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렌스 B. 카이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렌스 B. 카이저는 1895년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난 미국의 군인이다. 웨스트포인트를 졸업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은성훈장을 수여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도 참전했으며, 한국 전쟁 중 청천강 전투에서의 지휘 실패로 해임되었다. 1951년 군 복귀 후 1953년 퇴역했으며, 1969년 사망하여 웨스트포인트 묘지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 소장 - 윌리엄 F. 딘
윌리엄 F. 딘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육군 중장으로, 남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독일군 포로를 잡는 전공과 대전 전투에서의 용맹함으로 명예훈장을 받았으며, 한국 전쟁 중 북한군 포로로 억류되었다가 석방 후 영웅으로 귀환, 예편 후 샌프란시스코에 안장되었고 제주 4.3 사건 당시 미군정의 역할도 수행했다. - 미국 육군 소장 - 재커리 테일러
재커리 테일러는 멕시코-미국 전쟁의 영웅이자 휘그당 출신으로 미국의 12대 대통령을 지냈으나, 재임 중 위장병으로 사망하여 짧은 임기를 마쳤으며, 노예제 문제에 대한 모호한 태도는 오히려 갈등을 심화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 미국 육군야전포병학교 동문 - 이광노
이광노는 대한민국 육군 중장 예편 후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낸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조사에 참여하고 정계 은퇴 후 보수 성향 단체에서 활동했다. - 미국 육군야전포병학교 동문 - 차지철
차지철은 5·16 군사 정변에 가담하여 정계에 입문한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국회의원을 지내다 박정희 대통령 경호실장으로 재직하며 권력 남용으로 비판받았고 10·26 사건 때 김재규에게 살해당했다. - 필라델피아 출신 - 리처드 레스터
리처드 레스터는 미국의 텔레비전 및 영화 감독으로, 비틀즈 영화 연출과 칸느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 그리고 《슈퍼맨》 시리즈 영화 등을 통해 영화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1988년 이후 극영화 감독에서 은퇴했다. - 필라델피아 출신 - DJ 드라마
DJ 드라마는 믹스테이프 시리즈 'Gangsta Grillz'로 유명한 미국의 DJ, 프로듀서이자 음반 레이블 설립자이며, 아필리에이츠를 결성하여 믹스테이프를 제작하고 아필리에이츠 뮤직 그룹과 제너레이션 나우를 설립했으며, Justo Mixtape Awards, BET Hip Hop Awards, 글로벌 스핀 어워즈 등에서 수상하고 그래미 어워드 최고의 랩 앨범 부문을 수상했다.
로렌스 B. 카이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95년 6월 1일 |
출생지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
사망일 | 1969년 10월 20일 |
사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
묻힌 곳 | 뉴욕 웨스트 포인트 미국 육군사관학교 묘지 |
별명 | Dutch |
복무 기간 | 1917년 - 1953년 |
군사 경력 | |
소속 | 미국 육군 |
최종 계급 | 소장 |
지휘 | 제2보병사단 |
주요 참전 전투 | 제1차 세계 대전 서부 전선 제2차 세계 대전 북아프리카 전역 이탈리아 전역 한국 전쟁 낙동강 대공세 청천강 전투 |
훈장 | 은성 훈장 훈공장 (2회) |
2. 어린 시절
1895년 6월 1일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났다.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1917년 졸업하였으며, 동기로는 J. 로턴 콜린스, 매슈 리지웨이, 마크 웨인 클라크가 있었다.[2]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이후, 카이저는 미국 육군사관학교와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 등에서 군사 교육 및 지휘 경험을 쌓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제3군단, 제6군단, 제4군 등에서 참모총장으로 복무하며 준장으로 진급했다. 1948년에는 중국에 파견되어 중화민국 정부의 군사 고문으로 활동했다.[1]
3. 군사 경력
1948년 11월, 카이저는 제2보병사단 부사단장이 되었다. 1950년 2월, 그의 웨스트포인트 동기였던 조 콜린스는 그에게 소장 진급과 함께 사단 지휘관직을 맡겼다. 한국 전쟁 발발 후, 제2사단은 미국 본토에서 한국에 도착한 최초의 미국 육군 부대였다. 8월부터 9월까지, 사단은 부산에 상륙하여 낙동강 방어선으로 이동, 북한군 제4사단에 의해 어려움을 겪고 있던 제24보병사단을 지원했다.
조선인민군이 낙동강 대공세를 시작했을 때, 4개 사단이 제2사단을 공격했다. 제2보병사단 일부 부대는 첫 교전에서 제대로 성과를 내지 못했고, 카이저는 중장 월튼 워커 제8군 사령관과 대면했을 때 자신의 사단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카이저는 이미 일부 장교들로부터 유능한 사단 지휘관이 되기에는 나이가 많다는 평가를 받고 있었다.
제2사단은 부산 교두보 돌파 작전에 참여하여 제25보병사단과 함께 군산 방향으로 북서쪽으로 진격, 중국-북한 국경에 근접한 북한 깊숙이 진격했다.
1950년 11월 말, 청천강 전투에서 중공군의 기습 공격으로 제2사단은 큰 피해를 보았다. 카이저는 지휘관에서 해임되었고, 로버트 B. 맥클루어 소장으로 교체되었다.
3. 1.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카이저는 미국 원정군 소속으로 프랑스에 급파되어 빠르게 임시 대위로 진급했다. 제5보병사단 예하 제6보병연대 제1대대 지휘관을 맡았으며, 서부 전선에서의 공로로 은성훈장을 받았다.[1]
3. 2. 양대전 사이 (1919년 ~ 1939년)
1920년 3월부터 1922년 6월까지 중국 톈진에서 제15보병연대와 함께 주둔하였다. 1923년 포트베닝에서 보병 중대 사관 과정을 졸업하였다. 이후 포트 샘 휴스턴에 있는 제23보병연대에서 대부대 사령관을 지냈다. 1924년부터 1928년까지 미국 육군사관학교에서 전임 강사로 근무했다.
미국 육군사관학교 전임 강사 근무 후, 제9보병연대의 중대 사령관으로서 포트샘휴스턴으로 복귀하였다. 1932년 포트베닝에서 보병 사관 상급 과정을 완료한 후 포트샘휴스턴에서 예비역 부대들의 조언자 및 교사로 활동하였다.
1939년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를 졸업한 후, 포트베닝에서 제29보병연대의 선임 참모 및 사령관으로 지냈다.
3. 3.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4월 카이저는 포트 맥퍼슨에서 제3군단의 참모 총장으로 지정되었다. 그는 이후 북아프리카 전역과 이탈리아 전역에서 제6군단 참모장으로 복무했다. 1944년 1월 그는 준장으로 진급되었고, 포트 샘 휴스턴에서 제4군의 참모 총장으로 지정되었다. 1948년 그는 다시 중국으로 돌아가 중화민국 정부의 미국 군사 조언 단체의 일원으로 활동했다.[1]
3. 4. 한국 전쟁
1948년 11월, 카이저는 제2보병사단의 부사단장이 되었다. 1950년 그의 육군사관학교 동기 조 콜린스는 그에게 소장으로 진급과 함께 사단의 지휘를 맡겼다. 한국 전쟁 발발 후, 제2사단은 미국 본토로부터 한국에 도착한 첫 미국 육군 부대였다.
조선인민군이 낙동강 대공세를 개시했을 때, 4개 사단이 제2사단을 공격했다. 초기 전투에서 제2보병사단의 일부 부대는 제대로 싸우지 못했고, 카이저는 제8군 사령관 월턴 워커 중장에게 자신의 사단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카이저는 이미 일부 장교들로부터 유능한 사단 지휘관이 되기에는 나이가 너무 많다는 평가를 받고 있었다.
제2사단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진격하여 조중 국경 가까이 갔다.
3. 4. 1. 부산 교두보 전투
1950년 8월부터 9월까지, 로렌스 B. 카이저 소장이 지휘하는 제2보병사단은 부산에 상륙하여 북한군 제4사단이 낙동강을 넘어 진격한 후, 전선 복구에 어려움을 겪던 제24보병사단을 지원하기 위해 낙동강 방어선으로 이동했다.[1]
북한군이 낙동강 대공세를 개시했을 때, 4개 사단이 제2보병사단을 공격했다. 초기 전투에서 제2보병사단의 일부 부대는 제대로 싸우지 못했고, 카이저는 제8군 사령관 월턴 워커 중장과의 대면에서 자신의 사단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카이저는 이미 일부 장교들로부터 유능한 사단 지휘관이 되기에는 나이가 너무 많다는 평가를 받고 있었다.[1]
제2보병사단은 부산 교두보 돌파 작전에 참여하여 제25보병사단과 함께 군산 방면으로 북서쪽으로 진격했다.[1] 이들은 북한 깊숙이 진격하여 중조 국경 근처까지 도달했다.
3. 4. 2. 청천강 전투
1950년 11월 말, 대규모 중공군이 압록강을 건너 유엔군에 기습 공격을 가했는데, 이 전투가 바로 청천강 전투이다. 당시 카이저 소장이 지휘하는 제2보병사단은 제9군단의 우측에서 압록강 방면으로 진격하고 있었고, 군우리 북쪽에 위치했다. 좌측에는 제25보병사단이 있었다.
일주일간 이어진 중공군의 맹렬한 공격으로 제8군 전체가 포위될 위기에 처했다. 특히 제2보병사단은 우측 방어가 노출되어 포위 공격의 주된 대상이 되었다. 제25보병사단은 안주로 철수했지만, 카이저는 존 B. 콜터 소장으로부터 철수 허가를 제때 받지 못했다. 결국 제2보병사단은 고립되었고, 순천으로 탈출하기 위해 중공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여야 했다.
이 전투에서 제2보병사단은 약 4,000명의 병력을 잃는 큰 피해를 입었다. 카이저는 서울에서 레번 C. 앨런 소장을 만나 지휘관직에서 해임되었고, 로버트 B. 매클러 소장으로 교체되었다. 공식적인 해임 사유는 건강 문제였지만, 카이저는 자신이 중공군 참전 이후 유엔군이 겪은 후퇴의 희생양이 되었다고 느꼈다.[1]
3. 4. 3. 지휘권 해임 논란
1950년 11월, 대규모 중공군이 압록강을 건너 유엔군을 공격하면서 청천강 전투가 시작되었다. 당시 제2보병사단은 압록강으로 진격하던 제9군단의 우측에, 제25보병사단은 군우리 북쪽 좌측에 위치했다. 일주일 간의 공격에서 중공군은 제8군을 포위하려 했고, 제2보병사단은 우측이 노출되어 포위 공격을 받았다. 제15보병사단은 안주로 철수했지만, 카이저는 존 B. 콜터 소장에게 철수 허가를 받지 못했다. 결국 제2보병사단은 고립되었고, 순천에서 중공군을 뚫고 나가야 했다.
청천강 전투에서 제2보병사단이 약 4,000명의 병력을 잃은 후, 카이저는 서울에서 제8군 참모총장 레번 C. 앨린 소장을 만났다. 그는 건강상의 이유로 지휘권을 해임당하고 로버트 B. 매클러 소장으로 교체되었는데, 카이저는 자신이 중공군 개입 이후 유엔군이 겪은 후퇴의 희생양이 되었다고 느꼈다.
4. 이후의 세월
1951년 2월 미국으로 귀국한 카이저는 해리스버그와 허쉬 근처에 있는 인디언타운 협곡 군사 보류 보병 기초 훈련소에서 제5보병사단의 지휘를 맡았다.[1] 1953년 군에서 퇴직하여 샌프란시스코에 정착하였다.[1] 1969년 10월 20일 카이저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사망하여 웨스트포인트 묘지에 안장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Find A Grave
https://www.findagra[...]
[2]
서적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