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딜쿠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딜쿠샤는 미국 출신 사업가 앨버트 테일러가 1923년 독립문 인근에 건축한 서양식 주택이다. 힌디어로 '기쁜 마음'을 뜻하는 딜쿠샤는 테일러의 아내가 붙인 이름으로, 일제강점기 테일러 부부가 거주하며 AP 통신 특파원 활동을 펼친 곳이다. 테일러 추방 후 방치되어 빈민들이 거주하다가, 2006년 테일러의 아들이 방문하여 진실이 밝혀졌다. 2016년에는 테일러의 손녀가 유물을 기증했으며, 2019년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원형 복원 및 문화재 지정을 목표로 개방을 추진했으나, 거주민과의 분쟁으로 2020년으로 연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3년 완공된 건축물 - 스톡홀름 시청사
    스톡홀름 시청사는 라그나르 외스트베리가 설계한 국민낭만주의 양식의 건축물로, 멜라렌호에 인접해 있으며, 노벨상 시상식 만찬이 열리는 푸른 방과 황금 방, 그리고 스웨덴 역사를 담은 106미터 높이의 탑이 특징인 20세기 건축의 걸작이다.
  • 1923년 완공된 건축물 -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은 1914년 설립된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12개 지역 연방준비은행 중 하나로, 중서부 지역의 경제 안정과 성장에 기여하며, 이사회와 총재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금융 교육에도 힘쓰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한강철교
    한강철교는 경부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을 잇는 서울 한강의 철교로, A, B, C, D선의 4개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철도 역사와 전쟁의 역사, 그리고 산업 발전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 한국의 독립운동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 한국의 독립운동 - 3·1 운동
    3·1 운동은 1919년 일본의 무단 통치에 저항하여 시작된 한국의 독립운동으로,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서 낭독을 시작으로 전국으로 확산되었으며, 일본의 무력 진압으로 많은 사상자를 냈지만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계기가 되었다.
딜쿠샤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복원 이전의 딜쿠샤 전경 ([[서울특별시]] [[종로구]])
복원 이전의 딜쿠샤 전경 (서울특별시 종로구)
기본 정보
이름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 (딜쿠샤)
영문 이름Seoul Albert Taylor House (Dilkusha)
종류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지정 번호687
지정일2017년 8월 8일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2길 17 (행촌동)
시대일제강점기
소유대한민국 정부
면적293.8m2
수량1동

2. 역사

이곳은 본래 행주대첩에서 큰 공을 세웠던 권율 장군의 집터였다.[3] 앨버트 테일러 부부는 1923년 이곳에 딜쿠샤를 건립했다. 딜쿠샤는 1926년 7월 26일 낙뢰 화재로 손상되기도 하였으나[2] 그 후 복구되었다. 1942년 앨버트 테일러가 일본 제국에 의해 추방될 때까지 이곳에서 거주하였다.

테일러 일가가 추방된 뒤 딜쿠샤는 한동안 자유당 의원 조경규가 소유했다. 1963년 조경규가 부정축재자로 지목되어 재산을 몰수당하면서 딜쿠샤도 대한민국 정부 소유로 넘어갔다. 이후 방치되어 빈민들이 무단 점유, 거주하는 집으로 전락하였다.[3]

딜쿠샤 부근은 옛 일화 오성과 한음에 나오는 감나무 사건이 일어난 장소로 추정되기도 하나, 현재 역사적인 보존물은 없는 상태이다.

2. 1. 건립 배경

이곳은 본래 행주대첩에서 큰 공을 세웠던 권율 장군의 집터로, 현재까지 건물 앞에는 당시부터 있던 수령 400년 이상된 은행나무가 있다.[3]

앨버트 테일러미국 출신의 광산업 및 무역업자였다. AP 통신은 1919년 고종의 승하 당시 이를 취재하기 위하여 조선에서 사업을 하던 그를 특파원으로 임명하였으며, 이후 테일러는 기업인인 동시에 통신사 특파원으로 활약하였다. 앨버트 테일러 부부는 1923년 독립문 인근의 언덕배기에 자리잡은 이곳에 붉은 벽돌로 영국식·미국식 건축법을 혼합하여[3] 2층 건물을 지었다. 건축 당시 이 건물은 서울에서 가장 규모가 큰 서양식 주택이기도 했다.[3] 집의 별칭인 딜쿠샤는 테일러의 아내 메리 린리 테일러의 뜻에 따라 붙인 것으로, 페르시아어로 '기쁜 마음'을 뜻하며, 인도 북부 러크나우 지역 곰티 강 인근에 자리잡은 딜쿠샤 궁전(인도의 영국 식민지 시대에 영국인들이 세운 바로크식 여름 사냥 별장)에서 이름을 따왔다.

2. 2. 일제 강점기와 광복 이후

이 곳은 본래 행주대첩에서 큰 공을 세웠던 권율 장군의 집터로, 현재까지 건물 앞에는 당시부터 있던 수령 400년 이상된 은행나무가 있다.

앨버트 테일러 부부는 1923년 독립문 인근의 언덕배기에 자리잡은 이곳에 붉은 벽돌로 영국식·미국식 건축법을 혼합하여[3] 2층 건물을 지었다. 건축 시점에서 이 건물은 서울에서 가장 규모가 큰 서양식 주택이기도 했다.[3] 집의 별칭인 딜쿠샤는 테일러의 아내 메리 린리 테일러의 뜻에 따라 붙인 것으로, 페르시아어로 '기쁜 마음'을 뜻하며, 인도 북부 러크나우 지역 곰티 강 인근에 자리잡은 딜쿠샤 궁전에서 이름을 따왔다. 이 집은 1926년 7월 26일 낙뢰 화재로 손상되기도 하였으나[2] 그 후 복구되었으며, 1942년 일본 제국의 자국령 내 외국인 추방 조치에 의해 조선에서 추방될 때까지 앨버트 테일러는 이 곳에서 거주하였다.

테일러 일가가 추방된 뒤 이 주택은 한동안 자유당 의원 조경규가 소유했다. 1963년 그는 부정축재자로 지목되어 재산을 몰수당했는데 이 때 딜쿠샤도 대한민국 정부 소유로 넘어갔으며 이후 방치되어 빈민들이 무단 점유, 거주하는 집으로 전락하였다. 인근 주민들은 이 건물을 '은행나무집'으로 부르기도 했다.[3]

부근에 권율 장군 집터가 있고, 옛 일화 오성과 한음에서 감나무가 누구 것이냐고 문을 뚫고 손을 들이민 사건이 권율 집에서 일어난 것으로 보아 딜쿠샤 부근이 이 이야기의 장소로 추정되는 듯하나 역사적인 보존물은 현재 없는 상태이다.

3. 발굴 과정

딜쿠샤는 오랫동안 대한매일신보의 사옥으로 추정되어 서울특별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 및 언론박물관 조성이 추진되었으나, 건물 기초에 새겨진 'DILKUSHA 1923' 명문의 진위가 밝혀지지 않아 사업이 중단되었다. 2006년 2월, 앨버트 테일러의 아들 브루스 테일러가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딜쿠샤에 관한 사실을 밝히면서 알려지게 되었다.[6] 브루스 테일러는 서울특별시로부터 명예 시민증을 받고, 서울 사진 17점을 기증하였다.[6]

2016년 3월, 브루스 테일러의 딸 제니퍼 테일러는 조부모의 유품 등 총 3102점을 서울역사박물관에 기증하였다. 이 중에는 일제 강점기에 촬영된 딜쿠샤 내부 사진이 있어 복원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7][8]

3. 1. 대한매일신보 사옥 오인

오랫동안 이곳은 양기탁어니스트 베델이 함께 발행한 대한매일신보의 사옥으로 추정되어 왔고, 1995년부터 서울특별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 및 언론박물관 조성이 추진되어 왔다.[4] 그러나 건물 기초에 새겨진 'DILKUSHA 1923'이라는 명문의 진위를 밝히지 못해 사업이 중단되었다가, 앨버트 테일러의 아들 브루스 테일러(1919년 2월 28일 ~ 2015년 4월 19일[5])가 2006년 2월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이 집에 관한 정확한 사실을 밝히면서 모든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6] 브루스 테일러는 서울특별시로부터 명예 시민증을 받았고, 소장하고 있던 서울 사진 17점을 서울특별시에 기증하였다.[6]

이후 2016년 3월에는 브루스 테일러의 딸인 제니퍼 테일러(1958년 ~ )가 대한민국을 방문, 조부모의 유품과 딜쿠샤 거주 당시 소장품 등 총 3102점을 서울역사박물관에 기증하였다. 이들 중에는 일제 강점기에 촬영된 딜쿠샤 내부 사진이 있어 딜쿠샤를 복원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7][8]

3. 2. 진실 규명과 테일러 가족

오랫동안 이곳은 양기탁어니스트 베델이 함께 발행한 대한매일신보의 사옥으로 추정되어 1995년부터 서울특별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 및 언론박물관 조성이 추진되어 왔다.[4] 그러나 건물 기초에 새겨진 'DILKUSHA 1923'이라는 명문의 진위를 밝히지 못해 사업이 중단되었다. 이후 앨버트 테일러의 아들 브루스 테일러(1919년 2월 28일 ~ 2015년 4월 19일[5])가 2006년 2월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이 집에 관한 정확한 사실을 밝히면서 모든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6] 브루스 테일러는 서울특별시로부터 명예 시민증을 받았고, 소장하고 있던 서울 사진 17점을 서울특별시에 기증하였다.[6]

2016년 3월에는 브루스 테일러의 딸인 제니퍼 테일러(1958년 ~ )가 대한민국을 방문, 조부모의 유품과 딜쿠샤 거주 당시 소장품 등 총 3102점을 서울역사박물관에 기증하였다. 이들 중에는 일제 강점기에 촬영된 딜쿠샤 내부 사진이 있어 딜쿠샤를 복원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7][8]

4. 복원 및 개방

서울특별시기획재정부, 문화재청, 종로구2016년 2월 26일 딜쿠샤의 보존, 관리 및 활용을 위한 양해 각서를 체결하였다. 이에 따르면 2019년까지 정부와 서울시의 공동 부담으로 딜쿠샤를 원형으로 복원하고, 문화재로도 지정하여 3.1 운동 100주년이 되는 2019년 민간에 개방할 예정이었다.[9][10] 그러나 서울시는 건물 내 잔류하던 거주민과의 법적 분쟁 때문에 개방 시기를 2020년으로 연기했다.[11][12]

참조

[1] 뉴스 「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딜쿠샤)」 등 4건 문화재 등록 http://www.cha.go.kr[...] 대한민국 문화재청 2017-08-08
[2] 뉴스인용 四處(사처)에落雷(낙뢰) 火災(화재)와感電(감전)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26-07-27
[3] 뉴스 3·1운동 알린 AP특파원 집 ‘딜쿠샤’ 복원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16-02-27
[4] 뉴스인용 항일유적지 8곳에 기념비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5-06-17
[5] 뉴스인용 한국을 사랑한 ‘미국인 3대 역사’ 막 내려… 딜쿠샤 지은 앨버트의 아들 브루스 테일러 타계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5-04-27
[6] 뉴스인용 3대 이은 파란 눈 ‘아이 러브 코리아’ http://www.hani.co.k[...] 한겨레 2006-02-05
[7] 뉴스인용 고난 속 한국 사랑하고 도운 외국인들 :‘딜쿠샤’ 주인 유품 74년 만에 귀환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6-03-11
[8] 뉴스인용 97주년 3·1절 : 제니퍼 테일러 "딜쿠샤 복원 내겐 큰 선물" https://web.archive.[...] 뉴시스 2016-03-11
[9] 뉴스인용 3·1운동과 일제 만행 전 세계에 알린 테일러의 가옥 ‘딜쿠샤’ 2019년 개방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6-03-11
[10] 뉴스인용 3·1 운동 세계에 알린 美특파원 집 '딜쿠샤' 복원한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6-03-11
[11] 웹인용 소송 장기화에 ‘딜쿠샤’ 개방 연기 http://www.hankookil[...] 2019-03-20
[12] 웹인용 3·1독립선언 광장·딜쿠샤 완성 못 한 서울시, 행사엔 11억원 '펑펑' http://www.metroseou[...] 2019-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