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되지빠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되지빠귀는 중간 크기의 참새목 조류이다. 수컷은 머리, 등, 날개가 청회색이고, 가슴과 옆구리는 주황색, 배는 흰색이며, 암컷은 잿빛 갈색을 띤다. 러시아 극동, 중국 동북부, 한국 등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부, 베트남 북부 등에서 월동한다. 나무가 많은 숲에서 서식하며, 과일과 곤충을 먹는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관심 필요 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참새목 - 흰배멧새
    흰배멧새는 몸길이 약 15cm의 동북아시아 작은 새로, 수컷은 흑백 줄무늬 머리와 검은 턱밑, 암컷은 엷은 색과 흰색 턱밑을 가지며, 관목지, 숲, 초지에서 풀씨와 곤충을 먹는다.
  • 참새목 - 쇠붉은뺨멧새
    쇠붉은뺨멧새는 유라시아 북부에 널리 분포하며 동남아시아 북부에서 월동하는 몸길이 12~14cm의 작은 멧새로, 평지 초지나 농경지 주변에 서식하며 씨앗을 주식으로 하고 번식기에는 곤충을 먹는 흔한 종이다.
  • 베트남의 새 - 동박새
    동박새는 인도네시아, 일본, 대한민국 등지에 분포하는 몸길이 약 12cm의 작은 새이며, 녹색 깃털과 흰색 눈 테두리가 특징이고, 꽃꿀, 과실, 곤충 등을 먹는 잡식성 조류이다.
  • 베트남의 새 - 검은머리갈매기
    검은머리갈매기는 여름에는 검은 머리, 겨울에는 흰색 바탕에 어두운 무늬를 가진 29~32cm 크기의 갈매기과 조류로, 짧고 검은 부리와 붉은 다리가 특징이며, 서식지 훼손으로 인해 IUCN 취약종, 한국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되지빠귀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되지빠귀
되지빠귀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참새목
지빠귀과
지빠귀속
되지빠귀 Turdus hortulorum
학명Turdus hortulorum
학명 명명Sclater, 1863년
한국어 이름카라아카하라 (カラアカハラ)
영어 이름Grey-backed Thrush
보전 상태상태: LC
기준: IUCN
분포
서식지한국, 중국

2. 생김새

되지빠귀는 중간 크기의 참새목 조류이다. 이 종은 암수딴색을 보여 수컷과 암컷의 생김새가 다르다.[2] 수컷은 등과 가슴 부분이 잿빛이고 옆구리는 주황색을 띠는 반면, 암컷은 등이 회색 또는 갈색이며 가슴에 어두운 반점이 있는 등 차이를 보인다.[2]

2. 1. 수컷

수컷은 머리 꼭대기부터 등, 꼬리까지 이어지는 몸 윗면과 날개가 짙은 청회색을 띤다. 턱은 흰색이며, 가슴은 잿빛이다.[2] 옆구리는 주황색이고 배와 몸 아랫면은 흰색이다.[2] 몸길이는 약 23cm이다.

2. 2. 암컷

전체적으로 수컷과 생김새가 유사하지만 검은색 턱선이 뚜렷하게 보이고 멱, 가슴, 옆구리에 검은 반점들이 있다.[2] 머리 부분부터 몸 윗면이 잿빛 갈색이며, 가슴과 옆구리 윗부분에도 검은 반점이 있다.

2. 3. 크기

몸길이는 20cm에서 23cm 사이이며,[2] 평균 무게는 66.7g (범위: 61g~69g)이다.[2][3]

3. 분포 및 서식지

되지빠귀는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며 주로 숲에서 생활하는 새이다. 러시아 극동 남부, 중국 동북부, 한국 등지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중국 남부나 동남아시아 북부 등지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먹이로는 과일곤충을 모두 먹는다.[5]

3. 1. 분포

러시아 극동 남부(연해주), 중국 동북부, 한국 등지에서 번식한다. 겨울에는 중국 남부, 베트남 북부, 인도차이나 반도 북부 등지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주로 나무가 많은 숲에서 서식한다.

일본에서는 드문 나그네새로 관찰되며, 주로 동해에 접한 섬들에서 기록된다. 일본 본토에서 월동한 기록도 있다.

3. 2. 서식지

러시아 극동 남부, 중국 동북부, 한국 등지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부, 베트남 북부 등에서 월동한다. 주로 나무가 많은 숲에 서식하며, 특히 구릉 지형의 활엽수림이나 상록수림에서 둥지를 틀고 먹이를 구한다. 해발 1100m 이상 고지대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4] 평지의 밝은 숲이나 초지에서도 서식한다.

4. 생태

평지의 밝은 이나 초지에 서식한다.

과일곤충을 모두 먹는다.[5]

울음소리는 "즈이 즈이", "시리릿"이다.

5. 보전 상태

되지빠귀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관심 필요 종으로 분류되어 있다.[6]

참조

[1] iucn Turdus hortulorum 2018
[2] book Birds of the World 2020
[3] book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CRC Press 2008
[4] journal Nest-site selection and nesting success of grey-backed thrushes in northeast China 2011
[5] journal Frugivory and seed dispersal by birds in Hong Kong shrubland https://www.research[...] 1998
[6] 간행물 Turdus hortulorum https://dx.doi.org/1[...]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