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 제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우 제도는 멜라네시아의 피지와 폴리네시아의 통가 사이에 위치한 섬들로, 두 문화권의 영향을 받았다. 1774년 제임스 쿡이 처음 바토아섬에 도착했으며, 1820년경 유럽 탐험가들이 오노이라우에 발을 디뎠을 무렵 피지에서 측량이 가장 많이 이루어진 곳이었다. 라우 제도는 역사적으로 여러 세력으로 나뉘어 있었으나, 1855년 통가의 왕자 에넬레 마푸가 정복하여 병합 통치를 시작했다. 그는 투이 라우(라우의 왕)를 칭하며 헌법을 공포하고 기독교 선교를 장려했으며, 1969년 투이 나야우와 투이 라우의 칭호가 동군연합으로 통합되었다. 주요 인물로는 피지의 총리 및 대통령을 역임한 카미세세 마라, 랄라 스쿠나 등이 있으며, 크리켓이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지의 군도 - 로마이비치 제도
로마이비치 제도는 피지 본섬에서 동쪽으로 약 60km 떨어진 8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피지 공화국 제도이며, 1789년 윌리엄 블라이에 의해 발견된 후 영국의 식민 행정 거점으로 발전하여 현재 피지 동부 구에 속하며 의회 민주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 라우 제도 - 오노이라우
오노이라우는 피지에 위치한 섬으로, 1791년 피지인과 유럽인 간의 최초 기록된 교류가 있었던 곳이며 연평균 최고 기온 27.9°C, 최저 기온 22.3°C, 연간 강수량 일수 112.8일을 나타낸다. - 라우 제도 - 캄바라섬
캄바라섬은 위키백과에 등재된 가상의 섬이며, 역사, 내용, 비판, 한국의 관점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논의되지만, 실존하지 않는 가상의 설정이다.
라우 제도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위치 | 피지 동부 |
지리적 위치 | 남위 17° 50′ 동경 178° 40′ |
면적 | 487 제곱킬로미터 |
역사 | |
발견 | 1798년 |
유럽인 최초 발견자 | 제임스 윌슨 |
인구 | |
인구 | 약 2만명 |
민족 구성 | 피지인 |
행정 구역 | |
주요 섬 | 오노이라우 바누아발라부 나이라우 타베우니 라곰바 나야우 모알라 마고 섬 시시아 섬 카바라 무아로 투부아 부아갈레부 마투쿠 오게아 레부 오게아 드리아 카루나 모체 토토야 야가사 아로사 나이타우바 아이아 탐보 나기리 나물칼라 베토아 |
기타 | |
언어 | 피지어 |
기후 | 열대 기후 |
2. 역사
라우 제도는 1774년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이 바토아섬에 도착하면서 외부 세계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1820년 유럽 탐험가들이 오노 일대에 발을 딛었을 때쯤에는 이미 피지에서 가장 상세히 측량된 지역 중 하나였다.
역사적으로 라우 제도는 라우 제도 북부, 라우 제도 남부, 모알라 제도의 세 지역으로 나뉘어 있었다. 1855년경, 통가의 왕자 에넬레 마푸가 라우 제도를 정복하고 통합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그는 스스로를 '투이 라우'(라우의 왕)라 칭하며 헌법을 공포하고 기독교 선교를 장려했다.
1969년에는 투이 나야우와 투이 라우 칭호가 동군연합으로 합쳐지는 중요한 사건이 있었다. 1963년 투이 라우 지위를 받은 카미세세 마라가 1966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투이 나야우 직위까지 물려받으면서 두 칭호가 통합된 것이다.
2. 1. 초기 역사
1774년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이 바토아섬에 처음으로 도착했다. 1820년 유럽 탐험가들이 오노 일대에 처음 발을 딛었을 때쯤 라우 제도는 피지에서 가장 많이 측량이 이뤄진 곳이었다.라우 제도의 정치적 통합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었다. 역사적으로 라우 제도는 라우 제도 북부, 라우 제도 남부, 모알라 제도 등의 세 개의 세력으로 나뉘었다. 1855년경 통가의 왕자였던 에넬레 마푸가 라우 제도를 정복하여 병합 통치하기 시작했다. 스스로를 투이 라우 (라우의 왕)이라 칭했던 그는 헌법을 공포하고 기독교 선교단 파견을 독려했다. 1830년 라케바섬에 최초로 선교사들이 상륙했지만 쫓겨난 바 있었다. 마푸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라우 제도의 명망있는 통치자였던 투이 나야우를 복종시키기도 했다.
투이 나야우와 투이 라우라는 칭호는 1969년 동군연합으로 합쳐지게 되었다. 지난 1963년 야부사 통가로부터 투이 라우의 지위를 수여받은 카미세세 마라가 1966년 자신의 아버지 우일라케바 3세가 사망하면서 투이 나야우라는 직위도 물려받게 되면서 생겨난 일이었다. 애초에 투이 라우라는 칭호가 1958년 마라의 삼촌인 랄라 수쿠나 사망 이후 공석으로 남아있기도 했다.
남쪽으로 투부카섬까지 해당되는 라우 제도 북부는 타베우니섬의 통치자가 다스렸으며, '투이 카카우' (다카운드로베의 최고 통치자)에게 조공을 바쳤다. 하지만 1855년 마푸 왕자가 라우 북부의 주권도 손에 넣게 되면서 바누아바발루섬에 로마로마를 건설, 자기 왕국의 수도로 삼았다.
라우 제도 남부는 북쪽으로 시시아섬까지, 남쪽 먼 곳으로 오노이라우까지 해당된다. 투이 나야우란 이름의 통치자도 있었지만 1850년대 마푸 왕자의 정복으로 통가 왕국에 종속되었다.
모알라 제도는 라우 제도보다는 바우섬과 로마이비치 제도에 더 가까운 관계로 속해 있었지만, 마푸 왕자의 정복으로 라우 제도와 한데 묶였다. 이때 이후로 행정구역상으로도 라우주의 일부로 남아있게 되었다.
2. 2. 통가의 영향과 통합
1774년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이 바토아섬에 처음 도착했다. 1820년 유럽 탐험가들이 오노 일대에 처음 발을 딛었을 때쯤 라우 제도는 피지에서 가장 많이 측량이 이뤄진 곳이었다.라우 제도의 정치적 통합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었다. 역사적으로 라우 제도는 라우 제도 북부, 라우 제도 남부, 모알라 제도 등의 세 개의 세력으로 나뉘었다. 1855년경 통가의 왕자였던 에넬레 마푸가 라우 제도를 정복하여 병합 통치하기 시작했다. 스스로를 투이 라우 (라우의 왕)이라 칭했던 그는 헌법을 공포하고 기독교 선교단 파견을 독려했다. 1830년 라케바섬에 최초로 선교사들이 상륙했지만 쫓겨난 바 있었다. 마푸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라우 제도의 명망있는 통치자였던 투이 나야우를 복종시키기도 했다.
투이 나야우와 투이 라우라는 칭호는 1969년 동군연합으로 합쳐지게 되었다. 지난 1963년 야부사 통가로부터 투이 라우의 지위를 수여받은 카미세세 마라가 1966년 자신의 아버지 우일라케바 3세가 사망하면서 투이 나야우라는 직위도 물려받게 되면서 생겨난 일이었다. 애초에 투이 라우라는 칭호가 1958년 마라의 삼촌인 랄라 수쿠나 사망 이후 공석으로 남아있기도 했다.
남쪽으로 투부카섬까지 해당되는 라우 제도 북부는 타베우니섬의 통치자가 다스렸으며, '투이 카카우' (다카운드로베의 최고 통치자)에게 조공을 바쳤다. 하지만 1855년 마푸 왕자가 라우 북부의 주권도 손에 넣게 되면서 바누아바발루섬에 로마로마를 건설, 자기 왕국의 수도로 삼았다.
라우 제도 남부는 북쪽으로 시시아섬까지, 남쪽 먼 곳으로 오노이라우까지 해당된다. 투이 나야우란 이름의 통치자도 있었지만 1850년대 마푸 왕자의 정복으로 통가 왕국에 종속되었다.
모알라 제도는 라우 제도보다는 바우섬과 로마이비치 제도에 더 가까운 관계로 속해 있었지만, 마푸 왕자의 정복으로 라우 제도와 한데 묶였다. 이때 이후로 행정구역상으로도 라우주의 일부로 남아있게 되었다.
2. 3. 투이 나야우와 투이 라우 칭호의 통합
투이 나야우와 투이 라우 칭호는 1969년에 동군연합으로 합쳐졌다. 1963년에 야부사 통가로부터 투이 라우 지위를 수여받은 카미세세 마라는 1966년 자신의 아버지 우일라케바 3세가 사망하면서 투이 나야우 직위도 물려받게 되면서 통합이 이루어졌다.[3] 1958년 마라의 삼촌인 랄라 수쿠나 사망 이후 투이 라우 칭호가 공석으로 남아있던 것도 영향을 주었다.[3]2. 4. 라우 제도의 각 지역
역사적으로 라우 제도는 라우 제도 북부, 라우 제도 남부, 모알라 제도 등의 세 세력으로 나뉘었다.[1] 1855년경 통가의 왕자였던 에넬레 마푸가 라우 제도를 정복하여 통치하였다.[1]지역 | 범위 | 기타 |
---|---|---|
라우 제도 북부 | 투부카섬 이남 | 타베우니섬의 통치자가 다스렸으며, 투이 카카우 (다카운드로베의 최고 통치자)에게 조공을 바쳤다. 1855년 마푸 왕자가 주권을 확보하고 바누아바발루섬에 로마로마를 건설, 수도로 삼았다.[1] |
라우 제도 남부 | 시시아섬 이북, 오노이라우 이남 | 투이 나야우 통치자가 있었지만 1850년대 마푸 왕자의 정복으로 통가 왕국에 종속되었다.[1] |
모알라 제도 | 해당사항 없음 | 바우섬과 로마이비치 제도에 더 가까웠지만, 마푸 왕자의 정복으로 라우 제도와 통합되었다. 이후 라우주의 일부로 행정구역상 포함되었다.[1] |
라우 제도는 피지에서 크리켓의 중심지로, 피지의 다른 지역에서 럭비와 축구가 선호되는 것과 달리 라우에서는 크리켓이 가장 인기 있는 단체 경기이다. 국가 대표팀은 항상 라우 선수들이 주도하고 있다. 바누아 발라부 섬 바로 앞 로마로마에는 관광을 장려하기 위해 야누야누 섬 리조트가 건설되었지만, 거의 즉시 실패하여 2000년 이후로 버려져 있다. 말라카 마을 근처에는 비행장이 있고, 로마로마에 있는 바누아 발라부에도 항구가 있다. 바누아 발라부와 라케바에는 게스트하우스가 있다.
3. 문화와 경제
3. 1. 멜라네시아와 폴리네시아의 융합
피지와 통가 사이에 위치한 라우 제도는 멜라네시아와 폴리네시아 문화가 만나는 곳이다. 라우의 마을들은 전통적인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으며, 섬 주민들은 목각과 마시 그림으로 유명하다. 특히 라케바는 역사적으로 통가인과 피지인이 만나는 장소였다. 남동 무역풍 덕분에 통가에서 피지로 가는 것은 쉬웠지만, 반대로 돌아오는 것은 어려웠다. 기원전 500년경부터 라우 제도의 문화는 폴리네시아보다는 피지에 더 가까워졌다.[1] 하지만 이름, 언어, 음식, 건축 양식에서 통가의 영향을 여전히 찾아볼 수 있다. 피지의 다른 지역 집들이 대부분 정사각형 모양을 한 반면, 라우의 집들은 통가식으로 둥근 모양을 하고 있다.
2014년 7월 초, 통가의 토지부 장관 마아푸 투쿠이아울라히 경은 분쟁 지역인 미네르바 환초와 라우 제도를 교환하는 방안을 제안했다.[2] 이 제안이 처음 알려졌을 당시, 라우 지방 의회와는 아직 논의되지 않았다.[3] 많은 라우 사람들은 통가 조상을, 일부 통가인들은 라우 조상을 가지고 있다. 통가 토지부 장관의 이름은 원래 통가를 위해 라우의 일부를 주장했던 통가 왕자 에넬레 마아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4] 역사적으로 미네르바 환초는 라우 제도의 섬 오노이라우 주민들의 어장이었다.[5]
3. 2. 통가의 영향
1855년경 통가의 왕자였던 에넬레 마푸가 라우 제도를 정복하여 병합 통치하기 시작했다. 스스로를 투이 라우(라우의 왕)이라 칭했던 그는 헌법을 공포하고 기독교 선교단 파견을 독려했다. 1830년 라케바섬에 최초로 선교사들이 상륙했지만 쫓겨난 바 있었다.[1] 마푸는 라우 제도의 명망있는 통치자였던 투이 나야우를 복종시키기도 했다.
투이 나야우와 투이 라우라는 칭호는 1969년 동군연합으로 합쳐졌다. 1963년 야부사 통가로부터 투이 라우의 지위를 수여받은 카미세세 마라가 1966년 자신의 아버지 우일라케바 3세가 사망하면서 투이 나야우라는 직위도 물려받게 되면서 생겨난 일이었다. 1958년 마라의 삼촌인 랄라 수쿠나 사망 이후 투이 라우라는 칭호가 공석으로 남아있었다.
남쪽으로 투부카섬까지 해당되는 라우 제도 북부는 타베우니섬의 통치자가 다스렸으며, '투이 카카우' (다카운드로베의 최고 통치자)에게 조공을 바쳤다. 하지만 1855년 마푸 왕자가 라우 북부의 주권도 손에 넣게 되면서 바누아바발루섬에 로마로마를 건설, 자기 왕국의 수도로 삼았다.
라우 제도 남부는 북쪽으로 시시아섬까지, 남쪽 먼 곳으로 오노이라우까지 해당된다. 투이 나야우란 이름의 통치자도 있었지만 1850년대 마푸 왕자의 정복으로 통가 왕국에 종속되었다.
모알라 제도는 라우 제도보다는 바우섬과 로마이비치 제도에 더 가까운 관계로 속해 있었지만, 마푸 왕자의 정복으로 라우 제도와 한데 묶였다. 이때 이후로 행정구역상으로도 라우주의 일부로 남아있다.
멜라네시아의 피지와 폴리네시아의 통가 사이에 위치한 라우 제도는 두 문화권의 만남의 장소이다. 라우의 마을들은 매우 전통적인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섬 주민들은 목각과 마시 그림으로 유명하다. 특히 라케바는 전통적으로 통가인과 피지인이 만나는 장소였다. 남동 무역풍 덕분에 선원들은 통가에서 피지로 여행할 수 있었지만, 돌아오는 것은 훨씬 어려웠다. 라우 제도의 문화는 기원전 500년경부터 폴리네시아보다는 피지 문화에 더 가까워졌다.[1] 그러나 통가의 영향은 여전히 이름, 언어, 음식, 건축 양식에서 찾아볼 수 있다. 피지 다른 지역의 대부분의 집들이 정사각형 모양인 것과 달리, 라우의 집들은 통가식으로 둥근 모양을 하고 있다.
2014년 7월 초, 통가의 토지부 장관인 마아푸 투쿠이아울라히 경은 분쟁 지역인 미네르바 환초를 라우 제도와 교환하는 방안을 제안했다.[2] 이 제안이 처음 알려졌을 당시, 라우 지방 의회와는 아직 논의되지 않았다.[3] 많은 라우 사람들에게는 통가 조상이 있고, 일부 통가인들에게는 라우 조상이 있다. 통가의 토지부 장관의 이름은 원래 통가를 위해 라우의 일부를 주장했던 통가 왕자 에넬레 마아푸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4] 역사적으로 미네르바 환초는 라우 제도의 섬인 오노이라우 주민들의 어장의 일부였다.[5]
3. 3. 미네르바 환초 분쟁과 통가와의 관계
멜라네시아의 피지와 폴리네시아의 통가 사이에 위치한 라우 제도는 두 문화권의 만남의 장소이다. 라우 제도의 문화는 기원전 500년경부터 폴리네시아보다는 피지 문화에 더 가까워졌다.[1] 그러나 통가의 영향은 여전히 이름, 언어, 음식, 건축 양식에서 찾아볼 수 있다.
2014년 7월 초, 통가의 토지부 장관인 마아푸 투쿠이아울라히 경은 분쟁 지역인 미네르바 환초를 라우 제도와 교환하는 방안을 제안했다.[2] 이 제안이 처음 알려졌을 당시, 라우 지방 의회와는 아직 논의되지 않았다.[3] 많은 라우 사람들은 통가 조상이 있고, 일부 통가인들은 라우 조상이 있다. 통가의 토지부 장관의 이름은 원래 통가를 위해 라우의 일부를 주장했던 통가 왕자 에넬레 마아푸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4] 역사적으로 미네르바 환초는 라우 제도의 섬인 오노이라우 주민들의 어장의 일부였다.[5]
3. 4. 경제
피지와 통가 사이에 위치한 라우 제도는 멜라네시아와 폴리네시아 두 문화권의 만남의 장소이다. 라우의 마을들은 매우 전통적인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섬 주민들은 목각과 마시 그림으로 유명하다.[1] 특히 라케바는 전통적으로 통가인과 피지인이 만나는 장소였다. 남동 무역풍 덕분에 선원들은 통가에서 피지로 여행할 수 있었지만, 돌아오는 것은 훨씬 어려웠다.
바누아 발라부 섬 바로 앞 로마로마에는 피지의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관광을 장려하기 위해 야누야누 섬 리조트가 건설되었지만, 이 작은 리조트는 거의 즉시 실패하여 2000년 이후로 버려져 있다. 말라카 마을 근처에는 비행장이 있고, 로마로마에 있는 바누아 발라부에도 항구가 있다. 바누아 발라부와 다른 주요 섬인 라케바에는 게스트하우스가 있다.
라우 제도는 피지에서 크리켓의 중심지이다. 크리켓은 피지의 다른 지역에서 럭비와 축구가 선호되는 것과 달리 라우에서 가장 인기 있는 단체 경기이다. 국가 대표팀은 항상 라우 선수들이 주도하고 있다.
3. 5. 스포츠
라우 제도에서는 피지의 다른 지역에서 럭비와 축구가 선호되는 것과 달리 크리켓이 가장 인기 있는 단체 경기이다. 라우 제도는 피지에서 크리켓의 중심지로, 국가 대표팀은 항상 라우 선수들이 주도하고 있다.
4. 주요 인물
라투 서 카미세세 마라 (1920-2004)는 투이 라우, 투이 나야우, 사우 니 바누아(라우 제도의 세습적 최고 족장)이자, 1967년부터 1992년까지 대부분의 기간 동안 총리를 역임하고 1993년부터 2000년까지 대통령을 역임한 현대 피지의 건국 아버지였다. 라투 서 랄라 스쿠나 (1898-1958)는 피지의 독립 이전 시기에 피지의 초기 헌법 제도를 구축하는데 기여하였다.
4. 1. 정치인
조나티 마보아는 피지의 자치 과정 초기에 여러 장관직을 역임했고, 찰스 워커는 동맹 정부에서 여러 장관직을 역임한 후 외교관이 되었다. 넬슨 델라일로말로마는 교육부 장관이자 임시 정부 장관을 역임했고, 전 총리 라이세니아 카라세, 전 법무장관 코리니아시 발레, 전 교육부 장관 필리페 볼레, 주중 대사 에살라 텔레니, 전 내각 장관 라베니아 파다라스가 있다. 현직 영부인 아디 코일라 나일라티카우 또한 라투 서 카미세세 마라의 딸이기 때문에 라우 제도 출신이다.4. 2. 관료
라우 제도 출신 관료로는 전 상임 장관 마리카 투키투쿠, 솔로몬 마카시알레, 조지 코토발라부, 솔로몬 실라, 현직 상임 장관 잘레 포토필리, 피지 최초의 대법원장 서 티모시 투이바가, 감리교 피지 연회 최초의 피지 대통령 세타레키 투일로보니, 카시마이와이, 에펠리(전 주 호주 고등판무관, 전 교육부 상임장관, 퀸 빅토리아 스쿨에 임명된 최초의 피지 교장) 등이 있다.4. 3. 스포츠 선수
종목 | 선수 |
---|---|
크리켓 | I. L. 부라, 에로니 로가니모세, 페니 다카이니바누아, 타니엘라 나우리보, 우라이아 소로바카티니 |
복싱 | 수니아 카마, 카미세세 바우불라, 테모 콜리타파, 에로니 코부티마불라 로가니모세 |
럭비 | 조엘리 베이타야키, 수니아 코토, 오세아 콜리니사우, 네타니 탈레, 시사 코야마이볼레, 아사엘리 티코이로투마, 메투이셀라 탈레불라, 에로니 마위, 아카푸시 케라, 지코이바우 마타왈루, 세파 나이발루, 테비타 카부바티, 빌 카부바티, 데릭 토마스 소와니, 카멜리 라투보, 일리에사 케레소니, 아피 나이카티니, 아피사이 타우야부카, 헨리 키오드라부 |
4. 4. 청년 지도자
참조
[1]
웹사이트
Rotuma: Language and History
http://www.hawaii.ed[...]
1999-01-01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1999년 1월 1일로 설정
[2]
뉴스
'Give up Lau'
https://web.archive.[...]
Fiji Times
2014-07-03
[3]
뉴스
Lau 'in the dark'
http://www.fijitimes[...]
Fiji Times
2014-07-04
[4]
뉴스
Lord Ma'afu wants Lau for Minerva Reef
https://archive.toda[...]
Tonga Daily News
2014-07-03
[5]
라디오방송
Tonga et Fidji se disputent le Récif de la Minerve
http://www.radioaust[...]
ABC Radio Australia
2011-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