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도스 (도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도스(Rhodes Town)는 로도스 섬 북동단에 위치한 도시로, 유럽, 중동, 아프리카를 잇는 요충지로서 오랜 역사를 지닌다. 기원전 408년에 도시 국가로 형성되어 해상 무역과 조선 기술을 통해 번성했으며,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로도스 거상이 건설되기도 했다. 로마 제국 시대를 거쳐 중세 시대에는 비잔틴 제국의 중요한 무역 거점으로, 1307년에는 구호기사단이 정착하여 요새를 건설했다. 1522년 오스만 제국에 점령된 후, 이탈리아의 지배를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폭격으로 피해를 입었으며, 1988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로도스는 로도스 섬의 행정 중심지이자,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명소를 보유한 도시로, 연중 온화한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항공, 해상 교통의 요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도스섬 - 구호기사단 치하의 로도스
    구호기사단 치하의 로도스는 1291년 예루살렘 왕국 멸망 이후 구호기사단이 로도스섬을 점령하여 요새를 건설하고 비잔틴 제국, 이슬람 세력, 바르바리 해적과 전투를 벌였으나 1522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멸망한 시기이다.
  • 로도스 (도시) - 로도스의 거상
    로도스의 거상은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로도스 시민들이 침공을 막아낸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태양신 헬리오스의 거대한 청동 조각상이었으나 지진으로 파괴되어 현재는 잔해조차 남아있지 않다.
  • 로도스 (도시) - 로도스의 중세 도시
    로도스의 중세 도시는 성 요한 기사단 통치 하에 건설 및 요새화되어 역사적 의미가 깊고, 현재 구시가지로 남아 중세 건축물과 도시 구조를 잘 보존하여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명소이다.
  • 에게해의 항구 도시 - 이즈미르
    이즈미르는 에게 해 연안의 터키 대도시이자 주요 항구 도시로, 다양한 문화를 융합한 오랜 역사를 거쳐 현재 터키 제2의 항구 도시이자 경제, 문화, 정치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에게해의 항구 도시 - 하니아
    하니아는 크레타 섬 서부의 항구 도시로, 미노아 문명 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다양한 지배를 거쳐 베네치아와 오스만 제국의 건축물과 유적이 보존된 아름다운 항구 도시이자 관광 명소이다.
로도스 (도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로도스 내 위치
일반 정보
이름로도스
로마자 표기Ródos
도시 구분지방 자치체 단위
국가그리스
로도스
남에게 주
인구 (2021년)56440명
도시 지역 인구 (2011년)86199명
지방 자치체 단위 면적19.481 km²
고도26m
시간대UTC+02:00 (EET)
일광 절약 시간제UTC+03:00 (EEST)
우편 번호851 00, 31, 32, 33
지역 번호2241
차량 번호판PO, PK, PY
공식 웹사이트로도스 공식 웹사이트
로도스 섬의 기
로도스 섬의 기
역사 및 문화
문화유산 등재유네스코 세계유산 (중세 도시 로도스)
로도스와 궁전의 풍경
그의 아들들에 의해 옮겨지는 디아고라스 로도스의 동상
성 캐서린 문
도시 풍경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동상이 있는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거리
술레이만 모스크 풍경
도시 항구의 로도스 사슴 동상
로도스 구시가지에 있는 총독 궁전의 조감도
인구 통계
데모님로도스인
로디오트
로디오테 (드문 표현)
Rhoditis (그리스어)

2. 역사

로도스섬은 유럽중동,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요충지로 여겨졌으며 오랜 역사를 갖고 있기 때문에 건축적, 문화적, 언어적으로 서로 다른 특색을 갖고 있다. 기원전 4000년경부터 로도스섬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측된다.[27]

로도스 아크로폴리스의 아폴론 신전


로도스(도시)의 화려한 그림
로도스(Rhodes Town)와 독특한 3겹 방어벽의 묘사. 기원전 226년 지진으로 파괴된 30미터 높이의 로도스 거상의 부지.


로도스시는 기원전 408년에 이알리소스, 카미로스, 린도스의 도시들에 의해 형성되었으며,[3] 해상 무역, 숙련된 조선공들, 그리고 개방적인 정치인들이 로마 시대까지 도시를 번영하게 했다.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로도스 거상은 린도스의 카레스가 기원전 304년에서 293년 사이에 건축했으며,[3] 12년이 걸려 기원전 282년에 완공되었다. 이 조상은 그들의 태양신인 헬리오스를 나타냈으며, 항구 입구 근처에 서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 도시에는 히포다무스가 설계한 훌륭하게 건설된 하수도 시스템뿐만 아니라 상수도 네트워크도 갖추고 있었다. 기원전 226년경에 강력한 지진이 로도스를 강타하여 도시가 심하게 손상되었고 로도스 거상이 무너졌다.[3]

기원전 164년, 로도스는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4] 로도스는 아름다움을 유지하며 예술과 과학의 주요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었다. 로마인들은 로도스인들의 해상법을 가져와 자신들의 해운에 적용했다. 로마 시대의 많은 흔적들이 도시 전체에 걸쳐 여전히 존재하며, 당시 문명의 수준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4] 사도행전 21장 1절에 따르면, 사도 바울은 세 번째 선교 여행의 끝 무렵에 로도스에 들렀다.

로도스 요새의 일부인 처녀의 문


중세 도시로 들어가는 앙부아즈 문


1490년경의 로도스 도시.


기사 대로


로도스섬은 유럽중동,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요충지로 여겨졌으며 오랜 역사를 갖고 있기 때문에 건축적, 문화적, 언어적으로 서로 다른 특색을 갖고 있다. 기원전 4000년경부터 로도스섬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측된다.[27]

중세 시대에 로도스는 콘스탄티노플과 알렉산드리아 사이를 항해하는 선박의 교차로이자 중요한 비잔틴 무역 거점이었다. 분열된 로마 제국 초기에 이수리아인은 킬리키아의 산악 부족으로, 섬을 침략하여 도시를 불태웠다. 서기 7세기에는 아랍인에게 점령되었다. 아랍인들은 흩어진 콜로서스 조각들을 항구에서 제거하여 시리아로 옮겨 동전을 만들기 위해 파괴했다. 1204년 제4차 십자군에 의해 비잔틴 제국이 멸망한 후, 토착 귀족 레오 가바라스가 섬을 장악했지만, 그의 죽음과 동생 요안니스의 계승 이후, 섬은 제노바에게 잠시 점령되었다가 니케아 제국 황제에게 반환되었고, 비록 짧지만 새로운 비잔틴 시대가 열렸다.

구호기사단은 1307년 템플 기사단에 대한 박해가 있은 후 키프로스를 떠나 로도스 (도시)를 점령하고 본부를 설립했다.[5][6] 교황 클레멘스 5세는 1309년 구호기사단의 섬 소유를 확인했다. 기사단은 그 후 2세기 동안 섬에 머물렀다.

1444년, 맘루크 왕조(Mamluk Sultanate)의 아날 제추트가 이끄는 함대가 로도스를 포위했지만, 기사단은 부르고뉴 해군 지휘관 제프루아 드 투아지의 도움을 받아 무슬림의 공격을 격퇴했다.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이후, 오스만 제국은 급속한 확장을 시작했고, 1480년 술탄 메흐메트 2세는 메시 파샤가 지휘하는 침략군을 로도스로 보냈다. 이 첫 번째 로도스 공방전에서, 수비군은 육지와 해상 양쪽에서 터키군의 공격을 격퇴했고 침략군은 패배하여 섬을 떠났다. 이 패배는 오스만군의 이탈리아 반도 동시 침략을 중단시켰고, 서유럽에 대한 무슬림의 침략과 지배 가능성을 막았다.

1480년 오스만군의 패배 이후, 기사단 대수장 피에르 도뷔송은 다음 수십 년 동안 도시의 강화를 감독했다. 그가 1521년에 사망할 무렵, 로도스는 철수할 경우 즉시 폭파할 수 있는 해자까지의 지하 통로를 포함하여, 세계 어느 기독교 거점보다 로도스 요새가 강력했다.[7] 기사단은 1522년까지 로도스에서 발사된 무슬림 상인에 대한 해상 공격을 계속했으며, 1522년 새로 즉위한 술탄 술레이만 1세는 1522년 두 번째 로도스 공방전을 이끌었다.

압도적으로 수적으로 열세였던 기사단은 도시를 용감하게 방어했고, 오스만 포위군에게 막대한 사상자를 안겨주었다. 1522년 12월, 기사단과 술레이만은 합의에 이르렀고, 기사단은 운반할 수 있는 모든 재산을 가지고 도시를 떠날 수 있게 되었으며, 그 대가로 도시 주민에게 보복이 없을 것이고, 그들은 계속해서 자유롭게 기독교를 실천할 수 있게 되었다. 1523년 1월 1일, 기사단은 섬을 떠나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두었다.

술레이마니예 모스크의 모습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모스크, 공중 목욕탕, 새로운 후원자를 위한 저택과 같은 새로운 건물이 건설되었다. 그리스인들은 요새 도시를 버리고 성벽 밖의 새로운 교외로 이주해야 했다. 이 도시는 섬 내부와 주변의 작은 섬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시장으로서 주요 경제 기능을 유지했다.[27]

오스만 투르크는 섬에 대한 주권을 확립한 후 대부분의 교회를 모스크로 개조하고 주요 가옥을 개인 저택이나 공공 건물로 바꾸었다. 이러한 변화는 건물을 오스만식 생활 방식에 맞추기 위한 장기적인 과정이었다. 조각 장식, 아치형 문, 다듬은 돌담이 있는 기사단 시대의 정면은 현지 기후와 문화에 적응한 오스만 건축의 무작위적인 특성으로 풍성해졌다. 이 과정에서 기존 건물의 대부분의 건축적 특징이 보존되었다. 가장 특징적인 추가 사항은 목욕탕(일반적으로 건물 뒤편에 위치)과 좁은 거리에 있는 정면에 있는 나무로 된 밀폐형 발코니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세 도시의 병원 기사단 시대 건물의 대부분이 잘 보존되었다. 그 결과 웅장한 서양 건축 유적, 보다 최근의 건물과 오리엔탈 건축이 혼합되어 당시 지역 건축의 특징을 이루었다.[26]

오스만 건축의 흥미로운 예로는 하피즈 아흐메드 아가 도서관 건물이 있다.

19세기에는 이 도시는 군도 에얄레트의 수도였지만, 오스만 제국의 쇠퇴로 인해 도시와 건물이 전반적으로 방치되었고, 이 지역을 자주 괴롭히는 강진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다.

1856년에는 옛 성 요한 교회 아래에 있던 화약 창고(아마도 1522년 포위 공격 이후부터 보관된 것으로 추정)에 번개가 떨어져 대규모 폭발이 일어나 많은 사람이 사망하고 교회가 파괴되었으며, 대영주 궁전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다.

항구의 에반젤리스모스 교회(구 산 조반니), 플로레스타노 디 파우토의 작품.


플로레스타노 디 파우토가 이탈리아 시대에 지은 만드라키 시장(''네아 아고라'')의 모습.


''팔라초 델 고베르노'', 디 파우토의 또 다른 작품으로 현재 도데카니소스 현청으로 사용되고 있다.


1912년, 이탈리아군은 도데카니소스 제도의 나머지 지역과 함께 이 섬을 점령했고, 1923년에는 이탈리아령인 에게해 이탈리아 제도를 설립했다.[12]

건축가 플로레스타노 디 파우토는 이탈리아 로도스의 아버지로 여겨질 수 있다. 그는 총독 마리오 라고와 합의하여 1923년 도시 계획을 수립했는데, 오스만 시대에 성벽 주변에 지어진 건물만 철거하고 성벽 도시를 거의 완벽하게 보존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또한 유대인과 오스만 묘지를 중세 도시를 둘러싼 ''녹지대''로 바꾸었다.[12] 동시에 그는 만드라키 지역에 새로운 이탈리아 로도스를 설계하여 정원 도시를 계획하고, 주요 해안 산책로를 따라 시장, 성 요한 기사단 성당, 총독 궁전과 같은 주요 건물을 건설했다. 이 건물들은 오스만, 베네치아, 르네상스, 현지 요소를 혼합한 절충주의 스타일로 설계되었다. 이탈리아인들은 기사단 시대의 유물을 보존하고 모든 오스만 건물을 파괴했다. 그들은 또한 대총독 궁전을 재건했다.[12] 또한 이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연구소가 설립되었고, 로도스를 현대화하기 위한 주요 사회 기반 시설 공사가 진행되었다.[12]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1944년 로도스 구시가지를 목표로 한 연합군의 폭격으로 도시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다.[13] 그리스 정부는 이 지역을 미래 발굴을 위해 보존하고 여러 건물을 보호 건물로 지정하는 첫 번째 법령을 발표했다. 1944년 7월, 나치 당국은 로도스에 거주하던 1,700명 이상의 유대인(남성, 여성, 어린이 포함)을 강제 이주하도록 명령했으며, 이 중 1,200명이 아우슈비츠에서 학살되었다.[14]

1957년에는 새로운 도시 계획이 법령으로 승인되었고, 1960년에는 그리스 문화부에서 중세 도시 전체를 보호 유적으로 지정했다. 1961년과 1963년에는 새로운 도시 계획에 관한 새로운 법령이 발표되었다. 이 법령은 기존 도로의 확장과 새로운 도로의 개설을 규정했지만, 고고학 서비스의 반대로 인해 구시가지에서는 시행되지 않았다. 1988년 로도스 구시가지는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 문화 유산 도시로 지정되었다.

2. 1. 고대

로도스섬은 유럽중동,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요충지로 여겨졌으며 오랜 역사를 갖고 있기 때문에 건축적, 문화적, 언어적으로 서로 다른 특색을 갖고 있다. 기원전 4000년경부터 로도스섬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측된다[27].

로도스시는 기원전 408년에 이알리소스, 카미로스, 린도스의 도시들에 의해 형성되었으며,[3] 해상 무역, 숙련된 조선공들, 그리고 개방적인 정치인들이 로마 시대까지 도시를 번영하게 했다.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로도스 거상은 린도스의 카레스가 기원전 304년에서 293년 사이에 건축했으며,[3] 12년이 걸려 기원전 282년에 완공되었다. 이 조상은 그들의 태양신인 헬리오스를 나타냈으며, 항구 입구 근처에 서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 도시에는 히포다무스가 설계한 훌륭하게 건설된 하수도 시스템뿐만 아니라 상수도 네트워크도 갖추고 있었다. 기원전 226년경에 강력한 지진이 로도스를 강타하여 도시가 심하게 손상되었고 로도스 거상이 무너졌다.[3]

기원전 164년, 로도스는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4] 로도스는 아름다움을 유지하며 예술과 과학의 주요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었다. 로마인들은 로도스인들의 해상법을 가져와 자신들의 해운에 적용했다. 로마 시대의 많은 흔적들이 도시 전체에 걸쳐 여전히 존재하며, 당시 문명의 수준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4] 사도행전 21장 1절에 따르면, 사도 바울은 세 번째 선교 여행의 끝 무렵에 로도스에 들렀다.

2. 2. 중세

로도스섬은 유럽중동,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요충지로 여겨졌으며 오랜 역사를 갖고 있기 때문에 건축적, 문화적, 언어적으로 서로 다른 특색을 갖고 있다. 기원전 4000년경부터 로도스섬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측된다[27].

중세 시대에 로도스는 콘스탄티노플과 알렉산드리아 사이를 항해하는 선박의 교차로이자 중요한 비잔틴 무역 거점이었다. 분열된 로마 제국 초기에 이수리아인은 킬리키아의 산악 부족으로, 섬을 침략하여 도시를 불태웠다. 서기 7세기에는 아랍인에게 점령되었다. 아랍인들은 흩어진 콜로서스 조각들을 항구에서 제거하여 시리아로 옮겨 동전을 만들기 위해 파괴했다. 1204년 제4차 십자군에 의해 비잔틴 제국이 멸망한 후, 토착 귀족 레오 가바라스가 섬을 장악했지만, 그의 죽음과 동생 요안니스의 계승 이후, 섬은 제노바에게 잠시 점령되었다가 니케아 제국 황제에게 반환되었고, 비록 짧지만 새로운 비잔틴 시대가 열렸다.

구호기사단은 1307년 템플 기사단에 대한 박해가 있은 후 키프로스를 떠나 로도스 (도시)를 점령하고 본부를 설립했다.[5][6] 교황 클레멘스 5세는 1309년 구호기사단의 섬 소유를 확인했다. 기사단은 그 후 2세기 동안 섬에 머물렀다.

1444년, 맘루크 왕조(Mamluk Sultanate)의 아날 제추트가 이끄는 함대가 로도스를 포위했지만, 기사단은 부르고뉴 해군 지휘관 제프루아 드 투아지의 도움을 받아 무슬림의 공격을 격퇴했다.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이후, 오스만 제국은 급속한 확장을 시작했고, 1480년 술탄 메흐메트 2세는 메시 파샤가 지휘하는 침략군을 로도스로 보냈다. 이 첫 번째 로도스 공방전에서, 수비군은 육지와 해상 양쪽에서 터키군의 공격을 격퇴했고 침략군은 패배하여 섬을 떠났다. 이 패배는 오스만군의 이탈리아 반도 동시 침략을 중단시켰고, 서유럽에 대한 무슬림의 침략과 지배 가능성을 막았다.

1480년 오스만군의 패배 이후, 기사단 대수장 피에르 도뷔송은 다음 수십 년 동안 도시의 강화를 감독했다. 그가 1521년에 사망할 무렵, 로도스는 철수할 경우 즉시 폭파할 수 있는 해자까지의 지하 통로를 포함하여, 세계 어느 기독교 거점보다 로도스 요새가 강력했다.[7] 기사단은 1522년까지 로도스에서 발사된 무슬림 상인에 대한 해상 공격을 계속했으며, 1522년 새로 즉위한 술탄 술레이만 1세는 1522년 두 번째 로도스 공방전을 이끌었다.

압도적으로 수적으로 열세였던 기사단은 도시를 용감하게 방어했고, 오스만 포위군에게 막대한 사상자를 안겨주었다. 1522년 12월, 기사단과 술레이만은 합의에 이르렀고, 기사단은 운반할 수 있는 모든 재산을 가지고 도시를 떠날 수 있게 되었으며, 그 대가로 도시 주민에게 보복이 없을 것이고, 그들은 계속해서 자유롭게 기독교를 실천할 수 있게 되었다. 1523년 1월 1일, 기사단은 섬을 떠나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두었다.

2. 3.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모스크, 공중 목욕탕, 새로운 후원자를 위한 저택과 같은 새로운 건물이 건설되었다. 그리스인들은 요새 도시를 버리고 성벽 밖의 새로운 교외로 이주해야 했다. 이 도시는 섬 내부와 주변의 작은 섬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시장으로서 주요 경제 기능을 유지했다.[27]

오스만 투르크는 섬에 대한 주권을 확립한 후 대부분의 교회를 모스크로 개조하고 주요 가옥을 개인 저택이나 공공 건물로 바꾸었다. 이러한 변화는 건물을 오스만식 생활 방식에 맞추기 위한 장기적인 과정이었다. 조각 장식, 아치형 문, 다듬은 돌담이 있는 기사단 시대의 정면은 현지 기후와 문화에 적응한 오스만 건축의 무작위적인 특성으로 풍성해졌다. 이 과정에서 기존 건물의 대부분의 건축적 특징이 보존되었다. 가장 특징적인 추가 사항은 목욕탕(일반적으로 건물 뒤편에 위치)과 좁은 거리에 있는 정면에 있는 나무로 된 밀폐형 발코니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세 도시의 병원 기사단 시대 건물의 대부분이 잘 보존되었다. 그 결과 웅장한 서양 건축 유적, 보다 최근의 건물과 오리엔탈 건축이 혼합되어 당시 지역 건축의 특징을 이루었다.[26]

오스만 건축의 흥미로운 예로는 하피즈 아흐메드 아가 도서관 건물이 있다.

19세기에는 이 도시는 군도 에얄레트의 수도였지만, 오스만 제국의 쇠퇴로 인해 도시와 건물이 전반적으로 방치되었고, 이 지역을 자주 괴롭히는 강진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다.

1856년에는 옛 성 요한 교회 아래에 있던 화약 창고(아마도 1522년 포위 공격 이후부터 보관된 것으로 추정)에 번개가 떨어져 대규모 폭발이 일어나 많은 사람이 사망하고 교회가 파괴되었으며, 대영주 궁전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다.

2. 4. 이탈리아 통치 시대

1912년, 이탈리아군은 도데카니소스 제도의 나머지 지역과 함께 이 섬을 점령했고, 1923년에는 이탈리아령인 에게해 이탈리아 제도를 설립했다.[12]

건축가 플로레스타노 디 파우토는 이탈리아 로도스의 아버지로 여겨질 수 있다. 그는 총독 마리오 라고와 합의하여 1923년 도시 계획을 수립했는데, 오스만 시대에 성벽 주변에 지어진 건물만 철거하고 성벽 도시를 거의 완벽하게 보존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또한 유대인과 오스만 묘지를 중세 도시를 둘러싼 ''녹지대''로 바꾸었다.[12] 동시에 그는 만드라키 지역에 새로운 이탈리아 로도스를 설계하여 정원 도시를 계획하고, 주요 해안 산책로를 따라 시장, 성 요한 기사단 성당, 총독 궁전과 같은 주요 건물을 건설했다. 이 건물들은 오스만, 베네치아, 르네상스, 현지 요소를 혼합한 절충주의 스타일로 설계되었다. 이탈리아인들은 기사단 시대의 유물을 보존하고 모든 오스만 건물을 파괴했다. 그들은 또한 대총독 궁전을 재건했다.[12] 또한 이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연구소가 설립되었고, 로도스를 현대화하기 위한 주요 사회 기반 시설 공사가 진행되었다.[12]

2. 5. 제2차 세계 대전과 그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1944년 로도스 구시가지를 목표로 한 연합군의 폭격으로 도시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다.[13] 그리스 정부는 이 지역을 미래 발굴을 위해 보존하고 여러 건물을 보호 건물로 지정하는 첫 번째 법령을 발표했다. 1944년 7월, 나치 당국은 로도스에 거주하던 1,700명 이상의 유대인(남성, 여성, 어린이 포함)을 강제 이주하도록 명령했으며, 이 중 1,200명이 아우슈비츠에서 학살되었다.[14]

1957년에는 새로운 도시 계획이 법령으로 승인되었고, 1960년에는 그리스 문화부에서 중세 도시 전체를 보호 유적으로 지정했다. 1961년과 1963년에는 새로운 도시 계획에 관한 새로운 법령이 발표되었다. 이 법령은 기존 도로의 확장과 새로운 도로의 개설을 규정했지만, 고고학 서비스의 반대로 인해 구시가지에서는 시행되지 않았다. 1988년 로도스 구시가지는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 문화 유산 도시로 지정되었다.

3. 지리

로도스섬 북동단에 위치하며 북쪽에서 남쪽으로 삼각형 모양을 띠고 있다. 로도스섬에서 면적이 가장 작고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이며 북쪽, 동쪽, 서쪽으로는 에게해와 접하고 있고 남쪽으로는 이알리소스(Ialysos), 칼리테아(Kallithea)와 접한다.[15] 면적은 19.481km2이다.

도데카니사 제도의 동부, 아나톨리아 반도 연안부에 위치한 로도스 섬의 북동단에 위치한다. 주도 에르무폴리에서 남동쪽으로 약 313km, 수도 아테네에서 남동쪽으로 약 433km, 터키의 안탈리아에서 남남서쪽으로 약 227km 거리에 있다.

2011년에 시행된 행정 제도의 개편에 따라, 로도스 시(구 로도스 시)를 포함한 섬 내의 모든 자치 단체가 합병되어, 기초 자치 단체로서의 로도스 시는 섬 전역을 관할하게 되었다(현행 자치 단체로서의 로도스 시는 로도스 섬 참조). 로도스 시의 로도스 지구(구 로도스 시)는 남쪽으로 이알리소스영어 지구, 칼리테아/칼리테아 (로도스)영어 지구와 접하고 있다.

== 기후 ==

로도스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열대 하계 지중해성 기후(Csa)에 속한다.[28] 로도스 항구에 위치한 남도데카니세스 지방 항만 기금 기상 관측소의 데이터에 따르면, 이 도시의 연평균 기온은 20.9°C이다.[16][17]

로도스의 기후 데이터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해수면 온도 (°C)17.917.017.117.620.123.425.927.226.723.820.918.821.4
평균 일조 시간10.011.012.013.014.015.014.013.012.011.010.010.012.1
평균 자외선 지수235781010975325.9
출처: Weather Atlas [22]



헬레닉 국립 기상청[19]과 NOAA[20][21], Weather Atlas[22], Sunshine Rhodes AP[23]의 자료에 따르면, 로도스 공항의 기후는 다음과 같다. 1월과 2월의 평균 최저 기온은 각각 9.2°C와 9.1°C이며, 8월의 평균 최고 기온은 30.7°C이다. 연간 강수량은 1월에 151.8mm로 가장 많고, 8월에 0.2mm로 가장 적다. 7월과 8월은 일조 시간이 가장 길어 하루 평균 14시간에 달한다.

3. 1. 기후

로도스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열대 하계 지중해성 기후(Csa)에 속한다.[28] 로도스 항구에 위치한 남도데카니세스 지방 항만 기금 기상 관측소의 데이터에 따르면, 이 도시의 연평균 기온은 20.9°C이다.[16][17]

로도스의 기후 데이터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해수면 온도 (°C)17.917.017.117.620.123.425.927.226.723.820.918.821.4
평균 일조 시간10.011.012.013.014.015.014.013.012.011.010.010.012.1
평균 자외선 지수235781010975325.9
출처: Weather Atlas [22]



헬레닉 국립 기상청[19]과 NOAA[20][21], Weather Atlas[22], Sunshine Rhodes AP[23]의 자료에 따르면, 로도스 공항의 기후는 다음과 같다. 1월과 2월의 평균 최저 기온은 각각 9.2°C와 9.1°C이며, 8월의 평균 최고 기온은 30.7°C이다. 연간 강수량은 1월에 151.8mm로 가장 많고, 8월에 0.2mm로 가장 적다. 7월과 8월은 일조 시간이 가장 길어 하루 평균 14시간에 달한다.

4. 행정

로도스 시는 2011년부터 단일 자치단체가 된 로도스 섬과 로도스 지방 행정 단위의 수도이다. 이전 도데카니소스 현의 수도였으며, 현재 남에게 해 지역의 많은 사무소와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행정 중심지로서 이 도시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사무소와 서비스가 있다.


  • 도데카니소스 경찰 본부
  • 로도스 소방서
  • 도데카니소스 법원
  • 도데카니소스 항만 경찰/해안 경비대
  • 제95 ADTE (헬레닉 육군 사단 본부)
  • 로도스 공공 세무서
  • 로도스 도시 계획 사무소
  • 로도스 토지 등기 사무소
  • 로도스 헬레닉 우체국 본부
  • 로도스 시립 수도 & 하수도 회사
  • 도데카니소스 상공회의소
  • 로도스 인력 사무소 (OAED)
  • 로도스 사회 보장 연구소 (IKA)
  • 공공 전력 공사 (DEI)

5. 인구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로도스시의 공식적인 상주 인구는 49,541명이었지만, 도시 경계 내에 약 6만 5천에서 7만 명이 영구적으로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여름 동안에는 도시 경계 내에서 운영되는 약 2만 5천에서 3만 개의 호텔 침대와 높은 실업률로 인해 그리스 본토에서 이주해 온 수많은 계절 노동자들로 인해 인구가 10만 명에 달한다.

연도인구변경 ±
195124,280-
196128,119+3,839
197133,100+4,981
198141,425+8,325
199143,558+2,133
200153,709+10,151
201149,541-4,168
202156,440+6,899



로도스 법원 (디 파우스토)


히포크라토스 광장의 중세 분수


로도스 고고학 박물관 입구


카할 샬롬 회당

6. 교육

로도스에는 초등학교 21개, 고등학교 7개, 리케이온 7개가 있다. 에게 대학교의 일부 학과와 고등 및 하등 관광 학교, 일부 사립 학교도 운영되고 있다. 최근에는 시내에 로디온 파이데이아를 포함한 두 개의 사립 학교가 설립되어 초등학교부터 리케이온 교육까지 제공한다. 로도스 외곽의 코스키누 마을에는 로도스 음악학교가 위치해 있다.

7. 보건

로도스 주립 종합 병원은 아기오이 아포스톨로이 남서부 지역에 있다. 20년도 채 안 되어 세워진 이 병원은 여러 부서를 갖춘 현대식 시설이며, 도시와 섬 북부 지역을 관할하는 EKAV 구급차의 기지이기도 하다. 또한 병원은 헬리콥터 착륙 구역을 갖추고 있어 도데카니사 제도의 나머지 섬에서 항공 이송을 통해 응급 환자를 수용할 수 있다.

코스키누 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시 경계 바로 바깥에는 유로메디카(Euromedica)라는 사립 병원도 운영되고 있다. 수많은 사립 의료 시설 또한 도시 내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많은 사립 의사들이 시내와 그 주변에 진료소를 두고 있다.

8. 교통

=== 항공 ===

로도스 시에서 남서쪽으로 14km 떨어진 디아고라스 국제공항은 로도스와 그리스 주요 도시, 키프로스를 연결하는 정기 노선을 매일 운항한다. 관광 성수기에는 유럽 각 도시와 이스라엘, 이집트, 레바논을 연결하는 국제선 항공편도 운항한다.

=== 해상 ===

로도스 시에는 4개의 항구가 있으며 그리스 국내외를 연결한다. 각기 다른 목적을 가진 3개의 주요 항구가 있다. 콜로나(Kolona)는 도데카니소스 제도 내 교통을 담당하고, 중앙(Central)은 크루즈선과 국제 교통을, 아칸디아(Akandia)는 국내선 및 화물 교통을 담당한다.

페리선은 도데카니소스 제도 내의 여러 인근 섬들과, 키클라데스 제도, 그리고 그리스 본토(피레아스)를 매일 연결하며, 주 2회 크레테의 이라클리온으로 운행한다. 또한, 마르마리스페티예와 같은 터키 해안의 도시로 향하는 노선도 자주 운행된다. 로도스는 특히 여름철에 크루즈 여행의 인기 기항지이기도 하다.

이 도시에는 또한 두 개의 마리나가 있는데, 하나는 만드라키 시내에 있는 시립 마리나이고, 다른 하나는 아칸디아 항구 옆에 있는 사설 마리나이다.

=== 육상 ===

로도스에는 4개의 항구가 있어 국내외 해운이 이루어진다. 디아고라스 국제 공항은 도시에서 14km 떨어져 있으며, 그리스 주요 도시와 키프로스를 연결하는 정기 항공 노선을 매일 운항한다.

RODA(파란색 또는 흰색 버스) 시립 버스는 시내 중심가와 각 구역, 외곽 리조트 및 마을 (팔리라키, 이시아, 이알리소스, 톨로스), 로도스 국제공항을 연결한다. 섬의 동쪽 해안 교외 노선은 KTEL 버스(주황색 버스)가 운행하며, 아칸디아 항구 옆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제안되었지만 아직 실행 여부는 미정이다.

택시는 지정된 택시 승차장이나 전화 호출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성수기 러시아워에는 수요 증가로 택시 승차장에서 줄을 서야 할 수도 있다.

2개 노선, 13개 역으로 구성된 16km 트램 네트워크 계획이 발표되었으나 자금 부족으로 진전이 없는 상태이다.

시의 도로망은 대부분 좁고 일방통행인 오래된 도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간선 도로는 교통 체증을 유발한다. 시내 중심가와 시장 시간대, 여름철에는 주차가 어렵지만, 시에서 요금을 부과하고 단속한다. 시는 시내 인근 무료 구역을 주차장으로 재개발하여 교통 부담을 줄일 계획이다. 로도스 항구와 로도스-칼리테아 대로를 연결하는 순환도로는 미완성 상태이다. 시는 로도스-칼리테아 대로(팔리라키 방면), 로도스-린도스 대로(린도스 방면), 로도스-카미로스 대로(서부 해안, 이알리소스, 공항, 톨로스, 카미로스 방면) 등 섬의 주요 대로 3개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8. 1. 항공

로도스 시에서 남서쪽으로 14km 떨어진 디아고라스 국제공항은 로도스와 그리스 주요 도시, 키프로스를 연결하는 정기 노선을 매일 운항한다. 관광 성수기에는 유럽 각 도시와 이스라엘, 이집트, 레바논을 연결하는 국제선 항공편도 운항한다.

8. 2. 해상

로도스 시에는 4개의 항구가 있으며 그리스 국내외를 연결한다. 각기 다른 목적을 가진 3개의 주요 항구가 있다. 콜로나(Kolona)는 도데카니소스 제도 내 교통을 담당하고, 중앙(Central)은 크루즈선과 국제 교통을, 아칸디아(Akandia)는 국내선 및 화물 교통을 담당한다.

페리선은 도데카니소스 제도 내의 여러 인근 섬들과, 키클라데스 제도, 그리고 그리스 본토(피레아스)를 매일 연결하며, 주 2회 크레테의 이라클리온으로 운행한다. 또한, 마르마리스페티예와 같은 터키 해안의 도시로 향하는 노선도 자주 운행된다. 로도스는 특히 여름철에 크루즈 여행의 인기 기항지이기도 하다.

이 도시에는 또한 두 개의 마리나가 있는데, 하나는 만드라키 시내에 있는 시립 마리나이고, 다른 하나는 아칸디아 항구 옆에 있는 사설 마리나이다.

8. 3. 육상

로도스에는 4개의 항구가 있어 국내외 해운이 이루어진다. 디아고라스 국제 공항은 도시에서 14km 떨어져 있으며, 그리스 주요 도시와 키프로스를 연결하는 정기 항공 노선을 매일 운항한다.

RODA(파란색 또는 흰색 버스) 시립 버스는 시내 중심가와 각 구역, 외곽 리조트 및 마을 (팔리라키, 이시아, 이알리소스, 톨로스), 로도스 국제공항을 연결한다. 섬의 동쪽 해안 교외 노선은 KTEL 버스(주황색 버스)가 운행하며, 아칸디아 항구 옆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제안되었지만 아직 실행 여부는 미정이다.

택시는 지정된 택시 승차장이나 전화 호출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성수기 러시아워에는 수요 증가로 택시 승차장에서 줄을 서야 할 수도 있다.

2개 노선, 13개 역으로 구성된 16km 트램 네트워크 계획이 발표되었으나 자금 부족으로 진전이 없는 상태이다.

시의 도로망은 대부분 좁고 일방통행인 오래된 도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간선 도로는 교통 체증을 유발한다. 시내 중심가와 시장 시간대, 여름철에는 주차가 어렵지만, 시에서 요금을 부과하고 단속한다. 시는 시내 인근 무료 구역을 주차장으로 재개발하여 교통 부담을 줄일 계획이다. 로도스 항구와 로도스-칼리테아 대로를 연결하는 순환도로는 미완성 상태이다. 시는 로도스-칼리테아 대로(팔리라키 방면), 로도스-린도스 대로(린도스 방면), 로도스-카미로스 대로(서부 해안, 이알리소스, 공항, 톨로스, 카미로스 방면) 등 섬의 주요 대로 3개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9. 문화

9. 1. 주요 명소

로도스에는 수많은 랜드마크가 존재하며, 그중 일부는 고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대부분은 병원 기사단 시대에서 유래되었다.

  • 대총독 궁전 (15세기)
  • 기사단 거리
  • 라 후데리아, 카할 샬롬 회당 포함
  • 로도스 아크로폴리스
  • 메흐메트 아가 모스크
  • 술레이만 대제 모스크
  • 중세 성벽은 이전 선상에 14세기 중반에 만들어졌으며, 1480년 오스만 제국의 포위 공격과 이듬해 지진 이후 재건되었다. 1522년 술레이만은 성 아나스타시우스 문을 통해 도시로 들어갔다.
  • 역사적인 윗마을의 고딕 양식 건물.
  • 최근에는 비잔틴 항구가 발굴되어 독특한 중세 난파선이 발견되었다.
  •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
  • 파나기아 투 카스트루


''피타루디아'', 로도스 및 도데카니사 전통 음식

9. 2. 미디어

주요 전국 방송 텔레비전 방송국 대부분이 로도스 시에서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또한 5개의 지역 텔레비전 방송국과 다수의 지역 및 전국 라디오 방송국이 있다.

로도스 시와 전체 지역을 다루는 일간 신문이 두 개 있다. 또한, 특정 주제를 다루는 몇 개의 다른 신문도 있다.

  • 이 로디아키(I Rodiaki) ([https://web.archive.org/web/20070531212349/http://www.rodiaki.gr/v2/ ΡΟΔΙΑΚΗ - Καθημερινή Πρωινή Εφημερίδα] 번역: "로도스인", 월요일 제외 일간)
  • 이 디모크라티키(I Dimokratiki) ([http://www.dimokratiki.gr/ Δημοκρατική της Ρόδου] 번역: "민주주의자", 월요일 제외 일간)

10. 스포츠

어두운 시기였던 약 15년의 긴 암흑기를 보낸 후, 로도스 시는 많은 팀 스포츠에서 부활하고 있다. 축구와 농구가 가장 인기 있지만, 럭비를 포함한 다양한 종목도 최근 몇 년 동안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 도시는 두 개의 주요 축구팀을 가지고 있다. 디아고라스 GS와 AS 로도스는 오랜 기간 끝에 다시 전국 리그로 복귀하여 2017-18 시즌에 그리스 내셔널 세컨드 디비전 (풋볼 리그)에서 경쟁했으며, 후자는 지역 리그로 강등되었다. 나머지 시를 기반으로 한 팀들은 지역 아마추어 디비전에서 경쟁하며, ARS 로디아코스 및 DANS 도리에아스와 같이 한때 전국 리그에서 경쟁했던 팀들을 포함한다.

지난 15년 동안 농구는 2007년부터 전국 A1 에트니키에서 경쟁해 온 콜로소스 로두 BC에 의해 국가 수준에서 대표되어 왔다. 이 도시는 또한 장애인 전국 농구 리그에서 경쟁하고 활약하는 에게해의 자부심인 AS 도데카니소스를 개최한다.

로디온 아틀리시스는 최근 몇 년간 A2 에트니키 배구 리그에서 성공적으로 경쟁했으며, 2시즌 연속(2017년, 2018년) 플레이오프에서 최고 리그인 A1 에트니키 배구 리그 승격에 실패했다.

다양한 다른 스포츠도 도시에서 이용 가능하며 개발 중이다. 럭비에서는 최근에 결성된 로도스 콜로소이가 2년 연속 최고 리그 결승전에 진출했다. 로도스 항해 클럽과 로도스 이그로스 스티보스는 하위 레벨의 전국 리그에 수구 팀을 두고 있다. 로도스 테니스 클럽은 개인 소유 시설에서 테니스와 탁구를 치고 있다. AS 디아고라스 로도스는 사이클링 및 육상 경기에서 경쟁 팀을 보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유도, 가라테, 태권도 및 기타 동양 무술은 간헐적으로 전국적인 성공을 거두는 지역 팀과 함께 이용 가능하다.

도시는 3개의 주요 스포츠 경기장을 보유하고 있다. 로도스 시립 경기장과 칼리파테이라 국립 운동 센터는 모든 야외 활동을 지원하며, "베네토클레이오" 시립 실내 체육관은 실내 스포츠를 지원한다. 아기오이 아포스톨로이 시립 경기장은 축구 전용 경기장이며, 디아고라스와 로디온 아슬리시 클럽은 사설 실내 스포츠 경기장을 소유하고 있으며, 후자는 25m 실내 수영장도 소유하고 운영하고 있다.

11. 국제 관계

기사들의 거리


; 영사관

로도스에는 많은 외국 영사관이 있다.[24]

|



; 자매 도시

로도스는 다음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25]


  • 아빌라, 스페인
  • 뉴브라운펠스, 미국
  • 콩슈엉우슈, 프랑스
  • 고틀란드 시, 스웨덴
  • 리마솔, 키프로스
  • 퍼스, 오스트레일리아
  • 피사, 이탈리아
  • 푸에블라, 멕시코
  • 로드아일랜드, 미국
  • 로세스, 스페인
  • 발레타, 몰타
  • 얄타, 우크라이나

11. 1. 영사관

로도스에는 많은 외국 영사관이 있다.[24]

|


11. 2. 자매 도시

로도스는 다음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25]

  • 아빌라, 스페인
  • 뉴브라운펠스, 미국
  • 콩슈엉우슈, 프랑스
  • 고틀란드 시, 스웨덴
  • 리마솔, 키프로스
  • 퍼스, 오스트레일리아
  • 피사, 이탈리아
  • 푸에블라, 멕시코
  • 로드아일랜드, 미국
  • 로세스, 스페인
  • 발레타, 몰타
  • 얄타, 우크라이나

참조

[1] 웹사이트 ΦΕΚ B 1292/2010, Kallikratis reform municipalities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2] 웹사이트 Medieval City of Rhodes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2-10-23
[3] 웹사이트 History of Rhodes: Classical Period http://www.rhodes.gr[...] www.rhodes.gr 2012-04-11
[4] 웹사이트 History of Rhodes: Roman Period http://www.rhodes.gr[...] www.rhodes.gr 2012-04-11
[5] 서적 Knights of Jerusalem: The Crusading Order of Hospitallers 1100–1565 Osprey Publishing
[6] 서적 Rodi sposa del sole La Monastica
[7] 웹사이트 8 Wonders of the Old Town: The Bastions and Towers - Old Town Rhodes https://oldtown-rhod[...] 2021-08-13
[8] 서적 Besieged: 100 Great Sieges from Jericho to Sarajevo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9] 간행물 Gunpowder and the Explosion in 1856 of the former Church of St. John in the Medieval Town of Rhodes https://www.academia[...] 2018
[10] 서적 Handbook of Hazards and Disaster Risk Redu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 서적 The Fortress of Rhodes 1309–1522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2-06-20
[12] 웹사이트 History of Rhodes: Italian Period http://www.rhodes.gr[...] www.rhodes.gr 2012-04-11
[13] 뉴스 Rhodes in World War II: A Story of Resistance and Restoration https://cityofrhodes[...] City of Rhodes 2024-04-07
[14] 뉴스 Remembering the longest journey to Auschwitz – the deportation of Rhodes’ Jews decimated a small but vibrant community with centuries of Mediterranean history https://theconversat[...] The Conversation 2024-08-07
[15]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16] 웹사이트 Rhodes, Tourist Port - Municipal Port Fund of South Dodecanese Current Weather Conditions https://www.meteocam[...]
[17] 웹사이트 Αρχική - Δημοτικό Λιμενικό Ταμείο Νότιας Δωδεκανήσου https://www.litando.[...] 2023-04-19
[18] 웹사이트 HNMS http://www.emy.gr/em[...] 2024-05-05
[19] 웹사이트 Climatology – Rodos http://www.hnms.gr/e[...] Hellenic National Meteorological Service 2017-03-24
[20] 문서 Documents https://www.itia.ntu[...]
[21] 웹사이트 Rhodes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5-03-01
[22] 웹사이트 Rhodes, Greece – Climate data https://www.weather-[...] Weather Atlas 2017-03-24
[23] 웹사이트 HNMS http://www.emy.gr/em[...] 2024-05-05
[24] 웹사이트 Tourists Information: Foreign States Consulates http://www.rhodes.gr[...] www.rhodes.gr 2012-04-11
[25] 웹사이트 Why Rhodes http://www.rhodes202[...] Rhodes 2020-01-10
[26] 웹사이트 History of Rhodes: Classical Period http://www.rhodes.gr[...] www.rhodes.gr 2007
[27] 웹인용 History of Rhodes: Classical Period http://www.rhodes.gr[...] www.rhodes.gr 2007
[28] 웹인용 Climatology - Rodos http://www.hnms.gr/h[...] Hellinic National Meteorological Service 2017-03-24
[29] 웹인용 Rhodes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5-03-01
[30] 웹인용 Rhodes, Greece - Climate data http://www.weather-a[...] Weather Atlas 2017-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