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은 2003년 발표된 라그나로크 온라인의 후속작으로, 3D MMORPG로 개발되었다. 2007년부터 한국에서 여러 차례의 베타 테스트를 거쳤으나, 게임의 낮은 완성도와 운영 문제로 인해 2010년 한국 서비스를 종료했다. 일본, 북미 등에서도 서비스되었지만, 2013년 개발팀 해산과 함께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라비티의 게임 - 라그나로크 온라인
라그나로크 온라인은 북유럽 신화를 바탕으로 3D 환경의 2D 캐릭터를 사용하는 MMORPG로, 다양한 게임 플레이 방식과 시스템을 갖추었으며, 2010년 리뉴얼을 통해 게임 시스템이 개편되었고, 62개국에서 서비스되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그라비티의 게임 - 악튜러스
악튜러스는 손노리가 제작한 게임으로, 바렌시아 대륙을 배경으로 왕국, 제국, 공화국의 갈등과 인간의 욕망 등을 다루며, 1999년 발매 예정이었으나 2000년에 출시되어 완성도와 뛰어난 줄거리로 호평을 받았다. - 라그나로크 온라인 - 마법신화 라그나로크
마법신화 라그나로크는 룬 미드가츠 왕국을 배경으로 로안과 유파가 다크 로드의 부활에 맞서 왕국을 구원하기 위한 여정을 떠나는 TV 애니메이션이며, 게임 내 이벤트 개최 및 관련 작품 발매가 이루어졌다. - 라그나로크 온라인 - 솔 에지 보이/기모노 제트 걸
솔 에지 보이/기모노 제트 걸은 남성 멤버의 디지털 록 넘버 〈솔 에지 보이〉와 여성 멤버의 〈기모노 제트 걸〉이 수록된 일본 음악 그룹의 싱글로, 〈솔 에지 보이〉는 온라인 게임 《라그나로크 온라인》의 이미지 송으로 사용되었으며, CD+DVD boys반, CD+DVD girls반, CD ONLY 버전으로 발매되어 각 버전마다 트랙리스트와 DVD 내용에 차이가 있다. -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 거상
거상은 다양한 부대를 활용한 전투, 용병 고용 및 장수 전직, 환수·신수 소환, 아이템 연마, 무도장 시스템, 경제 시스템, 상단 시스템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온라인 게임이다. -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 길드워 2
길드워 2는 아레나넷이 개발하고 엔씨소프트가 배급하는 MMORPG로, 5개의 종족과 9개의 직업을 선택하여 캐릭터를 생성하고, PvE, PvP, WvW 전투, 제작, 탐험, 레이드 콘텐츠와 엘더 드래곤과의 전투를 중심으로 티리아 대륙의 운명을 다루는 핵심 스토리를 즐길 수 있다.
|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장르 | MMORPG |
| 플랫폼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
| 엔진 | 언리얼 엔진 2.5 |
| 시리즈 | 라그나로크 시리즈 |
| 개발 | |
| 개발사 | 그라비티 팀 머큐리 |
| 유통 | |
| 배급사 | 그라비티 아시아소프트 레벨 업! |
| 출시 | |
| 오픈 베타 | 2007년 5월 28일 |
| 서비스 종료 | 2010년 8월 |
| 사양 | |
| CPU | 펜티엄 4 2Ghz(Intel Dual Core 2.0GHz 이상) |
| 램 | 1GB(2GB 이상) |
| 그래픽 카드 | GeForce 8600 이상, 256MB, Shader3.0(GeForce GTS250 이상, 512MB 이상) |
| 하드 디스크 | 14GB(20GB 이상) |
| DirectX | 9.0c |
| 기타 | |
| 게임 모드 | 멀티플레이어 |
| 작곡가 | 칸노 요코 |
| 이용 등급 | 12세 이용가 |
| 이전작 | 라그나로크 온라인 |
| 후속작 | 라그나로크 온라인 2: 레전드 오브 세컨드 |
| 입력 장치 | 키보드 마우스 |
| 다운로드 링크 | 클라이언트 다운로드 |
2. 개발
2007년 8월,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은 한국에서 첫 번째 비공개 베타 테스트(CBT)를 시작했다. 이 테스트는 게임의 안정성과 서버 환경을 점검하고, 초기 사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1차 CBT는 2007년 8월 10일부터 1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1만 명의 테스터가 참여했다.
이후 2008년 1월 29일부터 2월 7일까지 2차 CBT가 진행되었다. 2차 CBT에서는 1차 때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하고,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하여 게임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주력했다. 특히 캐릭터 밸런스 조정, 퀘스트 시스템 개선,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최적화 등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서버 안정성 테스트와 사용자 의견 수렴을 통해 게임 개발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2008년 5월 14일부터 18일까지는 파이널 CBT가 진행되었다. 이 테스트는 정식 서비스 직전의 최종 점검 단계로, 서버 부하 테스트와 함께 게임의 전반적인 완성도를 확인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파이널 CBT를 통해 게임의 문제점을 최종적으로 개선하고, 정식 서비스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파이널 CBT에서는 이전 CBT에서 수집된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게임의 밸런스, 콘텐츠, 시스템 등을 개선했다. 또한, 새로운 지역, 몬스터, 아이템 등을 추가하여 게임의 볼륨을 확장했다.
각 CBT 단계별로 서버 과부하, 잦은 튕김 현상, 퀘스트 버그 등 기술적인 문제들이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개발팀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정되었으며, 서버 증설 및 최적화를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사용자들은 기술적인 문제점들에 대해 불만을 제기했지만, 게임의 콘텐츠와 시스템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특히 《라그나로크 온라인》의 정통 후속작이라는 점과, 개선된 그래픽, 다양한 직업, 풍부한 콘텐츠 등에 대해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다.
그라비티의 리더십 변화와 게임에 대한 낮은 평가로 인해 개발이 지연되고 재작업이 진행되었다. 결국, '라그나로크 온라인 2: Legend of the Second'라는 이름으로 리메이크되었고, 이후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은 서비스를 종료했다.
2. 1. 발표
2004년 대한민국에서 열린 KAMEX에서 처음으로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이 공개되었다. 이 자리에서 게임의 트레일러가 처음 공개되며 많은 기대를 모았다. 이듬해인 2005년, 일본의 도쿄 게임 쇼에서는 대규모 캠페인이 진행되었으며, 게임 플레이 비디오가 공개되어 게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접할 수 있었다.2. 2. 베타 단계
2007년 8월,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은 한국에서 1차 비공개 베타 테스트(CBT)를 시작했다. 이 테스트는 게임의 안정성과 서버 환경을 점검하고, 초기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수집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1차 CBT는 2007년 8월 10일부터 1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1만 명의 테스터가 참여했다.이후, 2008년 1월 29일부터 2월 7일까지 2차 CBT가 진행되었다. 2차 CBT에서는 1차 때 발견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하여 게임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주력했다. 특히, 2차 CBT에서는 캐릭터 밸런스 조정, 퀘스트 시스템 개선,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최적화 등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2차 CBT 기간 동안 서버 안정성 테스트와 함께, 사용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게임 개발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2008년 5월 14일부터 18일까지는 파이널 CBT가 진행되었다. 이 테스트는 정식 서비스 직전의 최종 점검 단계로, 서버 부하 테스트와 함께 게임의 전반적인 완성도를 확인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파이널 CBT를 통해 게임의 문제점을 최종적으로 개선하고, 정식 서비스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파이널 CBT에서는 1차 및 2차 CBT에서 수집된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게임의 밸런스, 콘텐츠, 시스템 등을 전반적으로 개선했다. 또한, 새로운 지역, 몬스터, 아이템 등을 추가하여 게임의 볼륨을 확장했다.
각 CBT 단계별로, 서버 과부하, 잦은 튕김 현상, 퀘스트 버그 등 기술적인 문제들이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개발팀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정되었으며, 서버 증설 및 최적화를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사용자들은 게임의 기술적인 문제점들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는 한편, 게임의 콘텐츠와 시스템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특히, 《라그나로크 온라인》의 정통 후속작이라는 점과, 개선된 그래픽, 다양한 직업, 풍부한 콘텐츠 등에 대해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다.
2. 3. 현재 상황
그라비티의 리더십 변화와 게임에 대한 낮은 평가로 인해 개발이 지연되고 재작업이 진행되었다. 결국, '라그나로크 온라인 2: Legend of the Second'라는 이름으로 리메이크되었고, 이후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은 서비스를 종료했다.3. 줄거리
라그나로크 온라인 2의 줄거리에 대한 내용은 명확히 제시되지 않았지만, 게임의 주요 시스템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전투 중 자유롭게 직업을 변경하고 레벨을 올릴 수 있는 시스템을 통해, 플레이어는 전략적인 플레이를 할 수 있다. 레벨은 모든 직업에서 공유되어 다양한 직업을 경험하고 육성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었다. 캐릭터 레벨과 직업 레벨이 별도로 존재하며, 캐릭터 레벨 10이 되면 1차 전직을, 40이 되면 2차 전직을 할 수 있었다. 또한, 한번 선택한 직업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했다. 유연한 스탯 시스템과 스킬 그리드를 통해 플레이어는 자신만의 전투 스타일을 구축할 수 있다.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에서는 장비 레벨업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장비가 단순히 능력치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성장의 개념을 부여하여 게임 플레이에 새로운 동기를 부여하고자 도입되었다. 장비 레벨업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뉜다. 레벨업 타입 장비는 몬스터 사냥, 퀘스트 완료 등을 통해 얻는 경험치를 축적하여 레벨을 올릴 수 있다. 장비 레벨이 상승함에 따라 장비의 기본적인 능력치가 증가하고, 추가적인 능력 부여, 외형 변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성장한다. 비 레벨업 타입 장비는 일반적인 장비로, 레벨업 시스템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특정 퀘스트 보상, 제작 등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고정된 능력치를 제공한다. 주로 레벨업 타입 장비의 성장을 돕거나, 특정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장비 레벨업 시스템은 게임 내 경제에도 영향을 미친다. 레벨업 타입 장비는 수요가 높고, 그에 따라 가격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비 레벨업 타입 장비는 상대적으로 가격 변동이 적거나, 특정 재료의 수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된다.
4. 게임 플레이
라그나로크 온라인 2는 캐릭터 레벨과 직업 레벨이 별도로 존재하며, 캐릭터 레벨 10이 되면 1차 전직을, 40이 되면 2차 전직을 할 수 있었다. 전작과 달리, 직업 변경이 가능하도록 변경되었다.
라그나로크 온라인 2에서는 장비 레벨업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장비 레벨업 시스템은 장비가 단순히 능력치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성장의 개념을 부여하여 게임 플레이에 새로운 동기를 부여하고자 도입되었다. 장비 레벨업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뉜다.
- 레벨업 타입 장비: 몬스터 사냥, 퀘스트 완료 등을 통해 얻는 경험치를 축적하여 레벨을 올릴 수 있다. 장비 레벨이 상승함에 따라 장비의 기본적인 능력치가 증가하고, 추가적인 능력 부여, 외형 변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성장한다.
- 비 레벨업 타입 장비: 일반적인 장비로, 레벨업 시스템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특정 퀘스트 보상, 제작 등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고정된 능력치를 제공한다. 주로 레벨업 타입 장비의 성장을 돕거나, 특정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장비 레벨업 시스템은 게임 내 경제에도 영향을 미친다. 레벨업 타입 장비는 수요가 높고, 그에 따라 가격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비 레벨업 타입 장비는 상대적으로 가격 변동이 적거나, 특정 재료의 수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된다.
4. 1. 전문 직업 시스템
전투 중 자유롭게 직업을 변경하고 레벨을 올릴 수 있는 시스템을 통해, 플레이어는 상황에 맞춰 전략을 변경할 수 있다. 레벨은 모든 직업에서 공유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직업을 경험하고 육성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또한, 유연한 스탯 시스템을 통해 플레이어는 자신의 스타일에 맞는 캐릭터를 만들 수 있다. 스킬 그리드를 통해 각 직업의 고유한 스킬들을 선택하고 조합하여 자신만의 전투 스타일을 구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레이어는 더욱 깊이 있는 캐릭터 육성의 재미를 경험할 수 있다.
4. 2. 복잡한 직업 변경 시스템
캐릭터 레벨과 직업 레벨이 별도로 존재하며, 캐릭터 레벨 10이 되면 1차 전직을, 40이 되면 2차 전직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전작과 달리 한번 선택한 직업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했다.4. 3. 장비 레벨업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에서는 장비가 레벨업하는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장비 레벨업 시스템은 장비가 단순히 능력치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성장의 개념을 부여하여 게임 플레이에 새로운 동기를 부여하고자 도입되었다.장비 레벨업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뉜다.
- 레벨업 타입 장비: 몬스터 사냥, 퀘스트 완료 등을 통해 얻는 경험치를 축적하여 레벨을 올릴 수 있다. 장비 레벨이 상승함에 따라 장비의 기본적인 능력치가 증가하고, 추가적인 능력 부여, 외형 변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성장한다.
- 비 레벨업 타입 장비: 일반적인 장비로, 레벨업 시스템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특정 퀘스트 보상, 제작 등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고정된 능력치를 제공한다. 주로 레벨업 타입 장비의 성장을 돕거나, 특정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장비 레벨업 시스템은 게임 내 경제에도 영향을 미친다. 레벨업 타입 장비는 수요가 높고, 그에 따라 가격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비 레벨업 타입 장비는 상대적으로 가격 변동이 적거나, 특정 재료의 수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된다.
5. 종족
엘르는 노먼과 엘프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종족으로 알브헤임에 거주하며, 선조들의 유산인 '선조의 돌'을 활용한 독자적인 기술을 사용한다. 엘르 종족은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의 세계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들의 기술과 문화는 게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디마고는 거인족과 노먼의 혼혈 종족으로, 잠에서 깨어난 마법의 힘을 활용한다. 디마고는 역동적인 스킬 트리를 기반으로 전투를 벌인다.
5. 1. 노먼
노먼은 인간과 유사한 외형을 가진 종족으로, 직업 시스템을 활용하여 다양한 직업으로의 변경이 가능하며, 전문 기술을 습득하여 활용할 수 있다. 플레이어는 노먼 종족을 선택하여 게임을 시작하며, 게임 내에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캐릭터를 성장시키고,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다. 노먼은 라그나로크 온라인 2의 주요 종족 중 하나로, 게임의 세계관과 스토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5. 2. 엘르
엘르는 노먼과 엘프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종족이다. 이들은 알브헤임에 거주하며, 선조들의 유산인 '선조의 돌'을 활용한 독자적인 기술을 사용한다. 엘르 종족은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의 세계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들의 기술과 문화는 게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5. 3. 디마고
디마고는 거인족과 노먼의 혼혈 종족으로, 잠에서 깨어난 마법의 힘을 활용한다. 디마고는 역동적인 스킬 트리를 기반으로 전투를 벌인다.6. 특징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은 다양한 특징을 가진 게임이었다.
== 직업 ==
1차 직업은 모험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단계로, 검사, 마법사, 복사, 도둑, 궁수, 상인 등이 있었다. 이들은 각각 소드맨, 메이지, 프리스트, 어쌔신, 헌터, 머천트 등으로 불리며 고유한 능력과 플레이 스타일을 가지고, 캐릭터 성장의 기본 발판이 되었다.
- 검사: 뛰어난 방어력과 근접 공격 능력을 가진 직업.
- 마법사: 강력한 마법 공격으로 적을 제압.
- 복사: 아군을 치유하고 지원하는 능력.
- 도둑: 은신과 기습 공격에 특화.
- 궁수: 원거리 공격으로 적을 제압.
- 상인: 아이템 거래와 생산에 특화.
2차 직업은 1차 직업에서 전직을 통해 더욱 강력한 능력을 얻을 수 있는 단계였다.
- 검사는 기사 또는 광전사로 전직 가능.
- 마법사는 소서러 또는 위저드로 전직 가능.
- 복사는 프리스트 또는 몽크로 전직.
- 도둑은 어쌔신 또는 로그로 전직.
- 궁수는 헌터 또는 스나이퍼로 전직.
- 상인은 블랙스미스 또는 알케미스트로 전직.
== 프로페셔널 ==
모험 외에도 다양한 생업 시스템을 통해 프로페셔널의 길을 걸을 수 있었다. 프로페셔널은 연금술사, 장인, 대장장이, 요리사 등으로 나뉘었으며, 각 전문 분야에서 특정한 아이템 제작이나 특별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 연금술사: 연금술 전문가로, 포션, 엘릭서 등 다양한 소모성 아이템을 제작.
- 장인: 공예 기술을 활용하여 장비를 제작하거나, 장비의 성능을 향상.
- 대장장이: 무기 제작 및 수리 기술.
- 요리사: 요리를 통해 음식을 만들어, 버프 효과를 부여하거나 체력을 회복.
== 기타 시스템 ==
다양한 추가 시스템이 존재했다.
- 카드 시스템: 몬스터를 처치하여 카드를 획득, 장비에 장착하여 능력치를 향상.
- 펫 시스템: 펫은 플레이어의 모험을 돕는 존재로 다양한 능력과 외형.
- 감정 시스템: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여 다른 플레이어와의 상호 작용.
- 염색 시스템: 장비의 색상을 변경하여 개성을 표현.
- 변신 시스템: 특정 조건 만족 시 몬스터로 변신 가능.
- 칭호 시스템: 특정 업적 달성 시 칭호 획득.
- 코스튬 시스템: 다양한 코스튬을 착용하여 캐릭터 외형 변경.
- 거래 시스템: 경매장 시스템을 통한 안전한 아이템 거래.
- 길드 시스템: 길드원들과 함께 퀘스트를 수행하거나 길드 던전 참여.
- 결투 시스템: 다른 플레이어와 실력을 겨루는 결투.
-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캐릭터 생성 시 다양한 외형 옵션 선택.
- 자동 사냥 시스템: 몬스터를 자동으로 사냥하는 기능.
- UI 개선: 전작에 비해 개선된 UI.
== 가디언 스피릿 ==
가디언 스피릿은 프로페셔널 시스템에 대응하는 소환 시스템이었다. 가디언과의 계약을 통해 다양한 능력을 지닌 가디언을 소환, 전투를 보조하거나 특정 퀘스트 수행을 도왔다. 소환을 위해서는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했으며, 융합 과정을 통해 가디언의 외형과 능력에 변화를 줄 수 있었다. 주요 가디언으로는 불의 정령 이프리트, 물의 정령 운디네, 바람의 정령 실프 등이 있었다.
== 카프라 시스템 ==
카프라 퀘스트는 플레이어의 업적에 따라 다양한 보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특정 목표 달성 또는 조건 만족 시 완료할 수 있었다. 퀘스트 종류는 다양하며, 캐릭터의 레벨, 직업, 또는 특정 지역에서의 활동 등과 연관되어 있었다.
== 카드 시스템 ==
몬스터를 사냥하면 일정 확률로 카드를 획득할 수 있었으며, 카드는 장비에 장착하여 능력치를 증가시키거나 특수한 효과를 부여했다. 카드에는 등급이 존재하며, 등급이 높을수록 더 강력한 능력치를 제공했다. 특정 카드 조합 시 세트 효과가 발동되기도 했다.
6. 1. 시스템
3D MMORPG인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은 레벨 시스템을 채용했다. 플레이어는 게임 내에서 잡(Job, 모험 직업)과 프로페셔널(Professional, 생업)을 선택할 수 있다. 잡은 전투와 관련된 직업을, 프로페셔널은 생산, 채집, 제작 등 생업에 관련된 직업을 의미한다.6. 1. 1. 직업
1차 직업은 모험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단계이다. 1차 직업은 검사, 마법사, 복사, 도둑, 궁수, 상인, 그리고 소드맨, 메이지, 프리스트, 어쌔신, 헌터, 머천트가 있다. 이들은 각각 고유한 능력과 플레이 스타일을 가지며, 캐릭터의 성장을 위한 기본 발판이 된다.- 검사: 뛰어난 방어력과 근접 공격 능력을 가진 직업이다.
- 마법사: 강력한 마법 공격으로 적을 제압한다.
- 복사: 아군을 치유하고 지원하는 능력을 갖춘 직업이다.
- 도둑: 은신과 기습 공격에 특화된 직업이다.
- 궁수: 원거리 공격으로 적을 제압하는 직업이다.
- 상인: 아이템 거래와 생산에 특화된 직업이다.
2차 직업은 1차 직업에서 전직을 통해 더욱 강력한 능력을 얻을 수 있는 단계이다. 2차 직업은 1차 직업의 상위 직업으로, 각 직업별로 더욱 특화된 능력과 스킬을 갖게 된다.
- 검사는 전직을 통해 기사 또는 광전사가 될 수 있다. 기사는 뛰어난 방어 능력과 강력한 공격력을 겸비하며, 광전사는 파괴적인 공격에 특화된다.
- 마법사는 소서러 또는 위저드로 전직할 수 있다. 소서러는 다양한 속성 마법을 사용하며, 위저드는 강력한 단일 공격 마법에 특화된다.
- 복사는 프리스트 또는 몽크로 전직한다. 프리스트는 더욱 강력한 치유와 보조 능력을 가지며, 몽크는 격투 기술을 사용한다.
- 도둑은 어쌔신 또는 로그로 전직한다. 어쌔신은 암살에 특화된 공격 기술을 사용하며, 로그는 함정 설치와 같은 기술을 사용한다.
- 궁수는 헌터 또는 스나이퍼로 전직한다. 헌터는 소환수를 활용하며, 스나이퍼는 강력한 원거리 공격에 특화된다.
- 상인은 블랙스미스 또는 알케미스트로 전직한다. 블랙스미스는 무기 제작에 특화되며, 알케미스트는 연금술을 통해 다양한 아이템을 생산한다.
6. 1. 2. 프로페셔널
모험가들은 모험 외에도 다양한 생업 시스템을 통해 프로페셔널의 길을 걸을 수 있다. 프로페셔널은 크게 연금술사, 장인, 대장장이, 요리사 등으로 나뉘며, 각 전문 분야에서 특정한 아이템을 제작하거나 특별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연금술사: 연금술의 전문가로, 포션, 엘릭서 등 다양한 소모성 아이템을 제작한다.
- 장인: 공예 기술을 활용하여 장비를 제작하거나, 장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특화되어 있다.
- 대장장이: 무기 제작 및 수리에 특화된 기술을 가지고 있다.
- 요리사: 요리를 통해 음식을 만들어, 버프 효과를 부여하거나 체력을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프로페셔널이 존재하며, 각 직업은 고유의 제작 방식과 특징을 가지고 있다. 유저들은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에 맞는 프로페셔널을 선택하여, 게임 내에서 더욱 폭넓은 활동을 할 수 있다.
6. 2. 기타 시스템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에는 다양한 추가 시스템이 존재했다.- 카드 시스템: 라그나로크 온라인의 핵심 시스템 중 하나였던 카드 시스템이 존재했다. 몬스터를 처치하면 카드를 획득할 수 있었으며, 이를 장비에 장착하여 능력치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 펫 시스템: 펫은 플레이어의 모험을 돕는 존재로, 다양한 능력과 외형을 가지고 있었다. 펫은 몬스터를 사냥하거나, 퀘스트를 통해 얻을 수 있었다.
- 감정 시스템: 플레이어는 게임 내에서 다양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다른 플레이어와의 상호 작용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 수 있었다.
- 염색 시스템: 장비의 색상을 변경하는 염색 시스템을 통해, 플레이어는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었다. 염료는 게임 내에서 획득하거나, 상점에서 구매할 수 있었다.
- 변신 시스템: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몬스터로 변신할 수 있는 변신 시스템이 존재했다. 변신 시에는 해당 몬스터의 외형과 능력을 사용할 수 있었다.
- 칭호 시스템: 특정 업적을 달성하면 칭호를 획득할 수 있었다. 칭호는 캐릭터의 외형을 꾸미거나, 추가적인 능력치를 제공했다.
- 코스튬 시스템: 플레이어는 다양한 코스튬을 착용하여 캐릭터의 외형을 변경할 수 있었다. 코스튬은 상점에서 구매하거나, 이벤트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 거래 시스템: 플레이어 간의 아이템 거래는 경매장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졌다. 경매장을 통해 안전하고 편리하게 아이템을 거래할 수 있었다.
- 길드 시스템: 길드는 게임 내에서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중요한 시스템이었다. 길드에 가입하여 길드원들과 함께 퀘스트를 수행하거나, 길드 던전에 참여할 수 있었다.
- 결투 시스템: 플레이어 간의 결투 시스템을 통해, 다른 플레이어와 실력을 겨룰 수 있었다. 결투는 특정 장소에서 이루어졌으며, 승리 시 보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캐릭터 생성 시, 다양한 외형 옵션을 통해 캐릭터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었다. 헤어스타일, 얼굴, 의상 등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자신만의 캐릭터를 만들 수 있었다.
- 자동 사냥 시스템: 자동 사냥 시스템을 통해, 플레이어는 몬스터를 자동으로 사냥할 수 있었다. 이는 레벨업을 돕는 편리한 기능이었지만, 게임의 재미를 반감시킨다는 비판도 있었다.
- UI 개선: 전작에 비해 개선된 UI를 통해, 플레이어는 더욱 쾌적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었다. UI는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웠으며, 다양한 기능을 제공했다.
6. 2. 1. 가디언 스피릿
가디언 스피릿은 라그나로크 온라인 2의 프로페셔널 시스템에 대응하는 소환 시스템이다. 플레이어는 가디언과의 계약을 통해 다양한 능력을 지닌 가디언을 소환할 수 있으며, 가디언은 전투를 보조하거나 특정 퀘스트를 수행하는 데 도움을 준다. 가디언을 소환하기 위해서는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 가디언과의 친밀도를 높여야 더 강력한 가디언을 소환할 수 있다.가디언 소환은 융합의 과정을 거친다. 플레이어는 몬스터나 특정 아이템을 사용하여 가디언의 힘을 증폭시키고, 이를 통해 더욱 강력한 형태의 가디언을 소환할 수 있다. 융합 과정은 가디언의 외형과 능력에 영향을 미치며, 플레이어는 융합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적인 가디언을 육성할 수 있다.
주요 가디언으로는 불의 정령 이프리트, 물의 정령 운디네, 바람의 정령 실프 등이 있으며, 각 가디언은 고유한 속성과 스킬을 가지고 있다. 이프리트는 강력한 화염 공격을, 운디네는 치유 능력을, 실프는 빠른 기동성을 제공한다. 플레이어는 자신의 직업과 플레이 스타일에 맞는 가디언을 선택하여 전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6. 2. 2. 카프라 시스템
카프라 퀘스트는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에서 플레이어의 업적에 따라 다양한 보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카프라 퀘스트는 게임 내에서 특정 목표를 달성하거나,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완료할 수 있다. 퀘스트를 완료하면 경험치, 아이템, 또는 게임 내 화폐 등을 보상으로 받을 수 있다. 퀘스트 종류는 다양하며, 캐릭터의 레벨, 직업, 또는 특정 지역에서의 활동 등과 연관되어 있다. 퀘스트를 통해 게임의 진행을 돕고, 더욱 풍성한 게임 경험을 제공한다.6. 2. 3. 카드 시스템
몬스터를 사냥하면 일정 확률로 카드를 획득할 수 있다. 카드는 무기, 방어구, 장신구에 장착하여 캐릭터의 능력치를 증가시키거나, 특수한 효과를 부여한다. 카드 슬롯은 장비 종류 및 레벨에 따라 다르며, 동일한 종류의 카드는 중복 장착이 불가능하다. 카드는 몬스터 드랍, NPC 상점, 또는 경매장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카드 합성 시스템을 통해 더 높은 등급의 카드를 얻을 수도 있다. 카드에는 등급이 존재하며, 등급이 높을수록 더 강력한 능력치를 제공한다. 특정 카드 조합 시 세트 효과가 발동되기도 한다.7. 서버와 채널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은 서비스 초기에 여러 서버와 채널로 구성되었으며, 이후 서버 통합이 이루어졌다. 게임 내에는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는 가상의 회사들이 등장한다.
- 카프라: 창고 기능을 제공하여 아이템을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게임 내 이동 수단인 바람의 날개를 관리하고 운영하며, 약속의 돌을 사용하여 특정 위치로 즉시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 카틀레야: 구호소를 운영하며 부상당한 캐릭터를 치료하고, 직업 전직 시스템을 관리하며, 캐릭터의 특수 능력을 강화하는 스폐셜리티를 등록하고 관리한다.
- 레겐보겐: 금융 및 마켓 서비스를 담당하며, 유저들이 아이템을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마켓 서비스를 제공한다.
8. 게임 내의 3계열 회사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에는 게임 내 주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의 회사들이 등장한다. 이 중 레겐보겐은 금융 및 마켓 서비스를 담당하며, 유저들이 아이템을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마켓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마켓 서비스를 통해 유저들은 게임 내에서 필요한 아이템을 사고 팔 수 있으며, 게임 경제의 활성화를 돕는다.
카프라는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카프라 직원들은 유저들의 게임 플레이를 돕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창고 기능을 통해 유저들은 아이템을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바람의 날개 운영을 통해 맵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약속의 돌 위치포인트를 저장하여 유저들이 원하는 지역으로 쉽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8. 1. 카틀레야
카틀레야는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에서 의료와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 가상의 회사이다. 주로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구호소 운영: 부상당한 캐릭터를 치료하고, 필요한 물품을 제공하는 구호소를 운영한다.
- 직업 전직: 캐릭터의 직업을 변경하는 전직 시스템을 관리한다. 새로운 직업을 선택하고, 해당 직업으로 전직하는 과정을 지원한다.
- 스폐셜리티 등록: 캐릭터의 특수 능력을 강화하는 스폐셜리티를 등록하고 관리한다.
카틀레야는 게임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플레이어들이 게임을 진행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편의를 제공한다.
8. 2. 레겐보겐
레겐보겐은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에서 금융 및 마켓 서비스를 담당하는 가상의 회사이다. 레겐보겐은 유저들이 아이템을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마켓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유저들은 게임 내에서 필요한 아이템을 사고 팔 수 있으며, 게임 경제의 활성화를 돕는다. 레겐보겐의 마켓 서비스는 게임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유저 간의 원활한 거래를 지원한다.8. 3. 카프라
카프라는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에서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의 회사이다. 카프라 직원들은 유저들의 게임 플레이를 돕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카프라의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 창고 기능: 유저들은 카프라를 통해 아이템을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다. 창고는 아이템 수납 공간을 제공하여, 유저들이 더 많은 아이템을 소지하고 필요할 때 언제든지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 바람의 날개 운영: 카프라는 게임 내 이동 수단인 바람의 날개를 관리하고 운영한다. 바람의 날개는 유저들이 맵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게임 플레이의 효율성을 높인다.
- 약속의 돌 위치포인트 저장: 카프라는 유저들이 약속의 돌을 사용하여 특정 위치로 즉시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이를 통해 유저들은 잦은 이동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원하는 지역으로 쉽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9. 업데이트와 논란
2010년 1월 27일, 라그나로크 온라인 2는 대규모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이 업데이트를 통해 신규 맵과 퀘스트, 직업, 스킬 등이 추가되었고, 게임 시스템 또한 일부 변경되었다. 업데이트 이후, 게임 내 밸런스 붕괴와 유료 아이템의 과도한 판매, 그리고 서버 불안정 문제로 인해 유저들의 불만이 폭주했다. 특히, 신규 유료 아이템의 성능이 기존 아이템과 비교해 지나치게 강력하여, 유료 결제를 하지 않으면 게임 진행이 어렵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또한, 잦은 서버 점검과 렉 현상으로 인해 게임 이용에 불편을 겪는 유저들이 늘어났다.
이에, 유저들은 게임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개발사와 운영진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고, 게임 게시판에는 밸런스 패치와 서버 안정화를 요구하는 글들이 쇄도했다. 일부 유저들은 집단 환불 소송을 준비하는 등 강경한 대응을 보이기도 했다.
9. 1. 2007년 12월 26일 (2007년 4분기 업데이트)
2007년 12월 26일, 라그나로크 온라인 2는 대규모 업데이트를 단행했다. 이번 업데이트는 기초 능력치 및 스테이터스 변경, 레벨 제한 해제, 포션 변경, 신규 맵 추가 등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했다.하지만 이 업데이트는 게임 내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며 유저들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특히, 몬스터 경험치 버그로 인해 서버가 롤백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유저들은 게임 진행에 큰 혼란을 겪었고, 게임의 안정성에 대한 불신이 커졌다. 또한, 포션의 효과가 대폭 변경되면서 '포션 게임'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유저들은 잦은 포션 사용을 강요받게 되었고, 이는 전투의 재미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게다가, '바람의 날개' 아이템의 등장으로 게임 밸런스가 무너졌다는 지적도 있었다. 바람의 날개는 이동 속도를 획기적으로 증가시켜, 특정 직업군이 지나치게 유리해지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라그나로크 온라인 2의 게임성을 크게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10. 구 버전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
2003년 11월, ㈜그래비티는 《라그나로크 온라인》의 후속작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의 개발을 공식 발표했다. 2004년 11월, 1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개발상의 문제로 인해 연기되었다. 2005년 6월에는 2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가 진행될 예정이었지만, 2005년 5월 25일, 그래비티의 김정률 전 회장이 횡령 혐의로 구속되면서 개발에 차질이 생겼다. 김 전 회장의 구속은 회사 경영에 큰 혼란을 가져왔고, 게임 개발은 중단 위기에 놓였다. 2005년 12월, 결국 개발이 중단되었다가 2006년 6월에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시작했다. 그러나, 클로즈 베타 테스트 이후 《라그나로크 온라인 2》는 오랜 기간 동안 정식 서비스되지 못했다.
2007년 9월 25일부터 10월 1일까지 대한민국에서 1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가 진행되었고, 2008년 3월 26일부터 4월 1일까지 2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이후 2009년 1월 27일부터 2월 2일까지 오픈 베타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2010년 2월 23일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그러나 게임의 낮은 완성도로 인해, 2010년 5월 20일 대한민국에서의 서비스는 종료되었다.
일본에서는 2007년 12월 18일부터 2008년 1월 16일까지 클로즈 베타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이후 2008년 4월 24일에 오픈 베타 테스트를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4월 23일에 무기한 연기되었다. 결국, 2009년 2월 19일, 일본 서비스는 사실상 종료되었다.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은 전작의 세계관을 공유하며, 아스가르드를 배경으로 한다. 기본적인 스토리 전개는 인간과 마물의 갈등을 다루고 있으며, 특히 전작의 등장인물들이 언급되면서 세계관의 연장선을 보여준다. 하지만, 전작과는 다른 그래픽 스타일과 게임 디자인을 채택하여, 3D MMORPG로 제작되었다. 캐릭터 디자인은 일본 애니메이션 스타일을 차용했으며, 아기자기한 느낌을 강조했다. 배경 음악은 전작의 음악을 담당했던 ESTi가 참여하여, 라그나로크 온라인 특유의 감성을 유지하려 했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3D 그래픽을 구현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비교적 높은 사양을 요구했다. 게임의 그래픽 품질은 당시 출시된 다른 3D MMORPG와 경쟁할 만한 수준이었다.
10. 1. 특징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은 3D MMORPG로 제작되었다. 퀘스트를 중심으로 게임이 진행되며, 다양한 직업과 종족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게임 내 시스템 간의 정합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존재했다.10. 1. 1. 운영 상황
2007년 9월 25일부터 10월 1일까지 한국에서 1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가 진행되었고, 2008년 3월 26일부터 4월 1일까지 2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2009년 1월 27일부터 2월 2일까지 오픈 베타 테스트를 진행하고, 2010년 2월 23일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하지만 게임의 낮은 완성도로 인해 2010년 5월 20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일본에서는 2007년 12월 18일부터 2008년 1월 16일까지 클로즈 베타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이후 2008년 4월 24일에 오픈 베타 테스트를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4월 23일에 무기한 연기되었다. 결국 2009년 2월 19일, 일본 서비스는 사실상 종료되었다.
```text
2007년 9월 25일부터 10월 1일까지 대한민국에서 1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가 진행되었고, 2008년 3월 26일부터 4월 1일까지 2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이후 2009년 1월 27일부터 2월 2일까지 오픈 베타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2010년 2월 23일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그러나 게임의 낮은 완성도로 인해, 2010년 5월 20일 대한민국에서의 서비스는 종료되었다.
일본에서는 2007년 12월 18일부터 2008년 1월 16일까지 클로즈 베타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이후 2008년 4월 24일에 오픈 베타 테스트를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4월 23일에 무기한 연기되었다. 결국, 2009년 2월 19일, 일본 서비스는 사실상 종료되었다.
10. 1. 2. 개발의 경위
2003년 11월, ㈜그래비티는 《라그나로크 온라인》의 후속작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의 개발을 공식 발표했다. 2004년 11월, 1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개발상의 문제로 인해 연기되었다. 2005년 6월에는 2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가 진행될 예정이었지만, 2005년 5월 25일, 그래비티의 김정률 전 회장이 횡령 혐의로 구속되면서 개발에 차질이 생겼다. 김 전 회장의 구속은 회사 경영에 큰 혼란을 가져왔고, 게임 개발은 중단 위기에 놓였다. 2005년 12월, 결국 개발이 중단되었다가 2006년 6월에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시작했다. 그러나, 클로즈 베타 테스트 이후 《라그나로크 온라인 2》는 오랜 기간 동안 정식 서비스되지 못했다.10. 1. 3. 시스템 외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은 전작의 세계관을 공유하며, 아스가르드를 배경으로 한다. 기본적인 스토리 전개는 인간과 마물의 갈등을 다루고 있으며, 특히 전작의 등장인물들이 언급되면서 세계관의 연장선을 보여준다. 하지만, 전작과는 다른 그래픽 스타일과 게임 디자인을 채택하여, 3D MMORPG로 제작되었다. 캐릭터 디자인은 일본 애니메이션 스타일을 차용했으며, 아기자기한 느낌을 강조했다. 배경 음악은 전작의 음악을 담당했던 ESTi가 참여하여, 라그나로크 온라인 특유의 감성을 유지하려 했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3D 그래픽을 구현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비교적 높은 사양을 요구했다. 게임의 그래픽 품질은 당시 출시된 다른 3D MMORPG와 경쟁할 만한 수준이었다.11. 국가별 서비스 상황
2010년 5월 18일, 대한민국에서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은 2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CBT)를 시작했다. 2차 CBT에서는 '어쌔신'과 '위자드'가 추가되었고, '그림자 신전'과 같은 새로운 맵, 파티 플레이, 길드, PvP 시스템 등이 개선되었다. 같은 해 11월 29일 정식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며, 이후 '소울 메이커', '아크메이지' 등의 직업, 스킬 밸런스 조정, 신규 맵, 던전, 아이템 추가 등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2013년 2월 28일, 한국 서비스는 종료되었다. 이후 서비스 재개 시도가 있었지만, 아직까지 정식 서비스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일본에서는 2008년 1월 17일부터 간호 온라인 엔터테인먼트가 운영을 담당하여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실시했다. 4월 24일 오픈 베타 테스트를 진행했지만, 정식 서비스 개시가 2009년 5월 12일로 연기되었다. 이후 신규 ID 생성이 중단되고 유료 아이템 환불 조치가 이루어지면서, 2010년 12월 27일 서비스를 종료했다.
북미 지역에서는 2010년 11월 16일, 워프포털이 베타 테스트를 시작했고, 2011년 1월 25일 스팀을 통해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하지만, 2013년 3월 26일 개발팀 해산 발표 이후, 2013년 4월 30일 게임 내 모든 이벤트가 종료되었다.
11. 1. 한국에서의 구현 상황 (1차)
2007년 12월 18일부터 21일까지 1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CBT)가 진행되었다. 1차 CBT에서는 20레벨까지의 캐릭터 육성, 튜토리얼 맵과 프론테라, 알베르타, 이즈루드, 모로크, 페이욘, 게펜, 유노, 아인베흐, 라헬, 엠블라 맵이 구현되었다. 1차 CBT에서는 12종의 직업이 공개되었으며, 스킬과 퀘스트, 파티 시스템, 채팅 시스템, 거래 시스템, 우편 시스템, 창고 시스템, 몬스터 카드 시스템이 구현되었다.2008년 1월 17일부터 20일까지 2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2차 CBT에서는 40레벨까지의 캐릭터 육성, 1차 CBT 맵에 엠블라 지하, 마그마 맵이 추가되었다. 2차 CBT에서는 경험치 테이블이 조정되었고, 스킬 밸런스 및 퀘스트가 수정되었다. 2차 CBT에서는 길드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2008년 3월 27일부터 30일까지 3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3차 CBT에서는 50레벨까지의 캐릭터 육성, 2차 CBT 맵에 오크 던전, 코모도 맵이 추가되었다. 3차 CBT에서는 스킬 밸런스가 다시 조정되었고, 퀘스트가 추가되었다.
2008년 5월 29일부터 6월 2일까지 오픈 베타 테스트(OBT)가 진행되었다. OBT에서는 50레벨까지의 캐릭터 육성, 3차 CBT 맵에 프로키온, 스칼렛 맵이 추가되었다. OBT에서는 경험치 테이블이 다시 조정되었고, 튜토리얼이 개선되었다. OBT에서는 초보자 가이드 시스템, 아이템 강화 시스템, 개인 상점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OBT에서는 50레벨 이후의 콘텐츠는 공개되지 않았다.
2007년 12월 18일부터 21일까지 1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CBT)가 진행되었다. 1차 CBT에서는 20레벨까지 캐릭터를 육성할 수 있었으며, 튜토리얼 맵과 프론테라, 알베르타, 이즈루드, 모로크, 페이욘, 게펜, 유노, 아인베흐, 라헬, 엠블라 맵이 구현되었다. 12종의 직업이 공개되었으며, 스킬, 퀘스트, 파티, 채팅, 거래, 우편, 창고 시스템, 그리고 몬스터 카드 시스템이 구현되었다.
2008년 1월 17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된 2차 CBT에서는 40레벨까지 캐릭터 육성이 가능했으며, 엠블라 지하, 마그마 맵이 추가되었다. 경험치 테이블이 조정되었고, 스킬 밸런스 및 퀘스트가 수정되었으며, 길드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3차 CBT는 2008년 3월 27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되었고, 50레벨까지 육성이 가능했다. 오크 던전, 코모도 맵이 추가되었으며, 스킬 밸런스가 다시 조정되고 퀘스트가 추가되었다.
2008년 5월 29일부터 6월 2일까지 오픈 베타 테스트(OBT)가 진행되었다. OBT에서는 50레벨까지 캐릭터를 육성할 수 있었으며, 프로키온, 스칼렛 맵이 추가되었다. 경험치 테이블이 다시 조정되었고 튜토리얼이 개선되었다. 초보자 가이드, 아이템 강화, 개인 상점 시스템이 추가되었으며, OBT에서는 50레벨 이후의 콘텐츠는 공개되지 않았다.
11. 2. 한국에서의 구현 상황 (2차)
2010년 5월 18일,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은 2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CBT)를 시작했다. 2차 CBT에서는 신규 직업인 '어쌔신'과 '위자드'가 추가되었고, 각 직업별로 다양한 스킬들이 선보여졌다. 또한, '그림자 신전'과 같은 새로운 맵이 구현되었으며, 파티 플레이 시스템, 길드 시스템, PvP 시스템 등 다양한 시스템이 개선 및 추가되었다. 2010년 11월 29일에는 정식 서비스가 시작되었다.정식 서비스 이후에도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이루어졌다. 새로운 직업인 '소울 메이커', '아크메이지' 등이 추가되었으며, 각 직업의 스킬 밸런스 조정, 신규 맵 및 던전 추가, 아이템 추가 등 다양한 콘텐츠가 업데이트되었다. 2013년 2월 28일, 《라그나로크 온라인 2: 세계의 문》은 한국 서비스를 종료하였다. 이후, 여러 차례 부활 시도가 있었으나, 아직까지 정식 서비스 재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11. 3. 일본 국내에서의 구현 상황
2008년 1월 17일부터 간호 온라인 엔터테인먼트가 운영을 담당하여,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같은 해 4월 24일에는 오픈 베타 테스트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2009년 3월 16일, 일본 서비스는 2009년 5월 12일로 정식 서비스 개시일을 연기했다. 이후에도 서비스 개시가 늦춰지다가, 결국 신규 ID 생성이 중지되었고, 유료 아이템 환불 조치가 진행되면서 2010년 12월 27일 서비스를 종료했다.2008년 1월 17일, 간호 온라인 엔터테인먼트가 운영을 맡아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시작했다. 4월 24일에는 오픈 베타 테스트가 진행되었지만, 2009년 5월 12일로 정식 서비스 개시가 연기되었다. 이후 신규 ID 생성이 중단되고 유료 아이템에 대한 환불 조치가 이루어지면서, 2010년 12월 27일 서비스를 종료했다.
11. 4. 북미에서의 구현 상황
2010년 11월 16일, 워프포털은 북미 지역에서 《라그나로크 온라인 2》의 베타 테스트를 시작했다. 2011년 1월 25일에는 스팀을 통해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하지만, 2013년 3월 26일, 개발팀이 해산되었고 더 이상의 업데이트가 없을 것이라는 공지가 올라왔다. 그리고 2013년 4월 30일, 게임 내의 모든 이벤트가 종료되었다.12. 스태프
박영우는 라그나로크 온라인 2의 개발 총괄을 맡았다. 황병찬은 기획을 담당했으며, 강진섭은 그래픽, 이태선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밍, 이민수는 서버 프로그래밍을 담당했다. 이명진은 원작 라그나로크 온라인에 이어 라그나로크 온라인 2의 캐릭터 디자인을 맡았다. 음악은 일본의 작곡가 칸노 요코가 담당했다.
13. 관련 작품
라그나로크 온라인 2와 관련된 작품으로는 여러 게임이 존재한다.
- RAGNAROK2VEREIN The Gate Of The World (Ragnarok II Mobile The Gate Of The World verein): 라그나로크 온라인 2의 모바일 버전으로, '세계의 문'이라는 부제가 붙어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agnarok Online 2 set for TGS debut
http://www.gamespot.[...]
GameSpot.com
2005-07-19
[2]
웹사이트
Tokyo Game Show 2005 Blog - Day 1 & 2
http://www.rpgamer.c[...]
RPGamer
2005-09-20
[3]
웹사이트
라그나로크 온라인2, 첫 비공개 시범 서비스 12월 27일 실시 - GG게임
http://www.ggemguide[...]
Ggemguide.com
2006-12-15
[4]
웹사이트
::Happy Game Community!! GnJoy::
http://www.ragnarok2[...]
Ragnarok2.co.kr
2012-07-07
[5]
웹사이트
News - Gravity Reveals Ragnarok Social Details, Ragnarok II for 2010
http://www.gamasutra[...]
Gamasutra
2012-07-07
[6]
웹사이트
Patience Is Key for Gravity Investors
http://seekingalpha.[...]
Seeking Alpha
2010-04-01
[7]
웹사이트
Important Notice regarding Ragnarok 2 Development
https://forums.warpp[...]
[8]
문서
ノーマン以外の種族の実装時期は未定
[9]
문서
ただし、チームマーキュリーという開発チームが登場したのは、この時が初めてである。また、同チームがラグナロクオンラインの開発を担当したという発表も初めてである。同チームがいつ頃、どのような経緯から編成されたのかは未公表。
[10]
웹사이트
링크切れ
http://www.ro2.jp/ne[...]
202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