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릭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릭서는 연금술에서 유래된 개념으로, 불로불사 또는 만병통치의 효능을 가진 액체로 여겨진다. 어원은 아랍어 "al-iksīr"에서 파생되었으며, 연금술의 최고 걸작인 현자의 돌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엘릭서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중국, 인도 등 다양한 문화권의 전설에 등장하며, 특히 중국에서는 진시황이 불로장생약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서양에서는 현자의 돌을 만드는 과정에서 엘릭서가 언급되었으며, 일본에서는 생명의 물로 묘사되기도 한다. 현대에는 화학 제제나 리큐어의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대중문화에서는 게임, 소설, 영화 등에서 마법의 약이나 아이템으로 등장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물질 - 현자의 돌
현자의 돌은 비금속을 귀금속으로 바꾸고 불로불사의 영약을 제조하는 전설적인 물질로, 중세 연금술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문화권에서 탐구되었으며 만병통치약과 수명 연장 효과를 지닌 은유와 상징으로 대중문화 작품에도 등장한다. - 신화의 물질 - 만병통치약
만병통치약은 모든 질병을 치료한다고 주장하는 약으로 의학적으로는 존재할 수 없지만, 역사적으로 특정 물질이 만병통치약으로 여겨졌으며, 현재는 과장 광고 규제 대상이자 건강이나 문제 해결 방안을 비유하는 데 쓰인다. - 연금술 - 왕수
왕수는 진한 질산과 염산을 1:3 몰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금이나 백금 같은 귀금속을 녹일 수 있는 강력한 산화력을 가진 용액이며, 염화 금산 제조, 식각, 분석화학 등에 사용된다. - 연금술 - 현자의 돌
현자의 돌은 비금속을 귀금속으로 바꾸고 불로불사의 영약을 제조하는 전설적인 물질로, 중세 연금술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문화권에서 탐구되었으며 만병통치약과 수명 연장 효과를 지닌 은유와 상징으로 대중문화 작품에도 등장한다.
| 엘릭서 | |
|---|---|
| 엘릭서 | |
![]() | |
| 개요 | |
| 종류 | 액체 |
| 효능 | 불멸 영원한 젊음 만병통치약 |
| 관련 분야 | 연금술 |
| 어원 및 역사적 배경 | |
| 어원 | 아랍어 "al-iksir" (الْإِكْسِير) |
| 의미 | 철학자의 돌 (Philosopher's Stone)과 관련 기적의 약 모든 질병을 치료하는 치료제 |
| 역사적 탐구 | 고대부터 연금술사들이 추구 중국에서는 불로불사의 영약으로 여겨짐 서양 연금술에서는 생명 연장 및 질병 치료 목적으로 연구 |
| 전설 및 문화 속 엘릭서 | |
| 언급 작품 |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길가메시 서사시 |
| 상징적 의미 | 이상향 구원 깨달음 |
| 과학적 관점 | |
| 현대 과학 | 비과학적인 개념으로 간주 |
2. 어원
아이작 아시모프의 「화학의 역사」(1967년, 카와이데 쇼보, ''A Short History of Chemistry'', 1965년) 「제2장 연금술 아랍인들」에 따르면, 엘릭서의 어원은 마른 가루로 여겨졌던 것에서 그리스어 "xerion"(마른의 의미)이 아랍어로 번역되어 اَلْإِكْسِيرُ|알-익시르ar가 된 것이다.[1]
연금술에서 말하는 최고의 창작물인 현자의 돌과 같거나, 그것을 이용해서 만드는 액체로 알려져 있다. 이것을 마시면 어떤 병도 고칠 수 있고 영원히 살 수 있다고 전해지지만, 주로 치료약으로 다루어져 왔으며, 그 효과에 대한 제조 방법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1]
H. J. 슈퇴리히의 『서양 과학사』에 따르면, 이슬람 연금술의 시조 자비르 이븐 하이얀(라틴어명 지벨, 그 외 게벨, 자빌)이 금속의 사원소 사성질(온·건·습·냉)을 변성하여 만들어낸 1성질만의 원소를 al iksir라고 했다. 이 al iksir를 13세기에 번역한 이름이 엘릭서라고 한다.[1]
3. 전설
중세 독일에서는 파라셀수스라는 의사가 현자의 돌(엘릭서)을 사용해 의료 활동을 했다는 전설이 있다. 그는 연금술을 통해 호문쿨루스라는 인공 생명체를 만들었다고도 전해진다.[1]
중국 도교에서 선인이 되기 위해 만들던 영약, 연단술에서 목표로 한 불로불사의 약인 '선단'(仙丹)도 엘릭서와 같은 것으로 여겨진다.[1]
3. 1. 서양의 전설
연금술의 가장 위대한 창작물인 현자의 돌과 동일하거나, 그것을 이용해 만들어지는 액체로 생각된다. 복용하면 어떤 병도 고치고 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있는 등, 주로 치료약의 일종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이 효과와 관련된 확립된 제조 방법은 아직도 불명확하다.
중세 독일에서는 파라셀수스라는 의사가 현자의 돌(=엘릭서)을 이용해 의료 활동을 했다는 전설이 있다. 그는 연금술로 인공생명체인 호문쿨루스를 창조했다고도 전해지는 인물이기도 하다.[1]
한편, 중국의 도교에서 선인이 되기 위한 영약을 만드는 방법인 「연단술」이 목표로 하던 불로불사의 약 「선단(첨단)」도 이와 같은 것이다.[1]
3. 2. 동양의 전설
한편, 중국의 도교에서 선인이 되기 위한 영약을 만드는 방법인 「연단술」이 목표로 하던 불로불사의 약 「선단(仙丹)」도 이와 같은 것이다.[1]
4. 역사
엘릭서, 즉 불로장생약에 대한 초기 언급은 기원전 2천년경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서사시에서 길가메시는 친구 엔키두의 죽음 이후 자신의 노쇠를 두려워하게 된다.[1] 길가메시는 신들의 대홍수에서 살아남아 불멸을 얻은 우트나피쉬팀을 찾아 나선다. 우트나피쉬팀은 길가메시에게 바다 밑에서 식물을 찾으라고 지시하지만, 길가메시는 그것을 사용하기 전에 뱀에게 잃는다. 이 전설은 뱀이 허물을 벗는 것을 신비로운 젊어짐으로 보았던 고대의 설명이다.
고대 중국의 많은 통치자들은 불멸을 얻기 위해 전설의 불로장생약을 찾았다. 진나라 시대에 진 시황은 도교 연금술사 서복을 동해로 보내 봉래산에서 불로장생약을 찾게 했지만, 그는 불로장생약을 찾지 못하고 돌아왔다.[2] 진시황은 다시 3000명의 젊은 남녀와 함께 서복을 보냈지만, 그들 중 아무도 돌아오지 않았다. 전설에 따르면 서복은 대신 일본을 발견했다고 한다.[2]
고대 중국인들은 옥, 주사, 적철광과 같이 오래 지속되는 광물질을 섭취하면 장수를 가져다줄 것이라고 믿었다.[3] 금은 변색되지 않는 귀금속으로 특히 강력한 것으로 여겨졌다. 마실 수 있는 금에 대한 아이디어는 기원전 3세기 말 중국에서 발견된다. 가장 유명한 중국 연금술 서적인 《단경요결》(《丹經要訣》, "연금술 고전의 핵심 공식")은 손사막(c. 581 – c. 682 AD)의 저작으로 여겨지며,[4][5] 후대에 "약왕"으로 존경받는 유명한 의학 전문가가 불멸을 위한 불로장생약 제조에 대해 자세히 논의한다.
이러한 물질 중 다수는 장수에 기여하기는커녕, 오히려 독성이 강하여 중국 연금술 불로장생약 중독을 초래했다. 명나라의 가정 황제는 연금술사들이 만들어낸 것으로 추정되는 "불로장생약"에 치명적인 양의 수은을 섭취하여 사망했다.
힌두 경전에는 생명의 묘약인 아므리타가 묘사되어 있다. 푸라나에 따르면, 데바들이 아수라에게 패배하자, 비슈누는 데바들에게 우유 바다를 휘저어 아므리타를 되찾아 힘을 얻도록 요청했다.[6]
수은은 기원전 4세기에서 3세기에 쓰인 아르타샤스트라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이는 중국과 서양에서 발견된 시기와 거의 같다. 하급 금속을 금으로 변환한다는 생각의 증거는 서기 2세기에서 5세기에 쓰인 불교 경전에 나타난다.
의학과 불멸의 연금술이 인도에서 중국으로 전해졌거나 그 반대였을 가능성도 있다. 어쨌든 두 문화 모두에게 금 제조는 부차적인 관심사였고, 의학이 주요 관심사였다. 그러나 인도에서는 불멸의 묘약이 중요성이 적었다. 인도의 묘약은 특정 질병에 대한 광물성 치료법이거나, 기껏해야 장수를 촉진하는 것이었다.
유럽의 연금술 전통에서 생명의 엘릭서는 현자의 돌의 창조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전설에 따르면, 니콜라 플라멜과 생 제르맹을 포함한 특정 연금술사들은 엘릭서의 창조자로서 명성을 얻었다. 마이클 스코트의 작품은 금을 생명의 엘릭서로 언급하고 있다.[7]
8세기 경 만요슈에 따르면, 変若水|오치미즈일본어는 달의 신 츠쿠요미가 소유하고 있다고 한다.[8][9] 류큐 열도의 민담과 유사성이 지적되는데, 이 민담에서 달의 신은 인간에게 생명의 물(sïlimizïmvi)을, 뱀에게 죽음의 물(sïnimizïmvi)을 주기로 결정한다. 그러나 물통을 들고 땅으로 내려가는 임무를 맡은 사람이 피로를 느껴 잠시 쉬는 동안, 뱀이 생명의 물에서 목욕을 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이 뱀이 매년 허물을 벗으며 젊음을 유지하는 반면, 인간은 죽음을 맞이하는 이유라고 한다.[8][9]
4. 1. 고대 메소포타미아
생명 연금술에 대한 초기 언급은 길가메시 서사시(기원전 2천년)에 등장하는데, 여기서 길가메시는 사랑하는 동료 엔키두의 죽음 이후 자신의 쇠퇴하는 나이를 두려워하게 된다.[1] 길가메시는 신들이 보낸 대홍수에서 살아남아 불멸을 얻은 것으로 알려진 메소포타미아 신화 속 노아와 같은 인물인 우트나피쉬팀을 찾아 나선다. 길가메시는 우트나피쉬팀으로부터 바다 밑에서 식물을 찾으라는 지시를 받지만, 그것을 사용하기 전에 뱀에게 잃는다. 이 전설은 뱀이 허물을 벗는 것을 신비로운 젊어짐으로 보았던 고대의 설명이다.4. 2. 고대 중국
고대 중국의 많은 통치자들은 불멸을 얻기 위해 전설의 불로장생약을 찾았다. 진나라 시대에 진 시황은 도교 연금술사 서복을 젊은 남녀 500명씩을 데리고 동해로 보내 전설의 봉래산에서 불로장생약을 찾게 했지만, 찾지 못하고 돌아왔다.[2] 그는 3000명의 젊은 남녀와 함께 두 번째 항해를 떠났지만, 그들 중 아무도 돌아오지 않았다(전설에 따르면 그는 대신 일본을 발견했다).[2]
고대 중국인들은 옥, 주사, 또는 적철광과 같이 오래 지속되는 광물질을 섭취하면 섭취한 사람에게 어느 정도의 장수를 가져다줄 것이라고 믿었다.[3] 금은 변색되지 않는 귀금속으로 특히 강력한 것으로 여겨졌다. 마실 수 있는 금에 대한 아이디어는 기원전 3세기 말 중국에서 발견된다. 가장 유명한 중국 연금술 서적인 《단경요결》(《丹經要訣》, "연금술 고전의 핵심 공식")은 손사막(c. 581 – c. 682 AD)의 저작으로 여겨지며,[4][5] 후대에 "약왕"으로 존경받는 유명한 의학 전문가가 불멸을 위한 (수은, 유황, 비소염과 같은 몇 가지 독성 성분을 포함) 불로장생약의 제조뿐만 아니라 특정 질병을 치료하고 귀중한 돌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논의한다.
이러한 물질 중 다수는 장수에 기여하기는커녕, 오히려 독성이 강하여 중국 연금술 불로장생약 중독을 초래했다. 명나라의 가정 황제는 연금술사들이 만들어낸 것으로 추정되는 "불로장생약"에 치명적인 양의 수은을 섭취하여 사망했다.
4. 3. 인도
힌두 경전에는 생명의 묘약인 아므리타가 묘사되어 있다. 푸라나에 따르면, 권력을 추구하는 두 종족인 데바들이 아수라에게 패배하자, 보존 신인 비슈누는 데바들에게 우유 바다를 휘저어 아므리타를 되찾아 힘을 얻도록 요청했다.[6]
어디에서나 연금술에 매우 중요했던 수은은 기원전 4세기에서 3세기에 쓰인 아르타샤스트라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이는 중국과 서양에서 발견된 시기와 거의 같다. 하급 금속을 금으로 변환한다는 생각의 증거는 서양과 비슷한 시기인 서기 2세기에서 5세기에 쓰인 불교 경전에 나타난다.
의학과 불멸의 연금술이 인도에서 중국으로 전해졌거나 그 반대였을 가능성도 있다. 어쨌든 두 문화 모두에게 금 제조는 부차적인 관심사였고, 의학이 주요 관심사였다. 그러나 (다른 불멸의 방편이 있었던) 인도에서는 불멸의 묘약이 중요성이 적었다. 인도의 묘약은 특정 질병에 대한 광물성 치료법이거나, 기껏해야 장수를 촉진하는 것이었다.
4. 4. 이슬람 세계
엘릭서에 관한 초기 언급은 기원전 2천년경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서사시에서 길가메시는 그의 친구 엔키두의 죽음 이후 자신의 노쇠를 두려워하게 된다.[1] 길가메시는 신들의 대홍수에서 살아남아 불멸을 얻은 우트나피쉬팀을 찾아 나선다. 우트나피쉬팀은 길가메시에게 바다 밑에서 식물을 찾으라고 지시하지만, 길가메시는 그것을 사용하기 전에 뱀에게 잃는다. 이 전설은 뱀이 허물을 벗는 것을 신비로운 젊어짐으로 보았던 고대의 설명이다.알 키드르를 참조하라.
4. 5. 유럽
유럽의 연금술 전통에서 생명의 엘릭서는 현자의 돌의 창조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전설에 따르면, 니콜라 플라멜과 생 제르맹을 포함한 특정 연금술사들은 엘릭서의 창조자로서 명성을 얻었다. 마이클 스코트의 작품은 금을 생명의 엘릭서로 언급하고 있다.[7]
4. 6. 일본
8세기 경 만요슈에 따르면, 変若水|오치미즈일본어는 달의 신 츠쿠요미가 소유하고 있다고 한다.[8][9] 류큐 열도의 민담과 유사성이 지적되는데, 이 민담에서 달의 신은 인간에게 생명의 물(sïlimizïmvi)을, 뱀에게 죽음의 물(sïnimizïmvi)을 주기로 결정한다. 그러나 물통을 들고 땅으로 내려가는 임무를 맡은 사람이 피로를 느껴 잠시 쉬는 동안, 뱀이 생명의 물에서 목욕을 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이 뱀이 매년 허물을 벗으며 젊음을 유지하는 반면, 인간은 죽음을 맞이하는 이유라고 한다.[8][9]5. 화학 제제 및 기타 실존하는 엘릭서
일본약방의 제재 총칙에는 엘릭서제에 대한 정의가 있으며, "통상, 감미와 방향이 있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맑은 액상 내용제"로 설명된다.
베네딕틴, 샤르트류즈와 같은 리큐어 중에는 '엘릭서'라는 이름이 붙은 것들이 있는데, 이들은 술로 분류된다. 다피의 엘릭서는 원래 위장약이었으나 만병통치약으로 여겨져 18세기 영국에서 명성을 얻었고, 19세기까지 미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헝가리의 토카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귀부 와인인 토카이 와인 엣센시아도 엘릭서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2009년 12월 8일에는 산토리 푸즈에서 '파이널 판타지 XIII 엘릭서'를 발매하기도 했다.
5. 1. 화학 제제
일본약방의 제제 총칙에는 "엘릭서제"의 정의가 있으며, "통상, 감미와 방향이 있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맑은 액상 내용제이다"라고 되어 있다.[1] "제제" 항목도 참조.[1]
베네딕틴, 샤르트뢰즈 등의 리큐어에는 "엘릭서"라는 이름이 붙은 것들이 있으며, 이들은 술로 분류된다. 베네딕틴과 샤르트뢰즈는 창업 당시부터 수도원 내부에서만 제조되는 약초주의 상표로 알려져 있으며, 그 제조법과 재료는 외부로 알려지지 않는다. 캄파리, 압생트 등의 다른 약초주에 비해 매우 쓴맛이 강하고, 알코올 도수도 높은 것이 특징이지만, 리큐어 특유의 단맛도 갖추고 있다.
이들은 앙고스투라 비터스 등과 마찬가지로 300 - 400ml 정도의 작은 병에 담겨 시판된다. 헝가리 토카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귀부 와인인 토카이 와인·에센시아도 엘릭서의 별칭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다피의 엘릭서는 원래 위장약으로 만들어졌지만 만병통치약으로 여겨져, 18세기 영국에서 명성을 얻어 19세기까지 미국에서 일반적인 치료약으로 사용되었다.
5. 2. 리큐어
일본약방의 제재 총칙에는 "엘릭서제"의 정의가 있으며, "통상, 감미와 방향이 있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맑은 액상 내용제이다"라고 되어 있다.[1] "제제" 항목도 참조.[1]베네딕틴이나 샤르트뢰즈 등의 리큐어로 "엘릭서"라는 이름을 가진 것이 실존하며, 이것들은 술로 분류된다.[2] 베네디크틴과 샤르트뢰즈는 창업 당시부터 수도원 내부에서만 제조되는 약초주의 상표로 알려져 있으며, 그 제조법과 재료는 외부로 알려지지 않는다.[2] 캄파리나 압생트 등의 다른 약초주에 비해 매우 쓴맛이 강하고, 알코올 도수도 높은 것이 특징이지만, 리큐어 특유의 단맛도 갖추고 있다.[2]
이에 대해서는, 앙고스투라 비터스 등과 마찬가지로 300 - 400ml 정도의 작은 병에 담겨 시판되고 있다.[3] 헝가리의 토카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귀부 와인의 토카이 와인·에센시아도 엘릭서의 별칭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3]
다피의 엘릭서는, 원래는 위장약으로 만들어졌지만 만병통치약으로 여겨져, 18세기 영국의 명성을 얻어 19세기까지 미국에서 일반적인 치료약으로 사용되었다.[4]
6. 대중문화 속 엘릭서
엘릭서는 '불로불사'나 '만능의 영약'이라는 전설에서 유래하여, 특히 중세 판타지풍 컴퓨터 롤플레잉 게임 등에서 아이템으로 자주 등장한다.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테일즈 오브 시리즈, 디아블로 등에서 엘릭서, 엘릭샤, 엘릭시르 등의 이름으로 등장한다. 강철의 연금술사, 레뮤오르의 연금술사와 같이 연금술을 소재로 한 작품에서도 다루어진다. 이러한 창작물에서 엘릭서는 다른 약보다 비싸거나 귀하고, 치유 효과가 크거나 이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등, 엘릭서 전설을 모방한 형태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불로불사의 영약은 애니메이션, 만화, 영화, 악곡, 소설, 비디오 게임 등 예술 작품의 영감, 플롯 특징 또는 주제가 되어왔다. 예를 들어 L. 프랭크 바움의 판타지 소설 ''존 도우와 천사'', SF 시리즈 ''닥터 후'', 나탈리 배비트의 소설 시간 여행자의 아내 및 그 영화 각색,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아누비스의 집'', ''인형사'', 만화 ''강철의 연금술사''와 ''지옥락'', 라이트 노벨 ''바카노!'', 레이튼 교수 프랜차이즈의 영화 ''레이튼 교수와 영원한 가희'', 공포 영화 ''아래에서 위로'', 비디오 게임 시리즈 ''동방 프로젝트''와 심즈 2 등이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The Epic of Gilgamesh: Enkidu
https://www.sparknot[...]
2022-12-27
[2]
서적
The Chinese Overseas
Taylor & Francis
2006
[3]
서적
A Study of Chinese Alchemy
Commercial Press
1928
[4]
서적
Medieval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An Encyclopedia
Routledge
2005
[5]
백과사전
Tan chin yao chueh – occultism
http://www.britannic[...]
[6]
서적
Vishnu Purana
https://books.google[...]
Diamond Pocket Books (P) Ltd.
2006
[7]
서적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Natural Philosophy, Ca. 1250-1650 as Illustrated by the Technology of the Mineral Acid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2023-06-04
[8]
서적
Japanese Prehistory: The Material and Spiritual Culture of the Jōmon Period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9]
서적
月と不死 [Tsuki to fushi]
https://docs.miko.or[...]
平凡社
2018-12-17
[10]
간행물
ĀB ii. Water in Muslim Iranian culture
http://www.iranicaon[...]
Encyclopaedia Iranica
2012-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