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 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틴 팝은 라틴 아메리카의 음악적 요소와 팝 음악을 결합한 장르이다. 1960년대 세르지우 멘데스가 처음 세계에 알린 후,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로베르토 카를로스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로맨틱 발라드를 선보이며 1970년대 라틴 팝을 정의했다. 1980~90년대에는 라틴 프리스타일과 테하노 음악의 영향을 받아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라틴 음악 형태로 자리 잡았으며, 글로리아 에스테판, 셀레나 등이 크로스오버 성공을 거두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는 리키 마틴, 엔리케 이글레시아스, 샤키라, 제니퍼 로페즈 등 많은 라틴 아티스트들이 주류 팝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틴 아메리카의 음악 장르 - 라틴아메리카의 음악
라틴 아메리카의 음악은 아프리카, 스페인, 원주민 음악의 융합으로 형성된 다채로운 유산을 바탕으로 각 지역의 고유한 스타일을 포함하며, 20세기 초 탱고를 시작으로 맘보, 살사, 레게톤 등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은 다양한 장르와 사회적, 문화적 메시지를 담은 음악들을 통해 라틴 아메리카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 라틴 아메리카의 음악 장르 - 칸숀
- 팝 음악 장르 - 내슈빌 사운드
내슈빌 사운드는 1950년대 후반 내슈빌 음반사에서 쳇 애킨스 등을 중심으로 개발된 컨트리 음악 스타일로, 혼키통크 요소와 팝 음악의 부드러움을 결합해 현악 세션, 백킹 보컬, 크루닝 창법을 활용했으며, 컨트리폴리탄으로 진화하여 컨트리 팝에 영향을 주었다. - 팝 음악 장르 - 어덜트 컨템포러리
어덜트 컨템포러리는 1960년대 이지 리스닝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하위 장르로 발전했으며, 2000년대 이후 주류 음악과의 융합을 통해 팝 음악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 온 라디오 음악 형식이다.
라틴 팝 | |
---|---|
음악 장르 | |
스타일 기원 | 라틴 음악 팝 사이키델릭 음악 |
문화적 기원 | 1970년대, 라틴 아메리카, 스페인, 포르투갈 |
파생 장르 | 라틴 발라드 트로피팝 |
융합 장르 | 치카노 록 라틴 록 |
2. 역사
라틴 팝은 주로 스페인어로 불리는 팝송을 지칭한다.[10] 세계적으로는 포르투갈어로 불리는 곡도 포함되며, 히스패닉계 가수의 경우 영어로 불린 곡도 라틴 팝으로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음악적으로는 라틴 음악을 융합한 팝에서부터, 구미 팝과 다름없는 것까지 있어서 폭이 넓다.
일본에서는 라틴 팝이라고 하면 스페인어권에 한정되며, 포르투갈어권의 대중음악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해석되는 경우가 많지만, 세계적으로 보면 브라질이나 포르투갈의 팝도 포함된다. 본 항목에서는 일본 국내의 관점에서 스페인어권 아티스트를 다룬다. 브라질 음악이나 MPB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을 참조하면 된다.
2. 1. 초기 (1960년대 이전)
라틴 팝은 오늘날 가장 인기 있는 라틴 음악 장르 중 하나이다. 로스 델 리오, 알레한드로 산스, 탈리아, 루이스 미겔, 셀레나, 폴리나 루비오, 샤키라, 카를로스 비베스, 리키 마틴, 글로리아 트레비, 엔리케 이글레시아스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등장하기 전인 1960년대 중반, 밴드 리더 세르지우 멘데스의 활동을 통해 라틴 팝은 처음으로 세계적인 청중에게 다가갔다.[4] 이보다 수십 년 전에 카르멘 미란다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할리우드에서 라틴 삼바 음악을 대중화시키긴 했지만 말이다. 이후 수십 년 동안, 1970년대에 훌리오 이글레시아스나 로베르토 카를로스와 같은 전설적인 아티스트들이 제작한 로맨틱 발라드로 정의되었다.[5]2. 2. 발전 (1960년대 ~ 1990년대)
세르지우 멘데스는 1960년대 중반, 밴드 활동을 통해 라틴 팝을 세계에 알렸다.[4] 카르멘 미란다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이보다 수십 년 전에 할리우드에서 라틴 삼바 음악을 대중화했지만, 멘데스의 활동은 라틴 팝의 세계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70년대에는 훌리오 이글레시아스나 로베르토 카를로스와 같은 전설적인 아티스트들이 제작한 로맨틱 발라드가 라틴 팝의 주류를 이루었다.[5]리키 마틴은 라틴 팝의 황제로 불린다.[6]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라틴 팝은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라틴 음악 장르가 되었다. 푸에르토리코 보이 밴드 메누도와 같은 그룹들은 1990년대 후반 비 라틴계 청취자들 사이에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라틴 팝은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인기를 얻었지만, 미국의 음악 제작 기술과 스타일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테하노 음악은 텍사스와 미국-멕시코 국경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했는데, 노르테뇨 음악과 같은 전통적인 스타일에 신시사이저와 세련된 음악 프로덕션을 도입하여 도시적인 감성을 더했다.

뉴욕과 마이애미는 라틴 클럽 문화가 발달한 곳이었으며, 1980년대에는 라틴 리듬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신시사이저와 드럼 머신을 주로 사용한 클럽 댄스 음악인 라틴 프리스타일이 등장했다. 이러한 사운드는 라틴 팝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으며, 라틴 팝은 빠른 템포의 곡에는 라틴 리듬을 유지하면서도 멜로디는 주류 팝 음악에 더 가까워졌다.
글로리아 에스테판은 라틴 팝의 첫 번째 주요 크로스오버 스타였다. 1980년대 중반부터 후반까지 클럽 음악 스타일의 댄스 팝 히트곡을 발표했지만, 웅장한 감성 발라드를 부르는 성인가요 디바로 더 잘 알려지게 되었다. 이러한 라틴 댄스 팝과 성인가요 발라드의 결합은 1990년대까지 라틴 팝을 지배했다. 대부분의 아티스트들은 라틴 관객을 위해 스페인어로 노래를 불렀지만, 라틴 팝이 주류 음악과 유사했기 때문에 여러 가수들이 영어로 음반을 내면서 크로스오버 히트를 기록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존 세카다는 1990년대 중반에 여러 팝 히트곡을 냈고, 테하노 팝 스타 셀레나의 앨범 ''Dreaming of You''는 1995년 발매와 동시에 앨범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다.[7]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에는 리키 마틴, 엔리케 이글레시아스, 샤키라, 제니퍼 로페즈와 전 남편 마크 앤소니, 폴리나 루비오, 제이드 에스테반 에스트라다, 탈리아 등 라틴 아티스트들이 주류 음악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데벨라 모건과 98 디그리스와 같이 라틴 팝 사운드를 실험하거나, 크리스티나 아길레라와 제시카 심슨과 같이 자신의 노래나 앨범의 스페인어 버전을 녹음하는 등, 전통적인 팝 아티스트들도 라틴 팝에 진출했다.[8][9]
2. 3. 전성기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 리키 마틴, 엔리케 이글레시아스, 샤키라, 제니퍼 로페즈와 전 남편 마크 앤소니, 폴리나 루비오, 제이드 에스테반 에스트라다, 탈리아 등 라틴 아티스트들이 주류 음악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8][9] 데벨라 모건과 98 디그리스와 같이 라틴 팝 사운드를 시도하여 성공을 거둔 그룹도 있었고, 크리스티나 아길레라와 제시카 심슨처럼 자신의 노래나 앨범을 스페인어로 녹음한 전통적인 팝 아티스트들도 있었다.[8][9]3. 주요 특징
라틴 팝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라틴 음악 형태였다. 푸에르토리코 보이 밴드 메누도와 같은 그룹들은 1990년대 후반 비 라틴계 청취자들 사이에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라틴 팝은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음악 스타일과 제작 기법에도 큰 영향을 받았다. 테하노 음악은 텍사스와 미국-멕시코 국경 지역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스타일에 신시사이저, 세련된 음악 프로덕션, 도시적인 감성을 도입했다.
뉴욕과 마이애미는 라틴 클럽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1980년대에는 라틴 리듬을 기반으로 신시사이저와 드럼 머신을 사용한 클럽 지향적인 댄스 음악인 라틴 프리스타일이 부상했다. 데벨라 모건과 98 디그리스와 같이 라틴 팝 사운드를 실험하여 성공을 거두거나, 크리스티나 아길레라와 제시카 심슨과 같이 자신의 노래나 앨범의 스페인어 버전을 녹음하는 등, 전통적인 팝 아티스트들도 라틴 팝에 진출했다.[8][9] 일본에서는 라틴 팝을 스페인어권 음악으로 한정하는 경향이 있지만, 세계적으로는 브라질이나 포르투갈의 팝도 포함된다.
3. 1. 음악적 특징
라틴 팝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라틴 음악의 형태였으며, 템포가 빠른 곡에는 라틴 리듬을 유지했지만 멜로디적인 측면에서는 주류 팝에 더 많이 의존했다.[7] 테하노 음악은 텍사스와 미국-멕시코 국경 지역을 중심으로, 노르테뇨 음악과 콘훈토와 같은 전통적인 스타일에 신시사이저, 세련된 음악 프로덕션, 그리고 더 도시적인 감성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뉴욕과 마이애미의 라틴 클럽들은 라틴 리듬에 뿌리를 두면서도 대부분의 편곡에 신시사이저와 드럼 머신을 사용한 클럽 지향적인 댄스 음악인 라틴 프리스타일의 부상을 이끌었다.라틴 팝의 첫 번째 주요 크로스오버 스타는 글로리아 에스테판이었으며, 1980년대 중반부터 후반까지 클럽 지향적이지 않은 일련의 댄스 팝 히트곡을 기록했지만, 결국 웅장한 감성 발라드에 대한 친밀감을 가진 성인가요 디바로 더 잘 알려지게 되었다.[7] 1990년대에는 대부분의 아티스트들은 라틴 관객을 위해 스페인어로 노래를 불렀지만, 라틴 팝이 주류와 유사했기 때문에 여러 공연자들이 영어로 녹음하기로 결정했을 때 크로스오버 히트를 기록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존 세카다는 1990년대 중반에 여러 팝 히트곡을 기록했고, 테하노 팝 스타 셀레나의 앨범 ''Dreaming of You''는 1995년 발매와 동시에 앨범 차트에서 사후에 1위로 데뷔했다.[7]
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에는 리키 마틴, 엔리케 이글레시아스, 샤키라, 제니퍼 로페즈와 전 남편 마크 앤소니, 폴리나 루비오, 제이드 에스테반 에스트라다, 탈리아 등 라틴 아티스트들이 크로스오버 주류 성공을 거두었다.[8][9]
주로 스페인어로 불리는 팝송을 지칭한다.[10] 또한 세계적으로는 포르투갈어로 불리는 곡도 포함된다. 히스패닉계 가수의 경우, 영어로 불린 곡도 라틴 팝으로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음악적으로는 라틴 음악을 융합한 팝에서부터, 구미 팝과 다름없는 것까지 있어서 폭이 넓다.
3. 2. 언어적 특징
주로 스페인어로 불리는 팝송을 지칭한다.[10] 세계적으로는 포르투갈어로 불리는 곡도 포함된다. 히스패닉계 가수의 경우, 영어로 불린 곡도 라틴 팝으로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음악적으로는 라틴 음악을 융합한 팝에서부터, 구미 팝과 다름없는 것까지 있어서 폭이 넓다.일본 국내에서는 라틴 팝이라고 하면 스페인어권에 한정되며, 포르투갈어권의 대중음악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해석되는 경우가 많지만, 세계적으로 보면 브라질이나 포르투갈의 팝도 포함된다.
4. 주요 아티스트
라틴 팝은 오늘날 가장 인기 있는 라틴 음악 장르 중 하나이다. 1960년대 중반 밴드 리더 세르지우 멘데스가 처음으로 세계적인 청중에게 라틴 팝을 알렸다.[4] 이후 로스 델 리오, 알레한드로 산스, 탈리아, 루이스 미겔, 셀레나, 폴리나 루비오, 샤키라, 카를로스 비베스, 리키 마틴, 글로리아 트레비, 엔리케 이글레시아스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등장하였다. 리키 마틴은 라틴 팝의 황제로 여겨진다.[6] 탈리아는 "라틴 팝의 여왕"으로 불린다.
4. 1. 미국
라틴 음악 장르 중 하나인 라틴 팝은 1960년대 중반 밴드 리더 세르지우 멘데스의 활동을 통해 처음으로 세계적인 청중에게 다가갔다.[4] 카르멘 미란다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이보다 수십 년 전에 할리우드에서 라틴 삼바 음악을 대중화시키긴 했지만, 이후 1970년대에 훌리오 이글레시아스나 로베르토 카를로스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제작한 로맨틱 발라드로 정의되었다.[5]1980년대와 1990년대에 라틴 팝은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라틴 음악의 형태가 되었으며, 푸에르토리코 보이 밴드 메누도와 같은 그룹들은 1990년대 후반 비 라틴계 청취자들 사이에서도 엄청난 크로스오버 성공을 거두었다. 라틴 팝은 주로 미국에서 시작된 라틴 음악과 그 외의 스타일의 프로덕션 기법과 기타 다른 영향들을 크게 받았다. 테하노 음악은 텍사스와 미국-멕시코 국경 지역을 중심으로, 이전에 노르테뇨 음악과 conjunto와 같은 전통적인 스타일에 신시사이저, 세련된 음악 프로덕션, 그리고 더 도시적인 감성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뉴욕과 마이애미는 번성하는 라틴 클럽 장면의 본거지였으며, 1980년대에는 라틴 프리스타일의 부상을 이끌었다. 이 두 가지 사운드는 라틴 팝의 부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라틴 팝은 템포가 빠른 곡에는 라틴 리듬을 유지했지만 멜로디적인 측면에서는 주류 팝에 더 많이 의존했다.
라틴 팝의 첫 번째 주요 크로스오버 스타는 글로리아 에스테판이었으며, 1980년대 중반부터 후반까지 클럽 지향적이지 않은 일련의 댄스 팝 히트곡을 기록했지만, 결국 웅장한 감성 발라드에 대한 친밀감을 가진 성인가요 디바로 더 잘 알려지게 되었다. 이러한 라틴화된 댄스 팝과 성인가요 발라드 결합은 1990년대까지 라틴 팝을 지배했다. 존 세카다는 1990년대 중반에 여러 팝 히트곡을 기록했고, 테하노 팝 스타 셀레나의 앨범 ''Dreaming of You''는 1995년 발매와 동시에 앨범 차트에서 사후에 1위로 데뷔했다.[7]
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에는 리키 마틴, 엔리케 이글레시아스, 샤키라, 제니퍼 로페즈와 전 남편 마크 앤소니, 폴리나 루비오, 제이드 에스테반 에스트라다, 탈리아 등 라틴 아티스트들이 크로스오버 주류 성공을 거두었다. 데벨라 모건과 98 디그리스와 같이 사운드를 실험하여 성공을 거두거나 크리스티나 아길레라와 제시카 심슨과 같이 자신의 노래나 앨범의 스페인어 버전을 녹음하는 등, 전통적인 팝 아티스트들도 라틴 팝에 진출했다.[8][9]
4. 2. 푸에르토리코
리키 마틴은 라틴 팝의 황제로 여겨진다.[6] 그는 푸에르토리코 출신의 국제적인 가수이다.1980년대와 1990년대에 라틴 팝은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라틴 음악의 형태가 되었으며, 푸에르토리코 보이 밴드 메누도와 같은 그룹들은 1990년대 후반 비 라틴계 청취자들 사이에서도 엄청난 크로스오버 성공을 거두었다.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에는 리키 마틴이 크로스오버 주류 성공을 거두었다.
4. 3. 아르헨티나
- 코티 소로킨
- 디에고 토레스
- 미란다!
- 악셀
- 비센티코
4. 4. 이탈리아
라우라 파우시니4. 5. 우루과이
나탈리아 오레이로4. 6. 쿠바
셀리아 크루스4. 7. 과테말라
리카르도 아르호나4. 8. 콜롬비아
로스 델 리오, 알레한드로 산스, 탈리아, 루이스 미겔, 셀레나, 폴리나 루비오, 샤키라, 카를로스 비베스, 리키 마틴, 글로리아 트레비, 엔리케 이글레시아스 등 여러 아티스트들이 등장하기 전인 1960년대 중반, 밴드 리더 세르지우 멘데스의 활동을 통해 라틴 팝은 처음으로 세계적인 청중에게 다가갔다.[4] 카르멘 미란다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이보다 수십 년 전에 할리우드에서 라틴 삼바 음악을 대중화시키긴 했지만, 1970년대에는 훌리오 이글레시아스나 로베르토 카를로스와 같은 전설적인 아티스트들이 제작한 로맨틱 발라드가 라틴 팝을 정의했다.[5]리키 마틴은 라틴 팝의 황제로 여겨진다.[6]
다음은 콜롬비아의 주요 라틴팝 가수 목록이다.
4. 9. 스페인
스페인은 엔리케 이글레시아스,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아마랄, 앤디 & 루카스, 알렉스 우바고, 에스토파, 라 오레하 데 반 고흐, 안토니오 오로스코, 옴브레스 G, 엘 칸토 델 로코, 라 킨타 에스타시온, 라스 케찹, 알레한드로 산스, 아나 토로하, 메카노, 다비드 비스발, 프레스토스 임플리카도스, 베베, 로사나 등 다양한 라틴 팝 가수를 배출했다.4. 10. 멕시코
라틴 음악 장르 중 하나인 라틴 팝은 1960년대 중반 밴드 리더 세르지우 멘데스의 활동을 통해 처음으로 세계적인 청중에게 다가갔다.[4] 카르멘 미란다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이보다 수십 년 전에 할리우드에서 라틴 삼바 음악을 대중화시키긴 했지만, 이후 수십 년 동안 라틴팝은 1970년대에 훌리오 이글레시아스나 로베르토 카를로스와 같은 전설적인 아티스트들이 제작한 로맨틱 발라드로 정의되었다.[5]라틴 팝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라틴 음악의 형태가 되었으며, 푸에르토리코 보이 밴드 메누도와 같은 그룹들은 1990년대 후반 비 라틴계 청취자들 사이에서도 엄청난 크로스오버 성공을 거두었다. 라틴 팝은 텍사스와 미국-멕시코 국경 지역을 중심으로 한 테하노 음악과, 뉴욕과 마이애미의 라틴 클럽에서 발전한 라틴 프리스타일의 영향을 받았다. 테하노 음악은 노르테뇨 음악과 conjunto와 같은 전통적인 스타일에 신시사이저, 세련된 음악 프로덕션, 그리고 더 도시적인 감성을 도입했다. 라틴 프리스타일은 라틴 리듬에 뿌리를 두면서도 대부분의 편곡에 신시사이저와 드럼 머신을 사용한 클럽 지향적인 댄스 음악이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라틴 팝은 템포가 빠른 곡에는 라틴 리듬을 유지했지만 멜로디적인 측면에서는 주류 팝에 더 많이 의존했다.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에는 탈리아 등 라틴 아티스트들이 크로스오버 주류 성공을 거두었다.[8][9]
다음은 멕시코의 라틴 팝 가수 목록이다.
가수 |
---|
트리오 로스 판초스 |
엘레판테 |
카페 타쿠바 |
크리스티안 카스트로 |
알레한드라 구스만 |
신 반데라 |
탈리아 |
나탈리아 라포르카데 |
하구아레스 |
페이 |
알레한드로 페르난데스 |
후리에타 베네가스 |
베라노바 |
루이스 미겔 |
파울리나 루비오 |
레이크 |
레벨데 |
4. 11. 베네수엘라
리카르도 몬타넬은 아르헨티나계 베네수엘라 싱어송라이터이다.참조
[1]
서적
Latin Music: Musicians, Genres, and Themes [2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7-29
[2]
서적
Cool Latin Music: Create & Appreciate What Makes Music Great!
https://books.google[...]
ABDO Publishing Company
2010-09-01
[3]
간행물
Latin Notas
https://books.google[...]
2015-03-22
[4]
웹사이트
Latin Pop
http://rhapsody.com/[...]
2013-01-08
[5]
웹사이트
Latin Pop
http://latinmusic.ab[...]
2013-01-08
[6]
뉴스
Ricky Martin To Host The Biggest Night in Latin Music 19 Years After Performing at Inaugural Show
https://www.grammy.c[...]
2019-10-25
[7]
웹사이트
Latin Pop
http://www.allmusic.[...]
2015-01-08
[8]
간행물
Shakira, Enrique, Ricky Martin & More: Which Latin Icon Pulled Off the Best Crossover? Vote!
https://www.billboar[...]
2019-02-09
[9]
웹사이트
"Despacito" Could Signify A Latin Pop Resurgence Or Just Justin Bieber's King-Making Power
http://www.stereogum[...]
[10]
서적
Latin Music: Musicians, Genres, and Themes [2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7-29
[11]
문서
92年に「ジャスト・アナザー・デイ」がビルボード5位のヒットになった。
[12]
문서
幼少期に移住。マイアミ・サウンド・マシーンとして「コンガ (曲)|コンガ!」が86年にヒットした。親が亡命キューバ人なので、激しい右翼としても知られている。
[13]
문서
「天使のハンマー」などの代表曲で知られ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