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스퓨틴 앤 더 엠프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스푸틴 앤 더 엠프리스》는 러시아 제국 말기를 배경으로, 황제 니콜라이 2세와 황후 알렉산드라, 그리고 신비주의적 인물 라스푸틴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이다. 알렉세이 황태자의 혈우병 치료를 위해 라스푸틴이 궁정에 들어오면서, 그의 권력이 커지고 제국의 운명을 뒤흔드는 과정을 그린다. 파벨 공작은 라스푸틴의 위험성을 경고하지만, 라스푸틴은 황실의 신뢰를 얻으며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한다. 결국 라스푸틴은 파벨 공작, 레메조프 박사 등에 의해 살해되고, 라스푸틴의 예언대로 차르 일가는 몰락한다. 이 영화는 존 배리모어, 에설 배리모어, 라이오넬 배리모어 삼남매가 함께 출연한 유일한 작품으로, 이리나 유수포바 공주의 소송으로 인해 영화의 내용 일부가 수정되었으며, 영화 크레딧에 "등장인물은 모두 가공의 인물"이라는 문구가 삽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고리 라스푸틴 -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는 매튜 본 감독의 스파이 액션 영화이자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의 프리퀄로, 제1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세계를 혼란에 빠뜨리려는 음모에 맞서는 옥스퍼드 공작과 콘래드의 활약, 킹스맨 조직의 기원을 다룬다. - 그리고리 라스푸틴 - 아나스타샤 (1997년 영화)
아나스타샤는 돈 블루스와 게리 골드먼이 감독하고 멕 라이언, 존 쿠삭 등이 목소리 연기를 맡은 미국의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로, 러시아 혁명을 배경으로 니콜라이 2세의 막내딸 아나스타샤 니콜라예브나가 자신의 과거를 찾는다는 픽션이다. - 최면을 소재로 한 영화 - 올드보이
올드보이는 2003년 박찬욱 감독의 영화로, 15년간 감금되었다 풀려난 오대수가 자신을 가둔 이우진에게 복수하는 과정에서 충격적인 진실을 마주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칸 영화제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했다. - 최면을 소재로 한 영화 - 인어공주 (1989년 영화)
월트 디즈니에서 제작한 1989년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인어공주는 인간 세계를 동경하는 인어공주 에리얼이 인간 왕자와 사랑에 빠지는 모험을 그리며 큰 인기를 끌었고, 속편과 프리퀄도 제작되었다. - 1932년 영화 - 시인의 피
《시인의 피》는 예술가의 무의식과 초현실적인 세계를 담아 폭력, 죽음, 운명 등을 다루는 초현실주의 영화이다. - 1932년 영화 - 빨간 머리 여자
1932년 개봉한 미국의 프리코드 코미디 드라마 영화인 빨간 머리 여자는 캐서린 브러쉬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진 할로우가 연기한 릴리안 "릴" 앤드류스의 신분 상승 야망을 그렸으며, 개봉 당시 논란과 호평을 동시에 받았지만 일부 국가에서 상영 금지되었다.
래스퓨틴 앤 더 엠프리스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리처드 볼레스와프스키 찰스 브래빈(크레딧에 오르지 않음) |
프로듀서 | 버나드 H. 하이먼 어빙 솔버그 |
각본 | 찰스 매카서 |
주연 | 존 배리모어 에설 배리모어 라이오넬 배리모어 랠프 모건 |
음악 | 허버트 스토서트 |
촬영 | 윌리엄 H. 대니얼스 |
편집 | 톰 헬드 |
제작사 | 메트로-골드윈-메이어 |
배급사 | 로우스 Inc. |
상영 시간 | 121분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1,022,000 달러 |
흥행 수입 | 1,379,000 달러 |
2. 줄거리
러시아 제국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황후 시대를 배경으로 한 허구적인 이야기이다. 개혁을 옹호하는 파벨 공작은 백성의 고통을 걱정하며 다가오는 혁명을 감지한다. 혈우병을 앓는 황태자 알렉세이를 치료한다는 명목으로 황실에 들어온 라스푸틴은 점차 권력을 장악해 나간다. 파벨 공작은 라스푸틴의 악행을 막으려 하지만 오히려 궁지에 몰리고, 결국 라스푸틴을 살해한다. 그러나 이미 황실은 몰락의 길을 걷고 있었고, 러시아 혁명으로 비극적인 종말을 맞는다.[4]
2. 1. 상세 줄거리
러시아 제국의 마지막 시기, 니콜라이 2세 황제와 알렉산드라 황후가 통치하던 때를 배경으로 한 허구적인 이야기이다. 개혁을 지지하는 파벨 공작은 백성의 고통을 걱정하며 혁명의 기운을 감지한다. 한편, 국민적 사랑을 받는 알렉세이 황태자는 혈우병을 앓고 있어 작은 부상도 치명적일 수 있었다.황태자가 부상으로 위독해졌을 때, 왕실 의사인 레메조프 박사조차 출혈을 멈추게 하지 못했다. 이때 황후의 시녀이자 파벨의 약혼녀인 나타샤 공주는 기적을 행한다는 소문이 있는 승려 라스푸틴을 추천한다. 라스푸틴은 황후에게 자신이 신의 계시를 받아 황태자를 치료할 운명이라고 설득하고, 최면술을 이용해 알렉세이의 고통을 덜어주며 점차 아이를 자신의 통제하에 둔다. 황후는 라스푸틴을 완전히 신봉하게 되어, 빈에서 저명한 볼프 박사가 도착했음에도 그의 진찰을 거부하기까지 한다.
황제 부부의 신임을 얻은 라스푸틴은 황실 내 충성스러운 인물들을 자신의 추종자들로 교체하며 권력을 장악하기 시작한다. 그는 귀족 암살을 막지 못해 실각 위기에 처한 비밀경찰 수장의 도움을 받아 경찰 기록을 손에 넣고, 이를 이용해 협박으로 권력을 더욱 공고히 한다.
파벨 공작은 라스푸틴의 영향력이 제국의 파멸을 부를 것이라 우려한다. 그러나 약혼녀 나타샤마저 라스푸틴을 믿고 있었기에, 파벨이 그를 해치려 한다는 사실을 라스푸틴에게 경고한다. 파벨은 라스푸틴에게 총을 쏘지만, 라스푸틴은 미리 착용한 금속 흉갑 덕분에 목숨을 건진다. 암살 시도를 인정한 파벨은 니콜라이 2세에 의해 직위에서 물러나게 된다.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세르비아 왕국 간의 위기 상황에서 독일 제국이 러시아에 군대 동원 중단을 요구하는 최후통첩을 보내자, 니콜라이 2세와 고문들 사이에서 의견이 갈린다. 이때 라스푸틴은 황제를 설득하여 최후통첩을 거부하게 만들고, 이는 결국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이어진다.
라스푸틴의 야욕은 점점 커져 황후의 딸인 마리아 대공녀에게까지 부적절한 접근을 시도한다. 이 장면을 목격한 나타샤는 격분하여 황후에게 모든 것을 알리려 하지만, 라스푸틴에게 제압당해 깊은 최면 상태에 빠진다. 마침 방에 들어온 황후 앞에서 나타샤는 간신히 정신을 차리고 자신이 본 것을 폭로한다. 황후가 나타샤의 말을 믿자, 라스푸틴은 자신이 사실상 차르나 다름없다고 오만하게 선언한다. 절망에 빠진 황후는 파벨 공작을 부르고, 파벨은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알고 있다며 그녀를 안심시킨다.
라스푸틴이 명예 손님으로 초대된 성대한 파티에서, 그는 자신이 좋아하는 케이크를 가져온 하인이 과거 파벨의 집에서 일했던 사람임을 알아챈다. 즉시 집을 수색하게 한 라스푸틴은 숨어있던 파벨과 레메조프 박사를 발견한다. 라스푸틴은 직접 파벨을 처치하기 위해 그를 지하실로 끌고 간다. 단둘이 남게 되자 파벨은 라스푸틴을 조롱하며 케이크에 독을 넣었다고 밝힌다. 파벨은 라스푸틴에게 달려들어 그를 쓰러뜨리지만, 독과 구타에도 라스푸틴은 쉽게 죽지 않는다. 피투성이가 된 채 일어나 파벨에게 다가가며 "내가 죽으면 러시아도 죽는다"고 외친다. 결국 파벨은 그를 눈밭으로 끌고 가 강물에 던져 익사시킨다.
라스푸틴이 죽자 알렉세이 황태자는 최면에서 깨어나 어머니를 껴안는다. 그러나 라스푸틴의 추종 세력이 여전히 권력을 쥐고 있었기에, 니콜라이 2세는 파벨을 유배 보낼 수밖에 없었다. 라스푸틴의 마지막 예언처럼, 제정 러시아는 몰락의 길을 걷는다. 결국 차르는 폐위되고, 그와 그의 가족 모두 볼셰비키에 의해 총살당하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는 십자가 뒤로 빛이 비치고 러시아 국가가 울려 퍼지지만, 합창단은 "우리 시대에 평화를 주소서, 주님"이라는 가사의 영어 찬송가를 부른다.[4]
3. 등장인물
영화에는 존 배리모어, 에설 배리모어, 라이오넬 배리모어 등 배리모어 가문의 세 배우가 주요 역할로 출연하여 각각 파울 체고디에프 공작, 알렉산드라 황후, 그리고리 라스푸틴 역을 맡았다. 이 외에도 랄프 모건이 니콜라이 2세 황제 역을, 다이애나 윈야드가 나타샤 공녀 역을 연기하는 등 여러 배우들이 러시아 제국 말기의 주요 인물들을 연기하였다. 상세한 출연진 및 배역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주연
wikitext배우 | 배역 | 비고 |
---|---|---|
존 배리모어 | 파벨 체고디예프 공작 (Prince Paul Chegodieff) | |
에설 배리모어 | 알렉산드라 황후 | |
라이오넬 배리모어 | 그리고리 라스푸틴 | |
랄프 모건 | 황제 니콜라이 2세 | |
다이애나 윈야드 | 나타샤 공녀 (Princess Natasha) | |
태드 알렉산더 (Tad Alexander) | 황태자 알렉세이 "알료샤" | |
C. 헨리 고든 | 이고르 대공 (Grand Duke Igor) | |
에드워드 아놀드 | A. 레메조프 박사 (Dr A. Remezov) | |
헨리 아메타 | 사진사 (Photographer) | 크레딧 없음 |
나이젤 드 브룰리에 | 사제 (Priest) | 크레딧 없음 |
헨리 콜커 | 비밀경찰청장 (Chief of Secret Police) | 크레딧 없음 |
프랭크 라이처 | 독일어 교사 (German-Language Teacher) | 크레딧 없음 |
3. 2. 조연
- C. 헨리 고든 - 이고르 대공 역
- 에드워드 아놀드 - A. 레메조프 박사 역
- 헨리 아르메타 - 사진사 역 (크레딧 없음)
- 나이젤 드 브룰리어 - 사제 역 (크레딧 없음)
- 헨리 콜커 - 비밀경찰청장 역 (크레딧 없음)
- 프랭크 레이처 - 독일어 교사 역 (크레딧 없음)
- 클로렌스 윌슨
- 루이스 알베르니
- 오스카 아프펠
- 후퍼 앳츨리
- 미샤 오어
- 레지널드 바로우
- 맥스 바윈
- 모리스 블랙
- 윌리엄 스테이지 보이드
- 윌리엄 버레스
- 에밀 샤타드
- 클레이 클레먼트
- 루이즈 클로저 헤일
- 리처드 크레이머
- 마리 듀빌
- 진 델 발
- 헬렌 프리먼
- 데일 풀러
- 클라렌스 길다트
- 벤 홀
- 쉐리 홀
- 캐리 해리슨
- 브랜든 허스트
- 조지 어빙
- 이자벨 키스
- 머레이 킨넬
- 오토 레더러
- 로버트 리스
- 프랭크 리
- 루시엔 리틀필드
- 에이리 맬리언
- 에릭 메인
- 제네바 밋첼
- 에드먼드 모티머
- 루이스 나데오
- 데이브 오브라이언
- 사라 패든
- 진 파커
- 퍼넬 프랫
- 프랭크 샤논
- C. 몬타규 쇼
- 앤 셜리
- 래리 스티어스
- 구스타프 본 세이퍼티츠
- 레오 화이트
4. 제작 배경
영화 제작은 어빙 탈버그가 MGM 스튜디오가 이미 알프레드 클라분트의 1927년 소설 ''라스푸틴''의 영화화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면서 시작되었다. 이에 1932년 6월, MGM은 당시 유명 배우 가문이었던 배리모어 3형제, 즉 존 배리모어, 에설 배리모어, 라이오넬 배리모어를 영화에 캐스팅한다고 발표했다.[5][16] 이 영화는 특히 에설 배리모어에게는 첫 토키 영화 출연작이었으며, 그녀의 목소리가 처음으로 기록된 작품이라는 의미도 가진다. 또한, 배리모어 3형제가 함께 출연한 유일한 영화이기도 하지만, 세 배우가 한 장면에 동시에 등장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촬영 과정은 순탄치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배우 바바라 바론데스는 회고록에서 혼란스러웠던 현장 분위기를 전하기도 했다.[6][17]
4. 1. 배리모어 가문의 캐스팅
영화 제작은 어빙 탈버그가 MGM 스튜디오가 이미 알프레드 클라분트의 1927년 소설 ''라스푸틴''의 영화화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면서 시작되었다. 1932년 6월, MGM은 존 배리모어, 에설 배리모어, 라이오넬 배리모어 세 명의 배리모어 가문 배우들이 영화에 출연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5][16] 이 영화는 특히 에설 배리모어에게는 토키 영화 데뷔작이었으며, 그녀의 유명한 목소리가 처음으로 녹음된 기념비적인 작품이기도 하다.이 영화는 존, 에설, 라이오넬 배리모어 3형제가 스크린에서 함께 연기한 유일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세 배우 모두 주연급으로 캐스팅되었으나, 정작 세 명이 한 화면에 동시에 등장하는 장면은 몇 되지 않는다.
배우 바바라 바론데스는 자신의 회고록에서 당시 촬영 현장의 어려움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그녀는 "점차 이 회사가 유난히 조직력이 없는 회사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영화가 완성되었다는 것은 기적이었다"고 술회하며, 대본이 촬영 하루 전에야 겨우 나왔고 배리모어 3형제는 각자 있을 때는 괜찮았지만 함께 모이면 재앙에 가까웠다고 언급했다. 바론데스에게 이 영화는 첫 토키 영화 출연이었는데, 강렬한 클리그 조명의 눈부심과 뜨거움, 카메라를 위한 분필 동선 표시, 거대한 세트장과 수많은 스태프(음향, 소품, 조명, 분장, 미용, 스크립터 등)들의 분주함, 매 샷마다 반복되는 촬영 중단 등 모든 것이 압도적이고 혼란스러웠다고 회상했다. 특히 조명에 대해서는 "눈이 멀 것 같았다"고 표현하며, 다음 장면에서 분노와 히스테리를 연기하는 것이 오히려 쉬웠다고 덧붙였다.[6][17]
5. 평가
영화 《래스퓨틴 앤 더 엠프리스》는 개봉 당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뉴욕 타임스의 모돈트 홀은 배우들의 연기와 리처드 볼레슬라프스키 감독의 연출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영화의 흥미진진함을 강조했다.[7][8] 이러한 평가를 반영하듯, 이 영화는 제6회 아카데미상에서 최우수 각본상 후보로 지명되기도 했다.[1]
반면, 비판적인 목소리도 높았다. ''뉴 리퍼블릭''의 브루스 베블린은 영화가 "역사적 왜곡"을 담고 있다고 지적했으며,[9] ''베니티 페어''의 페어 로렌츠는 영화의 완성도에 대해 "서투르고 가식적"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10]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6개의 리뷰를 종합하여 50%의 평점을 기록하고 있다.[11]
흥행 성적 또한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미국과 해외 시장을 합쳐 총 137.9만달러의 수익을 기록했으나(미국 및 캐나다 67.7만달러, 기타 지역 70.2만달러), 제작비를 회수하지 못하고 최종적으로 18.5만달러의 손실을 남겼다.
5. 1. 긍정적 평가
모돈트 홀은 1932년 12월 24일자 뉴욕 타임스 리뷰에서 이 영화를 "매우 흥미롭고 흥미진진한 그림 멜로드라마"라고 평가하며, 리처드 볼레슬라프스키 감독의 연출력을 높이 샀다. 특히 체고지에프 왕자와 라스푸틴 사이의 싸움 장면, 그리고 라스푸틴 살해 장면 연출이 인상적이었다고 언급했다. 그는 라스푸틴 역의 라이오넬 배리모어가 피투성이 얼굴을 드는 장면에서 관객들이 전율했다고 전했다. 또한 등장인물 묘사가 뛰어나며, 배리모어 삼 남매(라이오넬 배리모어, 존 배리모어, 에설 배리모어)의 연기와 더불어 차르 니콜라스 역의 랄프 모건의 연기도 영리했다고 칭찬했다. 혁명 이후 차르가 '동지'로 불리는 장면 역시 감동적인 에피소드로 꼽았다. 홀은 라이오넬 배리모어가 혐오스러운 수도승의 모습을 생생하게 전달하면서도 과장되지 않은 연기를 보여주었다고 덧붙였다.[7] 홀은 이후 1933년 1월 8일자 뉴욕 타임스에도 관련 기사를 게재했다.[8]이 영화는 제6회 아카데미상에서 최우수 각본상 후보로 지명되기도 했다.[1]
5. 2. 부정적 평가
1933년 4월, ''뉴 리퍼블릭''의 브루스 베블린은 이 영화를 "역사적 왜곡"이라고 평가했다.[9] 같은 해 2월호 ''베니티 페어''에서 페어 로렌츠는 "서투르고, 가식적이며, 목적 없는 영화로, 처음부터 끝까지 자기 연출적이고 경직되어 있으며 유명한 이름을 이용한 노골적인 서커스 쇼"라고 혹평했다.[10]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6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50%의 평점을 받았다.[11] 흥행에서도 성공하지 못했다. 미국과 해외를 합쳐 총 137.9만달러의 수익을 올렸으나(미국과 캐나다 67.7만달러, 기타 지역 70.2만달러), 최종적으로 18.5만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
배우 바바라 바론데스는 회고록에서 촬영 현장이 "비정상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태"였으며, 각본이 촬영 전날까지 전달되지 않았고 배리모어 형제 간의 불화가 심각했다고 언급했다. 그녀는 또한 강렬한 조명과 복잡한 촬영 환경 때문에 연기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술회했다.[17]
6. 소송
영화 속 나타샤 공주의 모델은 그리고리 라스푸틴 암살에 가담한 펠릭스 유수포프의 아내 이리나 유수포바 공주였다. 영화에서 그녀가 라스푸틴에게 강간당한 것처럼 묘사된 부분이 실제와 다르다는 이유로, 1933년 이리나 공주 측은 MGM을 상대로 명예 훼손 및 사생활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이 소송은 이리나 공주 측의 승소 및 합의로 이어졌으며, 이후 할리우드 영화계에서는 등장인물은 모두 가공의 인물이라는 고지 문구를 삽입하는 관행이 생겨났다. 또한 문제가 된 장면은 영화에서 삭제되었다.
6. 1. 이리나 유수포바 공주의 소송
영화 속 나타샤 공주의 모델은 그리고리 라스푸틴을 살해한 공범 중 한 명인 펠릭스 유수포프의 아내, 이리나 유수포바 공주였다. 1933년, 변호사 패니 홀츠먼( Fanny Holtzmanneng )은 유수포프 부부를 대리하여 MGM 스튜디오를 상대로 사생활 침해와 명예 훼손 소송을 제기했다. 영화에서 나타샤 공주가 라스푸틴에게 강간당한 것처럼 묘사되었는데, 이는 실제로는 일어나지 않은 일이었다. 이리나 공주는 영국 법원에서 127373USD의 배상 판결을 받았으며, 뉴욕에서는 법정 외 합의를 통해 25만달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이 소송은 이후 할리우드 영화 제작 관행에 영향을 미쳤다. 대부분의 영화 크레딧 시작 부분에 "등장인물은 모두 가공의 인물이며, 실제 인물이나 사건과의 유사성은 우연입니다." (All persons fictitious disclaimer)라는 문구를 넣게 된 계기가 되었다. 또한, 문제가 된 장면이 영화에서 삭제되면서 나타샤 공주의 행동 변화가 매끄럽지 않게 되었다. 영화 초반에는 라스푸틴을 지지하던 그녀가 후반부에는 뚜렷한 이유 없이 그를 두려워하는 모습으로 그려져 관객의 이해를 어렵게 만들었다. 삭제된 장면의 일부는 레이저디스크로 출시된 버전의 예고편에 포함되어 있다.
7. 대중문화 속 묘사
배리모어 삼형제는 이 영화에 출연한 모습 그대로 미키 마우스 만화 영화 미키의 갈라 프리미어(1933)에 영화 속 의상을 입은 캐리커처로 등장한다.
참조
[1]
간행물
The Eddie Mannix Ledger
Margaret Herrick Library, Center for Motion Picture Study
[2]
서적
The American Film Institute Catalog Features Films: 1931-40
The American Film Institute
1993
[3]
웹사이트
The AFI Catalog of Feature Films: Rasputin & the Empress
http://www.afi.com/m[...]
[4]
웹사이트
The Church of Scotland
https://music.church[...]
2024-07-24
[5]
서적
Irving Thalberg: Boy Wonder to Producer Prince
2009
[6]
서적
One Life is Not Enough
Hippocrene Books
1986
[7]
뉴스
Ethel, Lionel and John Barrymore in a Pictorial Melo- drama Called "Rasputin and the Empress."
https://www.nytimes.[...]
2024-07-23
[8]
뉴스
TimesMachine: Sunday January 8, 1933 - NYTimes.com
https://timesmachine[...]
2024-07-23
[9]
서적
The New Republic 1933-04-19: Vol 74 Iss 959
http://archive.org/d[...]
New Republic
1933-04-19
[10]
웹사이트
The screen {{!}} Vanity Fair
https://archive.vani[...]
2024-07-23
[11]
웹사이트
Rasputin and the Empress {{!}} Rotten Tomatoes
https://www.rottento[...]
2024-07-23
[12]
간행물
The Eddie Mannix Ledger
Margaret Herrick Library, Center for Motion Picture Study
[13]
서적
The American Film Institute Catalog Features Films: 1931-40
The American Film Institute
1993
[14]
웹사이트
The AFI Catalog of Feature Films: Rasputin & the Empress
http://www.afi.com/m[...]
[15]
웹사이트
怪僧ラスプーチン(1932)
[16]
서적
Irving Thalberg: Boy Wonder to Producer Prince
2009
[17]
서적
One Life is Not Enough
Hippocrene Books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