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두 국립공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카두 국립공원은 오스트레일리아 노던 준주에 위치한 국립공원이다. 약 2만 제곱킬로미터 면적에 걸쳐 다양한 생태계, 원주민 문화 유적, 그리고 지형을 자랑한다. 카카두라는 이름은 이 지역에서 사용되는 가구주어 언어의 오용에서 유래되었으며, 약 6만 년 동안 원주민들이 거주해 온 곳으로, 5,000곳 이상의 암각화 유적을 포함한 풍부한 문화 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1970년대부터 여러 단계에 걸쳐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원주민 전통 소유주와 오스트레일리아 공원청의 공동 관리 하에 있다. 주요 관광 명소로는 옐로우 워터 빌라봉, 우비르와 누를랑지 암각화 유적, 그리고 다양한 폭포와 협곡 등이 있으며, 몬순 기후로 인해 건기와 우기로 계절이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카두 국립공원 - 아른험잎코박쥐
아른험잎코박쥐는 오스트레일리아 노던 준주에 분포하는 잎코박쥐과의 박쥐로, 식충성이며 열대 우림 지역의 동굴이나 바위 틈에서 집단을 이루어 생활하고, 멸종 위기 또는 취약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노던 준주의 국립공원 - 울루루-카타추타 국립공원
오스트레일리아 노던 준주에 위치한 울루루-카타추타 국립공원은 거대한 사암 바위 울루루와 카타추타를 중심으로 아난구족의 문화와 신앙이 깃든 신성한 장소이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아난구족과 호주 정부가 공동 관리하며 자연과 문화를 보존하고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람사르 등록 습지 - 애시모어 카르티에 제도
애시모어 카르티에 제도는 오스트레일리아 북서쪽에 위치한 무인도로, 오스트레일리아령 외부 영토이며 자연보호구역으로 관리되지만 인도네시아 어부들의 어업 활동이 허용되고 난민들의 밀입국 경로로 이용되어 호주 정부가 국경을 통제하고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람사르 등록 습지 - 포트 필립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 남부에 위치한 포트 필립은 벨러린 반도와 모닝턴 반도에 의해 배스 해협과 분리된 대형 만으로, 멜버른을 포함한 주요 도시들이 위치하며 람사르 습지이자 다양한 레크리에이션 활동의 중심지이다.
카카두 국립공원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카카두 국립공원 |
로마자 표기 | Kakadu National Park |
유형 | 보호 지역 |
IUCN 분류 | II (국립공원) |
위치 | 오스트레일리아 노던 준주 |
가장 가까운 도시 | 자비루 |
면적 | 19,804 km² |
지정일 | 1979년 4월 5일 |
방문객 수 | 250,000 명 |
방문객 수 기준 년도 | 2002년 |
관리 주체 | 국립공원 관리국 원주민 전통 소유자 (쿤제이흐미족, 쿤윈주쿠족, 자오인족) |
공식 웹사이트 | 카카두 국립공원 공식 웹사이트 |
람사르 습지 등록일 | 1980년 12월 6일 |
람사르 습지 등록 번호 | 204 |
이미지 | |
![]() | |
세계유산 정보 | |
유네스코 세계 유산 ID | 147 |
등재 연도 | 1981년 |
확장 등재 연도 | 1987년, 1992년 |
등재 기준 (문화) | (i), (vi) |
등재 기준 (자연) | (vii), (ix), (x) |
2. 역사
카카두라는 이름은 공원 북서부에서 사용되는 가구주어(Gaagudju) 언어의 이름을 잘못 발음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탐험가 볼드윈 스펜서는 앨리게이터 강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카카두 부족"이라는 이름을 잘못 붙였다.[4][5]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은 약 6만 년 전부터 카카두 지역에 거주해 왔다.[33] 카카두 국립공원은 수천 년에 걸친 원주민 문화를 보여주는 5,000곳 이상의 예술 유적지가 있는 등 풍부한 원주민 문화 유적지로 유명하다. 고고학 유적지는 적어도 2만 년, 어쩌면 최대 4만 년 전까지 원주민이 거주했음을 보여준다.
17세기 후반부터 술라웨시 등 인도네시아 제도 출신의 마카산 사람들이 배를 타고 호주 북부로 와서 해삼 등을 채취하여 고향에서 거래했다. 원주민들은 이 과정에 참여했으며, 마카산 문화와 카카두 지역 원주민 사이의 접촉 증거도 발견되었다.
최초의 비원주민 탐험가로는 중국, 말레이시아, 포르투갈 등이 거론되지만, 최초의 기록은 네덜란드에서 나왔다. 1623년 얀 카르스텐손이 카펜타리아 만을 항해했고, 1644년 아벨 타스만이 이 해안 지역을 방문하여 유럽인으로서 최초로 호주 원주민과의 접촉을 기록했다. 19세기 초, 영국은 호주 북부 해안에 여러 정착촌을 건설하려 했으나 실패했다.[3] 1818년부터 1822년 사이에 필립 파커 킹은 악어를 앨리게이터로 잘못 알고 세 개의 앨리게이터 강에 이름을 붙였다.
1845년, 루드비히 라이히하르트는 카카두 지역을 방문한 최초의 육상 유럽 탐험가였다. 1862년, 존 맥두얼 스튜어트는 카카두의 남서쪽 경계를 따라 여행했지만, 사람들을 만나지는 못했다.[2]
19세기 초부터 물소 방목이 시작되어 1880년대에는 상업적인 가죽 및 뿔 수확이 이루어졌다. 물소 사냥 산업은 건기 동안 원주민들에게 중요한 고용 기회를 제공했다.
톱 엔드(Top End) 지역의 최초 광물 발견은 1870년대 파인 크릭 – 애들레이드 강 지역에서 이루어졌고, 이후 소규모 금 광산이 운영되었다. 1953년 사우스 얼리게이터 강 상류에서 우라늄이 발견된 후 10년 동안 13개의 우라늄 광산이 운영되었다. 1970년대 초 레인저, 자빌루카(Jabiluka), 쿵가라(Koongarra)에서 대규모 우라늄 매장량이 발견되었고, 레인저 우라늄 광산 개발이 시작되었다. 1980년대 후반 코로네이션 힐에서 금 채굴이 제안되었으나 환경 및 사회 운동으로 인해 1991년 채굴이 거부되었다. 1990년대 중반 자빌루카에서 추가적인 우라늄 채굴에 대한 논쟁이 있었으나 원주민 기업의 운동으로 막혔다.[9] 레인저 우라늄 광산은 2021년에 폐쇄되었다.[10]
카카두 국립공원 지하에는 대규모 우라늄 광상이 있어, 세계유산 등록과 동시에 굴착이 시작되었다. 굴착에 따른 경관 훼손과 방사능 오염에 의한 환경 파괴를 우려하여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위기 유산 지정이 검토되기도 했다. 핵심 지역에서의 굴착은 중단되었지만, 완충 지역에서의 굴착은 계속되고 있으며, 유네스코는 현재도 모니터링을 계속하고 있다.[1]
2. 1. 원주민 역사
카카두라는 이름은 공원 북서부에서 사용되는 가구주어(Gaagudju) 언어의 이름을 잘못 발음한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탐험가 볼드윈 스펜서는 앨리게이터 강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잘못하여 "카카두 부족"이라는 이름을 붙였다.[4][5]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은 약 6만 년 동안 카카두 지역에 계속해서 거주해 왔다.[33] 카카두 국립공원은 풍부한 원주민 문화 유적지로 유명하다. 수천 년에 걸친 원주민 문화를 보여주는 5,000곳 이상의 기록된 예술 유적지가 있다. 고고학 유적지는 적어도 2만 년, 아마도 최대 4만 년 전까지 원주민이 거주했음을 보여준다.
2. 2. 비원주민의 도래
카카두 국립공원 지하에는 대규모 우라늄 광상이 있다. 日豪ウラン資源開発(닛쇼 우라늄 자원 개발) 등에 의해 세계유산 등록과 동시에 굴착이 시작되었다. 굴착에 따른 경관 훼손과 방사능 오염에 의한 환경 파괴를 우려하여, 1998년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유산의 자원 이용 문제를 의제로 상정했고, 경우에 따라서는 위기 유산 지정도 검토되었다. 이후 핵심 지역에서의 굴착은 중단되었지만, 완충 지역에서의 굴착은 계속되고 있으며, 유네스코의 세계유산센터는 현재도 모니터링을 계속하고 있다.[1]2. 2. 1. 탐험가
호주 북부 해안의 최초 비원주민 탐험가로 중국, 말레이시아, 포르투갈 등이 거론되지만, 최초로 남아 있는 기록은 네덜란드에서 나왔다. 1623년 얀 카르스텐손(Jan Carstenszoon)은 카펜타리아 만을 항해하여 그로테 아이란트(Groote Eylandt)로 추정되는 곳에 도착했다. 1644년에는 아벨 타스만(Abel Tasman)이 이 해안 지역을 방문하여 유럽인으로서 최초로 호주 원주민과의 접촉을 기록했다. 1802년과 1803년에는 매슈 플린더스(Matthew Flinders)가 카펜타리아 만을 조사했다.[1]1818년부터 1822년 사이에 영국 항해사 필립 파커 킹(Phillip Parker King)은 카펜타리아 만에 진입했다. 그는 악어(Saltwater crocodile)를 앨리게이터(alligator)로 잘못 알고 세 개의 앨리게이터 강(Alligator Rivers)에 이름을 붙였다.
1845년, 루드비히 라이히하르트(Ludwig Leichhardt)는 퀸즐랜드(Queensland)주 모레톤 베이(Moreton Bay)에서 노던 테리토리(Northern Territory)주 포트 에싱턴(Port Essington)으로 가는 도중 카카두 지역을 방문한 최초의 육상 유럽 탐험가였다. 그는 아넘 랜드(Arnhem Land) 절벽에서 짐 짐 크릭(Jim Jim Creek)을 따라 남쪽 앨리게이터 강(South Alligator)을 거쳐 동쪽 앨리게이터 강(East Alligator)을 건너 북쪽으로 이동했다.
1862년, 존 맥두얼 스튜어트(John McDouall Stuart)는 카카두의 남서쪽 경계를 따라 여행했지만, 사람들을 만나지는 못했다.[2]
호주 북부에서 원주민과 지속적인 접촉을 가진 최초의 비원주민은 술라웨시(Sulawesi) 등 인도네시아 제도 출신의 마카산(Macassan)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17세기 후반부터 매 우기마다 '프라우'(prau)라는 범선을 타고 호주 북부로 항해하여 트레팡(해삼), 거북이 껍질, 진주 등을 채취하여 고향에서 거래했다. 원주민들은 트레팡 채취 및 가공, 다른 상품 수집 및 교환에 참여했다.
마카산 사람들이 카카두 해안에 머물렀다는 증거는 없지만, 마카산 문화와 카카두 지역 원주민 사이의 접촉 증거는 있다. 공원의 고고학 발굴에서 발견된 유리 및 금속 파편은 마카산 사람들로부터 직접 또는 코버그 반도(Cobourg Peninsula) 사람들과의 무역을 통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19세기 초, 영국은 호주 북부 해안에 여러 정착촌을 건설하려 시도했다. 1824년 멜빌 섬(Melville Island)에 포트 던다스(Fort Dundas), 1829년 라플스 베이(Raffles Bay)에 포트 웰링턴(Fort Wellington), 1838년 코버그 반도(Cobourg Peninsula)에 빅토리아 정착지(Port Essington)를 건설했다. 이는 북쪽 섬들을 식민지로 삼은 프랑스나 네덜란드보다 먼저 호주 북부를 확보하기 위한 시도였다. 그러나 이들 정착촌은 물과 신선한 식량 부족, 질병, 고립 등의 이유로 모두 버려졌다.[3]
2. 2. 2. 정착과 영향
물소는 카카두 지역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1880년대까지 초기 정착촌에서 방목된 물소의 수가 크게 증가하여 가죽과 뿔을 상업적으로 수확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가능해졌다. 이 산업은 다윈 근처 애들레이드 강에서 시작되어 동쪽으로 메리 강과 앨리게이터 강 지역으로 확장되었다.물소 사냥과 가죽 무두질은 대부분 6월부터 9월까지 건기에 이루어졌는데, 이때 물소들이 남아 있는 빌라봉 주변에 모여들었기 때문이었다. 우기에는 땅이 너무 질척거려 물소를 추격할 수 없고 수확한 가죽이 썩을 수 있기 때문에 사냥이 중단되었다. 물소 사냥 산업은 건기 동안 원주민들에게 중요한 고용 기회를 제공했다.

카카두 국립공원 지하에는 대규모 우라늄 광상이 있으며, 日豪ウラン資源開発(닛쇼 우라늄 자원 개발) 등에 의해 세계유산 등록과 동시에 굴착이 시작되었다. 굴착에 따른 경관 훼손과 방사능 오염에 의한 환경 파괴를 우려하여, 1998년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유산의 자원 이용 문제로 의제에 상정되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위기 유산 지정도 검토된 경위가 있다. 이후 핵심 지역에서의 굴착은 중단되었지만, 완충 지역에서의 굴착은 계속되고 있으며, 유네스코의 세계유산센터는 현재도 모니터링을 계속하고 있다.[1]
2. 2. 3. 광업

톱 엔드(Top End) 지역의 최초 광물 발견은 1870년에서 1872년 사이에 오버랜드 전신 선 건설과 관련하여 파인 크릭 – 애들레이드 강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이후 일련의 단기적인 광산 호황이 이어졌다. 노던 오스트레일리아 철도(1889-1976) 건설은 광산 캠프에 더욱 영구적인 성격을 부여했으며, 버런디(Burrundie)와 파인 크릭 같은 곳은 영구적인 정착지가 되었다. 소규모 금 광산은 1920년대에 배러문디 크릭 근처 이마를크바(Imarlkba)와 먼도지 언덕(Mundogie Hill)에서, 그리고 1930년대에 공원 남쪽 몰린(Moline)(이전에는 유레카(Eureka)와 노던 허큘리스 광산(Northern Hercules mine)이라고 불림)에서 시작되었다. 광산에서는 소수의 지역 원주민들이 고용되었다.[6]
1953년, 사우스 얼리게이터 강 계곡 상류에서 우라늄이 발견되었다. 그 후 10년 동안 13개의 작지만 풍부한 우라늄 광산이 운영되었고, 1957년에는 최고 150명 이상의 노동자를 고용했다. 1970년대 초 레인저(Ranger), 자빌루카(Jabiluka) 및 쿵가라(Koongarra)에서 대규모 우라늄 매장량이 발견되었다. 레인저 광산 개발에 대한 공식 제안을 받은 후, 연방 정부는 얼리게이터 강 지역의 토지 이용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레인저 우라늄 환경 조사(일명 폭스 조사)는 레인저 광산(레인저 우라늄 광산)에서 채굴을 시작하고, 자빌루카와 쿵가라 광산의 미래 개발을 고려하며, 서비스 타운을 건설할 것을 권고했다.
1980년대 후반, 코로네이션 힐(Guratba)에서 금 채굴이 제안되었다.[7] 이 지역은 처음에는 공원에서 제외되었지만 3단계의 일부로 추가되었다. 환경 및 사회 운동 이후 채굴이 막혔다. 당시 총리였던 밥 호크는 내부적인 의견 불일치에도 불구하고 1991년 5월 각료 회의에서 채굴을 거부했다.
1990년대 중반, 자빌루카[8]에서 추가적인 우라늄 채굴에 대한 유사한 논쟁이 귈제이미 원주민 기업(Gundjeihmi Aboriginal Corporation)이 시작한 운동과 봉쇄로 인해 막혔다.[9] 레인저 우라늄 광산은 2021년에 폐쇄되었다.[10]
카카두 국립공원 지하에는 대규모 우라늄 광상이 있으며, 日豪ウラン資源開発(닛쇼 우라늄 자원 개발) 등에 의해 세계유산 등록과 동시에 굴착이 시작되었다. 굴착에 따른 경관 훼손과 방사능 오염에 의한 환경 파괴를 우려하여, 1998년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유산의 자원 이용 문제로 의제에 상정되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위기 유산 지정도 검토된 경위가 있다. 이후 핵심 지역에서의 굴착은 중단되었지만, 완충 지역에서의 굴착은 계속되고 있으며, 유네스코의 세계유산센터는 현재도 모니터링을 계속하고 있다.
3. 지리
카카두 국립공원은 의 면적을 차지하며,[11] 남북으로 약 , 동서로 이상 뻗어 있다. 웨일스와 비슷한 크기이며, 태즈메이니아의 약 3분의 1, 스위스의 거의 절반 크기로, 2021년 11월에 공포된 문가-써리-심프슨 사막 국립공원 다음으로 호주에서 두 번째로 큰 국립공원이다.[12]
카카두는 적도 남쪽 12°~14° 사이 열대 지방에 위치해 있어 몬순 기후를 보인다. 크게 우기와 건기 두 계절로 나뉘며, 건기와 우기 사이의 과도기를 "빌드업(build up)"이라고 한다. 건기(4월/5월~9월)에는 습도가 낮고 비가 드물다. "빌드업"(10월~12월) 기간에는 기온과 습도가 높아 불쾌할 수 있지만, 번개가 자주 치는 인상적인 폭풍을 볼 수 있다. 우기(1월~3월/4월)는 따뜻한 기온과 함께 많은 비가 내린다.
비닌지/멍구이 원주민들은 카카두 지역의 계절을 최대 6가지로 구분한다.[34]
이 지역은 사바나, 소림, 범람원, 맹그로브, 갯벌, 연안대, 열대우림 등 다양한 생태계가 존재한다.[57]
공원 내에는 이스트 앨리게이터 강, 웨스트 앨리게이터 강, 와일드맨 강, 사우스 앨리게이터 강의 네 개의 주요 강 시스템이 있다. 이 강들은 우기에는 범람하여 주변 범람원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건기에는 물이 줄어들어 빌라봉(물웅덩이)을 형성한다.
공원 내를 흐르는 4개의 주요 강 중 3개가 '앨리게이터 강' (악어)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1820년 이 지역을 탐험한 최초의 서양인 필립 파커 킹이 알리게이터로 잘못 인식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지만, 실제로는 악어가 서식한다. 강을 건너는 횡단로가 있지만, 악어에게 공격당하는 사고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59]
3. 1. 지형
카카두 국립공원에는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주요 지형이 있다.- 아넘랜드 고원과 낭떠러지 복합체(석조 지대)
- 돌출부
- 저지대
- 남쪽 구릉과 분지
- 범람원
- 조간대
각 지형은 고유한 서식지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카카두의 다양한 풍경과 그곳에 있는 서식지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는 데 기여했다.
협곡과 협곡은 고원의 암석 플랫폼을 절단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고원 꼭대기는 물이 빠르게 빠져나가고 표토가 부족한 건조하고 척박한 환경이다. 이 지역에는 드문드문 열린 숲과 삼림이 발달했다. 시내는 낭떠러지에 깊은 협곡을 새겼고, 그곳에는 키 큰 몬순 숲이 자란다. 이 지역은 식물과 동물을 위한 미기후를 형성하고 건기 동안 피난처 역할을 한다.[13] 카카두와 아넘랜드에서만 발견되는 큰 그늘 나무인 ''Allosyncarpia ternata''가 우점종이다.
돌출부는 본질적으로 침식으로 고원 복합체에서 분리된 아넘랜드 고원의 조각이다. 그들은 한때 카카두의 대부분을 덮었던 고대 바다의 섬이었다. 부드럽게 기복이 있는 저지대 평원은 톱 엔드의 대부분을 덮고 있으며, 공원의 거의 70%를 차지한다. 토양은 얕고 종종 광범위한 라테라이트(적철석)와 강하게 침출된 암석의 두꺼운 단면 위에 있다.
우기(wet season) 동안 아넘랜드 고원에서 내려온 물은 종종 시내와 강에서 넘쳐 인근 범람원으로 흘러간다. 홍수로 운반되는 충적토는 범람원에 영양분을 공급한다. 풍부한 영양분의 토양과 풍부한 물과 햇빛은 범람원을 식물과 동물의 생명이 풍부한 지역으로 만든다. 건기에는 물이 강, 시내, 고립된 물웅덩이 또는 빌라봉(billabong)으로 후퇴한다. 카카두의 습지는 뛰어난 생태적, 식물학적, 동물학적, 수문학적 특징으로 람사르 협약(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에 따라 등재되어 있다.
남쪽 구릉과 분지는 사우스 앨리게이터 강의 발원지를 포함하여 공원 남쪽의 넓은 지역을 덮고 있다. 이곳의 암석은 후퇴하는 절벽 후퇴(Scarp retreat) 아넘 낭떠러지 아래에서 노출되었으며 화산 기원이며 매우 오래되었다(25억 년). 이 지형은 충적 평지로 분리된 험준한 주향 사면으로 특징지어진다.
카카두의 해안과 조수의 영향을 받는 시내와 강 시스템(내륙 약 100km까지 확장)이 이 지형을 구성한다. 하구와 조간대의 모양은 건기와 우기가 현저하게 다르다. 건기에는 조수 작용으로 강바닥과 제방을 따라 실트가 퇴적된다. 우기에는 강바닥이 홍수로 침식되고 다량의 담수와 염수가 조간대로 흘러넘쳐 실트가 퇴적된다. 많은 양의 실트가 바다로 운반되며, 일부 실트는 해저에 영양이 풍부한 층으로 퇴적되어 카카두 해안선을 특징짓는 탁한 물에 기여한다.
하구와 조간대에는 산소가 부족한 염분이 있는 진흙에서 서식하는 다양한 식물과 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우점 서식지는 맹그로브 늪과 염생 식물 평지이다. 해안과 강둑을 따라 담수 샘이 있는 곳에는 고립된 해안 몬순 열대우림이 형성된다.
3. 2. 수계
카카두 국립공원에는 네 개의 주요 강 시스템이 있다.- 이스트 앨리게이터 강
- 웨스트 앨리게이터 강
- 와일드맨 강
- 사우스 앨리게이터 강
우기(wet season) 동안 아넘랜드 고원에서 내려온 물은 종종 시내와 강에서 넘쳐 인근 범람원으로 흘러간다. 홍수로 운반되는 충적토는 범람원에 영양분을 공급한다. 건기에는 물이 강, 시내, 고립된 물웅덩이 또는 빌라봉(billabong)으로 후퇴한다. 카카두의 습지는 뛰어난 생태적, 식물학적, 동물학적, 수문학적 특징으로 람사르 협약(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에 따라 등재되어 있다.
카카두의 해안과 조수의 영향을 받는 시내와 강 시스템(내륙 약 100km까지 확장)은 이 지형을 구성한다. 하구와 조간대의 모양은 건기와 우기가 현저하게 다르다. 건기에는 조수 작용으로 강바닥과 제방을 따라 실트가 퇴적된다. 우기에는 강바닥이 홍수로 침식되고 다량의 담수와 염수가 조간대로 흘러넘쳐 실트가 퇴적된다.
공원 내를 흐르는 4개의 주요 강 중 3개가 (악어)의 강)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이스트 앨리게이터 강, 웨스트 앨리게이터 강, 사우스 앨리게이터 강). 서식하고 있는 것은 악어이지만, 1820년에 이 지역을 탐험한 최초의 서양인 이 알리게이터로 잘못 인식했기 때문에 그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59] 강을 건너는 횡단로가 있지만, 악어에게 공격당하는 사고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59]
3. 3. 기후
카카두는 적도 남쪽 12°~14° 사이 열대 지방에 위치해 있다. 몬순 기후로, 건기와 우기라는 두 계절이 특징이다. "빌드업(build up)"은 건기와 우기의 과도기를 의미한다. 건기(4월/5월~9월)에는 건조한 남동 및 동쪽 무역풍이 우세하다. 습도는 비교적 낮고 비는 드물다. 자비루의 6월~7월 평균 최고 기온은 32°C이다. "빌드업"(10월~12월) 기간에는 기온과 습도가 높아 매우 불쾌할 수 있다. 하지만 "빌드업" 폭풍은 인상적이며 번개가 자주 친다. 실제로 호주 최북단은 지구상 어떤 곳보다 연간 번개 발생 횟수가 많다. 자비루의 10월 평균 최고 기온은 37.5°C이다.우기(1월~3월/4월)는 따뜻한 기온과 비가 특징이다. 대부분의 비는 동남아시아 상공에서 형성된 몬순 저기압대와 관련이 있지만, 때때로 열대 사이클론이 국지적인 지역에 집중 호우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자비루의 1월 평균 최고 기온은 33°C이다. 카카두 국립공원의 연간 강수량은 자비루의 1565mm에서 메리 강 지역의 1300mm까지 다양하다.
대부분의 비원주민들은 비와 건기만 언급하지만, 비닌지/멍구이 사람들은 카카두 지역에서 최대 6계절[34]을 구분한다.
4. 생태
카카두는 생태학적, 생물학적으로 다양하다. 이 지역에는 사바나, 소림, 범람원, 맹그로브, 갯벌, 연안대, 열대우림 등 다양한 생태계가 존재한다.[57] 바다악어, 캥거루, 흰개미, 진흙벌, 개구리, 어류, 물새 등이 서식하며,[57] 1980년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다.[58]
카카두 국립공원의 기후는 크게 우기와 건기로 나뉜다. 원주민인 비닌지(Bininj)와 뭉구이(Mungguy) 부족은 이 지역의 계절을 다음과 같이 6가지로 구분한다.
- '''구누멜렝(Gunumeleng)''': 10월 중순~12월 하순. 몬순 계절 초반으로 덥고 오후에는 뇌우가 몰아친다.
- '''구드주그(Gudjewg)''': 1월~3월. 몬순 계절로 뇌우가 잦고 강우량이 많으며 홍수가 발생한다.
- '''방게렝(Banggerreng)''': 4월. 홍수가 발생하고 강풍이 분다.
- '''예게(Yegge)''': 5월~6월 중순. 습도가 낮고 서늘하다.
- '''우르겐(Wurrgeng)''': 6월 중순~8월 중순. 비교적 춥고 건조하다.
- '''구룽(Gurrung)''': 8월 중순~10월 중순. 덥고 건조한 계절.
외래종인 Mimosa pigra|검은 아까시아영어, 큰개구리밥, 물소, 황소개구리 등의 유입은 공원 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므로, 호주 정부는 감시 및 제거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57]
4. 1. 식물상
카카두의 식물상은 1700종이 넘는 식물 종이 기록되어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서 가장 풍부한 곳 중 하나이며, 이는 공원의 지질학적, 지형적, 서식지 다양성의 결과이다. 카카두는 또한 세계에서 가장 잡초가 없는 국립공원 중 하나로 간주된다.카카두의 뚜렷하게 다른 지리적 지역은 각각 고유한 특수 식물상을 가지고 있다. "돌나라"라고 불리는 환경은 극심한 열과 긴 건조기를 겪은 후 폭우가 내리는 시기를 견딜 수 있는 "부활 풀"을 특징으로 한다. 계절풍 숲은 종종 돌나라를 가르는 시원하고 습한 협곡에서 발달한다. 남쪽 언덕과 분지는 자랑가르바르미(쿨핀 협곡) 근처의 ''Eucalyptus koolpinensis''와 같이 카카두에서만 발견되는 여러 고유종 식물을 지원한다. 저지대는 카카두 국립공원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주로 유칼립투스가 우점하는 개방된 삼림 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지면층은 창 풀, 사초 및 야생화를 포함한 다양한 풀로 구성된다. 카카두 자두, ''Terminalia ferdinandiana''는 이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매년 몇 달 동안 침수되는 범람원은 스파이크 러시와 같은 사초와 담수 맹그로브(가려운 나무), 판다누스 및 종이껍질 나무(멜라루카)의 군락을 특징으로 한다. 파란색, 노란색 및 흰색 눈송이와 같은 다양한 수련이 이 지역에서 흔히 발견된다. 하구와 조간대에는 다양한 맹그로브(북부 준주의 47종의 맹그로브 중 39종이 카카두에 서식)가 서식하며 해안선을 안정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맹그로브는 바라문디를 포함한 많은 어종의 먹이와 번식지 역할을 한다.
맹그로브 뒤 조간대에는 강인한 다육식물(퉁퉁마디), 풀과 사초가 자란다. 계절풍 숲은 해안과 강둑을 따라 고립된 지역에 자란다. 이 숲에는 넓게 퍼져 나가는 큰 기근으로 알아볼 수 있는 반얀 무화과나무와 면과 같은 물질을 방출하기 위해 꼬투리가 갈라지는 노란색 꽃이 피는 카폭 관목 또는 목화나무 ''Cochlospermum fraseri''를 포함한 여러 인상적인 나무가 있다.[40][41]
4. 2. 동물상
카카두 국립공원에는 매우 다양하고 많은 야생 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그 종류는 다음과 같다.카카두 국립공원의 다양한 환경은 많은 동물들을 뒷받침하며, 그중 상당수는 특정 서식지에 적응해 왔다. 공원의 일부 동물은 희귀하거나, 멸종 위기, 취약하거나 고유종이다.
포유류카카두 국립공원에서는 유대류와 태반류를 포함하여 약 74종의 포유류가 기록되었다. 대부분은 개방된 숲과 삼림 지대에 서식하며 야행성이어서 관찰하기 어렵다. 왈라비와 캥거루(대형 유대류, 8종)와 같은 다른 종들은 하루 중 서늘한 시간대에 활동하여 관찰하기가 더 쉽다.
더 크고 흔한 종으로는 딩고, 큰발캥거루, 검은왈라루, 민첩왈라비, 그리고 짧은귀바위왈라비가 있다. 흔한 소형 포유류로는 북부쿠올, 붓꼬리주머니쥐, 갈색주머니쥐, 검은발나무쥐, 그리고 검은큰박쥐가 있다. 해안 해역에서는 듀공이 발견된다.[42] 그러나 최근 조사에 따르면 북부관박쥐와 같이 한때 흔하고 널리 분포했던 종들을 포함하여 카카두 전역의 거의 모든 포유류 종의 개체 수가 우려스럽게 감소하고 있다.[43]
조류카카두의 다양한 서식지는 호주 조류 종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280종 이상의 조류를 보호하고 있다. 일부 조류는 여러 서식지에 걸쳐 서식하지만, 많은 조류는 단 하나의 환경에서만 발견된다.
카카두의 약 11,246km2에 달하는 사바나 서식지는 조류생태학 국제기구에 의해 국제적으로 중요한 조류 지역(IBA)으로 지정되었다. 이곳은 멸종위기종 굴디안 금화조, 취약종 붉은매, 준위협종 산비둘기와 밤색등딱따구리, 그리고 제한된 서식지를 가진 후드앵무와 무지개물총새 개체군을 보호하고 있기 때문이다. 카카두 사바나 IBA는 또한 다양한색앵무, 북부로젤라, 은관프라이어버드, 흰목꿀빨기새, 노란색꿀빨기새, 흰줄꿀빨기새, 막대가슴꿀빨기새, 띠무늬꿀빨기새, 사암딱새지빠귀, 흰눈썹울새, 카나리아흰눈, 그리고 가면금화조와 긴꼬리금화조를 보호하고 있다.[44]
물새류는 까치기러기, 방황휘파람오리, 작은녹색기러기, 볏장장지, 검은목황새, 오스트레일리아펠리컨, 작은검은가마우지, 오스트레일리아물총새, 갈색밤갈매기, 얼룩황새, 검은쇠백로, 인도흰두루미와 두루미 등의 많은 개체군을 포함한다.[44]

파충류카카두에는 약 117종의 파충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냉혈동물인 이 동물들은 햇빛과 같은 외부 열원에 의존하여 체온을 조절한다. 카카두의 정오의 열기를 견딜 수 있는 뱀은 거의 없으며, 대부분은 야행성이다. 갈대개구리가 공원에 유입된 이후 많은 파충류 개체군이 급감했다. 한때 흔히 볼 수 있었던 대형 고아나류, 동부갈색뱀, 데스애더 등 많은 파충류들이 2010년에는 희귀해졌다.[45] 상징적인 프릴넥 도마뱀의 개체 수도 크게 감소했다.
카카두에는 두 종류의 악어가 서식한다. 민물악어와 바다악어이다. 민물악어는 좁은 주둥이와 머리 바로 뒤에 있는 네 개의 큰 뼈 혹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바다악어는 이러한 뼈 혹이 없고 주둥이가 더 넓다. 민물악어의 최대 크기는 3미터인 반면, 바다악어는 6미터를 넘을 수 있다.
2002년 10월 22일, 24세의 독일인 관광객이 산디 빌라봉에서 다른 외국 배낭여행객들과 함께 수영을 하던 중 바다악어의 공격을 받아 사망했다.[46][47]
개구리카카두 국립공원에는 25종의 개구리가 서식하며, 이들은 지역의 극심한 기후 변화에 매우 잘 적응해 왔다. 많은 개구리들이 비가 오지 않는 시기에 휴면 상태를 유지한다. 우기가 시작되고 빌라봉과 습지가 물로 채워지기 시작하면 밤공기는 북부황소개구리와 대리석개구리와 같은 개구리들의 소리로 가득 차게 된다. 물이 불어남에 따라 개구리와 올챙이들은 조류, 식물, 곤충, 잠자리 유충, 그리고 다른 올챙이와 같은 풍부한 먹이를 얻게 된다. 카카두의 모든 개구리가 습지에서 발견되는 것은 아니다. 많은 개구리들이 저지대 숲에 서식한다.

민물고기카카두의 수로에서는 53종의 민물고기가 기록되었으며, 그중 8종은 분포 지역이 제한적이다. 마겔라 크릭 시스템에서만 32종이 발견되었다. 도입종 어류가 호주 대부분의 수로에서 발견되었지만, 이 공원에서는 기록된 바가 없다.
곤충카카두 국립공원에는 1만 종이 넘는 곤충이 서식한다. 그 종류에는 메뚜기, 딱정벌레, 파리, 흰개미, 나비와 나방, 벌, 말벌, 개미, 잠자리와 실잠자리, 날도래, 흡혈성이 아닌 깔따구, 그리고 강도래 등이 있다.
공원에서 가장 눈에 띄는 곤충의 흔적은 아마도 흰개미집일 것이다. 특히 공원 남부 지역의 흰개미집은 크기가 매우 크고 인상적이다. 주황색, 파란색, 검은색의 라이히하르트 메뚜기는 카카두 국립공원에서 발견되는 가장 화려한 곤충일 것이다. 이 메뚜기는 아넘랜드 고원과 그레고리 국립공원에서도 발견된다.

5. 문화
카카두 국립공원의 이름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애보리지니) 언어인 가구드주어(Gaagudju language)에서 유래했다. 현재 이 언어를 사용하는 부족은 사라졌지만, 그 후손들은 여전히 카카두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이 지역의 기후는 크게 우기와 건기로 나뉜다. 원주민인 비닌지(Bininj)와 뭉구이(Mungguy) 부족은 이 지역의 계절을 다음과 같이 6가지로 구분한다.
계절 | 설명 |
---|---|
구누멜렝(Gunumeleng) | 10월 중순~12월 하순. 몬순 계절 초반. 덥고 오후에는 뇌우가 몰아친다. |
구드주그(Gudjewg) | 1월~3월. 몬순 계절. 뇌우가 잦고 강우량이 많으며 홍수가 발생한다. |
방게렝(Banggerreng) | 4월. 홍수가 발생하고 강풍이 분다. |
예게(Yegge) | 5월~6월 중순. 습도가 낮고 서늘하다. 원주민들은 "땅을 정화한다"는 의미로 일부 지역에 불을 지르고 방목을 시작한다. |
우르겐(Wurrgeng) | 6월 중순~8월 중순. 비교적 춥고 건조하다. |
구룽(Gurrung) | 8월 중순~10월 중순. 덥고 건조한 계절. |
이 지역은 원주민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원주민 암각화를 통해 그들의 문화를 엿볼 수 있다. X선 기법으로 그려진 암벽화가 유명하다.
5. 1. 원주민 암각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은 약 6만 년 동안 카카두 지역에 계속해서 거주해 왔다.[33] 카카두 국립공원은 풍부한 원주민 문화 유적지로 유명하다. 수천 년에 걸친 원주민 문화를 보여주는 5,000곳 이상의 기록된 예술 유적지가 있다. 고고학 유적지는 적어도 2만 년, 아마도 최대 4만 년 전까지 원주민이 거주했음을 보여준다.
우비르, 부룬구이(누를랑지), 낭굴루워의 암각화 유적지는 세계적으로 뛰어난 애보리지널 암각화의 예로 인정받고 있다. 일부 그림은 최대 2만 년 전의 것으로, 지구상 어떤 집단보다도 가장 오래된 역사 기록 중 하나이다. 암각화를 가리키는 현지 애보리지널어는 "쿤빔"이다.[48][49] 이 유적지는 수천 년 동안 애보리지널 주민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했던 암석 노두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바위그늘에 그려진 그림들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그려졌다.
- 사냥 – 동물들은 종종 그 풍부함을 증가시키고 동물의 정령과 사람들을 연결시켜 성공적인 사냥을 보장하기 위해 그려졌다.
- 종교적 의미 – 일부 유적지의 그림은 특정 의식의 측면을 묘사한다.
- 이야기와 교육 – 세상에 형태를 부여한 창조 조상들과 관련된 이야기들이 그려졌다.
- 마법과 주술 – 그림은 사건을 조작하고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
- 놀이 – 놀이와 연습을 위해.
우비르는 공원 북동쪽 나다브 범람원 가장자리에 있는 암석 노두 군이다. 수천 년 동안 애보리지널 사람들에게 훌륭한 피난처를 제공했을 만한 여러 개의 큰 바위 처마가 있다. 우비르가 이스트 앨리게이터 강과 나다브 범람원과 가까이 있다는 것은 풍부한 식량을 의미하며, 이는 이곳의 많은 암각화에 반영되어 있다. 주요 갤러리에 묘사된 동물에는 바라문디, 메기, 숭어, 고아나, 뱀목거북, 돼지코거북, 바위 서식 긴꼬리주머니쥐, 왈라비, 티라시네(태즈메이니아 호랑이)가 있다.
무지개 뱀의 이미지도 있는데, 이 뱀은 많은 풍경을 창조했다고 전해지며, 장난기 많은 미미 정령과 나마르가른 자매의 이야기도 있다. 애보리지널 암각화와 관련된 많은 이야기는 매우 복잡하고 다른 이야기들과 연결되어 있다. 종종 진정한 의미는 상실되었지만, 그 모든 것은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젊은이들이나 그 지역을 지나는 사람들에게 교훈이나 경고의 역할을 한다.
부룬구이(구칭 누를랑지 암벽)는 아른험랜드 절벽의 외곽 지대에 위치해 있다. 이 큰 노두에는 길과 계단으로 연결된 여러 개의 피난처가 있다. 이 피난처에는 창조 조상을 다루는 여러 개의 인상적인 그림이 있다. 이러한 작품과 관련된 이야기 중 일부는 특정 애보리지널 사람들에게만 알려져 있으며 비밀로 남아 있다.
안방방 빌라봉은 누를랑지 암벽의 그늘에 있으며, 다양한 야생 동물이 서식하고 있어 전통적인 애보리지널 사람들에게 충분한 식량을 제공했을 것이다.
낭굴루워는 누를랑지 근처의 작은 암각화 유적지로, 여러 가지 암각화 양식을 보여준다. 여기에는 손바닥 그림, 큰 머리 장식을 하고 창과 부메랑을 들고 있는 역동적인 인물, 나만디 정령과 알카이코(네 개의 팔과 뿔 모양의 돌출부를 가진 여성 정령)를 포함한 신화적인 인물의 묘사가 포함된다. 또한 닻 사슬과 뒤에 따라오는 작은 배를 가진 2층 범선을 묘사한 흥미로운 "접촉 미술"의 예도 있다.

원주민이 그린 암벽화가 이 '''카카두 국립공원''' 안에 3000점 이상 발견되었다. 그려진 그림은 시대에 따라 모티브와 기법이 다르지만, 그중에서도 유명한 것은 '''X선 기법'''으로 그려진 암벽화이다. X선 기법으로 그려진 것은 주로 기원전 5000년 이후의 것으로, 민물고기나 거북, 캥거루의 골격과 내장이 표현되어 있다.
6. 보존 및 관리
카카두 국립공원은 환경보호 및 생물다양성 보존법 1999(EPBC 법)에 따라 제정되었으며, 원주민 전통 소유주와 국립공원 국장 간의 공동 관리 체계를 통해 관리된다. 국장은 오스트레일리아 공원청(Parks Australia)을 통해 연방 국립공원을 관리한다.[29] 오스트레일리아 공원청과 카카두의 원주민 전통 소유주들은 공원의 공동 관리 원칙에 전념하고 있으며, 이는 카카두 관리 계획에 명시되어 있다.[29]
EPBC 법에 따라 원주민 토지에 있는 공원에는 관리위원회를 설립할 수 있다. 1989년에 설립된 카카두 관리위원회는 공원 내 토지의 원주민 전통 소유주를 대표하는 원주민 다수(15명 중 10명)로 구성되어 있다. 위원회는 공원 관리 정책을 결정하고, 국장과 함께 공원 관리 계획을 수립한다. 관리 계획은 공원의 주요 정책 문서로, 전략적 또는 장기적 목표와 전술적 또는 일상적 목표 사이의 균형을 추구한다.
카카두의 일상적인 관리는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의 지속가능성, 환경, 수자원, 인구 및 지역 사회부 산하 부서인 오스트레일리아 공원청에 고용된 사람들이 담당한다. 카카두 직원의 약 3분의 1은 원주민이다.
2010년 4월부터 카카두 국립공원은 공원 환경의 자연 및 문화적 가치를 관리하고 방문객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공원 이용료를 다시 도입했다.
카카두 국립공원은 물소, 멧돼지, 갈대 개구리와 같은 외래 동물과 ''미모사 피그라''(''Mimosa pigra''), 파라그래스(''Urochloa mutica'') 같은 침입성 잡초로 인해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브럼비 또한 옐로 워터를 포함한 국립공원 지역에 서식한다.
세계에서 가장 생산적인 우라늄 광산 중 하나인 레인저 우라늄 광산은 공원으로 둘러싸여 있어 방사성 폐수 처리와 관련된 관리 문제를 야기한다.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 사건으로 오염된 폐수가 공원 습지로 유출될 가능성은 공원의 생물다양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57]
19세기와 20세기 동안 아시아 물소 도입, 악어 사냥, 광업, 소규모 벌목, 관광 등 인간의 영향이 있었다. 물소는 대부분 근절되었고 악어 개체 수는 성공적으로 회복되었지만, 광업과 관광은 여전히 경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카카두 국립공원 지하에는 대규모 우라늄 광상이 존재한다. 日豪ウラン資源開発(닛쇼 우라늄 자원 개발) 등에 의해 세계유산 등록과 동시에 굴착이 시작되었으나, 경관 훼손과 방사능 오염으로 인한 환경 파괴 우려로 1998년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위기 유산 지정이 검토되기도 했다. 현재 핵심 지역에서의 굴착은 중단되었지만, 완충 지역에서의 굴착은 계속되고 있으며, 유네스코의 세계유산센터는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카카두 국립공원의 원주민들은 수천 년 동안 불을 토지 관리 도구로 사용해 왔다. 이들은 불을 이용해 먹잇감을 몰아내고, 불이 지나간 지역에 빠르게 재생되는 풀은 왈라비를 유인한다. 휘파람 매와 같은 맹금류도 불을 이용하며, 흰목풀밭참새와 같은 종들은 화재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기도 한다. 원주민들은 하나의 큰 화재보다 많은 작은 화재가 더 낫다고 믿는다.[1] 국립공원은 전통적인 소유주들과 협의하여 계획적인 방화를 실시한다.
6. 1. 보호 및 소유권

카카두 국립공원은 1970년대부터 여러 단계에 걸쳐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33] 1979년부터 1991년 사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어 국제적으로 그 문화적, 자연적 가치를 인정받았다.[14] 세계유산 등재는 1981년 1단계, 1987년 1, 2단계, 1992년 1, 2, 3단계로 점진적으로 확대되었다.[15]
1988년부터 1991년까지 코로네이션 힐과 엘 셰라나 지역에서 BHP의 금 탐사 및 채굴을 위한 제외구역이 설정되었으나,[16] 환경, 사회, 원주민 관점에서 여러 단체의 반대에 부딪혔다. 광산업 종사자와 일부 경제학자들은 이를 지지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자연보존재단 멜버른 사무소의 린지 몰리슨을 중심으로 '''카카두 행동 그룹'''(KAG)이 결성되어 정기적인 회의를 열고,[17] 공개 회의를 통해 반대 여론을 확산시켰다.[18][19][20] 몰리슨은 에이지 신문의 "편집자에게 보내는 편지"란에 기고문과 반박문을 게재하며 활동했다.[21][22] 이 단체는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의 감시를 받았으며, 회의 기록은 비밀리에 보관되었다 (2026년 공개 예정).[23]
KAG의 활동을 포함한 여론전에 힘입어 3단계 내 제외 지역 규모는 점차 축소되었고, 1991년 5월 밥 호크 총리가 각료 회의에서 채굴 제안을 거부하면서 완전히 철회되었다.[24] 이는 그해 말 그의 총리직 교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25] 해당 지역은 1992년 카카두 국립공원 3단계 구역에 포함되었다.[15]
자빌루카의 별도 제외 구역에서는 우라늄 채굴이 제안되었으나, 이 역시 무산되어 1996년 공원에 추가되었다. 코로네이션 힐의 선례가 이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26] 지역 원주민 가구주족의 빅 빌 나이지는 자빌루카 광산 반대 및 공원 포함 운동의 핵심 지도자였다.[27] 2011년에는 우라늄 광산 건설이 제안되었던 쿵가라 지역이 세계유산 지역에 추가되었다.[28]
카카두 토지의 약 절반은 「1976년 원주민 토지 권리법」에 따른 원주민 소유 토지이다. 나머지 토지 대부분은 2022년 3월까지 원주민들의 토지 소유권 청구 대상이었다. 2022년 3월 24일, 켄 와이엇 원주민 담당 장관은 공원 প্রায় 절반을 원주민 전통 소유주들에게 공식 반환하는 의식을 거행했다. 이들은 리밍간/미닛자, 무럼버르, 카른디지벌,[30] 유흘만지,[31] 워른곰구, 볼모, 워크바바르, 마지바,[32] 우위니밀, 부니지, 진디비, 미라르 쿤제이미, 다지바쿠 부족들이다. 원주민 소유 공원 지역은 전통 소유주가 국립공원 국장에게 임대하여 관리한다.[33]
6. 2. 관리
이 공원은 1970년대부터 여러 단계에 걸쳐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33] 카카두 국립공원의 문화적 및 자연적 가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면서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카카두는 1979년부터 1991년 사이 여러 단계에 걸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14], 이들 지역은 추가 지정됨에 따라 세계유산으로서의 지위도 점진적으로 확대되었다. (1981년 1단계, 1987년 1단계와 2단계, 1992년 1단계, 2단계, 3단계)[15]1988년부터 1991년까지 코로네이션 힐(Coronation Hill)과 엘 셰라나(El Sherana)에서 BHP가 금 채굴 탐사 및 채굴을 할 수 있도록 제외구역이 설정되었다.[16] 환경, 사회 및 원주민의 관점에서 여러 단체가 이 제안에 반대했지만, 광산업 종사자와 일부 경제학자들은 이를 지지했다. 빅토리아주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자연보존재단(Australian Conservation Foundation) 멜버른 사무소에서 린지 몰리슨(Lindsay Mollison)이 주도하여 '''카카두 행동 그룹'''(Kakadu Action Group, KAG)이 결성되었고, 정기적인 회의가 열렸다.[17] 이 그룹은 공개 회의를 열어 제안에 대한 반대 여론을 확산시키려 했다.[18][19][20] 몰리슨은 수년 동안 에이지(The Age) 신문의 "편집자에게 보내는 편지"(Letters to the Editor)란에 기고문과 반박문을 게재하며 참여했다.[21][22] 이 단체는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의 감시를 받았으며, 회의 기록은 정부가 비밀리에 보관하고 있다 (2026년 공개 예정).[23]
KAG의 기여를 포함한 여론전을 통해 제안된 3단계 내 제외 지역의 규모는 점차 축소되었고, 결국 1991년 5월 당시 총리인 밥 호크(Bob Hawke)가 각료 회의에서 채굴 제안을 거부하면서 완전히 철회되었다.[24] 이러한 행동은 그해 말 그의 교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25] 해당 지역은 1992년 카카두 국립공원 3단계 구역에 포함되었다.[15] '''카카두 행동 그룹'''의 활동은 채굴 금지와 공원 확장에 기여했다.
하지만 자빌루카(Jabiluka)의 별도 제외 구역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이곳에서는 우라늄 채굴이 제안되었으나 최종적으로 무산되었고, 카카두의 이 지역은 1996년 공원에 추가되었다. 코로네이션 힐(Coronation Hill)에서 설정된 선례가 이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26] 지역 원주민 가구주족(Gaagudju)의 빅 빌 나이지(Big Bill Neidjie)는 제안된 자빌루카 광산에 반대하고 해당 지역을 공원에 포함시키기 위한 운동에서 중요한 지도자였다.[27]
2011년에는 우라늄 광산 건설이 제안되었던 쿵가라(Koongarra) 지역이 세계유산 지역에 추가되었다.[28]
카카두 국립공원은 '''환경보호 및 생물다양성 보존법 1999'''(EPBC 법)에 따라 공포되었으며, 원주민 전통 소유주와 국립공원 국장 간의 공동 관리 체계를 통해 관리된다. 국장은 오스트레일리아 공원청(Parks Australia)을 통해 연방 국립공원을 관리한다.[29] 오스트레일리아 공원청과 카카두의 원주민 전통 소유주들은 공원의 공동 관리 원칙에 전념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협정은 카카두 관리 계획에 강조되어 있다.[29]
EPBC 법은 원주민 토지에 있는 공원에 대해 관리위원회를 설립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공원 내 토지의 원주민 전통 소유주를 대표하는 원주민 다수(15명 중 10명)로 구성된 카카두 관리위원회는 1989년에 설립되었다. 위원회는 공원 관리 정책을 결정하며, 국장과 함께 공원 관리 계획을 수립할 책임이 있다. 관리 계획은 공원의 주요 정책 문서이며, 전략적 또는 장기적 목표와 전술적 또는 일상적 목표 간의 균형을 추구한다.
카카두의 일상적인 관리는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의 지속가능성, 환경, 수자원, 인구 및 지역 사회부(Department of Sustainability, Environment, Water, Population and Communities) 산하 부서인 오스트레일리아 공원청에 고용된 사람들이 수행한다. 카카두 직원의 약 3분의 1은 원주민이다.
카카두 국립공원은 공원 환경의 자연 및 문화적 가치를 관리하고 방문객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2010년 4월부터 공원 이용료를 재도입했다.
6. 3. 환경 문제 및 위협
카카두 국립공원은 특히 최근 수십 년 동안 토착 서식지를 위협하는 여러 침입종의 영향을 받았다. 물소와 멧돼지(Sus scrofa), 그리고 최근에는 갈대 개구리를 포함한 외래 동물들이 서식지를 훼손했다. 침입성 잡초로는 톱엔드 지역 800km2를 포함하여 카카두의 광대한 지역을 뒤덮고 있는 ''미모사 피그라''(''Mimosa pigra'')와 카카두 조류의 먹이를 밀어내는 파라그래스(''Urochloa mutica'')가 있다. ''살비니아 몰레스타''는 마겔라 범람원에 만연해 있다. 브럼비도 옐로 워터를 포함한 국립공원 지역에 서식한다.세계에서 가장 생산적인 우라늄 광산 중 하나인 논란의 레인저 우라늄 광산은 공원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안전하게 처리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현재와 미래 모두에 걸쳐 중요한 관리 과제를 제시한다.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 사건으로 오염된 폐수가 공원 습지로 유출될 가능성이 높아지면 공원의 생물다양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57]

19세기와 20세기 동안 인간의 영향은 상당했다. 동남 아시아에서 들여온 아시아 물소는 취약한 범람원과 습지를 손상시켰다. 그 이후로 물소는 이 지역에서 대부분 근절되어 토지가 스스로 복구되고 있다. 1972년 이후 금지된 악어 사냥은 악어 개체 수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40년 정도 보호된 후 악어 개체 수는 매우 성공적으로 회복되어 일부에서는 개체 수가 과다하다고 생각한다.
광업은 경관에 명백한 영향을 미치지만, 운영 중인 우라늄 광산은 레인저(Ranger) 광산 하나만 남아 있다. 광산 운영자는 운영이 종료되면 지역을 완전히 복구해야 한다. 20세기 초에는 소규모 벌목이 있었지만, 그 흔적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관광은 수십만 명의 방문객이 매년 방문하는 카카두 국립공원에 상당한 인간의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도로, 트랙, 해설 안내판과 대피소, 숙박 시설, 통신 및 기타 서비스와 같은 기반 시설을 제공해야 한다.
카카두 국립공원 지하에는 대규모 우라늄 광상이 있으며, 日豪ウラン資源開発(닛쇼 우라늄 자원 개발) 등에 의해 세계유산 등록과 동시에 굴착이 시작되었다. 굴착에 따른 경관 훼손과 방사능 오염에 의한 환경 파괴를 우려하여, 1998년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유산의 자원 이용 문제로 의제에 상정되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위기 유산 지정도 검토된 경위가 있다. 이후 핵심 지역에서의 굴착은 중단되었지만, 완충 지역에서의 굴착은 계속되고 있으며, 유네스코의 세계유산센터는 현재도 모니터링을 계속하고 있다.
6. 4. 화재 관리
카카두 국립공원의 풍경에는 불이 포함되어 있다. 공원에는 광대한 삼림 지대와 초원이 있으며, 오랫동안 건조하고 더운 날씨에 노출된다. 이 지역의 식물상은 잦은 화재에 적응해 왔다.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의 화재는 남부보다 위협적이지 않은데, 많은 나무들이 상당히 내화성이 있고 다른 식물들은 매우 빠르게 재생되기 때문이다.국립공원은 수천 년 동안 불을 토지 관리 도구로 사용해 온 전통적인 소유주들과 협의하여 계획적인 방화를 실시한다. 불은 원주민들에게 중요한 사냥 도구이며, 먹잇감을 몰아내는 데 사용된다. 또 다른 이점은 불이 지나간 지역에 빠르게 재생되는 풀의 어린 싹이 왈라비를 명확하게 정의된 지역으로 유인한다는 것이다. 휘파람 매와 같은 맹금류도 불을 이용하여 작은 동물들을 몰아내며, 보통 많은 수가 화재 전선을 선회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흰목풀밭참새와 같은 다른 종들은 너무 많은 화재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했다. 원주민들은 불이 풍경을 "정리"하는 데 필요하다고 이해하며, 하나의 큰 화재보다 많은 작은 화재가 더 낫다고 믿는다.[1]
7. 관광
카카두 국립공원의 이름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애보리지니) 언어인 가구드주어(Gaagudju language)에서 유래했다. 현재 가구드주어를 사용하는 부족은 사라졌지만, 그 후손들은 여전히 카카두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공원의 기후는 크게 우기와 건기로 나뉜다. 우기(10월~4월)에는 관광이 불가능하지만, 건기(5월~9월)에는 관광이 가능하다. 원주민인 비닌지(Bininj)와 뭉구이(Mungguy) 부족은 이 지역의 계절을 다음 6가지로 구분한다.
계절명 | 시기 | 특징 |
---|---|---|
구누멜렝(Gunumeleng) | 10월 중순~12월 하순 | 몬순 계절 초반. 덥고 오후에는 뇌우가 몰아친다. |
구드주그(Gudjewg) | 1월~3월 | 몬순 계절. 뇌우가 잦고 강우량이 많으며 홍수가 발생한다. 이 시기의 온도와 습도는 생물의 성장에 필수적이다. |
방게렝(Banggerreng) | 4월 | 홍수가 발생하고 강풍이 풀을 휩쓴다. |
예게(Yegge) | 5월~6월 중순 | 습도가 낮고 서늘하다. 원주민들은 "땅을 정화한다"는 의미로 일부 지역에 불을 지르고 방목을 시작한다. |
우르겐(Wurrgeng) | 6월 중순~8월 중순 | 비교적 춥고 건조하다. 개울물이 말라 홍수가 멈춘다. |
구룽(Gurrung) | 8월 중순~10월 중순 | 덥고 건조한 계절. |
이 지역은 원주민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자연 경관뿐 아니라 원주민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독특한 국립공원이다. 독특한 자연 경관을 자랑하는 옐로우 워터 빌라봉 외에도 원주민의 암벽화 등을 볼 수 있다.
7. 1. 주요 관광 명소
카카두 국립공원은 호주 북부의 주요 관광 명소로, 2005년 방문객 수는 20만 2천 명이었다. 카카두의 극적인 풍경, 원주민 문화적 중요성, 다양하고 풍부한 야생 동물이 방문객들을 끌어들인다. 공원 내에는 마구크(Maguk), 군롬 폭포(Gunlom Falls), 트윈 폭포(Twin Falls), 짐 짐 폭포(Jim Jim Falls) 등 인기 있는 폭포와 협곡이 많이 있다.카카두 국립공원은 호주에서 가장 훌륭한 원주민 암벽화 예술의 사례를 보유하고 있으며, 누랑지(Nourlangie)와 우비르(Ubirr) 유적지는 공원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곳 중 하나이다. 옐로우 워터 빌라봉(Yellow Water Billabong), 쿠인다(Cooinda)의 야생 동물 크루즈, 마무칼라 습지(Mamukala Wetlands)나 앤뱅뱅 빌라봉(Anbangbang Billabong)과 같은 곳에서 카카두의 다양한 야생 동물을 관찰할 수 있다. 카카두 지역은 호주 조류 종의 약 30%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세계 최고의 조류 관찰 지역 중 하나이기도 하다.

큰 바다악어도 흔하며, 방문객들은 옐로우 워터와 이스트 앨리게이터 강(East Alligator River)에서 이들을 볼 가능성이 높다. 영화 ''악어 헌터(Crocodile Dundee)''가 이곳에서 촬영된 것도 우연이 아니다. 이러한 동물들의 현지 원주민들에게 대한 중요성과 영화의 성공은 자비루(Jabiru)에 있는 가구주 악어 호텔(Gagudju Crocodile Hotel)의 디자인에 영감을 주었다.[50] 악어는 여러 건의 치명적인 공격을 일으킨 바 있으므로 방문객들은 악어 주변에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레크리에이션 낚시는 카카두 국립공원 내에서 인기 있는 활동이다. 주요 대상 어종은 바라문디(barramundi)이며, 가장 인기 있는 장소는 옐로우 워터, 사우스 앨리게이터 강, 이스트 앨리게이터 강이다. 카카두 국립공원에서는 사냥이 허용되지 않는다.
공원에는 주로 자비루(Jabiru) 마을에 여러 숙박 시설이 있으며, 방문객의 필요를 충족하는 다양한 서비스도 제공된다. 방문객들은 인정받는 투어 운영업체를 통해 카카두 국립공원을 여행하거나 직접 운전할 수 있다. 공원의 많은 지역은 일반적인 2륜 구동 차량으로 접근할 수 있지만, 트윈 폭포(Twin Falls), 짐 짐 폭포(Jim Jim Falls), 군롬(Gunlom)과 같은 지역은 4륜 구동 차량이 필요하다. 방문객들은 다윈(Darwin)에서 자비루(Jabiru)를 거쳐 캐서린(Katherine)으로 이어지는 약 900km의 루프 코스인 네이처스 웨이(Nature's Way) 관광 드라이브를 통해 카카두 국립공원을 경험할 수 있다.
7. 2. 시설
카카두 국립공원에는 주로 자비루 마을에 여러 숙박 시설이 있으며, 방문객의 필요를 충족하는 다양한 서비스도 제공된다. 방문객들은 인정받는 투어 운영업체를 통해 카카두 국립공원을 여행하거나 직접 운전할 수 있다. 공원의 많은 지역은 일반적인 2륜 구동 차량으로 접근할 수 있지만, 트윈 폭포(Twin Falls), 짐 짐 폭포(Jim Jim Falls), 군롬(Gunlom)과 같은 지역은 4륜 구동 차량이 필요하다. 방문객들은 다윈(Darwin)에서 자비루를 거쳐 캐서린(Katherine)으로 이어지는 약 900km의 루프 코스인 네이처스 웨이(Nature's Way) 관광 드라이브를 통해 카카두 국립공원을 경험할 수 있다.
카카두 국립공원은 아넘 고속도로(Arnhem Highway)를 통해 다윈과, 카카두 고속도로(Kakadu Highway)를 통해 파인 크릭과 캐서린과 연결되어 있다. 두 도로는 모두 포장 도로이며, 우기에는 통행이 제한될 수 있다.
자비루 마을에는 다양한 숙박 시설, 주유소, 경찰서, 의료 클리닉, 그리고 여러 상점이 있는 쇼핑센터가 있다. 이 마을은 카카두 국립공원 설립 이전에 건설된 우라늄 광산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광산 근로자들과 국립공원 활동 및 관광객들을 위한 기반 시설을 제공한다. 자비루에는 소규모 공항이 있어 매일 관광 비행이 운영된다.
쿠인다와 사우스 얼리게이터와 같은 다른 작은 관광 센터는 제한적인 시설을 제공한다. 카카두 고속도로를 따라 자비루에서 남쪽으로 50km 떨어진 쿠인다는 가구주 악어 호텔(Gagudju Crocodile Hotel) 롯지 쿠인다, 옐로우 워터 크루즈(Yellow Water Cruises)와 와라드잔 문화센터(Warradjan Cultural Centre)가 있다. 쿠인다에서는 연료와 제한적인 물품을 구입할 수 있으며, 관광 비행을 위한 소규모 활주로도 있다. 아넘 고속도로를 따라 자비루에서 서쪽으로 약 40km 떨어진 사우스 얼리게이터에는 호텔과 주유소가 있다. 우비르(Ubirr) 암각화 유적지(Ubirr Art Site)와 케이힐스 크로싱(Cahills Crossing) 근처의 보더 스토어(Border Store)는 자비루에서 북쪽으로 50km 떨어진 곳에 있는 일반 상점이다.
카카두 국립공원 전역에는 다양한 지정 야영장이 있다. 자비루, 쿠인다, 사우스 앨리게이터에는 모두 상업적 야영장이 있으며, 이 지역의 대부분의 중요한 자연 명소와 가깝다. 공원 내 일부 야영장은 샤워 시설과 화장실 시설이 있어 소정의 요금을 부과하지만, 다른 야영장은 무료이지만 시설이 제한적이거나 없을 수 있다. 야영장 목록은 카카두 국립공원의 글렌 머컷(Glenn Murcutt)이 설계한 보왈리 방문자 센터(Bowali Visitor Centre) 또는 웹사이트에서 얻을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errestrial Protected Areas by Reserve Type in Northern Territory (2016)
http://www.environme[...]
Australian government
2018-01-15
[2]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Sustainability, Environment, Water, Population and Communities
2011-03-28
[3]
웹사이트
Kakadu National Park
https://rsis.ramsar.[...]
2018-04-25
[4]
웹사이트
Kakadu National Park, NT
https://www.aussieto[...]
2021-03-14
[5]
서적
Native Tribes of the Northern Territory of Australia
https://books.google[...]
Library of Alexandria
2021-03-14
[6]
웹사이트
No ordinary piece of bush: the high price of Coronation Hill
https://www.abc.net.[...]
ABC
2023-11-04
[7]
뉴스
Cabinet papers 1990-91: Hawke's fight to keep mining out of Kakadu helped unseat him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 Media Limited
2023-11-04
[8]
간행물
Mining in Kakadu: Lessons from Coronation Hill
https://australiains[...]
2023-11-04
[9]
웹사이트
Jabiluka Fight for Country
https://commonslibra[...]
2023-07-07
[10]
웹사이트
The Jabiluka Blockade – 22 years on
https://commonslibra[...]
2023-07-07
[11]
웹사이트
Kakadu National Park Northern Territory, Australia
https://www.webarchi[...]
UNESCO
2011-03-28
[12]
뉴스
Munga-Thirri-Simpson desert declared Australia's biggest national park after 10-year campaign
https://www.theguard[...]
2021-11-28
[13]
웹사이트
Landforms of Kakadu Stone Country
http://www.environme[...]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Water, Heritage and the Arts
2012-01-18
[14]
웹사이트
Amazing Facts
https://parksaustral[...]
Parks Australia (Commonwealth of Australia)
2023-11-12
[15]
웹사이트
World Heritage Places - Kakadu National Park
https://www.dcceew.g[...]
2023-11-06
[16]
웹사이트
BHP WANTS CORONATION TO PROCEED
https://www.afr.com/[...]
Financial Review
2023-11-04
[17]
뉴스
KAG Meetings Glenferrie
https://www.newspape[...]
The Age
2023-11-04
[18]
뉴스
KAG: Wilderness Society Meeting, St Kilda
https://www.newspape[...]
The Age
2023-07-26
[19]
뉴스
Kakadu: World Heritage Under Threat
https://www.newspape[...]
The Age, p. 41
2023-11-04
[20]
뉴스
Wilderness: KAG
https://www.newspape[...]
The Age, p 31
2023-11-04
[21]
뉴스
Mining Industry not disadvantaged
https://www.newspape[...]
The Age, p 12
2023-11-04
[22]
뉴스
Kakadu - public puts pressure brakes on mining development
https://www.newspape[...]
The Age, p 12
2023-11-04
[23]
웹사이트
KAG Files
https://catalogue.nl[...]
2023-11-04
[24]
뉴스
Cabinet papers 1990-91: Hawke's fight to keep mining out of Kakadu helped unseat him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 Media Limited
2023-11-04
[25]
웹사이트
Hawke stands by decision on Kakadu
https://www.9news.co[...]
AAP
2023-11-04
[26]
간행물
Mining in Kakadu: Lessons from Coronation Hill
https://australiains[...]
2023-11-04
[27]
웹사이트
The man who attended his own wake
https://www.smh.com.[...]
2021-10-24
[28]
웹사이트
World Heritage Places - Koongarra
https://www.dcceew.g[...]
2023-11-12
[29]
웹사이트
About us
https://parksaustral[...]
2024-08-23
[30]
웹사이트
Karndidjbal
https://www.njamed.c[...]
2022-10-17
[31]
웹사이트
Yulhmanj
https://www.njamed.c[...]
2022-10-17
[32]
웹사이트
Madjba
https://www.njamed.c[...]
2022-10-17
[33]
뉴스
Nearly half of Kakadu National Park to be handed back to Aboriginal traditional owners
https://www.abc.net.[...]
ABC News
2022-03-30
[34]
웹사이트
Travelnt.com
https://web.archive.[...]
2024-04-01
[35]
웹사이트
Kunumeleng
https://www.njamed.c[...]
Bininj Kunwok Regional Language Centre
2019-06-22
[36]
웹사이트
Kudjewk
https://www.njamed.c[...]
Bininj Kunwok Regional Language Centre
2019-06-22
[37]
웹사이트
Bangkerreng
https://www.njamed.c[...]
Bininj Kunwok Regional Language Centre
2019-06-22
[38]
웹사이트
Wurrkeng
https://www.njamed.c[...]
Bininj Kunwok Regional Language Centre
2019-06-22
[39]
웹사이트
Kurrung
https://www.njamed.c[...]
Bininj Kunwok Regional Language Centre
2019-06-22
[40]
웹사이트
'Cochlospermum fraseri' Planch. BIXACEAE
http://eflora.nt.gov[...]
Government of the Northern Territory
2023-05-01
[41]
웹사이트
Kapok bush
https://parksaustral[...]
[42]
웹사이트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Water, Heritage and the Arts, Parks and reserves, Kakadu National Park
http://www.environme[...]
[43]
웹사이트
Drop in Kakadu wildlife numbers a significant concern: IUCN
https://www.abc.net.[...]
2020-06-21
[44]
웹사이트
IBA: Kakadu Savanna
https://web.archive.[...]
Birds Australia
2011-07-13
[45]
웹사이트
Cane Toad impacts in the Top End
http://www.abc.net.a[...]
[46]
뉴스
Woman who escaped Bali bomb killed by crocodile
https://www.irishtim[...]
[47]
웹사이트
CNN.com - German tourist taken by crocodile - Oct. 22, 2002
http://www.cnn.com/2[...]
[48]
웹사이트
bim
https://www.njamed.c[...]
Bininj Kunwok Regional Language Centre
2021-11-05
[49]
웹사이트
Rock art
https://parksaustral[...]
[50]
웹사이트
Kakadu's World Famous Crocodile Hotel Celebrates 30th Anniversary
https://kakadutouris[...]
Kakadu Tourism
2018-09-13
[51]
웹사이트
Place Names Register Extract - "Kakadu"
https://www.ntlis.nt[...]
Northern Territory Government
2019-05-02
[52]
웹사이트
Kakadu
http://www.ntlis.nt.[...]
Northern Territory Government
2005-02
[53]
웹사이트
Localities within West Arnhem Shire (sic) (map)
https://placenames.n[...]
Northern Territory Government
2007-04-02
[54]
Census
[55]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environme[...]
Department of Sustainability, Environment, Water, Population and Communities
2011-03-23
[56]
웹사이트
Kakadu National Park Northern Territory, Australia
http://www.unep-wcmc[...]
UNESCO
[57]
웹사이트
Kakadu National Park
https://whc.unesco.o[...]
[58]
웹사이트
Kakadu National Park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1-01-01
[59]
뉴스
川横切ろうとした男性、大型ワニに襲われ死亡 豪北部
https://www.afpbb.co[...]
AFP
2017-01-20
[60]
웹사이트
Kakadu National Park Northern Territory, Australia
https://www.webarchi[...]
UNES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