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탁세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탁세인은 고리 모양의 분자(매크로사이클)가 막대 모양의 분자(덤벨)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분자 구조를 의미한다. 로탁세인은 엔트로피 감소로 인해 합성이 어렵지만, 캡핑, 클리핑, 슬리핑, 액티브 템플릿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합성된다. 로탁세인은 분자 스위치, 분자 셔틀, 분자 모터, 약물 전달 시스템 등 분자 전자공학 및 재료 과학 분야에서 폭넓게 응용될 수 있으며, 외부 자극을 통해 매크로사이클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로탁세인은 구성 요소의 개수에 따라 [2]로탁세인, [3]로탁세인 등으로 명명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자 위상수학 - 초나선
  • 분자 위상수학 - 기계적으로 맞물린 분자 구조
    기계적으로 맞물린 분자 구조는 공유 결합 없이 물리적으로 얽혀 분자 간 얽힘을 통해 특이한 성질을 보이는 카테네인, 로탁세인, 분자 매듭 등의 구조체이며, 분자 반응성, 비공유 결합에 영향을 주어 분자 스위치, 분자 머신, 신소재 개발 등에 응용될 수 있다.
  • 분자 일렉트로닉스 - 유기 반도체
    유기 반도체는 탄소 기반 유기 분자로 구성된 반도체 물질로, 넓은 밴드갭을 가지며 전하 주입, 도핑, 광여기 등을 통해 반도체 특성을 나타내고, OLED, 유기 태양 전지, OFET 등의 광전자 소자에 활용되며 제작 용이성, 유연성, 저렴함 등의 장점을 가진다.
  • 분자 일렉트로닉스 - 전도성 고분자
    전도성 고분자는 전기 전도성을 띠는 고분자로서, 폴리아세틸렌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π-공액 구조와 도핑으로 인한 전하 이동으로 전도성을 나타내고 OLED, 유기 태양 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지만 가공성과 안정성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한 물질이다.
  • 유기 반도체 - 안트라센
    안트라센은 석탄 타르에서 발견되거나 유기 합성으로 생산되는 삼환 방향족 탄화수소로, 안트라퀴논 생산의 전구체, 유기 반도체, 섬광체, 목재 방부제, 살충제, 코팅제 등으로 사용되지만 피부 자극성이 있어 유럽화학물질청의 고위험 우려 물질 후보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 유기 반도체 - 테트라센
    테트라센은 지그문트 가브리엘과 에른스트 로이폴트가 1898년에 합성한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로, 초기에는 나프타센으로 불렸으나 에리히 클라르에 의해 테트라센으로 명명되었으며, 논란에도 불구하고 양극성 발광 트랜지스터 개발 및 태양전지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로탁세인
일반 정보
화학 구조화학
분자 구조분자
형태아령
특징분자 간 결합
구조적 특징고리 모양 분자가 실 모양 분자를 꿰뚫고 있음
두 분자는 기계적으로 얽혀 분리될 수 없음
명명법
어원라틴어 'rota' (바퀴)
'axis' (축)
IUPAC 명명법'n'-([고리],[축])로테인
추가 정보
관련 구조카테네인
응용 분야분자 기계, 분자 전자공학

2. 역사

인공 로탁세인은 1967년 해리슨 등에 의해 처음 합성되었다.[26] 이때는 덤벨 모양 분자의 두 부분이 매크로사이클(고리 모양 분자) 존재 하에 반응할 때, 일부 분자가 우연히 고리를 통과하여 연결될 것이라는 통계적 확률에 의존하는 방식이었다.[2] 이 방법은 매우 낮은 수율을 보였는데, 예를 들어 매크로사이클을 고체 지지체에 붙이고 덤벨 분자의 반쪽 부분들과 70번 반응시킨 후 지지체에서 분리했을 때 겨우 6%의 수율을 얻는 데 그쳤다. 이 때문에 초기에는 로탁세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못했다.

이후 합성 화학, 초분자 화학, 그리고 분석 화학(특히 질량 분석) 분야가 발전하면서 로탁세인을 효율적으로 합성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초기에는 고리 모양 분자의 전구체와 축 모양 분자의 전구체를 공유 결합으로 연결하여 로탁세인 구조를 만든 뒤, 이를 다시 분리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했다.

로탁세인 구조가 형성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과정이므로 자연적으로 일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효율적인 합성을 위해서는 고리 분자와 축 분자 사이에 특정 상호 작용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늘날 대부분의 로탁세인은 이러한 분자 간 상호 작용을 이용하여 합성된다. 사용되는 상호 작용의 종류는 분자의 조합에 따라 다르며, 주로 수소 결합, 스태킹, 배위 결합, 소수성 상호 작용, 쿨롱 힘 등이 이용된다.[3]

분자 간 상호 작용을 이용한 로탁세인 합성을 처음 시도한 사람은 오기노 히로시이다. 그는 α 및 β-사이클로덱스트린과 메틸렌 사슬 사이에 작용하는 소수성 상호 작용을 이용하여 용액 내에서 유사 로탁세인을 형성시킨 후, 축 분자의 양쪽 끝에 코발트 착체를 배위 결합시켜 빠져나가지 못하게 막는 방법을 사용했다.[27]

로탁세인 합성 전략은 계속 발전하여, 초기에 사용된 "캡핑"(threading-followed-by-end-capping, 말단 봉쇄법), "클리핑"(clipping), "슬리핑"(slipping) 방법 외에도[3][4][5] 최근에는 고리 분자의 내부 공간에서 촉매 반응을 일으켜 덤벨 모양 분자를 합성하는 "Active metal 법"과 같은 새로운 방법도 개발되었다.[6]

다양한 분자들이 로탁세인 합성에 활용되고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유사하게 소수성 내부 공간을 가진 쿠커비투릴김기문 교수 연구팀이 선택적 합성법을 개발한 이후 관련 연구가 크게 진전되었다. 또한, 최근 일본 화학자들이 개발한 새로운 호스트 분자인 필러 아렌 역시 로탁세인 합성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3. 합성 방법

1967년에 보고된 최초의 로탁세인 합성은 통계적 확률에 의존하는 방식이었다. 이는 덤벨 모양 분자의 두 부분을 매크로사이클(거대고리 분자) 존재 하에 반응시켜, 일부 분자가 우연히 고리를 통과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방법이었다.[2] 이 방식은 수율이 매우 낮아(초기 연구에서는 6%[2]), 합리적인 양을 얻기 위해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했다.

그러나 이후 로탁세인 합성은 크게 발전했다. 로탁세인 구조 형성은 일반적으로 엔트로피 감소로 인해 열역학적으로 불리하지만, 고리 분자와 축 분자 사이의 다양한 분자 간 상호 작용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합성이 가능해졌다. 주로 사용되는 상호 작용으로는 수소 결합, 금속 배위, 소수성 상호 작용, π-π 스태킹, 쿨롱 상호 작용 등이 있으며,[3] 이러한 상호 작용은 구성 요소들을 미리 배열(preorganization)하여 반응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1981년 오기노 히로시는 분자 간 상호 작용에 기반한 로탁세인 합성을 최초로 수행했는데, α 및 β-사이클로덱스트린과 메틸렌 사슬 사이의 소수성 상호 작용을 이용하여 유사 로탁세인(pseudorotaxane)을 형성시킨 후, 축 분자 양 끝에 코발트 착체를 배위시켜 말단을 막는 방식이었다.[27]

로탁세인 합성의 주요 전략: "캡핑", "클리핑", "슬리핑", "액티브 템플릿"


현재 로탁세인을 합성하는 주요 전략은 다음과 같다.[3][4][5]

  • 캡핑 (Capping): 열역학적으로 유도되는 템플릿 효과를 이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먼저 축 분자(실, thread)가 매크로사이클 내부에 비공유 결합(예: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소수성 내부 공간 활용)으로 유지되는 동적 복합체, 즉 유사 로탁세인(pseudorotaxane)을 형성한다. 그 후, 축 분자의 양쪽 끝에 부피가 큰 그룹(스토퍼, stopper)을 반응시켜 매크로사이클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막아 로탁세인을 완성한다.[8]
  • 클리핑 (Clipping): 캡핑과 유사하지만 순서가 반대이다. 완성된 덤벨 모양의 축 분자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매크로사이클 전구체를 결합시킨 후, 이 전구체를 축 분자 주위에서 고리 닫힘 반응을 통해 완전한 매크로사이클로 만들어 로탁세인을 형성한다.[9]
  • 슬리핑 (Slipping): 로탁세인의 열역학적[10] 안정성을 이용한다. 축 분자 말단의 스토퍼가 적절한 크기일 경우, 높은 온도에서 매크로사이클이 스토퍼를 통과하여 축을 드나들 수 있다. 이 동적 평형 상태에서 온도를 낮추면,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로탁세인 구조가 운동학적으로 포획되어 분리되지 않게 된다.
  • 스내핑 (Snapping): 부피가 큰 그룹을 포함하는 실의 두 부분을 이용한다. 실의 한 부분이 매크로사이클을 통과하여 반쪽 로탁세인(semi-rotaxane)을 형성한 후, 다른 실 부분과 연결되어 로탁세인을 완성한다.




최근에는 리(Leigh) 연구 그룹 등이 새로운 합성 전략을 개발하고 있다. 액티브 템플릿 (Active Template) 합성법은 전이 금속 이온이 단순히 구성 요소를 정렬시키는 템플릿 역할뿐만 아니라, 매크로사이클 내부에서 축 분자 형성에 필요한 핵심적인 공유 결합 형성 반응을 직접 촉매하는 방식이다.[6] 즉, 금속 이온이 전구체를 엮는 템플릿 역할과 반응을 촉진하는 촉매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또한, 특정 호스트 분자를 활용한 로탁세인 합성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국의 김기문 교수는 쿠커비투릴을 이용한 로탁세인 합성 연구를 주도하고 있으며,[27] 일본에서는 최근 개발된 필러아렌을 이용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로탁세인의 구조적 다양성을 넓히고 새로운 기능성을 부여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3. 1. 사용되는 분자

로탁세인을 구성하는 분자는 크게 고리 역할을 하는 환상 분자와 축 역할을 하는 축상 분자로 나뉜다.

환상 분자로는 다음과 같은 분자들이 주로 사용된다.

  • 사이클로덱스트린
  • 크라운 에테르
  • 사이클로판
  • 칼릭스아렌
  • 쿠커비투릴: 김기문에 의해 선택적인 합성법이 개발된 이후[27], 그의 연구 그룹에 의해 연구가 크게 진전되었으나, 분자 구조를 변형하기는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 필러아렌: 최근 일본인 화학자에 의해 개발된 새로운 호스트 분자로, 로탁세인 합성에 자주 이용된다.
  • 환상 아미드


축상 분자로는 다음과 같은 분자들이 많이 사용된다.

  • 폴리에틸렌 글리콜
  • 알킬기
  • 아미드
  • 암모늄 이온

4. 응용 분야

로탁세인은 그 독특한 구조 덕분에 나노 기술 분야에서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며, 특히 분자 수준에서 기계적인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어 분자 기계, 분자 스위치, 분자 셔틀 등 분자 전자공학분자 모터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12][13] 로탁세인 기반 시스템은 외부 자극(화학적[14], 광화학적[15], pH[19], 전기화학적[30] 등)에 반응하여 구조나 위치가 변하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사이클로덱스트린이나 크라운 에테르와 같은 고리 분자와 고분자 축을 결합하여 '''폴리로탁세인'''이나 '''환동 겔'''과 같은 새로운 소재를 만들거나[28], 분자의 상대적 위치 변화를 이용해 '''단분자 스위치'''로서 분자 컴퓨터에 응용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 밖에도 약물 전달 시스템, 분자 튜브, 분자 근육[16][17], 촉매, 기능성 표면, 분자 밸브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응용 연구가 진행 중이다.[29][30]

4. 1. 분자 기계

pH 제어 분자 로탁세인 셔틀의 애니메이션


로탁세인 기반 분자 기계는 논리 분자 스위치 요소 및 분자 셔틀로서 분자 전자공학에서의 잠재적 활용 가능성으로 주목받았다.[12][13] 이러한 분자 기계는 일반적으로 덤벨 형태 분자의 축 위에서 매크로사이클(고리 분자)이 움직이는 원리를 기반으로 한다. 매크로사이클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축을 따라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미끄러지듯 이동할 수 있다. 매크로사이클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로탁세인은 분자 스위치로 기능할 수 있는데, 각 위치는 서로 다른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로탁세인 기계의 작동은 다양한 외부 자극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초기 연구에서는 화학적[14] 및 광화학적 입력[15]을 이용한 조작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후 연구를 통해 pH, 광 조사, 전압 인가, 특정 첨가물 첨가, 용매의 극성 변화 등 다양한 외부 자극을 이용하여 매크로사이클의 움직임을 정교하게 제어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었다.[19] 로탁세인 기반 시스템은 분자 근육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점도 밝혀졌다.[16][17]

크라운 에테르는 양이온성 분자를 포획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로탁세인 합성에 사용된다. 프레이저 스토다트는 24원환 크라운 에테르와 2급 암모늄염을 이용하여 저극성 용매에서 효율적으로 로탁세인을 형성하는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를 응용하여 '''분자 엘리베이터'''와 같은 고차원적인 분자 기계를 개발했다. 또한, 사이클로판 계열 분자인 파라코트(스토다트가 'Blue box'라 명명)를 이용하여 π-π 스태킹 상호작용을 통해 전자 부족 방향족 고리를 포획하는 원리로 '''분자 셔틀''', '''분자 모터''', '''분자 밸브''', 분자 근육 등을 개발하는 연구도 주도했다.

분자 셔틀 연구는 1991년 스토다트 그룹이 미국 화학회지에 처음 발표한 이후[29], 1994년 네이처지에 외부 자극(전기화학적 또는 화학적 산화 환원 반응)을 통해 매크로사이클의 위치를 제어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면서[30] 본격적으로 발전했다. 현재는 가시광선을 쬐면 매크로사이클이 축 위를 계속 왕복 운동하는 분자 모터 연구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로탁세인과 카테난은 구성 분자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여러 상태를 가질 수 있어, 단분자 스위치로서 분자 컴퓨터 개발에 응용될 가능성이 기대된다. 이 외에도 약물 전달 시스템, 분자 튜브, 겔, 촉매, 기능성 표면, 분자 밸브 등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4. 2. 분자 셔틀

막대 모양 분자 위를 환상 분자가 이동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한 '''분자 셔틀'''은 분자 기계의 일종인 분자 머신으로 연구되고 있다. 분자 셔틀을 처음 발표한 것은 프레이저 스토다트 연구팀이며, 1991년 미국 화학회지에 발표되었다[29]. 이 초기 분자 셔틀은 축 분자 위를 고리 분자가 단순히 열 운동하는 형태였다.

이후 1994년, 스토다트 연구팀은 네이처지에 분자 셔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30]. 이 연구에서는 축 분자의 전기화학적 또는 화학적인 산화 환원 반응을 구동력으로 삼아, 고리 분자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발표 이후 많은 연구 그룹에서 분자 셔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는 가시광선을 쬐면 로탁세인의 축 분자 위를 고리 분자가 좌우로 계속 움직이는(셔틀링하는) 분자 모터 연구로까지 발전했다. 이 분자 모터는 가시광선 조사를 멈추면 고리 분자의 움직임이 멈추고, 축 분자 위의 특정 위치(스테이션)에 자리 잡게 된다.

분자 셔틀 합성에 자주 사용되는 분자로는 파라코트형 비스비올로겐 환상 분자와 같은 사이클로판 계열 화합물이 있다. 스토다트는 이 분자를 Blue box라고 부른다.

오늘날에는 다양한 외부 자극을 이용하여 분자 셔틀을 구동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pH, 빛 조사, 전압 인가, 특정 화학물질 첨가, 용매 극성 변화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4. 3. 기타 응용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매크로사이클을 가진 로탁세인의 구조.


로탁세인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안정적인 염료로탁세인 구조는 분자 내부 요소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장기간 사용 가능한 염료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20][21] 예를 들어,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보호된 아조 염료 로탁세인은 일반적인 아조 염료보다 안정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또한, 반응성이 높은 스퀘어레인 염료도 로탁세인 구조 내부에 위치시키면 친핵성 공격으로부터 보호되어 안정성이 향상된다.[22] 이러한 안정성 향상은 매크로사이클이 염료 분자를 외부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보호하는 절연 효과 덕분이다.
나노 기록특정 로탁세인은 나노미터 크기의 정보 저장, 즉 나노 기록 기술에 응용될 수 있다.[23] 이 로탁세인을 랭뮤어-블로젯 필름 기법을 이용해 ITO가 코팅된 유리 표면에 증착시킨다. 이후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 탐침으로 특정 부분에 양(+)의 전압을 가하면, 탐침 아래 로탁세인의 고리 부분이 덤벨 모양 분자의 다른 위치로 이동한다. 이 구조 변화로 인해 분자는 표면에서 약 0.3nm 돌출되는데, 이 높이 차이를 이용해 정보를 메모리 도트 형태로 기록할 수 있다. 다만, 이렇게 기록된 정보를 지우는 방법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폴리로탁세인과 환동 겔사이클로덱스트린은 물속에서 소수성 분자를 포획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로탁세인 합성에 널리 쓰인다. 하라다 아키라 교수 연구팀은 고분자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축 분자로 사용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 기반의 '''폴리로탁세인'''을 세계 최초로 합성했으며[28], 이는 나노튜브 연구로 이어졌다.

한편, 한국의 이토 코조 교수 연구팀을 중심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 두 분자가 연결된 이량체를 고리 분자로 사용한 '''환동 겔''' 합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환동 겔은 뛰어난 물성으로 주목받아 휴대 전화나 자동차 표면 도장재 등으로 실용화되었다.
분자 기계 및 시스템로탁세인은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구조나 위치가 변하는 특성을 이용해 다양한 분자 기계 및 시스템 개발에 활용된다.

  • 분자 엘리베이터: 프레이저 스토다트 교수 연구팀 등은 크라운 에테르가 양이온성 분자를 내부에 포획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24원자 크라운 에테르와 2급 암모늄염을 기반으로 한 로탁세인을 합성했다. 이는 분자 수준의 엘리베이터와 같은 움직임을 구현하는 연구로 이어졌다.
  • 분자 셔틀, 모터, 밸브, 근육: 주요 연구자인 스토다트 교수는 비올로겐을 포함하는 고리 모양 분자(파라코트, 일명 'Blue box')를 이용한 로탁세인 연구도 활발히 진행했다. 이 분자는 전자가 부족한 방향족 고리와 π-π 스태킹 상호작용을 통해 결합하는 특징이 있다. 이를 기반으로 분자 셔틀, 분자 모터, 분자 밸브, 분자 근육 등 다양한 분자 기계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분자 셔틀은 1991년 스토다트 교수 연구팀이 처음 발표했으며[29], 1994년에는 전기화학적 또는 화학적 산화 환원 반응을 통해 고리의 위치를 제어하는 기술이 발표되었다.[30] 이후 많은 연구 그룹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어, 현재는 가시광선 에너지를 이용하여 고리가 축 분자 위를 계속 왕복하는 분자 모터 연구로까지 발전했다. 이러한 분자 기계들은 pH 변화, 빛 조사, 전압 인가, 특정 화학물질 첨가, 용매 극성 변화 등 다양한 외부 자극으로 제어될 수 있다.

기타 응용 분야로탁세인과 카테난은 구성 요소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여러 상태를 가질 수 있어, 단일 분자 수준의 스위치로서 분자 컴퓨터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외에도 약물 전달 시스템, 분자 튜브, 겔, 촉매, 기능성 표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5. 명명법

로탁세인의 명명법은 구성 요소의 수를 대괄호 `[ ]` 안에 넣어 표시한다.[24] 예를 들어, 고리 모양 분자(링) 1개와 축 모양 분자 1개로 이루어진 로탁세인은 총 2개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2]로탁세인이라고 부른다.[25] 마찬가지로, 다이알킬포스페이트 축 분자 주위에 시아노스타 고리 분자 두 개가 결합된 경우는 [3]로탁세인으로 명명한다.

축 하나에 여러 개의 고리 분자가 결합하는 등, 다수의 구성 분자로 이루어진 로탁세인은 폴리로탁세인이라고 한다.

참조

[1] 논문 High Yielding Template-Directed Syntheses of [2]Rotaxanes
[2] 논문 Synthesis of a stable complex of a macrocycle and a threaded chain
[3] 서적 Templates in Chemistry II
[4] 논문 Threading-Followed-by-Shrinking Protocol for the Synthesis of a [2]Rotaxane Incorporating a Pd(II)-Salophen Moiety
[5] 논문 A novel synthesis of chiral rotaxanes via covalent bond formation
[6] 논문 Catalytic "active-metal" template synthesis of [2]rotaxanes, [3]rotaxanes, and molecular shuttles, and some observations on the mechanism of the Cu(I)-catalyzed azide-alkyne 1,3-cycloaddition
[7] 논문 Long-range movement of large mechanically interlocked DNA nanostructures
[8] 웹사이트 Rotaxane by capping https://www.youtube.[...] 2017-03-10
[9] 웹사이트 Rotaxane by capping 3d https://www.youtube.[...] 3D video 2017-03-10
[10] 서적 The Nature of the Mechanical Bond: From Molecules to Machin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6-11-07
[11] 논문 Synthesis of fluorescent stilbene and tolan rotaxanes by Suzuki coupling
[12] 논문 On the Way to Rotaxane-Based Molecular Motors: Studies in Molecular Mobility and Topological Chirality
[13] 논문 Transition Metal-Containing Rotaxanes and Catenanes in Motion: Toward Molecular Machines and Motors
[14] 논문 A New Glycorotaxane Molecular Machine Based on an Anilinium and a Triazolium Station
[15] 논문 Exercising Demons: A Molecular Information Ratchet
[16] 논문 A New pH-Switchable Dimannosyl [c2]Daisy Chain Molecular Machine
[17] 논문 Bridging Rotaxanes' wheels – cyclochiral Bonnanes
[18] 논문 Controlling the Chair Conformation of a Mannopyranose in a Large-Amplitude [2]Rotaxane Molecular Machine
[19] 논문 Tightening or loosening a pH-sensitive double-lasso molecular machine readily synthesized from an ends-activated [c2]daisy chain
[20] 논문 Rotaxane-encapsulated cyanine dyes: enhanced fluorescence efficiency and photostability
[21] 논문 Rotaxane-Encapsulation Enhances the Stability of an Azo Dye, in Solution and when Bonded to Cellulose
[22] 논문 Squaraine-Derived Rotaxanes: Sterically Protected Fluorescent Near-IR Dyes http://www.nd.edu/%7[...]
[23] 논문 Stable, Reproducible Nanorecording on Rotaxane Thin Films
[24] 논문 Nomenclature for Rotaxanes and Pseudorotaxanes (IUPAC Recommendations 2008)
[25] 문서 "링1개에 축2개」의 것과 「링2개에 축1개」의 것은, 모두'''[3]로타키산'''이다."
[26] 논문 Synthesis of a stable complex of a macrocycle and a threaded chain
[27] 논문 Relatively high-yield syntheses of rotaxanes. Syntheses and properties of compounds consisting of cyclodextrins threaded by .alpha, omega-diaminoalkanes coordinated to cobalt(III) complexes
[28] 논문 The molecular necklace: a rotaxane containing many threaded α-cyclodextrins
[29] 논문 A molecular shuttle.
[30] 논문 A chemically and electrochemically switchable molecular devi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