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디 제인 그레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이디 제인 그레이는 잉글랜드의 왕족으로, 1553년 7월 10일부터 7월 19일까지 9일 동안 잉글랜드 여왕으로 재위했다. 헨리 7세의 증손녀인 제인 그레이는 어린 시절 존 아일머에게 교육받아 여러 언어에 능통했고, 독실한 개신교 신앙을 가졌다. 에드워드 6세가 사망하자 노섬벌랜드 공작 존 더들리의 주도로 왕위에 올랐으나, 메리 1세의 반격으로 폐위되어 반역죄로 처형되었다. 사후에는 낭만적인 인물로 묘사되어 다양한 문학 작품과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이디 제인 그레이 - 타워힐
타워 힐은 런던탑 외곽 지역으로, 과거 공개 사형 집행 장소였으며 런던탑의 직할 행정 구역이었으나, 현재는 다양한 시설과 기관이 위치한 런던의 역사적, 문화적 중요 지역이다.
레이디 제인 그레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잉글랜드 여왕 (주장) |
재위 기간 | 1553년 7월 10일 – 1553년 7월 19일 (논쟁 중) |
이전 | 에드워드 6세 |
이후 | 메리 1세 |
출생일 | 1536년 또는 1537년 |
출생지 | 잉글랜드 레스터셔, 브래드게이트 공원 또는 런던 추정 |
사망일 | 1554년 2월 12일 (16세 또는 17세) |
사망지 | 잉글랜드 런던, 런던탑 |
배우자 | 길포드 더들리 경 (1553년 5월 25일 결혼 – 1554년 2월 12일 사망) |
가문 | 그레이 가문 |
아버지 | 헨리 그레이, 초대 서퍽 공작 |
어머니 | 프랜시스 브랜던 |
종교 | 잉글랜드의 개신교 |
![]() | |
다른 이름 | |
영어 | Nine-Day Queen (9일 여왕) Queen Jane (제인 여왕) Lady Jane Grey (제인 그레이 여사) |
기타 | |
관련 정보 | 나인 데이 퀸 (Nine-Day Queen) |
2. 유년 시절
제인 그레이는 헨리 그레이와 프랜시스 브랜던의 장녀였다. 프랜시스 브랜던은 헨리 7세의 딸인 잉글랜드 왕녀 메리 튜더가 찰스 브랜던과 결혼하여 낳은 딸이었기 때문에 제인 그레이의 왕족 혈통은 모계로 이어졌다. 제인 그레이의 출생일은 1537년 10월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연구는 그 보다 조금 이른 1537년 5월 이전일 수도 있다고 본다.[134][135] 혹은 1536년 5월에서 1537년 2월 사이로 보는 견해도 있는데[136] 이는 처형당시 제인 그레이의 나이를 열일곱이라 기록한 것과 일치한다.[137][138] 제인에게는 캐서린과 메리 두 명의 여동생이 있었다.
토머스 시모어는 에드워드 6세와 제인 그레이를 결혼시켜 섭정이 되려는 야심을 품었으나, 호국경 에드워드 시모어에게 발각되어 처형되었다.[149][150] 제인 그레이의 아버지 헨리 그레이는 이 위기를 해결하고자 딸을 서둘러 결혼시키려 하였다. 처음에는 호국경의 아들 에드워드 시모어 허포드 백작과의 혼담이 오갔으나 성사되지 않았고,[151] 토머스 시모어 처형 이후 새로운 실세로 떠오른 존 더들리의 아들 길퍼드 더들리가 유력한 신랑감으로 떠올랐다.[152] 추밀원 의장이었던 노섬벌랜드 공작 존 더들리는 병약한 에드워드 6세의 병세가 위중해지자, 제인과 두 여동생을 자신의 가문과 엮는 삼중 결혼을 추진하였다.[153][154]
헨리 8세는 메리 1세와 엘리자베스 1세의 왕위 계승권을 박탈했다가 복권시켰다. 그러나 왕위 계승 서열은 에드워드 6세, 메리 1세, 엘리자베스 1세 순이었고, 제인 그레이는 이들 모두 자녀 없이 사망할 경우에만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 헨리 8세는 잉글랜드 왕위가 스코틀랜드로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스튜어트가와 혼인한 마거릿 튜더의 후손들에게는 왕위계승권을 부여하지 않았다.[156]
제인은 존 에일머에게서 라틴어, 그리스어, 이탈리아어를 배웠고[139] 라틴어와 그리스어로 편지를 썼다.[140] 아버지 헨리 그레이와 존 에일머가 종교 개혁의 정당성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제인은 독실한 개신교 신자로 성장하였다. 제인이 서신을 주고 받은 인물 가운데는 취리히의 개신교 신학자 하인리히 불링거도 있었다.[141]
제인은 사냥이나 파티 보다는 책을 읽는 것을 좋아했지만[142] 당시의 엄격한 교육 방식에는 불만이 있었고,[143] 로저 애스컴에게 체벌에 대한 불만을 말하였다.[144]
1547년 2월 제인은 헨리 8세와 사별한 캐서린 파가 재혼한 토머스 시모어의 저택으로 보내졌다.[145] 당시 시모어의 저택에는 엘리자베스 1세도 있었다. 캐서린 파는 임신 중이었고 토머스 시모어는 정치적 야심과 함께 아동 성학대를 자행하는 인물이었다. 시모어는 엘리자베스 1세를 학대하다 캐서린 파에게 발각되었고, 이 일로 엘리자베스는 5월 무렵 시모어 저택을 나갔지만 제인은 남게 되었다. 캐서린 파는 9월에 딸 메리를 낳고 산욕열로 사망하였는데,[146][147] 11세였던 제인은 캐서린 파의 장례식에서 애도자를 이끄는 역할을 하였다.[148]
3. 결혼
1553년 5월 25일, 더럼 하우스(Durham House)에서 제인은 길퍼드 더들리와 결혼했고, 제인의 여동생 레이디 캐서린 그레이는 헨리 허버트, 펨브로크 2대 백작과, 캐서린 헤이스팅스, 헌팅던 백작 부인은 길퍼드의 여동생으로 헨리 헤이스팅스, 헌팅던 3대 백작과 결혼했다.[28]
워릭 백작 (후일 노섬벌랜드 공작 존 더들리)은 정적 서머싯 공작 에드워드 시모어를 처형한 후, 자신의 아들 길포드 더들리와 제인을 결혼시켰다.
4. 9일 여왕
1553년 초여름, 병세가 악화되던 에드워드 6세는 유언장을 작성하여 제인 그레이를 왕위 계승자로 지명했다. 이는 가톨릭 교도인 메리 1세의 왕위 계승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었다.[159][160][161] 제인 그레이의 이름을 직접적으로 거명한 것은 노섬벌랜드 공작 존 더들리의 뜻이었을 것이다.[162][163]
유언장은 추밀원 전원과 런던 시장, 판사, 주교 등 102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작성되었고 에드워드 6세가 최종 확인하였다.[164] 에드워드 6세는 7월 6일 사망하였고, 그의 죽음은 사흘 뒤 공표되었다.[166] 7월 10일 제인 그레이가 새 여왕으로 선포되었다. 제인 그레이는 자신이 왕위를 잇는 것은 부당하다며 거부하였으나, 결국 런던탑에서 대관식을 준비했다. 그러나 남편인 길포드 더들리를 왕으로 선포하지는 않았는데, 군주의 배우자에 대한 칭호는 의회의 승인이 필요했기 때문이다.[167]
노섬벌랜드 공작 존 더들리는 메리 1세를 붙잡아 두어야 제인 그레이의 즉위를 확고히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메리 1세에게 국왕의 병세가 위중하니 임종을 지켜달라는 편지를 보내 런던으로 불러들였다. 그러나 이 계획은 메리 1세에게 경고하여 무산되었고, 메리 1세는 이스트앵글리아로 가서 군사를 일으켰다. 존 더들리가 이를 반란으로 규정하고 군대를 동원하여 런던을 비운 사이, 추밀원은 메리 1세가 승리할 것이라 판단하였다. 아룬델 백작 헨리 피츠앨런이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168]
1553년 7월 19일, 제인 그레이는 재위 9일 만에 폐위되어 런던탑에 가택 연금되었다. 이로 인해 제인 그레이는 "9일 여왕"으로 불리지만, 에드워드 6세의 사망 시점부터 따지면 재위 기간은 며칠 더 늘어날 수 있다.[169] 존 더들리는 1553년 8월 22일 반역죄로 처형되었고, 9월 의회는 메리 1세를 정당한 왕위계승자로 선포하며 제인 그레이를 왕위 찬탈자로 격하시키고 즉위를 무효로 하였다.[170]
5. 죽음
제인 그레이는 존 더들리 일가가 꾸민 대역죄의 일원으로 기소되었으며, 더들리가의 며느리로서 제인 더들리로 호명되었다.[171] 1553년 11월 13일 런던시의 길드홀에서 열린 특별 재판에서 제인은 여왕으로서 서명한 문서를 증거로 왕위 찬탈 시도에 대해 유죄를 선고받고 사형을 언도받았다.[172] 당시 잉글랜드는 여성 반역자에 대해 화형을 집행하였고, 특별히 군주가 허락하면 참수형을 집행할 수도 있었다.[173]
메리 1세는 제인 그레이의 처리 방안을 두고 고민하였다. 자신의 추밀원 신료들 대부분이 한때 제인을 여왕으로 인정하였다는 점과, 제인 그레이가 겨우 열일곱에 불과하여 동정 여론이 적지 않다는 점은 부담이었다. 제인 그레이 역시 강압에 못 이겨 시아버지와 남편의 의사에 따랐을 뿐이라 진술하여 메리 1세는 사형만은 면케 할 생각이었다. 그러나 메리 1세가 합스부르크가의 펠리페 2세와 결혼을 추진하자 와이어트의 난이 일어났고, 제인의 아버지 헨리 그레이가 반란에 가담하자 제인 그레이의 처형은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제인 그레이는 화형 대신 참수형이 언도되었고, 1554년 2월 9일로 예정되었던 처형일은 가톨릭으로 개종할 기회를 주기 위해 3일 간 연기되었다.[175] 그러나 제인 그레이는 "영혼을 구할 기회"를 거부하였고 2월 12일 참수되었다.
제인 그레이의 처형 이후 아버지 헨리 그레이는 1554년 2월 23일 처형되었다.[176] 어머니 프랜시스는 시종관과 재혼하였고 메리 1세로부터 사면받아 남은 두 딸과 함께 살았다.[177]
법정에서 길포드의 아내인 제인 더들리(Jane Dudley)로 불린 제인은 남편, 그의 형제 2명, 그리고 전 캔터베리 대주교인 토마스 크랜머와 함께 대역죄 혐의로 기소되었다.[94] 1553년 11월 13일 런던 시의 길드홀에서 열린 특별 재판에서 런던 시장 토마스 화이트 경과 노퍽 공작 토머스 하워드가 공동 의장을 맡았다. 모든 피고는 유죄 판결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았다. 제인이 대역죄를 범했다는 증거는 "제인 여왕(Jane the Quene [sic])"으로 서명한 여러 문서였다.[94] 형벌은 "타워 힐에서 산 채로 불태워지거나 여왕의 뜻에 따라 참수될 것"이었다.[97]
제인은 여왕에게 "죄를 용서해 달라"고 간청하며 사건의 진실을 알렸다.[98] 이 기록에서 그녀는 자신을 "남편을 사랑하는 아내"라고 말했다.[99] 12월에 제인은 여왕의 정원에서 자유롭게 산책할 수 있었다.[100] 제인과 길포드는 서로 접촉했을 수 있으며,[102] 길포드는 제인의 기도서에 장인에게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썼다.
> 사랑하고 순종하는 아들이 귀하의 은총을 세상에서 저 자신에게 바라는 만큼의 기쁨과 위안과 함께 오래 살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오는 세상에서는 영원한 기쁨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죽을 때까지 당신의 겸손한 아들, G. 더들리[103]
메리는 처음에 제인과 남편의 목숨을 살리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1554년 1월 메리 1세와 스페인의 펠리페 2세의 결혼 계획에 반대하여 와이어트 반란이 일어나 제인의 운명이 결정되었다. 여왕의 결혼 계획은 민중, 국회의원, 일부 추밀원 의원들 사이에서 광범위한 반대에 직면했고, 서퍽 공작과 길포드의 형제인 로버트 더들리, 헨리 더들리가 가담한 반란은 이러한 반대에서 비롯되었다.[104] 제인은 메리에게 심각한 위협이었고,[105] 그레이와 길포드 더들리의 처형은 미래의 불안을 촉발할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할 기회였다.[106] 메리는 사촌의 죽음을 허락하는 것에 괴로워했지만 추밀원의 조언을 받아들여 1월 19일에 명령서에 서명했다.[107]
처형은 1554년 2월 9일로 예정되었지만, 제인에게 가톨릭으로 개종할 기회를 주기 위해 3일 연기되었다. 제인은 개신교 신부의 방문을 요청했지만, 여왕은 거절하고 대신 사제인 존 페커넘 신부를 보냈다.[108][110] 제인은 "영혼을 구원하려는" 그의 노력에 굴복하지 않았지만, 그와 친구가 되어 처형대에 동행하도록 허락했다.[111] 처형 전날, 길포드는 제인에게 마지막 만남을 요청했지만, "고통과 슬픔만 더할 뿐이며, 다른 곳에서 곧 만날 것이고, 풀릴 수 없는 유대로 묶여 살 것이기 때문에... 미루는 것이 낫다"라고 설명하며 거절했다.[112]
2월 12일 오전 10시쯤, 길포드는 타워 힐로 끌려갔다.[113] 길포드는 군중에게 짧은 연설을 하고,[114] 무릎을 꿇고 기도하며 백성들에게 자신을 위해 기도해 달라고 요청하면서 "여러 번 눈과 손을 하나님께 들었다."[116] 그는 도끼질 한 번에 죽임을 당했고, 시신은 수레에 실려 세인트 피터 애드 빈쿨라 예배당으로 옮겨졌다. 창문에서 그 장면을 지켜보던 제인은 "아, 길포드, 길포드!"라고 외쳤다.[117] 제인은 타워 그린으로 끌려가 참수되었다.[118] 라파엘 홀린셰드의 묘사의 기초가 된 익명의 ''제인 여왕과 메리 여왕 2년의 연대기''에 따르면, 제인은 처형대에 올라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
> 착한 백성들이여, 저는 죽으러 왔으며, 법에 의해 같은 형벌을 받았습니다. 여왕 폐하에 대한 사실은 실제로 불법이었고, 저에 의한 동의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저에 의해 또는 저를 대신하여 이를 획득하고 원했던 것에 관해서는, 오늘 여러분, 착한 기독교 백성 앞에서 저는 무죄함으로 손을 씻습니다.[119]
제인은 "저는 무죄함으로 손을 씻습니다"라고 선언하고,[120][121] 시편 51편(''주여, 저를 불쌍히 여기소서'')을 영어로 암송하고, 장갑과 손수건을 하녀에게 건네주었다. 사형 집행인은 용서를 구했고, 제인은 "빨리 저를 처치해 주십시오."라고 간청하며 용서했다. "제가 눕기 전에 머리를 베시겠습니까?"라는 질문에 도끼 장수는 "아니요, 부인"이라고 대답했다. 제인은 눈을 가리고 손으로 나무토막을 찾지 못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어디 있죠?"라고 외쳤다. 토마스 브리지스 부총독이 도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머리를 나무토막에 댄 제인은 누가복음에 나오는 예수의 마지막 말인 "주여, 제 영혼을 당신의 손에 맡깁니다!"를 외쳤다.[119]
제인과 길포드는 타워 그린 북쪽에 있는 세인트 피터 애드 빈쿨라 교회 예배당에 묻혔고, 무덤에는 기념비가 세워지지 않았다.[122] 제인의 아버지 서퍽 공작은 11일 후인 1554년 2월 23일에 처형되었다.[123] 처형은 메리나 정부의 인기에 기여하지 못했다.[124]
6. 사후
제인 그레이는 가톨릭 복귀를 꿈꾼 메리 1세뿐만 아니라 잉글랜드 국교회를 굳건히 한 엘리자베스 1세 시대에도 복권되지 않았으며 왕위 찬탈자이자 반역자로 취급되었다. 하지만 훗날 메리 1세에 의해 박해를 받은 국교회 신도들은 제인 그레이 역시 메리 1세에 의해 박해받은 개신교도로 평가하는 경향이 커졌다. 당대에 《폭스의 순교사》를 저술한 존 폭스는 제인 그레이를 여러 번 강조하였고, 1911년 영국 사학자 앨버트 폴라드는 제인을 "종교개혁의 반역 영웅"이라고 불렀다.[178]
대중 문화에서 제인 그레이는 낭만적 인물로 묘사되었다. 1715년 열렬한 휘그당 당원이었던 잉글랜드의 극작가 니콜라스 로우가 집필한 《레이디 제인 그레이》는 제인 그레이를 잉글랜드를 복속시키려는 가톨릭에 맞선 정당한 왕위계승자로 묘사하였다.[179] 이러한 대중적 인식은 낭만주의 시대에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어 1833년 프랑스의 화가 폴 들라로슈가 제인 그레이의 처형을 소재로 그림을 그렸고, 1836년 이탈리아의 카를로 페폴리는 오페라 《지오바나 그라이》(Giovanna Grayit)를 제작하였다.[180] 현대 작품으로는 1986년 상영된 영화 <레이디 제인>이 있다.[181]
1836년, 미국의 시인 리디아 시고니는 자신의 시집 ''진젠도르프와 기타 시들''에 "레이디 제인 그레이"라는 시를 발표했다. 메리 여왕 시대의 박해와 그 여파 동안, 제인은 프로테스탄트 순교자로 여겨졌으며,[125] 존 폭스의 여러 판본의 ''폭스의 순교자 열전''(Actes and Monuments of these Latter and Perillous Dayes)에 두드러지게 등장했다.
7. 가계도
8. 대중 문화
제인 그레이는 잉글랜드 국교회를 굳건하게 만든 엘리자베스 1세 시대에도 왕위 찬탈자이자 반역자로 취급받았으나, 훗날 메리 1세에게 박해받은 국교회 신자들은 제인을 메리 1세에게 박해받은 개신교도로 평가하는 경향이 커졌다. 당대 《폭스의 순교사》를 저술한 존 폭스는 제인 그레이를 여러 번 강조하였고, 1911년 영국 사학자 앨버트 폴라드는 제인을 "종교개혁의 반역 영웅"이라고 불렀다.[178]
대중 문화에서 제인 그레이는 낭만적인 인물로 묘사되었다. 1715년 휘그당 당원이었던 잉글랜드의 극작가 니콜라스 로우가 집필한 《레이디 제인 그레이》는 제인 그레이를 잉글랜드를 복속시키려는 가톨릭에 맞선 정당한 왕위계승자로 묘사하였다.[179] 이러한 대중적 인식은 낭만주의 시대에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어 1833년 프랑스의 화가 폴 들라로슈가 레이디 제인 그레이의 처형을 소재로 그림을 그렸고, 1836년 이탈리아의 카를로 페폴리는 오페라 《지오바나 그라이》(Giovanna Grayit)를 제작하였다.[180] 현대 작품으로는 1986년 상영된 영화 <레이디 제인>이 있다.[181]
- 1985년 영화 『레이디 제인/사랑과 운명의 두 사람』 (헬레나 본햄 카터 주연)
- 2014년 희곡 『9days Queen~9일간의 여왕』 (아오키 고 작, 시라이 아키라 연출, 호리키타 마키 주연)
-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 『런던 타워』
- 『왕자와 거지』
- 캐린 브래드포드, 『9일간의 여왕님』
- 야나기 코지, 『나는 셜록 홈즈다』, 쇼가쿠칸, 2005년
- 키류 미사오, 『비극의 9일 여왕 제인 그레이』, 주케이 출판, 2014년
- 아이카와 류키, 『여왕 제인 그레이는 아홉 번 죽는다, 시간 되돌리기를 반복하는 소녀와 기사의 이야기』, 후타미 서방, 2022년
- 윌리엄 해리슨 아인스워스, ''런던 탑'', 1840
- 필리파 그레고리, ''The Queen's Fool,'' 런던: Herpercollins, 2003
- 캐롤린 마이어, ''Beware, Princess Elizabeth,'' 플로리다: Gulliver books, 2001
- 로잘린드 마일스, ''I, Elizabeth'', 뉴욕: Three River Press, 1994
- 앤 리날디, ''Nine Days A Queen,'' 뉴욕: Herpercollins, 2005
- 앨리슨 위어, ''Innocent Traitor – A Novel of Lady Jane Grey''
참조
[1]
서적
Kings & Queens
National Portrait Gallery Publications
[2]
harvnb
[3]
백과사전
Lady Jane Grey
https://www.britanni[...]
2021-07-10
[4]
harvnb
[5]
harvnb
[6]
harvnb
[7]
harvnb
[8]
웹사이트
On the Date of Birth of Lady Jane Grey Dudley
http://somegreymatte[...]
2007-09-28
[9]
harvnb
[10]
harvnb
[11]
웹사이트
Page: A cyclopaedia of female biography.djvu/369
https://en.wikisourc[...]
[12]
harvnb
[13]
harvnb
[14]
harvnb
[15]
harvnb
[16]
ODNB
Grey, Lady Jane (1537–1554), noblewoman and claimant to the English throne
2004
[17]
harvnb
[18]
서적
Annals of Winchcombe and Sudeley
https://books.google[...]
J. Murray
[19]
웹사이트
Early Portrait Of Elizabeth I Sells For $158,661 At Butterscotch
Antiques and the Arts Weekly
2021-11
[20]
웹사이트
Children of England: The Heirs of King Henry VIII/The Children of Henry VIII (1996)
Alison Weir
2023-10-08
[21]
웹사이트
Lady Jane Grey Revealed – The Syon Portrait
J. Stephan Edwards
2010-09-30
[22]
서적
A Queen of a New Invention – Portraits of Lady Jane Grey, England's 'Nine Days Queen'
Old John
[23]
harvnb
[24]
harvnb
[25]
harvnb
[26]
harvnb
[27]
harvnb
[28]
harvnb
[29]
harvnb
[30]
harvnb
[31]
문서
[32]
harvard
[33]
harvnb
[34]
harvard
[35]
웹사이트
Edward VI (1537–1553)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4-04
[36]
harvard
[37]
harvard
[38]
harvard
[39]
harvard
[40]
harvard
[41]
harvard
[42]
harvard
[43]
harvard
[44]
harvard
[45]
서적
The Reformation
https://archive.org/[...]
T&T. Clark
[46]
서적
Crown of Blood: The Deadly Inheritance of Lady Jane Grey
https://books.google[...]
Pegasus Books
[47]
harvard
[48]
harvard
[49]
harvard
[50]
harvard
[51]
서적
Monarchs of the Renaissance: The Lives and Reigns of 42 European Kings and Queens
https://books.google[...]
McFarland
[52]
harvard
[53]
harvard
[54]
harvard
[55]
harvard
[56]
harvard
[57]
harvard
[58]
harvard
[59]
harvard
[60]
harvard
[61]
harvard
[62]
harvard
[63]
harvard
[64]
harvard
[65]
harvard
[66]
harvard
[67]
harvard
[68]
harvard
[69]
harvard
[70]
harvard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웹사이트
Of Towers and Castels
http://www.british-h[...]
2023-03-17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논문
A Letter of Jane, Duchess of Northumberland, 1553
1999-00-00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Monarchs of the Renaissance: The Lives and Reigns of 42 European Kings and Queen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00-00
[92]
서적
Edward VI (1537–1553)
http://www.oxforddnb[...]
2010-04-04
[93]
웹사이트
Edward VI (1537–1553)
http://www.oxforddnb[...]
2010-04-04
[94]
서적
Crown of Blood: The Deadly Inheritance of Lady Jane Grey
https://books.google[...]
Pegasus
[95]
웹사이트
Grey, Henry, duke of Suffolk (1517–1554), magnate
Oxford University Press
[96]
웹사이트
Grey, Henry (d.1554)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107]
harvnb
[108]
서적
[109]
서적
[110]
harvnb
[111]
harvnb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harvnb
[117]
harvnb
[118]
서적
Lady Jane Grey: A Tudor Myste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
[119]
서적
Chronicle of Queen Jane and of Two Years of Queen Mary
http://englishhistor[...]
The Camden Society; Marilee Hanson
[120]
harvnb
[121]
서적
Lady Jane Grey: A Tudor Myste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
[122]
서적
Crown of Blood: The Deadly Inheritance of Lady Jane Grey
https://books.google[...]
Pegasus
2016
[123]
서적
The complete peerage of England, Scotland, Ireland,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Kingdom, extant, extinct, or dormant
A. Sutton
[124]
harvnb
[125]
학술지
Sex, Politics, and She-Tragedy: Reconfiguring Lady Jane Grey
2002
[126]
harvnb
[127]
odnb
Grey [other married name Stokes], Frances [née Lady Frances Brandon], duchess of Suffolk
[128]
서적
The History of England
https://web.archive.[...]
Longmans, Green
2017-09-02
[129]
harvnb
[130]
웹사이트
Lady Jane Grey
https://www.royal.uk[...]
2019-01-09
[131]
백과사전
옥스포드 대학교 출판부
[132]
harvnb
[133]
harvnb
[134]
harvnb
[135]
harvnb
[136]
웹인용
On the Date of Birth of Lady Jane Grey Dudley
http://somegreymatte[...]
2021-06-15
[137]
harvnb
[138]
harvnb
[139]
harvnb
[140]
웹인용
Page: A cyclopaedia of female biography.djvu/369
https://en.wikisourc[...]
[141]
논문
[142]
논문
[143]
논문
[144]
논문
[145]
백과사전
옥스포드 대학교 출판부
[146]
논문
[147]
서적
Annals of Winchcombe and Sudeley
https://books.google[...]
J Murray
1877
[148]
백과사전
옥스포드 대학교 출판부
[149]
논문
[150]
논문
[151]
논문
[152]
논문
[153]
논문
[154]
논문
[155]
서적
A Constitutional History of Secession
https://books.google[...]
Pelican
[156]
논문
[157]
논문
[158]
논문
[159]
논문
[160]
서적
The Reformation
https://archive.org/[...]
T. & T. Clark
[161]
서적
Crown of Blood: The Deadly Inheritance of Lady Jane Grey
https://books.google[...]
Pegasus Books
2016-12-06
[162]
논문
[163]
백과사전
Edward VI (1537–1553)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164]
논문
[165]
백과사전
Edward VI (1537–1553)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166]
서적
Monarchs of the Renaissance: The Lives and Reigns of 42 European Kings and Queen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01-10
[167]
논문
[168]
논문
[169]
논문
[170]
서적
Monarchs of the Renaissance: The Lives and Reigns of 42 European Kings and Queen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01-10
[171]
서적
Crown of Blood: The Deadly Inheritance of Lady Jane Grey
https://books.google[...]
Pegasus Books
2016-12-06
[172]
서적
Crown of Blood: The Deadly Inheritance of Lady Jane Grey
https://books.google[...]
Pegasus Books
2016-12-06
[173]
논문
[174]
백과사전
옥스포드 대학교 출판부
[175]
논문
[176]
서적
The complete peerage of England, Scotland, Ireland,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Kingdom, extant, extinct, or dormant
A. Sutton
[177]
서적 # 추정.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178]
서적
The History of England
https://www.questia.[...]
Longmans, Green
2017-09-02
[179]
서적
The First Iron Lady: A Life of Caroline of Ansbach
HarperCollins
[180]
웹사이트 # Internet Archive는 웹사이트로 간주
Giovanna Gray
https://archive.org/[...]
[181]
웹인용
Lady Jane
https://www.rottento[...]
2021-08-30
[182]
서적 # 추정.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Harvnb는 Harvard referencing system의 약자로 서적을 가리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