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조 노바토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렌조 노바토레는 이탈리아의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로, 1890년에 태어나 1922년에 사망했다. 그는 막스 슈티르너의 영향을 받아 사회적 순응을 비판하고, 혁명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10년 교회 방화 혐의로 체포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중 탈영과 반역죄로 사형을 선고받았으며, 반파시즘 투쟁에 참여하다가 헌병대의 매복 공격을 받아 사망했다. 그의 사상은 포스트 레프트 아나키즘과 반란적 아나키즘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세계 대전 반전 운동가 - 존 커틴
존 커틴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정치가이자 노동당 소속 총리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에 독자적으로 선전포고하고 미국과의 동맹 강화, 징병제 도입, 사회 복지 제도 확대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 제1차 세계 대전 반전 운동가 - 장 조레스
프랑스의 사회주의 정치인이자 역사가, 철학자인 장 조레스는 사회주의로 전향하여 프랑스 사회당의 지도자가 되었고, 드레퓌스 사건 옹호, 반전 운동을 펼치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 암살당했다. - 라스페치아도 출신 - 지노 로세티
지노 로세티는 1920-30년대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로, 토리노에서 활약하며 리그 우승을 이끌고 1928-29 시즌에 최다 득점 기록을 세웠으며,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으로 올림픽 동메달과 중부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을 기록했다. - 라스페치아도 출신 - 페데리코 무네라티
페데리코 무네라티는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유벤투스에서 4번의 세리에 A 우승을 경험하고 국가대표팀으로 활약했으며, 은퇴 후 유벤투스 감독을 역임했다. - 리구리아주 출신 - 에드몬도 데 아미치스
에드몬도 데 아미치스는 이탈리아 통일 운동 시대의 작가이자 군인으로, 여행기와 애국 소설 《마음》으로 유명하며, 그의 작품은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성향을 동시에 보여주며 후대 이탈리아 사회와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 리구리아주 출신 - 발레리아 도비치
발레리아 도비치는 이탈리아의 배우로, 밀라노의 피콜로 극장 연극 학교에서 연기를 공부하고 데뷔했으며, 영화 《사랑의 열정》으로 다비드 디 도나텔로 여우주연상과 골든 글로브를 수상했다.
렌조 노바토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아벨레 리지에리 페라리 |
출생일 | 1890년 5월 12일 |
출생지 | 이탈리아 리구리아 아르콜라 |
사망일 | 1922년 11월 29일 |
사망지 | 이탈리아 제노바 |
분야 | 서양 철학 |
시대 | 20세기 철학 |
사상 |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에고이스트 아나키즘 미래주의 실존주의 |
주요 관심사 | 개인 윤리학 허무주의 |
주요 사상 | 창조적인 무(無) |
영향 | 막스 슈티르너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니체 찰스 다윈 지그문트 프로이트 오스카 와일드 헨리크 입센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샤를 보들레르 조르주 팔랑트 |
영향을 줌 | 브루노 필리피 볼피 란트스트라이허 세베리노 디 조반니 안토니오 그람시 |
2. 생애
렌조 노바토레(본명: 아벨레 리지에리 페라리)는 1890년 이탈리아 왕국 리구리아 아르콜라의 가난한 농가에서 태어났다. 제도권 교육에 적응하지 못하고 독학으로 막스 슈티르너, 에리코 말라테스타 등의 사상을 접하며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을 신봉하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대를 탈영하고 반전 운동을 펼쳤으며, 파시즘에 맞서 아르디티 델 포폴로 등 무장 투쟁 단체에서 활동했다. 여러 아나키스트 간행물에 글을 기고하며 사회 변혁을 추구했다.
1919년 파시스트에 대항해 싸우다 체포되어 10년 형을 선고받았으나, 몇 달 후 사면되었다. 이후 지하 활동을 이어가던 중 1922년 헌병대의 매복 공격으로 사망했다. 그의 시신에서는 위조 신분증, 총기, 수류탄, 그리고 독약(청산가리)이 든 반지 등이 발견되었다.[7]
2. 1. 초기 생애와 사상 형성
아벨레 리지에리 페라리는 1890년 5월 12일 이탈리아 왕국 리구리아 아르콜라의 가난한 농가에서 태어났다. 그는 학교 규율에 순응하지 못하고 첫해에 학교를 그만둔 후 다시는 돌아가지 않았다.[1] 아버지의 농장에서 일하면서 철학과 시를 중심으로 독학했다. 그는 마을 주변의 아나키스트 운동에 영향을 받았다. 그는 막스 슈티르너, 에리코 말라테스타, 표트르 크로포트킨, 헨리크 입센, 프리드리히 니체를 읽었고, 1908년에는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을 수용하게 되었다.[1] 특히 슈티르너의 사상은 그의 사상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1910년, 그는 지역 교회를 방화한 혐의로 기소되어 3개월간 수감되었지만, 그의 방화 혐의는 입증되지 않았다. 1년 후, 그는 절도 및 강도 혐의로 경찰의 수배를 받아 몇 달간 도피 생활을 했다. 1911년 9월 30일, 경찰은 그를 기물 파손 혐의로 체포했다. 그는 노동 거부를 정당화했고, 생존을 위해 필요한 경우 부자들의 재산을 개인적 탈취하는 것은 정당한 권리라고 생각했으며, 무력 사용도 주저하지 않았다.[1]
1914년, 그는 아나키스트 신문에 글을 쓰기 시작했다.[1] 1912년에 징집되었으나, 알 수 없는 이유로 곧 면제되었다.[1]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918년 4월 26일 탈영했고, 같은 해 10월 31일 군사 재판에서 탈영과 반역죄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마을을 떠나 도주하며 군대 탈영과 국가에 대한 무장 봉기를 선동했다.[1] 당시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둔 그는, 1918년 막내 아들이 죽어가자 체포 위험을 무릅쓰고 마지막 인사를 하기 위해 집으로 돌아왔다.[1]
그는 라스페치아에서 아나코-미래주의 그룹에 참여했고, (아우로 다르콜라와 함께) 전투적인 반파시스트 조직인 ''아르디티 델 포폴로''에서 활동했다.[2] 그는 엔초 마르투치, 브루노 필리피와 친했다. 그는 ''크로니카 리베르타리아, 일 리베르타리오, 아이코노클라스탈, 글리 스카미치아티, 니힐리즘, 파지네 리베레'' 등 여러 아나키스트 신문에 글을 기고하며 카밀로 베르네리를 비롯한 다른 아나키스트들과 논쟁했다. 그는 ''베르티체''라는 잡지를 발행했지만, 몇몇 기사를 제외하고는 소실되었다.[1] 그는 젊은 슈티르너주의자이자 불법주의자인 브루노 필리피와 함께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 저널 ''아이코노클라스타!''를 발행했다.[3]
2. 2. 반항적 활동과 투옥
1910년, 노바토레는 지역 교회를 방화한 혐의로 체포되어 3개월간 옥살이를 했지만, 그가 방화를 했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7] 1년 후, 경찰이 절도 및 강도 혐의로 그를 추적하면서 몇 달 동안 도망 다녀야 했다.[7] 1911년 9월 30일, 경찰은 그를 기물 파손 혐의로 체포했다.[7] 그는 노동 거부를 정당화했으며, 생존을 위해 필요한 경우 부자들의 재산을 빼앗는 개인적 수복을 할 권리가 있다고 생각했다.[7] 그는 생존을 위해 힘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문제가 없다고 보았다.[7]1914년, 그는 아나키스트 신문에 글을 쓰기 시작했다.[7] 1912년에 징집되었으나, 알 수 없는 이유로 곧바로 면제되었다.[7] 제1차 세계 대전이 다가오자, 1918년 4월 26일 그의 연대를 탈영했고, 10월 31일 탈영과 반역죄로 군사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7] 그는 군대 탈영과 국가에 대한 무장 봉기를 선전하며 도주했다.[7]
2. 3. 제1차 세계 대전과 탈영
노바토레는 1912년에 징집되었으나, 알려지지 않은 이유로 곧 면제되었다.[7]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대를 탈영하여, 같은 해 10월 31일 군사 법원으로부터 탈영 및 반역죄로 사형을 선고받았다.[7] 그는 마을을 떠나 도주하면서 군대 탈영과 국가에 대한 무장 봉기를 선동하는 프로파간다를 전개했다.[7] 슬하에 두 자녀를 두고 있었는데, 1918년 말 둘째 아들이 죽음을 앞두자 작별 인사를 하기 위해 체포 위험을 무릅쓰고 마을로 돌아갔다.[7]2. 4. 반파시즘 투쟁과 죽음
그는 라스페치아에서 미래주의 좌파 집단에 참여했고, Auro d'Arcola와 함께 전투적 반파시스트 그룹인 아르디티 델 포폴로(민중의 부대)에서 활동했다.[8] 그는 엔초 마르투치(Enzo Martucci)와 브루노 필리피의 절친한 친구였다. 그는 *Cronaca Libertaria*, *Il Libertario*, *Iconoclastal*, *Gli Scamiciati*, *Nichilismo*, *Pagine Libere* 등 많은 아나키스트 신문에 글을 썼고, 이를 통하여 카밀로 베르넬리를 비롯한 여러 아나키스트들과 토론했다. 그는 *Vertice*같은 매거진도 간행했지만 불행히도 몇몇 글들이 손실되어 있다.[7] 노바토레는 슈티르너주의자이자 일리걸리스트인 젊은 브루노 필리피와 함께 *Iconoclasta!* 라는 아나키스트 저널을 간행하기도 했다.[9]1919년 5월, 라스페치아가 자칭 혁명위원회라 선언한 파시스트들의 지배하에 들어가게 되자 노바토레는 이에 대항해 싸웠다. 1919년 6월 30일, 그가 사르자나 근처의 시골 헛간에 숨어 있을 때 농부의 신고로 체포되어 징역 10년을 선고받았으나, 몇 달 뒤 일반사면으로 풀려났다.[7] 1920년대 초 이탈리아는 파시즘에 점령되기 직전이었다. 그는 지하활동을 결심하고 1922년 Sante Pollastro가 이끌던 유명한 일리걸리스트 단체에 들어갔다.
1922년 11월 29일, 제노바 근처의 텔리아에서 Pollastro와 함께 있다가 헌병대의 매복 공격을 받아 사망했고, Pollastro는 간신히 탈출에 성공했다. 수사관이 그의 시신을 뒤졌을 때 그의 몸에서는 위조문서, 브라우닝제 총기, 두 개의 탄창, 수류탄, 그리고 치사량의 청산가리가 비밀스럽게 채워진 반지가 발견되었다.[7]
3. 사상
렌조 노바토레는 허버트 스펜서의 개인주의에 대해 "국가에 대항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국가가 그의 의도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라며 비판했다. 또한 스펜서가 반항적인 개인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평가했다.[10]
다윈, 콩트, 마르크스와 같은 사상가들에 대해서는, 이들이 사람을 보편성의 제단에 희생시키려 한다고 비판했다.
3. 1.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노바토레는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의 도덕과 관습을 넘어선 "반집단주의와 창조하는 나의 영웅적인 아름다움"을 이야기했다.[10] 그는 슈티르너의 사상을 끌어와 자신의 개별적인 상황을 "유령의 통치 하에서의 삶"이라고 묘사했으며, 이를 사회적 순응 안에서의 실존으로 보았다. 그는 "세계는 하나의 심통한 교회이며 탐욕스럽고 불쾌하게 모두가 광적으로 우상을 숭배하며 자신을 희생 제물로 받치는 곳"이라고 묘사했다.[11]그는 종교가 "황량한 골고다 언덕을 참을성 있게 올라가 십자가에 네 자신을 못박아라. 그리한다면 너는 인신인 나의 모습이 되고, 하늘의 왕국의 아버지의 권세에 따라 완전한 인간이 될것이다."라고 말한다고 비판했다. 또한 민주주의와 계몽주의에 대해서는 "프랑스 혁명은 너에게 말한다: 나는 인간의 권리를 선언했다. 만일 네가 경건하게 인간사회 정의의 상징적 회랑으로 들어가 사회생활과 도덕규범을 통하여 승화하고 인간화 된다면, 너는 시민이 될것이고 나는 너에게 내가 선언한 인간의 권리를 줄것이다."라고 비판했다.[11] 그는 "진보, 문명, 종교 그리고 관념은 가장 무시무시한 환영이 지배하는 필멸의 굴레에 속박된 삶에 불과하다. 이것을 파괴할 때가 되었다! 우리는 이것을 폭력적으로 타도하고, 굴레에서 벗어나야 한다"라고 주장했다.[11]
이러한 상황을 끝내기 위해 그는 "혁명은 우리 의지의 불꽃과 우리 마음의 고독이 필요하다. 이것은 자유로운 귀족의 의무이다. 새로운 윤리적 가치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 미학적 가치를 만들기 위해, 물질적 부는 공유화하고, 정신적 부는 개별화하자. 폭력적 찬양자이자 정열적 감상주의자인 우리는 혁명에 낮은 곳과 높은 곳에서 고통받는 자유 정신의 조용한 슬픔이 필요함을 알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10] 그는 삶의 세 가지 길을 "노예제의 연속인가, 폭정의 연속인가, 그렇지 않다면 자유의 연속인가! 혁명으로서 자유가 나머지 둘을 파괴하고 전복해야 한다. 새로운 정신적 아름다움을 만듦으로써 가난한 이들은 그들의 가난을 부끄러워할 것이고, 부자들은 자신의 부가 부끄러운 것임을 알게 될 것이다."라고 묘사했다.[10]
그는 영구적으로 혁명적 개인주의자의 위치를 견지하면서도, 어떤 시점에서는 대중과 충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그대 혁명을 기다리는가! 좋다! 나의 혁명은 이미 오래전에 시작되었다! 그 기다림이 끝날 때 - 얼마나 긴 기다림인가! - 너와 함께 투쟁하는 것이 거북하진 않을 것이다. 그러나 네가 멈추더라도, 위대하고 숭고한 무를 정복하기 위한 광기와 승리의 행진을 이어갈 것이다."라고 말했다.[12] 또한, "네가 건설한 모든 사회엔 가장자리가 있을 것이고, 그 모든 사회의 주변부에서는, 그들의 야성과 창조적 사상으로서 새롭고 무시무시한 반란을 확산시킴으로써만 살아갈 수 있는 영웅적이고 무모한 방랑자들이 방황할 것이다!"라며 반란을 선언했다.[12]
그는 오직 윤리적이고 정신적인 부만이 해할 수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것만이 개인의 진정한 재산이며, 다른 것들은 결코 아니다! 다른 모든 것들은 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해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은 훼손될 것이다."[10] 이러한 시각은 노바토레를 "아나키스트, 그리고 개인주의자, 니힐리스트, 귀족"으로 만들었으며, 그 자신을 "모든 기적의 연인이자, 비범함의 옹호자, 모든 경이의 창조자" 그리고 "모든 물질적 지배와 정신적 평준화의 적"으로 묘사하게 했다. 그는 니힐리즘에 집착했지만, '기독교적 니힐리즘'은 삶에 대한 부정으로 간주하고 거부했다. 그에게 파괴의 기쁨을 아는 이들이 진정한 니힐리스트였다. 그는 "나아가자, 거짓과 환상의 파괴를 위해! 나아가자, 개성과 삶의 완전한 정복을 위하여!"라고 외쳤다.[10]
그는 허버트 스펜서의 개인주의를 비판하며 "그가 국가에 대항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사실 국가가 그의 의도대로 작동하기 않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스펜서를 반항적인 개인을 이해하지 못하는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더불어 다윈, 콩트, 마르크스와 같이 사람이 보편성의 제단에 희생되기를 원하는 이들을 비판했다.
3. 2. 혁명과 반란
노바토레는 혁명을 "우리 의지의 불꽃과 우리 마음의 고독"으로 정의하며, 자유로운 귀족의 의무라고 보았다.[10] 그는 "노예제의 연속", "폭정의 연속", "자유의 연속"이라는 세 가지 길 중 혁명을 통해 자유를 선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0] 그는 혁명을 통해 새로운 윤리적, 미학적 가치를 만들고, 물질적 부는 공유화하며, 정신적 부는 개별화해야 한다고 생각했다.[10] 가난한 이들은 가난을, 부자들은 부를 부끄러워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10]그는 혁명을 기다리는 대중과 충돌할 것을 예상하면서도, "위대하고 숭고한 무를 정복하기 위한 광기와 승리의 행진"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12] 또한 "모든 사회의 주변부"에서 "영웅적이고 무모한 방랑자들"이 새롭고 무시무시한 반란을 확산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12]
3. 3. 니힐리즘과 개인의 재산
노바토레는 니힐리즘을 옹호했지만, '기독교적 니힐리즘'은 삶에 대한 부정으로 간주하고 거부했다.[10] 그는 파괴의 기쁨을 아는 이들이 진정한 니힐리스트라고 주장했다. "나아가자, 거짓과 환상의 파괴를 위해! 나아가자, 개성과 삶의 완전한 정복을 위하여![10]그는 오직 윤리적이고 정신적인 부만이 해할 수 없는 것이라고 했다. “이것만이 개인의 진정한 재산이며, 다른 것들은 결코 아니다! 다른 모든 것들은 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해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은 훼손될 것이다."[10] 이러한 시각이 노바토레를 "아나키스트, 그리고 개인주의자, 니힐리스트, 귀족"으로 만드는 것이였으며, 그 자신을 "모든 기적의 연인이자, 비범함의 옹호자, 모든 경이의 창조자" 그리고 "모든 물질적 지배와 정신적 평준화의 적"이라고 묘사했다.
3. 4. 사회주의 및 기타 사상 비판
노바토레는 허버트 스펜서의 개인주의를 비판하며, "그가 국가에 대항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사실 국가가 그의 의도대로 작동하기 않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스펜서를 반항적인 개인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라고 표현했다.[10]그는 다윈, 콩트, 마르크스와 같은 사상가들을 사람이 보편성의 제단에 희생되기를 원하는 이들이라고 묘사하며 비판했다.[10]
4. 영향
세베리노 디 조반니는 노바토레가 사망하자 그를 추모하는 시를 헌정하고, 아르헨티나에서 '아나코-개인주의 그룹 렌초 노바토레'를 결성하여 이탈리안 안티파시스트 동맹의 일원으로 활동했다.[4] 노바토레의 사상은 포스트 레프트 아나키즘과 반란적 아나키즘에 영향을 주었다.[13] 울피 랜드스트라이커는 노바토레의 저작을 번역하고 소개하며 그의 사상을 현대적으로 재조명했다. 랜드스트라이커는 "창조적 무(無)를 향하여" 서문에서 "영어로 된 무정부주의 작품 중에서 '개인주의적'이면서 명시적으로 혁명적이고, '물질적 부를 공유화'하면서 동시에 '정신적 부를 개별화'하는 혁명의 목표로서 개인의 자기 결정의 중심성을 강조하는 작품을 찾기는 어렵다."라고 평가했다.[5] 그는 페럴 폰이라는 필명으로 쓴 "이제 어디로? 무정부주의를 창조하는 것에 대한 몇 가지 생각"이라는 글에서 "우리는 더 이상 사회의 주변부에 머물 필요가 없으며, 각자 고유한 야생의 존재로서 문명을 파괴하고 우리가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살고, 관계를 맺고, 창조하는 세상을 만들 수 있는 반란 프로젝트의 중심이 될 것이다."라며 노바토레의 사상을 인용했다.[6]
5. 저작
- Toward the Creative Nothing영어
- Collected Writings영어 (2012년)
참조
[1]
웹사이트
Novatore: a biography (new corrected version, thanks to Penwan)
http://www.novatore.[...]
2007-08-11
[2]
서적
[3]
웹사이트
The rebel's dark laughter: the writings of Bruno Filippi
http://theanarchistl[...]
[4]
웹사이트
Severino di Giovanni: el Idealista de la Violencia
http://www.kcliberta[...]
2013-04-02
[5]
웹사이트
Towards the creative nothing and other writings by Renzo Novatore
http://www.omniprese[...]
2015-08-11
[6]
웹사이트
Whither now? Some thoughts on creating anarchy
http://www.anti-poli[...]
[7]
웹사이트
Novatore: a biography
https://theanarchist[...]
[8]
서적
[9]
웹사이트
The rebel's dark laughter: the writings of Bruno Filippi
http://theanarchistl[...]
[10]
웹사이트
Towards the creative Nothing
https://theanarchist[...]
[11]
웹인용
"In the realm of the phantoms" by Renzo Novatore
http://www.novatore.[...]
2009-05-19
[12]
웹사이트
"My Iconoclastic Individualism" by Renzo Novatore
http://www.theanarch[...]
[13]
웹사이트
https://theanarchist[...]
[14]
웹사이트
Anarchist Individualism in the Social Revolution
https://theanarchi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