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코 말라테스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리코 말라테스타는 이탈리아의 아나키스트로, 젊은 시절부터 정치 활동에 참여하여 여러 차례 투옥 및 망명 생활을 겪었다. 그는 파리 코뮌에 대한 열정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국제노동자협회에 가입했으며, 1877년 봉기를 주도하다 체포되어 망명길에 올랐다. 망명 기간 동안 그는 스위스, 영국, 아르헨티나 등지에서 아나키즘 사상을 전파하고 노동 운동에 참여했다. 말라테스타는 노동조합에 대한 독자적인 견해를 피력했으며, 폭력 혁명의 필요성을 주장하기도 했다. 그의 저작은 한국 독립운동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대표적인 저서로는 '무정부주의'와 '농민들 사이에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인터내셔널의 인물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제1인터내셔널의 인물 - 페르디난트 라살
페르디난트 라살은 19세기 독일의 법학자이자 사회주의 사상가, 정치가로서 전독일 노동자 동맹을 창설하여 독일 노동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마르크스와의 협력 및 갈등 속에서 독자적인 사회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비스마르크와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으나 결투로 사망하여 사회주의 이론가이자 정치 운동가로서 논쟁적인 평가를 받는다. - 이탈리아의 아나키스트 - 카를로 카라
카를로 카라는 이탈리아의 화가로, 미래주의와 형이상주의를 거쳐 고전주의로 회귀했으며, 아나키스트에서 파시즘 지지자로 정치적 성향이 변화했고, 주요 작품으로 《아나키스트 갈리의 장례식》이 있다. - 이탈리아의 아나키스트 - 세베리노 디 조반니
세베리노 디 조반니는 1901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아르헨티나로 이주하여 파시즘에 반대하며 아나키스트 신문을 창간하고 테러를 감행하다 체포되어 처형된 아나키스트이다. - 이탈리아의 사회주의자 - 조르조 나폴리타노
조르조 나폴리타노는 이탈리아 공산당 출신의 정치인으로, 이탈리아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이탈리아 최초의 공산당 출신 대통령이자 재선된 대통령으로 기록되었다. - 이탈리아의 사회주의자 - 로베르트 미헬스
로베르트 미헬스는 사회학자이자 정치학자로, 과두제의 철칙(Iron Law of Oligarchy) 이론을 제시했으며, 정당의 관료화와 소수 엘리트 지배의 관계를 연구했다.
에리코 말라테스타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에리코 말라테스타 |
출생일 | 1853년 12월 4일 |
출생지 | 산타마리아카푸아베테레, 이탈리아 왕국 |
사망일 | 1932년 7월 22일 |
사망지 | 로마, 이탈리아 왕국 |
직업 | 혁명가, 활동가, 작가 |
철학적 관점 | |
학파 및 사상 | 아나르코공산주의 |
로마자 표기 | Errico Malatesta |
서명 | |
![]() |
2. 생애
에리코 말라테스타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이탈리아와 국제 무대에서 활동한 저명한 아나키스트 사상가이자 혁명가이다.[32][33] 그는 평생을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사회 건설을 위한 이론 정립과 실천적 투쟁에 헌신했으며, 이 과정에서 수십 년에 걸친 망명 생활과 반복되는 투옥을 겪어야 했다. 젊은 시절 나폴리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했으나 정치적 활동으로 인해 학업을 중단하고, 미하일 바쿠닌 등 당대의 주요 아나키스트들과 교류하며 제1인터내셔널 활동에 참여하면서 본격적인 혁명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그의 삶은 이탈리아에서의 무장 봉기 시도[34], 유럽 각지와 남아메리카를 넘나드는 망명 생활 중의 선전 활동과 노동 운동 조직[35], 런던을 중심으로 한 국제 아나키스트 운동에서의 활약[36], 그리고 끊임없는 저술 활동으로 특징지어진다. 특히 그는 행위에 의한 선전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다수의 신문과 팜플렛 발간을 통해 아나키즘 사상을 전파하는 데 힘썼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로 돌아왔으나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정권 하에서 탄압과 감시를 받으면서도 저술 활동을 이어갔다. 오랜 투쟁의 삶 끝에 1932년 로마에서 생을 마감했다.[41]
2. 1. 젊은 시절
에리코 말라테스타는 1853년 12월 14일[1][2] 당시 두 시칠리아 왕국에 속했던 산타마리아카푸아베테레의 중산층 지주 가문에서 태어났다.[32][33] 그의 조상은 먼 옛날 리미니를 지배했던 말라테스타 가문이었다. 그의 수많은 체포는 14세 때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에게 "무례하고 위협적인" 편지를 썼다는 혐의로 체포되면서 시작되었다.[3][4]말라테스타는 나폴리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으나, 1871년 파리 코뮌에 대한 열정과 친구 Carmelo Palladino|카르멜로 팔라디노ita의 영향으로 시위에 참여했다가 퇴학당했다. 같은 해 인터내셔널 나폴리 지부에 가입했고, 정비와 전기를 배우기 시작했다. 1872년에는 미하일 바쿠닌을 만나 함께 생티미에 인터내셔널에 참여했다. 이후 4년간 이탈리아에서 인터내셔널의 사상을 전파하는 활동을 벌이다 두 차례 투옥되기도 했다.
1877년 4월, 말라테스타는 카를로 카피에로, 스테프니아크 등 약 30명과 함께 베네벤토현에서 마테세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레티노와 갈로마테세 마을을 무혈 점령하고, 세금 기록부를 불태우며 왕정의 종식을 선언했다. 주민들은 이들을 열렬히 환영했다. 그러나 갈로마테세를 떠난 뒤 정부군에 체포되어 16개월간 감옥에 갇혔다가 무죄로 풀려났다. 이후 조반니 파사난테가 움베르토 1세 국왕 암살을 시도하자, 정부는 급진주의자들에 대한 감시를 대폭 강화했다. 비록 아나키스트들은 파사난테와의 연관성을 부인했지만, 사회 혁명을 주장했던 말라테스타 역시 주요 감시 대상이 되었다. 결국 1878년 가을, 나폴리로 돌아왔음에도 계속되는 감시를 피해 이탈리아를 떠나야 했고, 이로써 그의 긴 망명 생활이 시작되었다.[34][5]
2. 2. 망명기

그는 잠시 이집트로 가서 이탈리아 친구들을 만났으나, 곧 이탈리아 영사에 의해 추방당했다.[5] 시리아, 터키, 이탈리아로의 입국이 금지되자, 프랑스 선박에 무임승선하여 마르세이유에 내린 뒤 스위스 제네바로 향했다. 당시 제네바는 아나키스트들의 중심지였다.[5] 그곳에서 엘리제 레클뤼와 표트르 크로폿킨과 친구가 되었고, 크로폿킨의 La Révolte|라 레볼트fra 발간을 도왔다. 그러나 스위스에서의 짧은 체류도 잠시, 몇 달 후 추방당하여 루마니아를 거쳐 파리에 도착했고, 잠시 정비공으로 일했다.[6]
1881년 그는 런던으로 거처를 옮겼고, 이후 40여 년간 이곳을 오가게 된다.[6] 런던에서 말라테스타는 아이스크림 판매원과 정비공으로 일했다.[35][7]
말라테스타는 1881년 7월 런던 아나키스트 의회에 참석했다. 다른 대표자들로는 표트르 크로폿킨, 프란체스코 사베리오 메를리노, 마리 르 콩트, 루이즈 미셸, 에밀 고티에 등이 있었다. 이 의회는 "지역 단체의 완전한 자치"를 존중하면서도, 선전 활동을 정의하고 행위에 의한 선전이 사회 혁명을 위한 길이라는 데 동의했다.[10]
1882년 영국-이집트 전쟁이 발발하자, 말라테스타는 영국에 맞서 싸우기 위해 소규모 그룹을 조직했다. 8월에 그와 다른 세 명은 이집트로 향했다. 그들은 아부 키르에 상륙하여 알렉산드리아의 람레(Ramleh)로 이동했다. 마리우트 호를 힘들게 건넌 후, 그들은 전투를 벌이기도 전에 영국군에게 포위되어 구금되었다. 그는 다음 해 비밀리에 이탈리아로 돌아왔다.[11]
피렌체에서 그는 주간 아나키스트 신문인 La Questione Sociale|라 퀘스티오네 소치알레ita를 창간했고, 그의 가장 유명한 팜플렛인 Fra Contadini|프라 콘타디니ita가 이곳에서 처음 발표되었다. 말라테스타는 3년의 징역형 선고가 내려진 상태였지만, 1884년 나폴리로 가서 콜레라 유행병 희생자들을 간호했다. 다시 한번 투옥을 피해 이탈리아를 탈출하여 이번에는 남아메리카로 향했다. 그는 1885년부터 1889년까지 부에노스아이레스에 거주하며 La Questione Sociale|라 퀘스티오네 소치알레ita의 발행을 재개하고, 그곳의 이탈리아 이민자 공동체 사이에 아나키즘 사상을 전파했다.[6] 그는 아르헨티나 최초의 전투적 노동조합 설립에 참여했으며, 아르헨티나 노동운동에 수년간 아나키스트적 영향을 남겼다.[6]
1889년 유럽으로 돌아온 말라테스타는 먼저 프랑스 니스에서 L'Associazione|라소차치오네ita라는 신문을 발행했고, 다시 한번 런던으로 도피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2. 3. 이탈리아에서의 체포

1890년대 후반 이탈리아는 흉작과 물가 상승, 농민 반란 등으로 극심한 사회 혼란을 겪고 있었다.[6] 노동자들의 파업에 대해 정부는 탄압으로 일관했고, 한때 정부의 권력 기반이 흔들리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다.[6] 말라테스타는 이러한 상황을 혁명의 기회로 보고, 1898년 초 항구 도시 안코나로 돌아와 부두 노동자들 사이에서 활발하게 전개되던 아나키스트 운동에 합류했다.[6] 그러나 경찰과의 거리 시위를 이끌다 지도자로 지목되어 곧 체포되었고, 이로 인해 1898년과 1899년에 걸쳐 일어난 중요한 노동 운동 및 정치적 활동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었다.[6]
감옥에 있는 동안 말라테스타는 선거 참여 문제에 대해 강경한 반대 입장을 취했다. 이는 당시 사회 혼란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자유주의 및 사회주의 정치인들과의 연대를 통한 선거 참여를 주장했던 사베리오 메를리노(Saverio Merlino)를 비롯한 다른 아나키스트 지도자들의 입장과 명확히 대비되는 것이었다.[6] 결국 말라테스타는 "선동적인 협회"를 조직했다는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람페두사섬의 감옥에 수감되었다.[37][12]
그러나 그는 1899년 5월 극적으로 감옥을 탈출하여 몰타와 지브롤터를 거쳐 다시 런던으로 돌아가는 데 성공했다.[38] 이후 잠시 미국으로 건너가 그곳의 이탈리아계 및 스페인계 아나키스트 공동체와 교류하기도 했다.[38] 런던으로 돌아온 뒤에는 동료 이탈리아 아나키스트였던 가에타노 브레시가 이탈리아 국왕 움베르토 1세를 암살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경찰의 감시를 받게 되었다.
2. 4. 런던으로 귀환
1899년 5월, 말라테스타는 람페두사 섬의 감옥에서 탈출하여 몰타와 지브롤터를 거쳐 런던으로 돌아왔다.[13] 이 탈출은 뉴저지주 패터슨, 런던, 튀니스 등 전 세계 아나키스트 동지들의 도움으로 이루어졌으며, 그들은 말라테스타가 그리스 해면 채취 어선을 타고 수스로 갈 수 있도록 도왔다.[14]
이후 몇 년간 말라테스타는 미국을 방문하여 이탈리아와 스페인 이민자 공동체의 아나키스트들에게 연설했다.[13] 런던으로 돌아온 그는 경찰의 감시를 받았는데, 특히 1900년 7월 움베르토 1세가 뉴저지 패터슨에 살던 이탈리아 아나키스트 가에타노 브레시에게 암살당한 이후 아나키스트들에 대한 경계가 심해졌다.[13]
1907년, 말라테스타는 암스테르담 국제 아나키스트 회의에 참가하여 피에르 모나테 등과 아나키즘과 생디칼리즘(노동 조합주의)의 관계에 대해 중요한 토론을 벌였다. 모나트는 생디칼리즘이 혁명적이며 사회 혁명의 조건을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말라테스타는 생디칼리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아나키스트적 원칙과 목표가 더욱 중요하다고 반박했다.[18][40]
1910년, 그는 런던 이즐링턴 던컨 테라스 15번지에 전기 작업장을 열었다. 그는 보석 도둑 조지 가든스타인(George Gardenstein)이 자신의 작업장을 사용하는 것을 허락했으며, 1910년 1월 15일에는 가든스타인에게 산소-아세틸렌 절단 장비를 5GBP에 판매했다. 가든스타인은 이 장비를 하운즈디치(Houndsditch)에 있는 H.S. 해리스 보석상의 금고를 털기 위해 사용할 목적이었으며, 이는 시드니 스트리트 포위 사건의 전조가 된 하운즈디치 강도 사건 기도였다. 말라테스타가 판매한 절단 장비는 현재 런던 시경 박물관(City of London Police Museum)에 영구 전시되어 있다.[16][39]
런던에 머무는 동안에도 말라테스타는 프랑스, 스위스, 이탈리아를 비밀리에 오갔으며, 페르난도 타리다 델 마르몰과 함께 스페인에서 강연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이 시기에 그는 L'Anarchia|란나르키아it를 비롯한 여러 중요한 팸플릿을 저술했다.[17] 1912년에는 명예훼손 혐의로 런던 보우 스트리트 치안 법원에 기소되어 징역 3개월과 추방 권고를 선고받았으나, 급진적 언론과 노동자 조직들의 항의 시위 덕분에 추방 명령은 철회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말라테스타는 마침내 마지막으로 이탈리아로 돌아왔다. 귀국 2년 뒤인 1921년, 이탈리아 정부는 그를 다시 투옥했지만,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파시스트 정권이 권력을 장악하기 두 달 전에 석방되었다. 1924년부터 1926년까지 무솔리니 정권이 모든 독립 언론을 탄압하는 상황 속에서도, 말라테스타는 온갖 방해와 검열에 시달리면서도 Pensiero e Volontà|펜시에로 에 볼론타it라는 저널을 발행하며 자신의 사상을 알리려 노력했다.
이후 그는 남은 생애를 비교적 조용히 보내며 전기 기술자로 생계를 유지했다. 오랫동안 약한 호흡기와 만성적인 기관지염으로 고통받던 그는 결국 기관지 폐렴에 걸려 1932년 7월 22일 사망했다. 그는 무신론자였다.[19][41]
3. 정치적 신념
데이비드 굿웨이(David Goodway)는 말라테스타가 주세페 마치니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가장 중요한 시기에 이탈리아 아나키즘 운동의 지도자"였다고 평가한다.[20] 국제노동자협회(제1인터내셔널)의 다른 지도자들이 시간이 지나며 입장을 바꾸거나 정치 활동을 포기한 것과 달리, 말라테스타는 반세기 동안 자신의 신념을 확고히 지켰다. 굿웨이는 말라테스타가 "낙관적인 접근 방식을 수정하고, 보다 정교한 아나키즘 버전 중 하나를 대체함으로써" 이를 해낼 수 있었다고 분석한다.[20]
말라테스타의 사상은 종종 '아나키즘적 사회주의' 또는 '수식어 없는 아나키즘'으로 특징지어진다. 이는 그가 아나키즘의 사회주의적 성격을 강조하고, 특히 노동 운동 참여를 통해 아나키스트들이 노동 대중과 다시 접촉해야 한다고 촉구했기 때문이다.[21] 또한 이는 서로 다른 경향(집산주의적 아나키즘과 아나르코 공산주의)의 아나키스트들 사이의 관용과 연대를 강조하는 입장이기도 했다.[20] 그는 사회주의와 노동 운동 내에서 아나키스트들의 자리를 확보하고자 했으며,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아나키스트들을 배제하려는 시도에 맞섰다.[21]
그는 1880년대와 1900년대 초에 두 가지 주요 전략을 추구했다. 하나는 아나키스트들과 반의회주의 사회주의자들을 새로운 아나키스트 사회주의 정당으로 통합하려는 시도였고, 다른 하나는 신디칼리즘 전략을 활용하여 노동 운동 내에서 혁명적 의식을 고취하는 것이었다.[20] 그는 노동조합이 개혁주의적이고 때로는 보수적일 수 있다고 비판하면서도, 노동자들의 조직화와 저항을 위해 노동 운동 참여 자체는 중요하다고 보았다. (자세한 내용은 #노동조합에 대해 참조) 또한 그는 국가가 폭력에 기반하는 한 혁명 과정에서 폭력의 사용이 불가피하다고 생각했다. (자세한 내용은 #폭력에 대해 참조)
말라테스타의 사상 형성에 영향을 준 인물로는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미하일 바쿠닌, 카를로 카피에로,[22] 표트르 크로포트킨, 엘리제 르클뤼 등이 있다. 반대로 그의 사상은 안토니오 그람시와 같은 마르크스주의 철학자,[23] 아나카 페미니스트 활동가 버지니아 볼텐,[23] 그리고 아르헨티나 지역 노동자 연맹[24]을 비롯한 아르헨티나의 아나키즘 운동 전반[25]에 영향을 미쳤다.
3. 1. 노동조합에 대해
그는 암스테르담 국제 아나키스트 회의(1907)에서 피에르 모나테와 신디칼리즘(특히 순수 신디칼리즘)에 대해 논쟁했다.[18] 말라테스타는 노동조합이 개혁주의적이며 때로는 보수주의적일 수도 있다고 보았다. 그는 크리스티안 코르넬리센과 함께 미국의 사례를 들며, 숙련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상대적 특권을 지키기 위해 비숙련 노동자들을 배척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40][18] 그는 신디칼리즘이 그 자체를 영속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반면 아나키스트들은 자본주의와 국가를 타도하고 완전한 공산주의 사회 건설을 목표로 하므로, 특정 방법(신디칼리즘)에 얽매이는 것은 이러한 목표 달성을 저해할 수 있다고 보았다.[42][26]이후 아나코 생디칼리즘에 대한 글들에서 그는 "나는 교리와 실천으로서 생디칼리즘에 반대한다. 이것은 나에게 잡종 괴물(hybrid monster영어)로 여겨진다"고 비판했다.[43][27]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라테스타는 노동조합 활동 자체는 옹호했다.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노동자들의 저항과 자기 방어를 위해 조직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더 넓은 대중에게 다가갈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44][28] 그에 따르면, 아나키스트들은 공장, 병영, 학교에서처럼 노동조합 내에서도 토론 그룹을 만들어 활동해야 하지만, "노동조합 자체가 아나키스트 조직이 될 것이라는 기대는 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44][28]
그는 "다른 모든 노동조합처럼 신디칼리즘 역시 본질적으로 개혁주의적"이라고 보았다.[45][29] 따라서 "노동조합의 상근 유급 간부가 되기로 동의한 아나키스트는 결국 아나키즘을 잃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46][30] 일부 아나키스트들이 보수적인 노동조합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혁명적 생디칼리스트 노조를 결성하려 했을 때, 말라테스타는 이러한 시도가 결국 영향력 없는 소규모 그룹(어피니티 그룹)으로 남거나, 그들이 비판하며 떠나온 기존 노동조합과 똑같은 관료화 과정을 겪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47][31] 이러한 그의 주장은 훗날 "일반 조합원 전략(rank-and-file strategy)"으로 알려지게 될 관점의 초기 형태로 평가받기도 하며, 장 그라브(Jean Grave)나 비토리오 아우렐리오(Vittorio Aurelio) 같은 동시대 아나키스트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3. 2. 폭력에 대해
말라테스타는 헌신적인 혁명가였다. 그는 아나키스트 혁명이 불가피하다고 생각했으며, 국가가 무력의 독점을 통해 강제력으로 유지되는 한, 혁명 과정에서 무력 사용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는 1921년 9월 6일자 ''Umanità Nova'' 125호에 실린 글 'The Revolutionary 'Haste'에서 폭력의 필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48]모든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의식적인 존재가 되게 하는 것이 우리의 염원이자 목표이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삶의 모든 수단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폭력으로서 억압을 타도할 필요가 있다. 다른 모든 수단을 박탈당한 노동자들에게 있어서, 폭력은 주어진 현실에 대한 거부의 표명이다.
4. 한국 독립운동에의 영향
2021년 3월 1일, 한국의 독립유공자이자 소설가인 이창신이 에리코 말라테스타를 추모하며 쓴 시가 공개되었다. 이 시는 이창신의 필명인 이석성 명의로 일본의 시 전문 월간지 《시와 사상》 3월호에 일본어로 기고되었으며, 제목은 我等が先駆者マラテスタを悼む|와레라가 센쿠샤 마라테스타오 이타무일본어(우리들의 선구자 말라테스타를 애도한다)이다. 시에서 이창신은 말라테스타를 '자유평등한 사랑의 명성(明星)'으로 표현했다.
전남과학대학교 김정훈 교수는 이 구절이 조선 독립에 대한 열망을 은유적으로 나타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김 교수는 이창신이 나주농업보습학교 재학 시절 광주학생운동이 발발하자 나주 지역 신간회와 협력하여 학생 운동을 주도했던 점을 근거로 들었다. 이를 통해 이창신 역시 신채호처럼 아나키즘 사상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 시가 형식적으로는 말라테스타의 죽음을 애도하지만, 실제로는 조선 독립에 대한 강한 열망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김 교수는 이창신이 시를 일본어로 쓴 이유에 대해, 당시 일본어로 교육받고 일본어 사상서를 읽었던 배경 때문에 일본어가 더 비유적인 표현에 용이했을 수 있으며, 조선어로 썼을 경우 일제의 탄압을 받을 가능성도 고려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 시의 육필 원고 사본은 이창신의 아들인 이명한 광주전남작가회의 고문이 아버지의 유품 속에서 발견하여 2020년 8월 김정훈 교수에게 전달했고, 김 교수의 연구 분석을 거쳐 2021년 삼일절에 처음으로 세상에 알려졌다.[49]
5. 저작
- 농민들 사이에서: 아나키즘에 관한 대화 (1884)
- 무정부주의 (1891)
- 카페에서: 아나키즘에 관한 대화 (1922)
- Anarchism Or Democracy? (프란체스코 메를리노 공저, 1974)
- At The Cafe - Conversations on Anarchism (2005) - 2014년 '국가 없는 사회'라는 제목으로 한국에서 번역 출간되었다.
6. 같이 보기
- Luigi Fabbri, ''Life of Malatesta'', Adam Wight, trans. (1936)
- Vernon Richards (ed.), ''Errico Malatesta - His Life And Ideas.'' Freedom Press, 1965.
- Enrico Tuccinardi - Salvatore Mazzariello, ''Architettura di una chimera. Rivoluzione e complotti in una lettera dell'anarchico Malatesta reinterpretata alla luce di inediti documenti d'archivio'', Mantova, Universitas Studiorum, 2014.
7. 참고 문헌
- Luigi Fabbri, ''Life of Malatesta'', Adam Wight, trans. (1936)
- Vernon Richards (ed.), ''Errico Malatesta - His Life And Ideas.'' Freedom Press, 1965.
- Enrico Tuccinardi - Salvatore Mazzariello, ''Architettura di una chimera. Rivoluzione e complotti in una lettera dell'anarchico Malatesta reinterpretata alla luce di inediti documenti d'archivio'', Mantova, Universitas Studiorum, 2014.
8. 외부 링크
- Luigi Fabbri, Life of Malatesta, Adam Wight, trans. (1936)
- Vernon Richards (ed.), Errico Malatesta - His Life And Ideas. Freedom Press, 1965.
- Enrico Tuccinardi - Salvatore Mazzariello, Architettura di una chimera. Rivoluzione e complotti in una lettera dell'anarchico Malatesta reinterpretata alla luce di inediti documenti d'archivio, Mantova, Universitas Studiorum, 2014. ISBN 978-88-97683-7-28
참조
[1]
논문
Malatesta, Errico
2005
[2]
백과사전
Errico Malatesta
https://www.britanni[...]
2020-09-15
[3]
서적
No Gods, No Masters
https://books.google[...]
AK Press
2016-03-18
[4]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Twentieth-Century Political Thinkers
Psychology Press
2016-03-18
[5]
서적
The Anarchists
Little, Brown & Co.
1964
[6]
서적
The Anarchists
Little, Brown & Co.
1964
[7]
서적
The Knights Errant of Anarchy: London and the Italian Anarchist Diaspora (1880-1917)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1-23
[8]
간행물
Italian Anarchists in London
http://eprints.linco[...]
2013-08-28
[9]
학술지
Sur les traces de Malatesta
http://acontretemps.[...]
2013-09-01
[10]
학술지
Internationalism without an International? Cross-Channel Anarchist Networks, 1880–1914
http://www.persee.fr[...]
2013-08-30
[11]
웹사이트
Life of Malatesta
http://dwardmac.pitz[...]
2013-08-09
[12]
서적
The Anarchists
Little, Brown & Co.
1964
[13]
서적
The Anarchists
Little, Brown & Co.
1964
[14]
학술지
Alexandria, 1898: Nodes, Networks, and Scales in Nineteenth-Century Egypt and the Mediterranean
2017
[15]
서적
History of the Philippine Labor Movement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Labor & Industrial Relations, Polytechnic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16]
기타
City of London Police museum
[17]
서적
Malatesta's Anarchy
http://robertgraham.[...]
Freedom Press
2012-09-27
[18]
웹사이트
Extract of Malatesta's declaration
http://www.fondation[...]
[19]
서적
Errico Malatesta da Mazzini a Bakunin
Guida Editori
1988
[20]
서적
For Anarchism (RLE Anarchy)
Routledge
2013-06-26
[21]
서적
Making Sense of Anarchism: Errico Malatesta's Experiments with Revolution, 1889–1900
Springer
2012
[22]
서적
Italian Anarchism, 1864–1892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
서적
Women's Movements in International Perspective: Latin America and Beyond
Palgrave MacMillan
2001
[24]
학술지
The Uniqueness of Anarchism in Argentina
[25]
서적
Anarchism Today
Anchor Books
[26]
서적
Facing the enemy: a history of anarchist organization from Proudhon to May 1968
A. K. Press
[27]
웹사이트
Further Thoughts on Anarchism and the Labour Movement
http://www.marxists.[...]
2012-02-08
[28]
웹사이트
Syndicalism and Anarchism
http://www.marxists.[...]
2012-02-08
[29]
웹사이트
The Labor Movement and Anarchism
http://www.marxists.[...]
2012-02-08
[30]
웹사이트
Anarchism: From theory to practice
https://www.scribd.c[...]
Monthly Review Press
[31]
학술지
The Labor Movement and Anarchism
http://www.marxists.[...]
2012-02-08
[32]
서적
No Gods, No Masters, Volumes 1–4
https://books.google[...]
AK Press
[33]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Twentieth-Century Political Thinker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34]
서적
The Anarchists
Little, Brown & Co.
1964
[35]
서적
The Anarchists
[36]
저널
Internationalism without an International? Cross-Channel Anarchist Networks, 1880–1914
http://www.persee.fr[...]
2013-08-30
[37]
서적
The Anarchists
[38]
서적
The Anarchists
[39]
기관
City of London Police museum
[40]
웹사이트
Extract of Malatesta's declaration
http://www.fondation[...]
2007-09-28
[41]
서적
Errico Malatesta da Mazzini a Bakunin
Guida Editori
[42]
서적
Facing the enemy: a history of anarchist organization from Proudhon to May 1968
https://archive.org/[...]
A. K. Press
[43]
웹사이트
Further Thoughts on Anarchism and the Labour Movement
http://www.marxists.[...]
1926-03
[44]
웹사이트
Syndicalism and Anarchism
http://www.marxists.[...]
1925-04
[45]
웹사이트
The Labor Movement and Anarchism
http://www.marxists.[...]
1925-12
[46]
웹사이트
Anarchism: From theory to practice
http://www.scribd.co[...]
Monthly Review Press
[47]
웹사이트
The Labor Movement and Anarchism
http://www.marxists.[...]
El Productor
1925-12
[48]
웹사이트
The revolutionary haste by Errico Malatesta
http://flag.blackene[...]
2003-02-10
[49]
뉴스
독립운동가 이창신의 필명으로 작성된 미공개 시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1-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