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도스 공성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도스 공성전은 기원전 305년부터 304년까지 안티고노스 1세의 아들 데메트리오스 1세가 로도스 섬을 점령하려 시도한 사건이다. 로도스는 강력한 해군력을 바탕으로 중립을 지키며 경제적 이익을 추구했으나, 데메트리우스는 로도스가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1세에게 해군력을 제공할 것을 우려하여 공격을 감행했다. 데메트리우스는 4만 명의 군대와 200척의 함대를 이끌고 로도스를 포위했으나, 로도스 시민들의 저항과 프톨레마이오스의 지원으로 결국 실패했다. 데메트리우스는 철수하면서 남긴 군수품을 로도스인들이 팔아 헬리오스 신의 거상인 로도스의 거상을 세웠으며, 데메트리우스는 이 공성전을 통해 '도시 포위자'라는 별칭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아도코이 전쟁의 전투 - 가비에네 전투
가비에네 전투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디아도코이 간의 전쟁 중 안티고노스 1세와 에우메네스가 격돌한 전투로, 에우메네스 군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부하의 배신으로 에우메네스가 처형당하고 안티고노스가 세력을 확장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 디아도코이 전쟁의 전투 - 파라에타케네 전투
파라에타케네 전투는 기원전 316년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디아도코이 전쟁 중 안티고노스 1세와 에우메네스가 파라에타케네 지역에서 맞붙었으나 승패 없이 끝나, 이듬해 가비에네 전투로 이어지는 분수령이 되었다. - 디아도코이 전쟁 - 바빌론 회의
바빌론 회의는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3세 사후 후계 문제와 제국 운영을 결정하기 위해 열린 회의로, 필리포스 3세와 알렉산드로스 4세가 공동 왕으로 추대되고 페르디카스가 섭정이 되었으며 제국 영토가 분할되었으나, 이는 장군들의 권력 다툼을 심화시켜 제국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 디아도코이 전쟁 - 가자 전투 (기원전 312년)
가자 전투 (기원전 312년)는 디아도코이 전쟁 중 데메트리오스가 프톨레마이오스와 셀레우코스 연합군에게 패배하여 시리아를 잃고 셀레우코스가 바빌로니아를 탈환하는 계기가 된 전투이다.
로도스 공성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좌표 | 28.0000 |
전투 정보 | |
분쟁 | 로도스 공성전 |
전체 | 디아도코이 전쟁 |
기간 | 기원전 305년 – 기원전 304년 |
장소 | 로도스 섬 |
결과 | 로도스의 승리 |
원인 | 로도스의 거상 건설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안티고노스 왕조 |
교전국 2 | 로도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셀레우코스 제국 |
지휘관 | |
안티고노스 왕조 | 데메트리오스 1세 |
로도스 | 아레스 |
병력 규모 | |
안티고노스 왕조 | 약 40,000명, 170척의 함선 |
로도스 | 알 수 없음 |
피해 규모 | |
안티고노스 왕조 | 알 수 없음 |
로도스 | 알 수 없음 |
2. 배경
당시 로도스섬은 강력한 해군을 가진 상업 국가였다. 로도스섬은 디아도코이와 엄격한 중립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지만, 프톨레마이오스 1세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고 있었다.[6] 또한 많은 갈등 속에서 도시를 개발하여 큰 명성을 구가했다.
데메트리오스의 로도스 공성 결정은 이러한 우려 외에도 사실상 해적 행위이기도 했다. 데메트리우스의 동맹 여부와 상관없이, 그리스 세계의 많은 부분은 공성전을 해적 공격으로 간주하고 로도스인에게 동정심을 보였으며, 이러한 태도는 마케도니아에서도 존재했다.
데메트리우스는 약 4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왔고, 로도스인들은 6,000명의 시민, 1,000명의 메티크(Metics, 고대 그리스의 외국인 거주자)와 외국인, 그리고 전투에서 활약하면 주인으로부터 사서 해방시켜주겠다고 약속한 노예들을 포함한 불특정 수의 병력을 보유했다.[2]
200척의 함대와 150척의 보조 선박을 포함한 전투 함대와 함께, 데메트리우스는 많은 해적 함대의 지원을 받았다. 그의 성공이 가져올 전리품을 기대하며 1,000척이 넘는 개인 무역 선박들이 그의 함대를 따랐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로도스와 본토 사이의 해협 전체가 데메트리우스의 함대로 가득 찼다고 전한다.[2]
2. 1. 로도스의 지정학적, 경제적 중요성
로도스섬은 에게 해 입구를 통제하는 강력한 해군을 가진 중상주의 상업 국가였다. 로도스는 엄격한 중립 정책을 유지했지만, 디아도코이 중 한 명인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1세와 긴밀한 경제적 관계를 유지하며 이익을 추구했다.[6] 안티고노스의 아들 데메트리오스는 프톨레마이오스와 적대 관계에 있었는데, 로도스가 프톨레마이오스에게 해군력을 제공할 것을 우려했다.[7]2. 2. 안티고노스와 프톨레마이오스의 갈등
안티고노스 1세는 중요한 지정학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로도스섬을 장악하고 싶어했다. 그의 아들 데메트리오스는 프톨레마이오스 1세와 적대 관계였는데, 로도스가 프톨레마이오스에게 해군력을 제공할 것을 우려했다.[7]로도스 섬은 거대한 해군을 보유한 중상주의 공화국으로, 에게 해 입구를 통제했다. 로도스는 무역을 보호하기 위해 다른 제국들과 중립 조약을 유지했지만, 프톨레마이오스 1세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데메트리우스는 로도스가 프톨레마이오스에게 함선을 공급하거나, 로도스가 자신의 작전 기지로 사용될 가능성을 우려했다.[7]
3. 공방전의 전개
기원전 305년, 안티고노스 1세는 프톨레마이오스와 적대하고 있었기 때문에 아들 데메트리오스 1세에게 4만 명의 군대를 주어 로도스를 공격하게 했다. 데메트리오스는 함대 200척과 보조 선박 150척, 그리고 많은 해적선을 이끌고 로도스 섬을 포위했다. 또한, 약탈 이익을 기대한 1,000척 이상의 상선도 데메트리오스의 함대를 따라왔다.
로도스 시와 주요 항구는 강력하게 요새화되어 있었다. 데메트리우스는 보급선이 그의 봉쇄를 뚫는 것을 막을 수 없었기 때문에 항구를 점령하는 것이 주요 목표였다. 그는 먼저 원래 항구 옆에 자신의 항구를 건설하고, 그곳에서 부유식 붐을 배치할 방파제를 건설했지만, 결국 항구를 점령하는 데 실패했다. 한편, 그의 군대는 섬을 유린하고 도시 옆에 거대한 야영지를 건설했지만, 미사일 사정거리 밖이었다. 공성전 초기에 성벽이 돌파되어 많은 군대가 도시에 들어갔지만 모두 죽었고 데메트리우스는 공격을 감행하지 않았다. 그 후 성벽은 수리되었다.
양측은 공성전 동안 지뢰와 대지뢰 등 다양한 기술을 사용했다. 데메트리우스는 도시를 점령하기 위해 헬레폴리스로 알려진 유명한 공성탑을 건설하기도 했다.[4]
로도스 시민들은 데메트리우스에 대항하는 데 성공했다. 1년 후 그는 공성전을 포기하고 평화 협정(기원전 304년)을 체결했는데, 데메트리우스는 로도스가 프톨레마이오스(이집트)와의 전쟁에서 중립을 유지하기로 동의했기 때문에 승리로 제시했다. 공성전의 인기가 없었던 것이 1년 만에 포기된 요인일 수 있다.
몇 년 후, 버려진 헬레폴리스는 금속판이 녹아내리고 데메트리우스가 남긴 공성 무기와 장비 잔해를 판매한 돈과 함께 그들의 태양신인 헬리오스의 동상을 세우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 동상은 로도스 거상으로 알려져 그들의 영웅적인 저항을 기념했다.[5]
3. 1. 데메트리오스의 군사력
기원전 305년, 안티고노스 1세는 아들 데메트리오스 1세에게 40,000명의 군대를 주어 로도스를 공격하게 했다. 데메트리오스는 200척의 함대와 150척의 보조 선박, 그리고 수많은 해적선을 이끌고 로도스 섬을 포위했다. 또한, 약탈 이익을 기대한 1,000척 이상의 상선도 데메트리오스의 함대를 따라왔다.[3]3. 2. 로도스의 방어
로도스 시와 주요 항구는 강력하게 요새화되어 있었다. 성벽으로 둘러싸인 로도스의 요새는 단단했고, 로도스 시민, 외국인, 그리고 전투에서 활약하면 해방시켜주겠다고 약속한 노예들로 구성된 방어군이 데메트리우스에 대항하여 저항했다.[3]3. 3. 공성 무기와 전투 과정
기원전 305년, 데메트리오스 1세는 헬레폴리스(Helepolis)라고 불리는 거대한 공성탑을 제작하여 육상에서 로도스로 보냈다. 이 공성탑에는 발리스타와 투석기가 여러 층으로 장착되어 있었다. 그러나 성내에서 출격한 로도스의 수비대가 헬레폴리스가 성벽에 도달하기 전에 막아내었다.[3]양측은 공성전 동안 지뢰와 대지뢰, 다양한 공성 무기를 사용하며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다.[4] 로도스 시민들은 데메트리오스에 대항하는 데 성공했고, 결국 데메트리오스는 1년 후 공성전을 포기하고 평화 협정을 체결했다.[5]
3. 4. 프톨레마이오스의 지원과 강화 조약
기원전 304년 프톨레마이오스가 파견한 군대가 로도스에 도착하자, 데메트리오스는 서둘러 군대를 철수해야 했다. 전투가 길어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던 데메트리오스의 아버지 안티고노스 1세는 프톨레마이오스와 타협하여 강화 조약을 맺었다. 이 조약으로 로도스섬은 데메트리오스와 프톨레마이오스의 전쟁에서 중립을 지키기로 약속했다. 결과적으로, 로도스섬의 해군력을 프톨레마이오스에게 제공하지 않겠다는 안티고노스와 데메트리오스 부자의 목적은 달성되었다.[3] 데메트리오스는 비록 로도스 정복은 실패했지만, 다른 많은 도시를 포위하여 함락시켰기 때문에 '폴리오르케테스'(Poliorcetes, 도시 포위자)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4]4. 결과 및 영향
기원전 304년 프톨레마이오스가 파견한 군대가 로도스에 도착하자 데메트리오스는 서둘러 군대를 철수시키면서 많은 군수품을 남겼다. 로도스는 이 군수품을 활용하여 로도스의 거상을 건립했고, 데메트리오스는 '도시 포위자'라는 별명을 얻었다. 동지중해의 제해권을 유지하게 된 안티고노스와 데메트리오스 부자는 카산드로스에게 맞섰고, 이는 디아도코이 전쟁의 이프소스 전투로 이어졌다.
4. 1. 로도스의 거상 건립
기원전 304년 프톨레마이오스가 파견한 군대가 로도스에 도착하자 데메트리오스는 서둘러 군대를 철수시키면서 많은 군수품을 남겼다. 로도스는 데메트리오스가 남기고 간 군수품을 팔아 얻은 이익으로 로도스의 거상이라 불리는 태양신 헬리오스의 거대한 동상을 만들었다.[5] 로도스인들은 이 거상을 통해 영웅적인 저항을 기념했다.4. 2. 데메트리오스의 별칭
데메트리오스는 비록 로도스 점령에는 실패했지만, 다른 도시들을 함락시킨 공로로 폴리오르케테스(도시 포위자)라는 별칭을 얻었다.[1]4. 3. 디아도코이 전쟁의 지속
한편, 동지중해의 제해권에서 우위를 유지하는 데 성공한 안티고노스와 데메트리오스 부자는 다음 목표를 그리스와 마케도니아에서 할거하는 카산드로스로 정했다. 카산드로스는 프톨레마이오스를 비롯한 다른 디아도코이와 안티고노스에 대항하는 동맹을 맺고, 디아도코이 전쟁의 최대 규모 전투인 이프소스 전투를 맞이한다.[1]5. 로도스 공방전에 대한 현대적 해석
로도스 공방전은 현대 문학 작품에서 다양하게 해석되었다. L. 스프라그 드 캠프의 역사 소설 《로도스의 청동 신》[1], 알프레드 더건의 소설 《코끼리와 성》[3], 크리스찬 캐머런의 소설 《폭군》 시리즈 5권 《도시의 파괴자》[3]는 모두 이 공성전을 소재로 다루고 있다. 엠마 라자러스는 시 《새로운 거상》을 통해 자유의 여신상과 로도스 거상을 대조했다.
5. 1. L. 스프라그 드 캠프의 소설
L. 스프라그 드 캠프는 역사 소설 《로도스의 청동 신》에서 공성전과 거상 건설을 다루었다.[1]5. 2. 알프레드 더건의 소설
알프레드 더건의 데메트리오스에 관한 소설 《코끼리와 성》 또한 공성전을 다루고 있다.[3]5. 3. 크리스찬 캐머런의 소설
크리스찬 캐머런의 《폭군》 시리즈 5권 《도시의 파괴자》는 로도스 공성전을 다룬다.[3]5. 4. 엠마 라자러스의 시
엠마 라자러스는 자유의 여신상과 로도스 거상을 대조하는 《새로운 거상》이라는 시를 썼다.참조
[1]
웹사이트
How the Island of Rhodes Overcame a Superpower
http://turningpoints[...]
2018-08-19
[2]
웹사이트
LacusCurtius • Diodorus Siculus — Book XX Chapters 73‑90
https://penelope.uch[...]
2023-03-19
[3]
서적
The Historical Library of Diodorus the Sicilian
https://archive.org/[...]
J. Davis
1814
[4]
서적
https://archive.org/[...]
1814
[5]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Pliny
https://books.google[...]
Henry G. Bohn
1857
[6]
문서
디오도로스, XX, 81 (4)
[7]
문서
디오도로스, XX, 82, 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