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벅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벅 만은 서호주에 위치한 550km² 넓이의 열대 해양 만으로, 붉은 모래 해변, 맹그로브 숲, 조수 하천, 갯벌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덥고 반건조 기후를 보이며, 조수 간만의 차가 커 갯벌이 넓게 드러난다. 족쿤족과 야우루족 원주민의 전통적인 땅이었으며, 1942년에는 네덜란드 난민을 태운 비행기가 일본군의 공격을 받아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1990년에는 람사르 협약에 따라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로 지정되었으며, 11종의 맹그로브가 서식하고 듀공, 바다거북, 물떼새 등의 서식지로서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곳이다. 특히 동아시아-대양주 철새 이동 경로의 중요한 중간 기착지이며, 22종 이상의 물떼새가 정기적으로 이곳을 찾는다. 낚시, 관광, 조류 관찰 등의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이루어지며, 브룸 조류 관측소에서 해안 조류 연구와 교육을 실시한다. 브룸 부두에서 배로 접근 가능하며, 과거 해저 통신 케이블 상륙 지점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람사르 등록 습지 - 애시모어 카르티에 제도
    애시모어 카르티에 제도는 오스트레일리아 북서쪽에 위치한 무인도로, 오스트레일리아령 외부 영토이며 자연보호구역으로 관리되지만 인도네시아 어부들의 어업 활동이 허용되고 난민들의 밀입국 경로로 이용되어 호주 정부가 국경을 통제하고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람사르 등록 습지 - 카카두 국립공원
    카카두 국립공원은 호주 북부에 위치한 광대한 국립공원으로, 6만 년 이상 거주한 원주민의 문화유산과 다양한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으며, 원주민 유적지, 다양한 동식물 서식지로 유명하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환경 문제와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만 - 카펀테리아만
    카펀테리아만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 위치하며, 덥고 습한 사바나 기후를 보이며, 상업적 새우 양식, 아연 광산, 축산업이 주요 산업이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만 - 보터니만
    보터니 만은 1770년 제임스 쿡 선장이 상륙하여 호주에 대한 영국의 관심을 촉발하고, 식물학자 조셉 뱅크스와 다니엘 솔랜더가 다양한 식물을 발견하여 이름 붙여졌으며, 죄수 식민지 건설 예정지였으나 포트 잭슨으로 변경되었고, 현재는 시드니 공항과 항만이 위치하며 국립공원으로 일부가 보호되는 시드니 남쪽의 만이다.
로벅만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위치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 북부, 브룸 인근
유형
좌표좌표 누락 (google_map 사용)
람사르 습지
공식 명칭로벅 만
지정일1990년 6월 7일
람사르 등록 번호479
명칭 유래
유래윌리엄 담피어의 배 HMS 로벅

2. 지리 및 환경

로벅 만은 550km2 넓이의 열대 해양 만이다. 붉은 모래 해변과 맹그로브 숲이 있으며, 만의 동쪽 가장자리는 선형의 조수 하천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변에는 초원과 핀단 수림이 있다.[3][2]

만의 북쪽 해안은 높이 2~6m의 길고 낮은 붉은 절벽으로 덮여 있으며, 핀단 토양으로 인해 해변에 독특한 붉은 색을 띤다. 절벽 아래쪽에는 백악기 시대의 황적색 브룸 사암이 있으며, 노출된 곳에서는 가끔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된다.[6]

동쪽 해안을 따라 맹그로브로 뒤덮인 하천의 내륙에는 높은 사리 때에만 물에 잠기는 갯벌이 있으며, 고염분 토양으로 인해 일부 나문재 지역을 제외하고는 식물이 자라기 어렵다.[6]

내륙 지역은 또한 로벅 평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해당 지역에는 로벅 평원 목축장이라는 이름의 목축 임대지가 위치해 있다.

2. 1. 지형

2. 2. 기후

로벅만은 덥고 반건조 기후(쾨펜, Bsh)를 보인다. 우기는 오스트레일리아 여름에 걸쳐 있으며, 연간 강수량의 대부분이 이 기간에 쏟아지며 주로 심한 열대성 뇌우의 형태로 나타난다. 더 긴 건기는 5월부터 11월까지의 기간으로, 기온이 약간 더 낮지만 여전히 매우 따뜻하며 강우량은 극히 적거나 거의 없는 수준이다. 연간 총 강수량은 만 전역에서 지역에 따라 다르며, 연간 300~550mm 범위이다. 고온과 불쾌하게 높은 습도가 결합된, 숨 막히는 오스트레일리아 여름 동안의 높은 기온은 종종 38°C를 초과하며, 11월부터 3월까지 몹시 무더운 기상 조건을 초래하며, 최고 기온과 가장 무더운 습도는 일반적으로 2월에 만 안팎에서 나타난다.

2. 3. 조수

로벅만에는 매우 큰 조수 간만의 차가 있어 만 전체 면적의 45%에 해당하는 약 160제곱킬로미터의 갯벌이 드러나며, 조수 경계선은 초당 최대 20센티미터의 속도로 이동한다. 대부분의 갯벌은 매번 만조 때 물에 잠기며, 대조 또는 사이클론으로 인해 인접한 해안 평야가 범람할 수도 있다. 조수 시스템은 평균 진폭 5.7m의 반일 주조이며, 소조 시에는 1m에서 최고 대조 시에는 10.5m까지 변동한다. 이러한 조수 조건은 조간대 생태를 지배한다.

3. 역사

로벅 만은 족쿤족과 야우루족 원주민의 전통적인 땅에 위치해 있다. 이 만은 계절별 모임, 선물 교환, 결혼 주선 및 분쟁 해결에 중요한 장소였다. 과거 캠핑 장소를 표시하는 많은 조개류 패총이 해안 절벽과 모래 언덕을 따라 보인다. 원주민들은 조개류 채집, 어업 및 사냥을 통해 이 만의 자연 자원을 계속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1942년, 여러 척의 네덜란드 비행정이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온 난민들을 태우고 로벅 만에 도착했다. 1942년 3월 3일, 만에 정박해 있던 비행정들은 일본 제로 전투기의 공격을 받았다. 비행정은 무방비 상태였으며, 반복적인 공격으로 기관총 세례를 받았다. 이 공격으로 100여 명의 남녀노소가 익사하거나, 물 표면에 떠 있던 불타는 연료에 의해 소각되었다. 잔해는 여전히 그 자리에 남아 있으며, 매년 며칠 동안 극심한 간조 때 일부 잔해를 볼 수 있다.

1990년 6월 7일, 로벅 만과 인근 지역 약 34,219ha가 람사르 협약에 따라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람사르 사이트 479)로 지정되었다. 로벅만은 1990년 람사르 협약에 따라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로 지정되었다.

3. 1. 원주민 역사

로벅 만은 족쿤족과 야우루족 원주민의 전통적인 땅에 위치해 있다. 이 만은 계절별 모임, 선물 교환, 결혼 주선 및 분쟁 해결에 중요한 장소였다. 과거 캠핑 장소를 표시하는 많은 조개류 패총이 해안 절벽과 모래 언덕을 따라 보인다. 원주민들은 조개류 채집, 어업 및 사냥을 통해 이 만의 자연 자원을 계속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3. 2. 네덜란드인 학살 (1942)

1942년, 여러 척의 네덜란드 비행정이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온 난민들을 태우고 로벅 만에 도착했다. 1942년 3월 3일, 만에 정박해 있던 비행정들은 일본 제로 전투기의 공격을 받았다. 비행정은 무방비 상태였으며, 반복적인 공격으로 기관총 세례를 받았다. 이 공격으로 100여 명의 남녀노소가 익사하거나, 물 표면에 떠 있던 불타는 연료에 의해 소각되었다. 잔해는 여전히 그 자리에 남아 있으며, 매년 며칠 동안 극심한 간조 때 일부 잔해를 볼 수 있다.

1990년 6월 7일, 로벅 만과 인근 지역 약 34,219ha가 람사르 협약에 따라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람사르 사이트 479)로 지정되었다.

3. 3. 람사르 습지 지정 (1990)

로벅만은 1990년 람사르 협약에 따라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로 지정되었다.

4. 생태

로벅 만을 가로지르는 날아가는 물떼새


로벅 만의 캠프사이트 해변에서 휴식을 취하는 물떼새


로벅 만에서는 11종의 맹그로브가 발견된다.[6] 만의 동쪽과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 있으며 조수 웅덩이까지 확장되는 맹그로브 늪은 해양 어류와 갑각류, 특히 새우의 중요한 보육 구역이다. 만 전체에 걸쳐 광대한 해초 지대는 듀공과 푸른바다거북의 먹이터이다. 다른 바다거북과 돌고래 또한 정기적으로 이 만을 이용한다.[2]

4. 1. 동식물상

로벅 만에서는 11종의 맹그로브가 발견된다.[6] 만의 동쪽과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 있으며 조수 웅덩이까지 확장되는 맹그로브 늪은 해양 어류와 갑각류, 특히 새우의 중요한 보육 구역이다. 만 전체에 걸쳐 광대한 해초 지대는 듀공과 푸른바다거북의 먹이터이다. 다른 바다거북과 돌고래 또한 정기적으로 이 만을 이용한다.[2]

4. 2. 철새 도래지

로벅 만의 조간대 갯벌과 모래 평원은 고밀도의 저서 무척추동물을 부양하며, 이는 물떼새 또는 해안 조류에게 중요한 먹이원을 제공한다.[2][6] 이 지역은 호주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 이동 경로 내에서 물떼새의 주요한 철새 이동 중간 기착지이자 비번식 지역 중 하나이다.[2] 특히 중국에서 호주까지 논스톱으로 이동하는 대형 종의 호주 개체군 대부분이 8월에서 10월 사이에 봄에 도착하는 주요 장소이며, 조류가 호주 남서부와 남동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높은 이동률을 보인다.[2][6] 여름 동안에는 많은 수가, 겨울 동안에는 소수의 비번식 조류가 남아있으며, 가을에 물떼새가 북쪽으로 이동하는 데에도 중요하여 3월에서 4월에 대규모 주간 출발이 이루어진다.[2][6] 매년 만을 이용하는 물떼새의 총 개체수는 30만 마리가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6]

이 만의 물떼새 먹이 서식지와 휴식 장소는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928 km2의 중요 조류 지역(IBA)으로 지정되었다.[4] 이 IBA는 만 동쪽에 위치한 로벅 평원 스테이션의 저지대, 때때로 침수되는 해안 초원, 많은 물떼새가 매우 높은 조수 때 휴식을 취하는 이다 호수(Lake Eda)를 포함한다.[4][5] 만의 북쪽 해변과 부시 포인트는 중요한 만조 시 휴식 장소를 제공한다.[6]

이 만은 정기적으로 최소 22종의 물떼새 개체수의 1% 이상을 지원한다.[6] 여기에는 큰바늘꼬리사막도요, 작은바늘꼬리사막도요, 동양흰목물떼새, 붉은머리물떼새, 회색물떼새, 알락꼬리도요, 흑꼬리도요, 붉은어깨도요, 큰뒷부리도요, 붉은발도요, 청다리도요사촌, 세가락도요, 알락할미새, 작은할미새, 유라시아 쇠솔새, 청다리도요, 붉은발도요, 회색발도요, 테레크사스도요, 세가락도요, 아시아도요, 검은머리물떼새가 포함된다.[6]

5. 보존 노력

로벅만은 낚시, 관광, 조류 관찰과 같은 레크리에이션 및 관광 활동에 사용된다.[2] 브룸 조류 관측소는 해안 조류 연구와 대중 교육을 실시한다.[2]

6. 교통 및 통신

로벅만은 브룸 부두에서 배를 타고 접근할 수 있으며, 브룸 우체국과 브룸 국제공항에서 남쪽으로 약 9km 떨어져 있다.[7] 1890년대에는 노던 준주 국경을 넘어 앵글 폴에서 출발하여 건설하려 했으나 실현되지 못한 토지 보조금 철도의 종착역이 될 예정이었다.[7] 이 철도는 약 1600km 길이였을 것이다.

로벅만은 잔잔한 해역을 가지고 있어 1871년 아시아에서 육로로 퍼스까지 이어지는 해저 통신 케이블이 상륙하는 장소로 선택되었다.[8]

6. 1. 접근성

로벅만은 브룸 부두에서 배를 타고 접근할 수 있으며, 브룸 우체국과 브룸 국제공항에서 남쪽으로 약 9km 떨어져 있다.[7] 1890년대에는 노던 준주 국경을 넘어 앵글 폴에서 출발하여 건설하려 했으나 실현되지 못한 토지 보조금 철도의 종착역이 될 예정이었다.[7] 이 철도는 약 1600km 길이였을 것이다. 1871년에는 아시아에서 육로로 퍼스까지 이어지는 해저 통신 케이블이 로벅만에 상륙했다.[8]

6. 2. 해저 케이블

로벅만은 잔잔한 해역을 가지고 있어 1871년 아시아에서 육로로 퍼스까지 이어지는 해저 통신 케이블이 상륙하는 장소로 선택되었다.[8]

참조

[1] 웹사이트 Roebuck Bay https://rsis.ramsar.[...] 2018-04-25
[2] 문서 Protecting Ramsar Wetlands
[3] 문서 Annotated Ramsar List
[4] 웹사이트 IBA: Roebuck Bay http://www.birdata.c[...] Birds Australia 2011-10-01
[5] 간행물 Important Bird Areas factsheet: Roebuck Bay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11-10-01
[6] 문서 Information Sheet on Ramsar Wetlands
[7] 뉴스 Another Railway Syndicate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889-02-14
[8] 뉴스 INTERCOLONIAL.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890-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