
동벨라루스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국가벨라루스
지역역사적 지역
현재 일부민스크, 민스크 (일부), 마힐료우, 비켑스크 (일부) 주
명칭
벨라루스어(우스호드냐야 벨라루시)
러시아어Восточная Белоруссия (보스토치나야 벨로루시야)
시각 자료
1939년 폴란드에서 소련이 합병한 영토 (주황색 음영으로 표시)와 함께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벨로루시 SSR (녹색)의 행정 구역, 현재 벨라루스 영토와 겹쳐짐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벨로루시 SSR (녹색)의 행정 구역, 1939년 폴란드에서 소련이 합병한 영토 (주황색 음영으로 표시), 현재 벨라루스 영토와 겹쳐짐

2. 역사

역사학자 그리고리 이오페는 동벨라루스가 19세기 말 '벨라루스인'이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한 지역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 같은 시기 서벨라루스인들은 스스로를 리트빈이라 불렀고, 폴레시아 주민들은 폴레슈크라고 칭했다.[1]

2. 1. 벨라루스 민족주의 발전

동부 벨라루스의 벨라루스 민족주의 신문인 ''''의 창간호


1917년 이전, 동부 벨라루스는 러시아 제국의 민스크 현, 모길료프 현, 비테프스크 현에 속해 있었다. 민족 의식이 강했던 서부 벨라루시와 달리, 동부 벨라루시의 벨라루스 민족주의 발전은 정치적 무관심과 벨라루스 민족주의 운동의 기반을 형성했던 가톨릭 지식인과의 연관성 부족으로 인해 방해받았다. 1915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벨라루스가 동부와 서부로 분할되어 서부가 독일 제국 육군에 점령되면서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했다. 그 결과, 동부 벨라루시는 폴란드 난민과 러시아 제국군의 비 벨라루스계 군인들의 유입으로 압도되었다.[2]

동부 벨라루시에서 벨라루스 민족 의식을 확산시키는 과정은 2월 혁명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야제프 로시크는 1917년 5월 28일 빌뉴스에 기반을 둔 ''Nasha Niva''의 동부판으로 ''Вольная Беларусь|볼나야 벨라루스be''를 창간했다. 동부 벨라루시의 벨라루스 민족주의 발전은 안톤 루츠케비치와 같은 벨라루스 민족주의 지도자들이 지원한 연극의 영향도 받았다.[3]

10월 혁명과 그에 따른 제1차 전(全) 벨라루스 회의는 벨라루스 민족주의의 급속한 발전을 이끌었고, 동부와 서부 벨라루시는 정치적 노선에 따라 분열되었다. 벨라루스 사회주의자 집회는 동부 벨라루시에서 지배적인 정당이 되었고, 벨라루스 기독교 민주주의는 서부 벨라루시의 주요 정당이 되었다. 이러한 분열은 또한 러시아로부터의 완전한 분리를 선호하는 세력(서부 벨라루스인 사이에서 인기 있는 아이디어)과 러시아와의 임시 연합을 지지하는 세력(주로 동부 벨라루스 출신 정치인들이 지지) 사이의 분열로 나타났다. 그러나 볼셰비키가 회의를 습격했을 때,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을 선포하는 데 만장일치로 합의했다.[4]

2. 2. 소비에트 연방 시기

1927년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문장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은 오래 지속되지 못했고, 1921년 리가 조약에 따라 국토가 소련과 제2 폴란드 공화국으로 나뉘었다. 동부 벨라루스는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고, 서부 벨라루스는 폴란드의 크레시 지역 일부가 되었다.[5]

동부 벨라루스는 서부 벨라루스와는 다른 형태의 벨라루스 민족주의를 발전시켰다. 서부의 민족주의가 지식인을 중심으로 한 것과 달리, 동부에서는 농민에 기반한 민족주의가 나타났다. 이러한 동부 민족주의는 대숙청 기간 동안 억압받고 파괴되었다. 벨라루스 소비에트 파르티잔, 파르티잔 사령관이자 정치인이었던 표트르 마셰로프, 록 밴드 페스냐리, 벨라루스 국기, 그리고 친러시아주의와 같은 농민층에서 비롯된 벨라루스 민족주의의 주요 상징들은 오늘날에도 동부 벨라루스 민족주의와 관련이 있다.[6]

제2차 세계 대전 중 동부 벨라루스에서는 대규모 유대인 저항 운동이 일어났다. 동부 벨라루스의 유대인 인구는 홀로코스트로 인해 대부분 학살되었지만, 살아남은 유대인들은 문서 위조, 비유대인과의 거래, 무장 투쟁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치즘에 적극적으로 저항했다.[7] 전쟁이 끝난 후 스탈린 사망 시기, 미하일 지먀닌은 동부와 서부 벨라루스의 상황에 대한 보고서를 통해 공화국 동부 지역에 서부보다 민족 벨라루스인이 더 많이 거주한다고 언급했다. 지먀닌은 또한 1952년 동부 벨라루스의 콜호스 노동자 평균 일일 임금이 37 코페이카와 곡물 1kg, 감자 1.4kg였다고 기록했다. 이는 평균 27 코페이카, 곡물 1.3kg, 감자 0.5kg를 받았던 서부 벨라루스 콜호스 노동자의 임금보다 높은 수준이었다.[8]

2. 3. 1991년 독립 이후

1991년 벨라루스가 독립한 이후, 서부 벨라루스와 동부 벨라루스 사이의 분열은 정치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남아 있다. 특히 1994년 벨라루스 대통령 선거는 동부 출신인 알렉산드르 루카셴코와 서부 출신인 즈뱌논 파즈냑, 스타니슬라우 슈슈케비치 사이의 지역적 갈등 양상을 보여주었다.[9] 이 선거에서는 결국 루카셴코가 승리하였는데, 그는 집권 이후 벨라루스 민족주의의 동부적 시각을 대변하거나 벨라루스와 러시아의 통합을 지지하는 등 다양한 행보를 보여왔다.[10]

3. 종교

폴로츠크 시노드를 통해 루테니아 유니에이트 교회가 해산된 이후, 동벨라루스는 서벨라루스에서 우세한 가톨릭교회보다는 동방 정교회의 영향력이 더 강해졌다.[11] 특히 1990년대 이후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졌는데, 벨라루스의 종교 역사가인 빅타르 스타라스첸카는 이 시기 동벨라루스에서 "종교 부흥"이 있었다고 평가했다.[12] 루카셴코 대통령은 때때로 동방 정교회 신자들의 정서에 호소하며 자신을 "정교회 무신론자"라고 칭하기도 했고, 가톨릭교회에 대해 비판적인 발언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오페(Ioffe)는 벨라루스인들 사이에서 무신론이 증가하고 개신교가 성장함에 따라, 이러한 종교 문제가 과거에 비해 덜 중요해졌다고 분석했다.[11]

참조

[1] 논문 Understanding Belarus: Belarusian Identity https://www.jstor.or[...] 2003-12
[2] 논문 Between Local and National: the Case of Eastern Belarus in 1917 https://brill.com/do[...]
[3] 논문 Between Local and National: the Case of Eastern Belarus in 1917 https://brill.com/do[...]
[4] 웹사이트 Пачатак беларускай дзяржаўнасці https://budzma.org/n[...] 2015-01-06
[5] 문서 Treaty of Peace between Poland, Russia and the Ukraine
[6] 논문 Understanding Belarus: Belarusian Identity https://www.jstor.or[...] 2003-12
[7] 논문 The Resistance of the Jewish Population of Eastern Belarus to the Nazi Genocide in 1941–1944 2019-01-01
[8] 논문 De-Stalinisation and Insubordination in the Soviet Borderlands: Beria's Attempted National Reform in Soviet Belarus 2021-03
[9] 뉴스 Стагодзьдзе Машэрава: народны герой ці выканаўца волі Крамля https://www.svaboda.[...] 2018-02-10
[10] 뉴스 Кроў і таямніцы Маршу Свабоды '99 – архіўнае відэа https://nashaniva.co[...] 2012-06-23
[11] 논문 Understanding Belarus: Belarusian Identity https://www.jstor.or[...] 2003-12
[12] 서적 Восточная Беларусь в конфессиональном измерении https://libr.msu.by/[...] Mogilev State Universi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