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라마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라마수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신화에 등장하는 수호신으로, 인간의 머리에 날개 달린 황소 또는 사자의 몸을 한 혼종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수메르 신화에서는 인간의 기도를 신에게 전달하는 여신 라마에서 유래했으며, 아시리아 제국 시대에 현재의 모습으로 정립되어 왕권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라마수는 궁궐 입구에 배치되어 수호신 역할을 했으며, 현대 문화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소포타미아의 전설의 생물 - 후와와
    훔바바는 메소포타미아 신화 《길가메시 서사시》에 등장하는 삼나무 숲의 수호자로, 길가메시와 엔키두에 의해 죽임을 당하며 다양한 이름과 형태로 기록되어 여러 문화권에 영향을 주었고, 미술 작품에서는 얼굴 형태로 묘사되었다.
  • 사자의 여신 - 아세라
    아세라는 고대 근동에서 숭배된 여신으로,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며 나무와 연관되어 숭배되었고,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과 역할로 해석되며, 히브리인들에 의해 숭배되기도 했으나 이교의 우상신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 사자의 여신 - 하토르
    하토르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하늘, 태양, 사랑, 아름다움, 풍요, 음악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암소 또는 암소 머리를 가진 여성으로 묘사되며 이집트 전역과 해외에서도 숭배되었다.
  • 신화의 소 - 하토르
    하토르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하늘, 태양, 사랑, 아름다움, 풍요, 음악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암소 또는 암소 머리를 가진 여성으로 묘사되며 이집트 전역과 해외에서도 숭배되었다.
  • 신화의 소 - 이오 (신화)
    이오(Io)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헤라의 질투로 암소로 변신하여 고통받는 방랑을 겪고, 이집트에서 원래 모습으로 돌아와 에파포스를 낳는 인물이다.
라마수
기본 정보
라마수
라마수 (기원전 721-705년), 루브르 박물관 소장
어원아카드어 ламассу (ламассу)
문화권메소포타미아 신화
종류수호신
성별남성
특징
외형인간의 머리
황소 또는 사자의 몸
의 날개
역할왕과 궁궐 수호
집의 보호
상징힘, 용맹, 지혜
다른 이름
수메르어알라드
아카드어셰두
관련 문화
유사 신화스핑크스

2. 유래와 상징

라마수의 원 형태로 추정되는 여신 라마는 수메르 신화에서 인간이 신을 섬기고 기도를 올리며 제물을 바치는 것을 다른 신들에게 전달해 주는 전령신의 역할의 신이었다.[21] 당시에는 주름진 통옷을 차려입고 관을 쓴 채 양손을 올리고 있는 여신의 형태로 모셔졌다. 아카드 제국 시기까지는 여신 라마의 형태로서 숭배되었지만,[27] 아시리아 제국기에 지금과 같은 사람의 두상에 짐승의 몸뚱이를 한 신수(神獸)의 형태로 변모하였고 이름도 라마수로 바뀌었다.

이 무렵 라마수의 외형은 앞다리에 날개가 돋친 황소사자의 몸에 수염이 성성하고 관모를 쓴 인간 남성의 머리를 한 짐승인간의 모습으로 정립되었다.[21] 기원전 3000년 전 에블라에서 이와 비슷한 모습을 한 모티프를 찾을 수 있으며, 현대에 알려진 라마수의 모습과 일치하는 모습은 티그라트-필레세르 2세 때부터 나타나서 왕권의 상징으로서 사용되기 시작했다.[28][29] 아시리아의 조각품 중 많은 예술품이 라마수를 묘사하고 있으며, 특히 궁궐 대문 양변으로 라마수 석상 한 쌍을 배치한 형태가 대표적이다. 비교적 이른 시기에 제작된 라마수 조형물은 다리가 다섯 개 달려 있기도 했다.

바그다드의 이라크 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라마수 부조


루브르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두르샤루킨의 사르곤 2세 궁전의 라마수 석상


[[File:Door_guardian_figure_(Lamassu)_from_Nimrud_2.jpg|thumb|이라크 원본에서 가져온 이 조각은 베를린에 있는 사자 발을 가진 다섯 다리 ''라마수'' 한 쌍 중 하나입니다.

''라마수''는 조디악, 부모별, 또는 별자리를 나타낸다.[6][7] 이들은 모든 생명을 포괄하기 때문에 수호신으로 묘사된다. 수메르의 ''길가메시 서사시''에서는 물리적인 신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라마수 도상학이 유래한 곳이기도 하다.

2. 1. 수메르 신화의 여신 라마

라마수의 원 형태로 추정되는 여신 라마는 수메르 신화에서 인간의 기도와 제물을 다른 신들에게 전달하는 전령신 역할을 했다.[21] 당시에는 주름진 통옷을 입고 관을 쓴 채 양손을 올리고 있는 여신의 모습으로 숭배되었다. 아카드 제국 시기까지 여신 라마의 형태로 숭배되었지만,[27] 아시리아 제국기에 사람의 두상에 짐승의 몸뚱이를 한 신수(神獸)의 형태로 변모하였고 이름도 라마수로 바뀌었다.[21]

이라크 원본에서 가져온 베를린에 있는 사자 발을 가진 다섯 다리 ''라마수'' 한 쌍 중 하나


이 무렵 라마수의 외형은 앞다리에 날개가 돋친 황소사자의 몸에 수염이 성성하고 관모를 쓴 인간 남성의 머리를 한 짐승인간의 모습으로 정립되었다.[21] 기원전 3000년 전 에블라에서 이와 비슷한 모습을 한 모티프를 찾을 수 있으며, 현대에 알려진 라마수의 모습과 일치하는 모습은 티그라트-필레세르 2세 때부터 나타나 왕권의 상징으로서 사용되기 시작했다.[28][29] 아시리아의 조각품 중 많은 예술품이 라마수를 묘사하고 있으며, 특히 궁궐 대문 양변으로 라마수 석상 한 쌍을 배치한 형태가 대표적이다. 비교적 이른 시기에 제작된 라마수 조형물은 다리가 다섯 개 달려 있기도 했다.

여신 라마는 처음에 오란스보다 먼저 나타나 그들을 신들에게 중재하는 여신으로 등장한다.[10] 우루크에서 발굴된 카시트 석비에서 라(m)마로 명확하게 표시되어 있으며, 이슈타르 여신의 사원에서 발견되었고, 나지-마루타쉬 왕(기원전 1307–1282년)에 의해 헌정되었다.[8] 그녀는 주름진 드레스를 입고 뿔이 달린 티아라를 착용하여 신을 상징하며, 두 손을 들어 기도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아그네스 스피켓은 특히 아카드 시대의 조각 및 조상, 특히 헌상 장면에 나타나는 유사한 여성 형상들이 라(m)마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9] 이 견해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며, 예술 용어에서 이러한 여성 형상은 일반적으로 라(m)마로 지칭된다.[10] 아시리아 시대부터 라마는 반은 동물, 반은 인간의 혼합된 신이 된다.[10]

''라마수''는 조디악, 부모별, 또는 별자리를 나타낸다.[6][7] 이들은 모든 생명을 포괄하기 때문에 수호신으로 묘사된다.

2. 2. 아시리아 시대의 라마수



라마수는 수메르 신화에서 인간의 기도를 신에게 전달하는 전령신인 여신 라마에서 유래했다.[21] 아카드 제국 시기까지 여신 라마의 형태로 숭배되었으나,[27] 아시리아 제국기에 사람 머리에 짐승 몸을 한 신수(神獸) 형태로 변모하였고 이름도 라마수로 바뀌었다.

이 무렵 라마수의 외형은 날개 달린 황소사자의 몸에 수염이 성성하고 관모를 쓴 인간 남성의 머리를 한 짐승인간의 모습으로 정립되었다.[21] 기원전 3000년 전 에블라에서 이와 비슷한 모습을 한 모티프를 찾을 수 있으며, 현대에 알려진 라마수의 모습과 일치하는 모습은 티그라트-필레세르 2세 때부터 나타나서 왕권의 상징으로서 사용되기 시작했다.[11][12][28][29] 아시리아의 조각품 중 많은 예술품이 라마수를 묘사하고 있으며, 특히 궁궐 대문 양변으로 라마수 석상 한 쌍을 배치한 형태가 대표적이다. 비교적 이른 시기에 제작된 라마수 조형물은 다리가 다섯 개 달려 있기도 했다.

아시리아 시대부터 ''라마수''는 날개 달린 황소 또는 사자의 몸에, 머리는 남성 인간의 모습을 한 혼종으로 묘사되었다.[10] 이들은 일반적으로 궁전 입구에 두 쌍으로 배치되었으며, 높은 부조로 모서리에 "이중 측면" 형상으로 표현되었다. 정면에서 보면 서 있는 것처럼 보이고, 측면에서 보면 걷는 것처럼 보이며, 초기 버전에서는 5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었다.[13]

두르-샤루킨에 있는 사르곤 2세의 궁전에서는 적어도 일곱 개의 ''라마수''와 두 명의 사자를 든 영웅이 "왕좌의 방" 입구를 둘러싸고 있었는데, "이는 압도적인 권력의 인상을 만들어내는 형상들의 집결"이었다.[14] ''라마수''는 원통형 인장에도 나타난다. 주목할 만한 예로는 이란의 페르세폴리스에 있는 만국의 문, 런던의 대영 박물관,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 바그다드의 이라크 국립 박물관,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그리고 시카고 대학교 동양 연구소가 있다. 이라크 북부에 "현지에 보존"된 여러 예시는 2010년대에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가 해당 지역을 점령했을 때 파괴되었으며, 모술 박물관에 있던 것들도 파괴되었다.

''라마수''는 수호신으로 묘사되며, 모든 생명을 포괄한다. 수메르 문화에서 다른 도상학과 묘사를 가지고 있었지만, "''라마수''", "''알라드''", "''셰두''"라는 용어는 신아시리아 제국 시대의 아시리아-날개 달린 사람-황소 상징과 조각상을 나타낸다.[3]

[[File:Door_guardian_figure_(Lamassu)_from_Nimrud_2.jpg|thumb|이라크 원본에서 가져온 이 조각은 베를린에 있는 사자 발을 가진 다섯 다리 ''라마수'' 한 쌍 중 하나입니다.

3. 도상학

아시리아 시대부터 라마수는 날개 달린 혼종으로 묘사되었으며, 몸은 날개 달린 황소 또는 사자였고, 머리는 남성 인간의 것이었다.[10] 인간의 머리를 한 날개 달린 동물의 모티프는 근동 지역에 흔하며, 기원전 3000년경 에블라에서 처음 기록되었다. 최초의 뚜렷한 ''라마수'' 모티프는 티글라트-필레세르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권력의 상징으로 아시리아에서 나타났다.[11][12]

아시리아 조각은 일반적으로 궁전 입구에 두 쌍의 ''라마수''를 배치하여 거리와 내부 안뜰을 마주하게 했다. 그들은 높은 부조로 모서리에 "이중 측면" 형상으로 표현되었다. 정면에서 보면 서 있는 것처럼 보이고, 측면에서 보면 걷는 것처럼 보이며, 초기 버전에서는 5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비스듬히 볼 때 분명하게 드러난다. 라마시는 일반적으로 궁전 방을 둘러싸고 있는 낮은 부조 구성에서는 큰 그림으로 나타나지 않으며, 여기에는 날개 달린 정령 그림이 흔하지만, 때로는 아시리아인을 보호하는 것으로 보이는 서사적인 부조 안에 나타나기도 한다.[13]

거대한 입구 그림 뒤에는 종종 꼼지락거리는 사자를 움켜쥔 영웅이 있었으며, 이 역시 거대한 규모와 높은 부조로 조각되었다. 두르-샤루킨에 있는 사르곤 2세의 궁전에서는 적어도 일곱 개의 ''라마수''와 두 명의 사자를 든 영웅이 "왕좌의 방" 입구를 둘러싸고 있었는데, "이는 압도적인 권력의 인상을 만들어내는 형상들의 집결"이었다.[14] 그들은 또한 원통형 인장에도 나타난다. 주목할 만한 예로는 이란의 페르세폴리스에 있는 만국의 문, 런던의 대영 박물관,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 바그다드의 이라크 국립 박물관,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그리고 시카고 대학교 동양 연구소가 있다. 이라크 북부에 "현지에 보존"된 여러 예시는 2010년대에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가 해당 지역을 점령했을 때 파괴되었으며, 모술 박물관에 있던 것들도 파괴되었다.

3. 1. 상징적 의미

4. 신화 속 역할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라마수는 근간을 하늘에 두고 있는 성수로, 아시리아의 국가와 백성을 보호하는 수호신의 역할을 했다.[30] 처음에는 민간 수호신앙의 성격이 짙었으나 점차 왕궁에서도 수호신으로 받아들여져 입구를 지키는 문지기 석상의 형태로 숭앙되었다.[30]

300px


''라마수''는 지성을 상징하는 사람의 머리, 힘을 상징하는 황소의 몸, 자유를 상징하는 독수리의 날개를 가진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의 천상의 존재이다.[16] 때로는 황소의 뿔과 귀를 가지고 있기도 했다.[16] ''라마수''와 세두는 일반적인 아시리아 사람들의 가정을 보호하는 수호령이었으며, 나중에는 왕실의 수호신과 연관되어 입구에 감시병으로 배치되었다.[16] 아카드인들은 신 파프수칼을 ''라마수''와, 신 이슙을 ''세두''와 연관시켰다.

집을 보호하기 위해 ''라마수''는 점토판에 새겨졌고, 그 후 문지방 아래에 묻혔다. 그들은 종종 궁전 입구에 한 쌍으로 배치되었다. 도시 입구에서는 거대한 크기로 조각되어 도시의 문 양쪽에 한 쌍으로 배치되었고, 일반적으로 주변 벽에 문이 있었으며, 각각 사방 중 하나를 바라보았다.

5. 현대 문화 속 라마수

1942년에서 1943년 사이에 이라크이란에서 작전을 수행한 영국 제10군은 '라마수'를 휘장으로 채택했다. 수염이 난 날개 달린 황소의 몸을 가진 남자는 미국 이라크 주둔군의 로고에 나타난다.

C. S. 루이스의 ''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에서 아슬란의 군대를 구성하는 생물들 중 하나로 황소의 몸을 가진 남자가 등장한다. 그는 돌 탁자에서 나타나 하얀 마녀에게 "우렁찬 목소리"로 도전한다. 영화 ''알렉산더''(2004)에서 '라마수'는 바빌론의 이슈타르 문에서 볼 수 있다. 디즈니 영화 ''알라딘''(1992)에서 알라딘과 아부가 램프를 찾기 위해 사막의 동굴로 들어가는 장면에서 금색 '라마수'가 등장한다.

노스웨스턴 대학교의 예술 이론 및 실기 교수인 마이클 라코비츠는 기원전 700년부터 2015년 ISIS에 의해 파괴될 때까지 이라크 니네베에 서 있던 '라마수'를 재현하기 위해 트라팔가 광장 제4의 기둥 위탁을 받았다. 라코비츠의 조각품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런던 트라팔가 광장에 전시되었다.[17]

라마수와 셰두는 롤플레잉 게임 ''던전 & 드래곤''에서 선한 성향을 가진 두 가지 유형의 뚜렷한 존재로 나타난다. 라마수는 날개 달린 사자의 몸을 하고 있으며, 셰두는 사람의 머리를 가진 날개 달린 황소로 묘사된다.

라마수는 ''매직 더 개더링'' 트레이딩 카드 게임에 백색 카드인 Hunted Lammasu[18]로 ''라브니카'' 확장팩에 등장하며, 칸 오브 타르키르 확장팩에서 발견되는 백색 카드인 Venerable Lammasu로도 등장한다.[19]

미니어처 워게임인 ''워해머 판타지 배틀''에서 라마수는 카오스 드워프 군대의 탈것이었으며, ''스톰 오브 매직'' 확장팩 출시의 일부로 다시 등장했다.

비디오 게임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VI''에서 라마수는 네크로폴리스 진영(언데드)에서 모집 가능한 엘리트 생물이다.

라마수는 ''페르시아의 왕자 3D''의 플로팅 루인 레벨의 끝 부분에 등장하며, 왕자가 절벽으로 가기 위해 그것을 탄다. 또한 게임의 엔딩에서도 등장하며, 왕자와 공주가 알 수 없는 목적지로 가기 위해 그것을 탄다.

6. 갤러리



이란의 SAVAK의 휘장


참조

[1] 서적 Babylon: Mesopotamia and the Birth of Civilization
[2] 웹사이트 Kaskal : Rivista di storia, ambiente e culture del vicino oriente antico. Volume 6, 2009 - LoGisma editore https://web.archive.[...] 2015-05-06
[3] 웹사이트 Livius.org https://web.archive.[...] 2020-03-26
[4] 서적 The Pantheon of Uruk During the Neo-Babylonian Period https://books.google[...] Brill
[5] 서적 An Illustrated dictionary, Gods, Demons and Symbols of Ancient Mesopotamia The British Museum Press
[6] 서적 History and Chronology of the Myth-Making Age
[7] 서적 Enuma Elish Vol 1 & 2: The Seven Tablets of Creation; The Babylonian and Assyrian Legends Concerning the Creation of the World and of Mankind
[8] 서적 The seal impressions from Tell Atchana/Alalakh https://books.google[...] Butzon & Bercker 1975
[9] 간행물 La Déesse Lama 1960
[10] 서적 A Dictionary of Ancient Near Eastern Myth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
[11] 뉴스 History – Mesopotamia https://www.bbc.co.u[...] BBC 2019-12-22
[12] 웹사이트 Lamassu http://www.ancientne[...] ancientneaeast.net 2010-07-17
[13] 문서 Frankfort
[14] 문서 Frankfort
[15] 서적 The Hittite State Cult of the Tutelary Deities https://books.googl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16] 웹사이트 Winged human-headed bull http://www.louvre.fr[...] Louvre.fr 2017-02-19
[17] 웹사이트 The Lamassu, Resurrected http://www.weinberg.[...] 2017-04-14
[18] 웹사이트 Hunted Lammasu https://web.archive.[...]
[19] 웹사이트 Venerable Lammasu http://gatherer.wiza[...] 2014-12-18
[20] 웹사이트 Assyrian Human Headed Winged Lion and Bull (Lamassu) http://smarthistory.[...] Smarthistory at Khan Academy 2013-01-08
[21] 서적 A Dictionary of Ancient Near Eastern Myth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
[22] 웹인용 Livius.org https://web.archive.[...] 2019-03-29
[23] 서적 The Pantheon of Uruk During the Neo-Babylonian Period https://books.google[...] Brill
[24] 서적 An Illustrated dictionary, Gods, Demons and Symbols of Ancient Mesopotamia The British Museum Press
[25] 서적 History and Chronology of the Myth-Making Age
[26] 서적 Enuma Elish Vol 1 & 2: The Seven Tablets of Creation; The Babylonian and Assyrian Legends Concerning the Creation of the World and of Mankind
[27] 간행물 La Déesse Lama 1960
[28] 뉴스 History – Mesopotamia https://www.bbc.co.u[...] BBC
[29] 웹인용 Lamassu http://www.ancientne[...] ancientneaeast.net 2023-03-29
[30] 웹인용 Winged human-headed bull http://www.louvre.fr[...] Louvre.fr 2017-02-1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