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아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돼지아목(Suina)은 소목에 속하는 하위 분류로, 멧돼지과, 페커리과, 하마과를 포함한다. 해부학적으로 윗앞니를 가지며, 큰 어금니는 둔두형이고 송곳니가 발달한 특징을 보인다. 현생종은 21종으로 돼지과와 페카리과로 나뉘며, 멸종된 사니테리움과도 포함된다. 돼지아목은 멧돼지상과에 속하며, 계통 분류상으로는 낙타과, Cetruminantia와 연관된다. 돼지아목은 점신세에 북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 분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목 - 반추동물
반추동물은 되새김질을 통해 식물을 소화하며, 4개의 위를 가진 반추아목과 3개의 위를 가진 낙타아목으로 분류된다. - 소목 - 우제류
우제류는 짝수 발가락을 가진 포유류로, 소, 사슴, 돼지, 하마, 낙타, 기린, 고래 등을 포함하며 오세아니아와 남극 대륙을 제외한 전 세계 다양한 환경에 분포한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돼지아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Suina |
명명자 | Gray, 1868 |
화석 범위 | 후기 에오세 ~ 홀로세 |
하위 분류 계급 | 속 및 과 |
하위 분류 | †Egatochoerus †Odoichoerus †Siamochoerus 페커리상과 †Doliochoeridae 페커리과 멧돼지상과 J.E. Gray, 1868 †Sanitheriidae 멧돼지과 |
다른 이름 | |
학명 | Suiformes Jaekel, 1911 |
일본어 이름 | 猪豚亜目 (이토나아목) |
분류학적 정보 | |
상위 목 | 鯨偶蹄目 (Cetartiodactyla) |
계통군 | Artiofabula |
2. 해부학적 특징
돼지아목은 염소, 사슴과 같은 다른 우제류와 해부학적으로 차이가 있는데, 윗앞니의 유무가 다르다. 돼지아목은 윗앞니를 가지고 있지만, 염소나 사슴과 같은 다른 우제류는 아래 앞니밖에 없다.
돼지아목에는 다음의 하위 분류군이 있다.
외견은 전반적으로 멧돼지와 비슷하다.[10][11][12] 기본적으로 큰어금니는 둔두형(bunodont)이며, 잡식성에 적응하고 있다.[10][15] 현생종에서는 송곳니가 매우 발달하여 큰 엄니가 되어 있다.[10][11][12][15] 또한, 포유류의 기본적인 이빨 수를 갖추고 있다.[10] 현생의 돼지아목은 위가 3실 또는 1실만 가지고 있다.[10] 비골이 발달하여 주둥이가 길어지고, 그곳에 신경이 집중되어 후각이 매우 발달해 있다.[10] 사지는 짧고[15], 발가락은 각각 4개 있지만, 현생종에서는 2개(제3지, 제4지)가 기능적이며, 나머지 2개는 퇴화 경향에 있다.[15][13]
3. 하위 분류
과 속 종 수 멧돼지과 페커리과
다음과 같은 현생 2과와 멸종 1과(† 표시)가 분류되며, 그 외에 *에가토케루스*(Egatochoerus), *오도이케루스*(Odoichoerus), *시아모케루스*(Siamochoerus), *후아시아케루스*(Huaxiachoerus) 등 속이 불명확한 멸종 속이 포함된다.[23]
4. 계통 분류
2009년 스폴딩(Spaulding)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24]
{| class="wikitable"
|-
| 우제목/경우제목
|-
|
{| class="wikitable"
|-
| 낙타과
|-
! 전찬류
|-
|
{| class="wikitable"
|-
! 돼지아목
|-
|
|-
! 경반추류
|-
|
{| class="wikitable"
|-
! 반추류
|-
|
{| class="wikitable"
|-
| 작은사슴과
|-
! 진반추류
|-
|
{| class="wikitable"
|-
| 가지뿔영양과
|-
| 기린과
|-
|
{| class="wikitable"
|-
| 사슴과
|-
|
|}
|}
|}
|-
! 경하마형류/경요치류
|-
|
|}
|}
|}
|}
돼지아목(소목 내 위치)은 다음 분지도로 나타낼 수 있다.[1][2][3][4][5]
{| class="wikitable"
|-
! 소목
|-
|
{| class="wikitable"
|-
| 낙타과 (낙타)
|-
! Artiofabula
|-
|
{| class="wikitable"
|-
| '''돼지아목''' (돼지)
|-
! Cetruminantia
|-
|
{| class="wikitable"
|-
| 반추동물 (반추동물)
|-
! Cetancodonta/Whippomorpha
|-
|
하마과 (하마) ![]() |
고래목 (고래) |
|}
|}
|}
|}
돼지아목은 9개 속에 속하는 21종의 현존하는 종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6개 속에 속하는 18종을 포함하는 돼지과와 3개 속에 속하는 3종을 포함하는 페커리과로 나뉜다. 여기에는 잡종 종(예: 멧돼지-돼지 잡종)이나 멸종된 선사 시대 종은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외뿔돼지 한 종은 20세기에 멸종되었다.
과 | 속 | 종 수 | 이미지 |
---|---|---|---|
돼지과 (돼지) | 바비루사속 | 네 종 | ![]() |
숲돼지속 | 한 종 | ||
멧돼지속 | 두 종 | ||
히말라야돼지속 | 한 종 | ||
물돼지속 | 두 종 | ![]() | |
멧돼지속 | 아홉 종 | -- | |
페커리과 (페커리) | 콜로콜로 | 한 종 | |
페커리속 | 한 종 | ||
타야수속 | 한 종 |
{| class="wikitable"
|-
! '''돼지아목'''
|-
|
{| class="wikitable"
|-
! 돼지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멧돼지속 -- |
히말라야돼지속 |
|-
|
{| class="wikitable"
|-
| ''물돼지속''
|-
|
숲돼지속 |
멧돼지속 |
|}
|}
|}
|-
| ''바비루사속''
|}
|-
! 페커리과
|-
|
{| class="wikitable"
|-
| ''페커리속''
|-
|
타야수속 |
콜로콜로 |
|}
|}
|}
이전에는 발굽하목(核脚亜目)이나 반추하목보다 더 원시적인 그룹으로 여겨졌던 돼지형하목(猪型亜目) Suiformes가 묶여 있었고, 돼지형하목 중 원시적인 멸종 그룹을 고대돼지하목(パレオドゥス亜目) Palaeodonta로 분류하는 설도 있었다.[15] 돼지과 동물(猪豚類)은 돼지하목(イノシシ下目) Suina로 분류되었고, 외형적으로 유사하며 반추를 하지 않는 하마하목(カバ下目) Ancodonta(현생 하마과(カバ科)와 화석 안트라코테리움과(アントラコテリウム科)를 포함[7]) 등과 함께 돼지형하목의 하위에 위치했다.[14][15] 그러나 분자계통학적 DNA 분석 결과, 하마류는 돼지과 동물과 비교적 먼 관계이며, 그 자매군은 고래류(鯨類)이고, 또한 하마류와 고래류의 자매군은 반추하목(反芻亜目)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들은 Cetruminantia로 총괄된다).[16][17] Cetruminantia를 돼지하목의 자매군으로 보는 견해도 있으며, 이 분지군에는 Artiofabula라는 학명이 제시되어 있다.[17] 멸종한 엔텔로돈과(エンテロドン科) 등으로 구성되는 엔텔로돈상과(エンテロドン上科) Entelodontoidea도 돼지하목에 포함된다고 생각되었지만,[18][19][20] 2000년대 이후의 연구에서 엔텔로돈과는 Cetruminantia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21][22] 멧돼지상과(イノシシ上科)는 돼지하목에 포함되는 것이 확실한 계통이며, 현생 멧돼지과(イノシシ科)·페카리과(ペッカリー科) 외에 멸종한 Sanitheriidae과 등으로 구성된다.[7][23]
5. 분포
점신세에 페카리과가 북아메리카 대륙에 출현하였고, 같은 시기에 유럽에 멧돼지과가 출현하였다.[10][12] 선신세 후기에 파나마 지협이 형성되면서 페카리과가 남아메리카 대륙으로 진출하였다.[12] 중신세 후기에는 멧돼지과가 아프리카와 아시아로 분포를 넓혔다.[11] 과거 페카리과는 구대륙에도 분포했다고 생각되었으나, 후속 연구에 의해 구대륙의 화석종은 모두 멧돼지과 또는 속하지 않은 과로 여겨지고 있다.[12]
참조
[1]
논문
A higher-level MRP supertree of placental mammals
[2]
논문
The Placental Mammal Ancestor and the Post-K-Pg Radiation of Placentals
[3]
논문
Resolving conflict in eutherian mammal phylogeny using phylogenomics and the multispecies coalescent model
[4]
논문
Phylogenomic datasets provide both precision and accuracy in estimating the timescale of placental mammal phylogeny
[5]
논문
Inferring the mammal tree: Species-level sets of phylogenies for questions in ecology, evolution, and conservation
[6]
서적
Taxonomy of Australian Mammals
CSIRO Publishing
[7]
서적
Mammals of Africa
Bloomsbury Publishing
[8]
논문
哺乳類分類における高次群の和名について
[9]
논문
哺乳類の高次分類群および分類階級の日本語名称の提案について
[10]
서적
脊椎動物の進化 原著第5版
築地書館
[11]
서적
新版 絶滅哺乳類図鑑
丸善
[12]
서적
新版 絶滅哺乳類図鑑
丸善
[13]
서적
哺乳類の進化
東京大学出版会
[14]
논문
有蹄類にみられる順位と社会構造
[15]
논문
偶蹄目の進化
[16]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artiodactyls and cetaceans as deduced from the comparison of cytochrome b and 12S rRNA mitochondrial sequences
[17]
논문
Towards Resolving the Interordinal Relationships of Placental Mammals
[18]
논문
A Functional Interpretation of the Masticatory System and Paleoecology of Entelodonts
[19]
서적
Systematics and Paleobiology of the Entelodontidae (Mammalia, Artiodactyla)
https://www.proquest[...]
Ph.D Dissertatio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20]
서적
The Evolution of Artiodactyl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1]
논문
Impact of increased character sampling on the phylogeny of Cetartiodactyla (Mammalia): combined analysis including fossils
https://onlinelibrar[...]
[22]
논문
Relationships of Cetacea (Artiodactyla) among mammals: increased taxon sampling alters interpretations of key fossils and character evolution
[23]
서적
The Evolution of Artiodactyl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4]
논문
Relationships of Cetacea (Artiodactyla) Among Mammals: Increased Taxon Sampling Alters Interpretations of Key Fossils and Character Evolu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