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스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스인은 9세기 동유럽에 등장한 민족 집단으로, '루스'라는 명칭은 스웨덴을 뜻하는 핀우그리아어에서 유래되었다. 루스인에 대한 기록은 부족하며, 기원에 대한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노르만설은 루스인이 스칸디나비아 출신의 바이킹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하며, 반노르만설은 슬라브족 또는 다른 민족 기원을 주장한다. 루스인은 초기에는 스칸디나비아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나, 점차 슬라브화되어 키예프 루스, 모스크바 대공국 등 동유럽 국가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루스인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등의 국가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고고학 및 유전학 연구를 통해 그들의 기원과 활동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랑기아인 - 바랑기아 친위대
바랑기아 친위대는 10세기 후반 바실리오스 2세가 창설한 동로마 제국의 정예 용병 부대로, 키예프 루스 지원군을 모체로 스칸디나비아인과 앵글로색슨족으로 구성되어 황제 경호와 주요 전투에 투입되어 제국 멸망까지 활약했다. - 벨라루스 - 리투아니아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13세기 중반부터 1795년까지 동유럽에 존재했던 국가로, 발트족을 기반으로 성장하여 흑해 연안까지 영토를 확장하며 다문화 사회를 이루었고, 폴란드 왕국과 연합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일원으로 존속하며 동유럽 여러 국가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벨라루스 - 키예프 루스
키예프 루스는 9세기부터 13세기 동유럽에 존재했던 동슬라브족의 중세 국가로, 키예프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블라디미르 1세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몽골 침략으로 멸망, 현재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공통된 역사적 기반으로 여겨진다. - 민족기원가설 - 민족 신화
민족 신화는 국가나 민족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고 민족주의와 연관되어 국가 통합을 강화하지만, 국가 간 갈등을 야기할 위험성도 내포하며, 다양한 국가의 사례에서 그 역할과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 민족기원가설 - 쿠르간 가설
쿠르간 가설은 마리야 김부타스가 제시한 가설로, 폰토스-카스피해 스텝 지역의 쿠르간 문화를 원시 인도유럽인의 문화로 보고, 이 문화의 확산을 통해 인도유럽어족이 전파되었다고 설명한다.
루스인 | |
---|---|
위치 정보 | |
명칭 | |
기타 표기 | 로마자 표기: Rous 벨라루스어, 러시아어, 루신어, 우크라이나어: Русь 그리스어: Ῥῶς, 로마자 표기: Rhos |
개요 | |
설명 | 유럽의 민족 집단 |
민족 정보 | |
![]() | |
언어 | 고대 노르드어 노브고로드어 고대 동슬라브어 |
종교 | 노르드 이교, 슬라브 이교(989년 이전) 동방 정교회(989년 이후) |
민족 계통 | 북게르만족 |
기원 발상 | 스칸디나비아반도 |
후예 |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루신인 |
역사적 배경 | |
주요 중심지 | 스타라야라도가 루리코보고로디셰 |
다른 명칭 | 중세 노르드 문헌: Gardariki 초기 바이킹 시대: Gardar |
역사 | |
루스 카간국 | 830년경 ~ 862년 |
노브고로드 루스 | 862년 ~ 882년 |
키예프 루스 | 882년 ~ 1283년 |
스몰렌스크 대공국 | 1054년 ~ 1508년 |
랴잔 대공국 | 1129년 ~ 1521년 |
노브고로드 공화국 | 1136년 ~ 1478년 |
프스코프 공화국 | 1348년 ~ 1510년 |
블라디미르 대공국 | 1168년 ~ 1389년 |
타타르의 멍에 | 13세기 ~ 15세기 |
킵차크 칸국 | 1237년 ~ 1502년 |
트베리 대공국 | 1246년 ~ 1485년 |
모스크바 대공국 | 1283년 ~ 1547년 |
러시아 역사 | |
러시아 차르국 | 1547년 ~ 1721년 |
러시아 제국 | 1721년 ~ 1917년 |
러시아 공화국 | 1917년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1917년 ~ 1991년 |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1922년 ~ 1991년 |
러시아 연방 | 1991년 ~ 현재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2014년 ~ 현재 |
2. 명칭
'''루스'''(Ῥῶς|로스grc)라는 이름은 핀우그리아어족의 ''Ruotsi''(''스웨덴'')에서 차용된 것으로 여겨진다.[5][8][6] 이 ''Rus''/''Ruotsi''의 기원에는 두 가지 이론이 있는데, 고대 동노르드어 ''rōþer''(고대 서노르드어 ''róðr''[7])에서 직접 유래했다는 설과, 스웨덴 해안 지역 로슬라겐의 옛 이름인 ''Rōþin''을 통해 유래했다는 설이다.[5][8][9] 전자는 노젓기, 함대 징집 등을 의미한다.
초기 루스의 역사는 문자로 기록된 것이 적어 불확실한 부분이 많다. 키예프 페체르스키 수도원에서 작성된 『원초연대기』에 따르면, 753년 라도가호 부근에 루스 최초의 도시인 스타라야라도가가 건설되었고, 830년부터 루스 카간국이 등장했다. 862년에는 루스 카간국의 카간이자 류리크 왕조의 시조인 류리크가 노브고로드 지역에 정착하여 노브고로드 루스를 형성했다. 882년에는 류리크의 후계자인 올레그가 키예프를 멸망시키고 수도로 삼으면서 키예프 루스가 건국되었다.[17]
830년경 루스 카간국이 등장하였으며, 862년에는 루스 카간국의 카간이자 류리크 왕조의 시조인 류리크가 노브고로드 지역에 정착하여 키예프 루스의 전신인 노브고로드 루스가 형성되었다고 알려진다. 882년에는 류리크의 후계자인 올레그가 키예프를 멸망시키고 수도로 삼으면서 키예프 루스가 건국되었다.[46]
750년대에 라도가에 정착한 스칸디나비아 식민자들은 초기 루스인의 민족 형성과 키예프 루스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7] 당시 노르드인들에게 ''알데이갸''(Aldeigja)로 알려진 라도가는 루스인의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정착지였으며, 고로디셰는 1세기 이상 후에 건설되었다.[17] 838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사절단이 파견된 라도가 지역은 루스 카간국의 핵심이었다.[17] 바랑기아인은 859년 슬라브족과 핀족 부족에게 조공을 요구한 것으로 최초로 언급된다.[18][19]
핀란드어와 러시아어 형태의 이름은 마지막 -s가 원래의 복합어를 보여주는데, 그 첫 번째 요소는 - (무성 자음 앞에서는 ''þ''가 영어 ''thing''의 ''th''처럼 발음됨)이다.[5] 접두사 형태 ''rōþs-''는 ''Ruotsi''와 ''루스''에서뿐만 아니라, 모두 "노젓는 사람들"을 뜻하는 고대 노르드어 ''róþsmenn''과 ''róþskarlar''[9]에서, 그리고 로슬라겐 주민에 대한 현대 스웨덴어 이름인 ''로스피가르''[10]에서도 발견되는데, 이는 고대 노르드어 *''rōþsbyggiar''("Rōþin의 주민")에서 유래한다.[11] ''로슬라겐''이라는 이름 자체는 이 요소와 스웨덴 왕의 함대 징집에서 노젓는 사람들의 팀을 가리키는 중성 명사 ''lag''의 복수 정관사형으로 구성된다.[10][12]
참고: þ (쏜 문자)는 영어 ''thing''의 ''th''처럼 무성 치찰음 /θ/을 나타내는 반면, ð (에스 문자)는 영어 ''the''의 ''th''처럼 유성 치찰음 /ð/을 나타낸다. þ가 모음 사이에 있거나 유성 자음 앞에 나타날 때는 ð처럼 발음되므로, ''rōþer''와 ''róðr''의 발음 차이는 미미하다.
9세기 페르시아인 여행자 아흐마드 빈 루스타 이스파히니는 루스인들이 슬라브인들의 땅을 습격하고 사람들을 노예로 잡아 아틸이나 불가르에 판다고 기록했다.[116]
3. 역사
바랑기아인은 859년 슬라브족과 핀족 부족에게 조공을 요구한 것으로 최초로 언급되며,[18][19] 이는 바이킹의 북유럽 진출이 급속도로 확장되던 시기였다. 11세기 초 키예프는 이미 부유하고 강력한 슬라브 대도시였으며, 비잔티움에서 받아들인 문명의 빠르게 성장하는 중심지였다.[32]
동슬라브어로 쓰인 최초의 루스 역사 서술은 13세기 초 키예프에서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편찬 및 각색된 『원초연대기』이다. 이 연대기에는 911년, 945년, 971년의 일련의 루스-비잔티움 조약 문서가 포함되어 있다.[45]
연대기는 루스가 노브고로드 지역에 도착한 것에 대한 다음과 같은 기원 신화를 제시한다. 루스/바랑기아인들은 '추드인, 슬라브인, 메리야인, 베스인, 크리비치인에게 조공을 부과했다'(다양한 슬라브와 핀란드계 민족).[46]
류리크의 수행원 중에서 두 명의 스웨덴 상인 아스콜드와 디르가 등장한다. 아스콜드(Haskuldrnon)와 디르(Dyrinon)는 스웨덴 이름이다.[47] 연대기는 이 두 상인이 류리크의 가족이 아니고 단순히 그의 수행원에 속했다고 말한다.[48] 나중에 『원초연대기』는 그들이 키예프를 정복하고 키예프 루스(이는 루스 카간국에 선행했을 수 있음)[49] 국가를 건설했다고 주장한다.
4. 국가
국가 존속 기간 루스 카간국 830년경 ~ 862년 노브고로드 루스 862년 ~ 882년 키예프 루스 882년 ~ 1240년 트베리 대공국 1246년 ~ 1485년 모스크바 대공국 1283년 ~ 1547년
5. 루스의 기원에 관한 학설
''네스토르 연대기''에 따르면, ''루스''라는 용어는 키예프 루스의 슬라브화된 엘리트와 밀접하게 연관되기 전까지는 스칸디나비아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22] 이후 ''바랑기아인''이라는 새로운 용어가 스칸디나비아인(주로 현재 스웨덴 출신)을 지칭하는데 사용되었다.[23] 이들은 발트해와 흑해, 카스피해를 잇는 강을 따라 항해했다.[25][26][27][28] 룬석은 비록 이들의 해외 여정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지만,[29] 오늘날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30] 그리스, 이탈리아 등으로의 여정에 관한 기록이 대부분이며,[31] 중요한 역사적 증거이다.
러시아 역사학에서는 키예프와 노브고로드 두 도시가 국가의 시작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32] 11세기 초 키예프는 이미 부유하고 강력한 슬라브 대도시였으며, 비잔티움에서 받아들인 문명의 빠르게 성장하는 중심지였다.[32] 노브고로드는 같은 문화의 또 다른 중심지였지만, 다른 환경에서 건설되었으며, 일부 오래된 지역 전통이 이 상업 도시를 유럽의 다른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강력한 과두제 무역 공화국의 수도로 만들었다.[32]
루스의 두 원래 중심지는 볼호프 강의 두 지점인 스타라야 라도가와 류리코보 고로디셰였다. 볼호프 강은 남쪽의 일멘 호에서 북쪽의 라도가 호까지 뻗어 있다.[32] 이 지역은 아마도 노르드인들이 ''가르다르''(Gardar)라고 불렀던 곳이며, 훗날 ''가르다리키''(Garðaríki)는 전체 국가를 지칭하게 된다.[32] 호수 사이의 지역이 원래의 루스였으며, 이곳에서 그 이름이 중부 드니프르 강에 거주하는 슬라브족 지역으로 옮겨져 결국 "루스의 땅"(''루스카야 젬리야'')가 되었다.[32] ''네스토르 연대기''는 동슬라브 부족인 폴란을 동슬라브족 중 가장 문명화된 부족으로 묘사하며, 따라서 루스인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았지만, 그들의 이름을 땅에 붙이지는 않았다.[32]
초기 루스 영토의 선사 시대는 8세기 초 스타라야 라도가가 제조업 중심지이자 동유럽 북동부 삼림 지대에서 얻은 모피를 사냥하고 거래하는 스칸디나비아 사냥꾼과 상인들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을 때 시작되었다.[33] 초기(8세기 후반과 9세기 전반)에는 스타라야 라도가에서만 노르드인의 존재가 보이고, 동유럽 북부의 소수 다른 유적지에서도 훨씬 적은 정도로만 보인다. 9세기 내내 이러한 희귀성은 지속되다가 다음 세기에 상황이 급격히 바뀌어 역사가들은 여러 장소에서 비교적 많은 양의 번영하는 스칸디나비아 문화의 유물을 발견한다.[33]
헨리크 시에미라츠키 (1883)
루스족에 대한 아랍어 자료는 비교적 많으며, 동시대 자료에서 약 30개 이상의 관련 구절이 있다.[50] 아랍어 자료에서 '루스'라고 언급할 때 현대 학자들이 이해하는 것과 같은 의미인지 확신하기 어려울 수 있다.[50][51] 때로는 스칸디나비아인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알야쿠비가 844년 세비야를 공격한 '루스'에 대해 기록했을 때, 그는 프랑크 왕국에 거주하는 바이킹에 대해 이야기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52][53]
루스에 대한 가장 광범위한 아랍어 기록은 922년 볼가 불가리아를 방문하여 '루스'/'루시야'라는 명칭으로 사람들을 상세히 묘사한 무슬림 외교관이자 여행가인 아흐마드 이븐 파들란의 기록이다. 이븐 파들란의 기록 외에도 학자들은 페르시아 여행가 이븐 루스타의 증거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이븐 루스타는 노브고로드를 방문하여 루스가 슬라브족을 착취한 방식을 묘사했다고 추정된다.
바랑인이 처음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나타났을 때, 비잔티움 제국은 그들을 ''로스''()라고 불렀는데,[60] 슬라브인과는 다른 민족으로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 슈도-시메온과 테오파네스 계속자는 ''로스''를 ''드로미타이''(Δρομῖται)라고 부르는데, 이 단어는 그리스어로 "달리다"라는 뜻과 관련이 있으며, 수로를 통한 그들의 이동성을 시사한다.[61]
콘스탄티누스 7세는 그의 저서 ''국정론''에서 ''로스''를 페체네그의 이웃으로 묘사하며, 그들로부터 소, 말, 양을 사는데, "이러한 동물들은 ''로시아''에서는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콘스탄티누스는 또한 ''로시스티''('ῥωσιστί', 루스어)와 ''스크라비스티''('σκλαβιστί', 슬라브어)로 드니프르 급류의 이름을 열거한다. 루스 이름은 일반적으로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해석된다.[62]
:콘스탄티누스의 비슬라브어 이름 형태 라틴어 음역 콘스탄티누스의 슬라브어 또는 양쪽 해석 비슬라브어 이름에 대한 제안된 고대 노르드어 어원 비슬라브어 이름에 대한 제안된 슬라브어 어원 Ἐσσουπῆ Essoupi "잠들지 마라!" nes uppi "상류 곶", súpandi "꿀꺽거리는" не спи (ne spy) "잠들지 마라!" (우크라이나어 не спи /ne spɪ/ "잠들지 마라!" 비교) Οὐλβορσί Oulvorsi "둑의 섬" Úlfarsey "울파르의 섬", hólm-foss "섬 급류" — Γελανδρί Gelandri "둑의 소음" gjallandi/gellandi "소리치는, 크게 울리는" — Ἀειφάρ, Ἀειφόρ Aeifar, Aeifor "…왜냐하면 펠리컨이 둑의 돌에 둥지를 틀기 때문이다…" æ-fari/ey-færr "절대 통과할 수 없는", æ-for/ey-forr "항상 맹렬한" — Βαρουφόρος Varouforos "…왜냐하면 그것은 큰 호수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vara-foss "돌이 많은 해안 급류", báru-foss "파도 급류" — Λεάντι Leanti "물의 비등" hlæjandi "웃는" lьjant’i (< 원시 슬라브어 *lьjǫtji) "붓는 것" lьjati(원시 슬라브어 *lьjati) "붓다"에서 유래 (우크라이나어 лляти /ˈlʲːɑtɪ/ "붓다"와 폴란드어 lać /lat͡ɕ/ "붓다" 비교) Στρούβουν, Στρούκουν Strouvoun, Stroukoun "작은 둑" strjúkandi "쓰다듬는, 부드럽게 만지는", strukum, "급류" стрибун (strybun) "뛰는 것" (우크라이나어 стрибати /strɪˈbatɪ/ "뛰다"에서 유래)
서기 839년 루스족을 처음 언급한 서유럽 자료는 생 베르탱 수도원 연대기(Annales Bertiniani)이다.[68] 이 연대기에 따르면, 루이 1세 경건왕의 잉겔하임 궁정에 비잔티움 황제 사절단이 방문했는데, 그중에는 자신들을 "로스"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있었다.[69][70] 루이 1세가 그들의 방문 이유를 묻자, 그들은 스웨덴인이라고 밝혔다.[69][70] 루이 1세는 그들이 스파이일까 두려워 그들을 구금했다가, 비잔티움으로부터 보증을 받은 후에야 풀어주었다.[71][72]
또 다른 자료는 10세기 롬바르디아의 주교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의 저서 『안타포도시스』(Antapodosis)에서 나온다. 이 저서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1세에게 보낸 보고서로,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전쟁을 일삼는 민족들로 둘러싸인 지역에 위치한다. 북쪽에는 … 때로는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루시이'(Rusii), 즉 '노르만인'(Nordmanni)이 있다"고 서술하고 있다.[76][77]
5. 1. 노르만설
'''노르만설'''은 루스가 스칸디나비아 출신의 바이킹, 즉 노르만족의 일파라는 주장이다.
753년 라도가호 부근에 루스 최초의 도시인 스타라야라도가가 건설된 후 830년부터 루스 카간국이 등장하였으며, 862년에는 루스 카간국의 카간이자 류리크 왕조의 시조인 류리크가 노브고로드 지역에 정착하여 키예프 루스의 전신인 노브고로드 루스가 형성되었다고 알려진다.[18][19]
''루스''라는 이름은 노브고로드와 프스코프 지역의 많은 지명에 보존되어 있으며, 그리스어 ''Rōs''의 어원이기도 하다.[5] ''Rus''는 일반적으로 핀우그리아어족 ''Ruotsi''("스웨덴")에서 차용된 것으로 간주된다.[5][8][6] ''Rus''/''Ruotsi''의 기원에는 고대 동노르드어 ''rōþer''(고대 서노르드어 ''róðr''[7])에서 직접 유래되어 노젓기, 함대 징집 등을 의미하거나, 스웨덴 해안 지역 로슬라겐의 옛 이름인 ''Rōþin''을 통해 유래되었다는 두 가지 이론이 있다.[5][8][9]
현대 학자들은 로슬라겐 지역의 인구가 희박하고 맬라렌 계곡의 스웨덴 중심지에 비해 인구 규모가 크지 않았기 때문에 ''róþs-menn''과 ''róþs-karlar''와 같은 단어 합성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Ruotsi''와 ''루스''의 기원이 되는 ''róþs-''형태는 고대 노르드어 ''róðr''에서 직접 유래한 것이 아니라, 이전 원시 노르드어 형태 ''roðz''[15](rothzmis)에서 유래한다.[16]
750년대에 라도가에 정착한 스칸디나비아 식민자들은 초기 루스인의 민족 형성과 키예프 루스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7] 당시 노르드인들에게 ''알데이갸''(Aldeigja)로 알려진 라도가는 루스인의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정착지였다.[17] 바랑기아인은 859년 슬라브족과 핀족 부족에게 조공을 요구한 것으로 최초로 언급된다.[18][19]
룬석은 바랑기아인의 해외 여정에 대해 거의 알려주지 않지만,[29] 오늘날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30] 그리스, 이탈리아 등으로의 여정에 관한 기록이 대부분이며,[31] 중요한 역사적 증거로 활용된다.
18세기 이전까지 러시아 역사가들의 공통된 견해는 루스가 이 지역의 토착 슬라브 인구에서 발생했다는 것이었다. 이는 1749년 독일 역사가 게르하르트 프리드리히 뮐러(Gerhardt Friedrich Müller)가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에서 발표한 내용 이후로 바뀌었다. 뮐러는 루스의 건국자들이 민족적으로 스칸디나비아 바랑인이었다는 '노르만주의' 견해를 제시했다. 뮐러는 즉각적인 국수주의적 비난에 직면했지만, 18세기 말까지 그의 견해는 러시아 역사학계의 정설이 되었다.[108] [109][110]
5. 2. 반노르만설
18세기 이전까지 러시아 역사가들은 루스인이 이 지역 토착 슬라브 인구에서 발생했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1749년 독일 역사가 게르하르트 프리드리히 뮐러가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에서 발표한 이후, 루스인의 건국자들이 스칸디나비아 바랑인이라는 '노르만주의' 견해가 대두되었다.[108] [109][110] 뮐러의 견해는 즉각적인 국수주의적 비난을 받았지만, 18세기 말까지 러시아 역사학계의 정설이 되었다.
반면 20세기 소련 시대에는 정치적인 이유로 '반노르만주의'가 부흥하여 루스인의 슬라브 기원설이 강조되었다.[111] [112][113] 이 수정주의적 견해는 포스트소비에트 국가의 국가 건설 과정에서도 국수주의적 지지를 받았지만, 학자들 사이의 광범위한 공통된 견해는 루스인의 기원이 스칸디나비아에 있다는 것이다.
반노르만설은 주로 소련의 연구사에서 슬라브적인 명칭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원초연대기』의 기록이 전설적인 요소가 강하다고 비판한다. 반노르만설 학자들은 중세 문서 기록의 오류 가능성에 주목하여 고고학적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한다. 이들은 『원초연대기』에서 바랴그와 루스가 다른 존재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 노르만인 측 역사서에는 "루스"라는 부족명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 등을 지적한다.
또한, 노르만인과 관련 없는 흑해가 "루스의 바다"라고 불렸다는 기록도 반노르만설의 근거로 제시된다. 루스인이 드네프르 강 중류에 거주했던 동슬라브인 폴랴네족의 국호에서 유래했으며, 어원은 그 자칭 "로스"에 유래한다는 설도 러시아 등에서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다른 가설로는, 루스가 흑해 근처의 로스 강에 사는 슬라브계 민족의 명칭이었던 것이 전설상에서 바랴그와 결부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가설은 『원초연대기』에 기록된 루스족의 초기 활동 지역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5. 3. 기타 학설
노르만설과 반노르만설 외에도, 루스인이 여러 민족의 혼혈 집단이었을 가능성 등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 콜로친 문화의 존재, 또는 그러한 사람들의 혼혈이었을지도 모른다는 설도 있으며, 현대의 논쟁은 노르만설, 반노르만설, 그리고 그 어느 쪽도 아닌 상태가 되고 있다.[116]
6. 동화
후기 루스는 급속히 슬라브화되어 인명에도 동슬라브어가 사용되게 되었다. 키예프 대공 스뱌토슬라프 1세는 동슬라브인 "류리크 왕조"의 첫 대표자라고 할 수 있다.[4] 10세기 말, 루스 엘리트는 고대 동슬라브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게 되었으며,[4] 11세기 후반에는 슬라브화가 완료된 것으로 보인다.[4]
944년 또는 945년 945년 루스-비잔티움 조약에는 76개의 이름이 있는데, 그중 12개는 통치 가문, 11개는 사절, 27개는 다른 대리인, 26개는 상인에게 속한다. 왕족 중에는 스뱌토슬라프(이고르(Ingvar) 왕의 아들), 볼로디슬라프, 프레드슬라바(관계 불명) 등 세 개의 슬라브식 이름이 있었다. 가족의 다른 구성원들은 올가(''Helga''), 아쿤(''Hákon''), 스판다(''Svanhildr''), 울렙(''Óleifr''), 투르드(''Þórðr''), 아르파스트(''Arnfastr''), 스피르카(''Sverkir'') 등 노르드식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4]
980년대 스뱌토슬라프의 손자들 중에서 『초록』은 블라디미르 1세에게 12명의 아들과 한 명의 딸이 있었다고 알려준다. 그들 중 한 아들만이 노르드식 이름인 글렙(''Guðleifr'')을 가지고 있었고, 다른 아이들은 대부분 -''slav''("명성")으로 끝나는 슬라브식 복합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4] 10세기 말 노르드식 이름은 더욱 드물어졌는데, 이는 루스가 슬라브 인구에 동화된 것을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4]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엘레나 A. 멜니코바(Elena A. Melnikova)는 12세기가 이전 두 세기와 극명하게 대조되는데, 이는 루스 엘리트의 슬라브화가 11세기 후반 이후 완료되었음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4]
7. 유산
루스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등의 국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90][91] 러시아어에는 '코르바치'(''кнут''), '청어'(''селёдка'') 등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차용어가 남아 있다.[98] 노르드 정착민들은 러시아 북서부 전역에 많은 지명을 남겼다.[98]
예를 들어 아스비드르(Asviðr)라는 사람은 오늘날 아슈비도보(Ašvidovo)로 알려진 곳에 정착했고, 보파스트르(Bófastr)는 부흐보스토보(Buchvostovo)에 정착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정착지들이 있다.[98]
노르드어 이름 | 정착지 |
---|---|
디르비외른(Dýrbjǫrn) | 디우르베네보(Djurbenevo) |
에이나르(Einarr) | 이나레보(Inarevo) |
킨리크르(Kynríkr) | 콘드리코보(Kondrikovo) |
로드리크르(Rødríkr) | 레드리코보(Redrikovo) |
라그네이헤이르(Ragnheiðr) | 로그네디노(Rognedino) |
스네비외른(Snæbjǫrn) | 스네베르카(Sneberka) |
스베인(Sveinn) | 스벤(Sven) |
시오파스트르(Siófastr) | 수흐보스토보(Suchvostovo) |
슈테잉그림르(Steingrímr) | 스테그리모보(Stegrimovo) |
토르비외른(Thorbjǫrn) | 투리보로보(Turyborovo) |
이바르(Ivarr) | 이보로보(Ivorovo), 이보로브카(Ivorovka) |
하콘(Hákon) | 야쿠노보(Jakunovo), 야쿠니차(Jakunicha) |
올레프(Oléf) | 울레보보(Ulebovo), 올레비노(Olebino), 올리보브(Olibov) |
비외른(Bjǫrn) | 베르노보(Bernovo), 베르냐티노(Bernjatino), 벰니슈키(Bemniški), 베르나보(Bernavo), 베르노비치(Bernoviči) |
8. 고고학
러시아 북부에서는 스칸디나비아와 관련된 많은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이를 통해 루스의 활동과 스칸디나비아와의 교류를 확인할 수 있다.[50] 발트해 남북 해안 사이의 교류는 철기 시대부터 있었지만, 북부 러시아와 인접한 핀란드 지역은 모피 무역과 8세기 중반 이후 동방의 은 유입으로 인해 다양한 기원의 사람들에게 수익성 있는 만남의 장소가 되었다.[12]
21세기에 들어와 고고학적 증거가 급증하면서 볼가 상류 지역의 9세기에서 10세기 고위층 남녀 매장지에서 스칸디나비아와 상당히 일치하는 물질 문화가 발견되었다. 이는 "옛 루스"의 엘리트 계층이 스칸디나비아적 성격을 지녔다는 것을 보여주는 추가적인 증거로 여겨진다.[100] 루스로의 스칸디나비아 이주 규모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최근의 고고학 연구는 볼가 상류 지역에 상당수의 '자유 농민'이 정착했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101][102]
스타라야 라도가, 노브고로드, 류리코보 고로디셰, 그뇨즈도보, 셰스토비차 및 볼가 상류와 오카 강 사이의 수많은 정착지가 주요 발굴 지역이다. 21세기 연구는 고고학적 증거의 종합을 통해 루스를 이해하는 데 점점 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100] 초기 9세기 페테르호프 보물을 포함한 화폐의 분포는 루스가 활동했던 지역의 무역 흐름과 양을 추적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했으며, 동전에 새겨진 낙서를 통해서는 무역상들이 사용했던 언어까지도 알 수 있다.[50]
14세기 후반과 15세기 초까지도 룬 문자 또는 룬 문자와 유사한 새김과 고유명사의 형태로 고대 노르드어 문화의 잔재가 남아 있다. 약 1000년경의 자작나무껍질 문서들은 노브고로드에서 발견되었으며, 수백 개의 이름을 담고 있는데, 그 대부분은 슬라브어 또는 기독교식 이름이다. 멜니코바에 따르면 고대 노르드어 이름이 있는 편지는 7통이지만, 시츠만은 스타라야 루사 36번을 포함하여 최대 18통까지 확인했다.[4]
마스코비치라는 옛 요새에서 룬 문자처럼 보이는 또 다른 새김이 발견되었다. 이곳은 서부 드비나 강로에 위치했으며, 몇 킬로미터 떨어져 있었지만 강을 통제할 수 있었다. 이 요새는 12세기와 13세기에 사용되었고, 나중에 작은 성으로 변했다. 약 110개의 뼈 조각이 발견되었는데, 거기에는 새김과 전사와 무기의 그림이 포함되어 있다. 룬 문자와 유사한 새김은 길이가 3~6자에 불과하며, 일부는 해석할 수 있다. 약 30개는 분명히 키릴 문자이고, 48개는 룬 문자이다.[4][88][89]
9. 유전학
로스 강 유역의 오스트리프 묘지에서 발견된 유골들에 대한 최근의 고대 DNA 분석 결과, 이들은 현재의 아이슬란드인과 동발트 지역 주민들과 유전적으로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까지 11세기 초에 해당하는 매장 무덤 67기가 발굴되었는데, 발굴된 유물 대부분은 우크라이나에서는 드물지만 동발트 지역에서는 일반적인 것들이었다. 이는 발트 지역 이주민과 현지 주민으로 구성된 복합적인 다민족 집단이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이들은 이전에 발표된 스웨덴 바이킹들의 변이성 경계에 있으며, 에스토니아의 중세 시대 개인들과 가깝다.[114]
참조
[1]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Middle Ages, Volume I: From c.300 to c.1150, Fourth Edi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4-02-14
[2]
서적
The Early Slavs: Eastern Europe from the Initial Settlement to the Kievan Ru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7-10
[3]
서적
The Middle Ages: Dictionary of World Biography, Volume 2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11-12
[4]
웹사이트
The Cultural Assimilation of the Varangians in Eastern Europe from the Point of View of Language and Literacy
https://history.wiki[...]
2003
[5]
서적
Ryssland
https://archive.org/[...]
1922
[6]
웹사이트
"Russ, adj. and n." OED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http://www.oed.com/v[...]
2021-01-12
[7]
서적
Rodd
https://archive.org/[...]
1922
[8]
서적
Who were the Viking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
[9]
웹사이트
''Русь'' in "Vasmer's Etymological Dictionary" online
https://vasmer.slova[...]
2021-01-26
[10]
서적
Roslagen
https://archive.org/[...]
1922
[11]
서적
Rospigg
https://archive.org/[...]
1922
[12]
서적
2. lag
https://archive.org/[...]
1922
[13]
서적
The Viking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10-31
[14]
간행물
Ofria omnamnda-pa_runstenar
https://www.archaeol[...]
Stockholm university
2012
[15]
기타
[16]
서적
Rusernas rike in Vikingar i österled
Atlantis, Stockholm
1997
[17]
서적
Vikings and Goths: A History of Ancient and Medieval Sweden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6-06-21
[18]
서적
A History of the Viking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9]
서적
The Varangians: In God's Holy Fire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0
[20]
서적
The Viking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6-09-22
[21]
학술지
Curonian "Kings" and "Kingdoms" of the Viking Age
1997-11-30
[22]
서적
Russian Myth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2-07-01
[23]
서적
In ''Austrvegr'': The Role of the Eastern Baltic in Viking Age Communication Across the Baltic Sea
https://books.google[...]
Brill
2018
[24]
서적
Viking Empir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5]
학술지
The Decline of the Khazars and the Rise of the Varangians
https://www.jstor.or[...]
1954
[26]
서적
Ukraine: A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0-01-01
[27]
서적
From Goths to Varangians: Communication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Baltic and the Black Sea
https://books.google[...]
Aarhus University Press
2013-12-31
[28]
서적
A History of Ukraine: The Land and Its Peop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0-01-01
[29]
서적
The Viking-age Rune-stones: Custom and Commemoration in Early Medieval Scandinav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30]
서적
Belarus: At A Crossroads In History
https://books.google[...]
Avalon Publishing
1993-08-16
[31]
서적
Ships and Men in the Late Viking Age: The Vocabulary of Runic Inscriptions and Skaldic Verse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2001
[32]
서적
Byzantium and the Rise of Russia: A Study of Byzantino-Russian Relations in the Four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24
[33]
서적
Early Ukraine: A Military and Social History to the Mid-19th Century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6-04-05
[34]
간행물
Ingvar the Fartraveller's Journey: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Sources
http://uu.diva-porta[...]
2013
[35]
웹사이트
Ryska rikets grundläggning genom Skandinaverna
https://runeberg.org[...]
1882
[36]
서적
Hervarar saga
[37]
서적
Óláfs saga helga
[38]
논문
A NEW APPROACH TO THE ETYMOLOGY OF THE OLD NORSE NAME OF KIEV — KØNUGARÐR: (the thesis of Elsa Melin on the Name given to Kiev in the Icelandic Sagas, with an Excursus on Kind in Place-Names)
https://brill.com/vi[...]
2021-01-31
[39]
서적
The Nordic Languages
[40]
서적
Torg
https://archive.org/[...]
[41]
간행물
Den svenska runstenen från ön Berezanj utanför Dneprmynningen
http://fornvannen.se[...]
[42]
웹사이트
Runic Dictionary Entry for grimm
http://runicdictiona[...]
[43]
서적
Vikings Across Boundaries: Viking-Age Transformations – Volume II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10-26
[44]
서적
Runstenar
STF
[45]
서적
[46]
서적
The Russian Primary Chronicle: Laurentian Text
https://archive.org/[...]
The Medieval Academy of America
[47]
웹사이트
Prinices of Kiev Kyi and Askold
https://web.archive.[...]
[48]
서적
The Origins of the Slavic Nations: Premodern Identities in Russia, Ukraine, and Belaru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1-28
[49]
서적
The Steppe Tradition in International Relations: Russians, Turks and European State Building 4000 BCE–2017 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7-19
[50]
백과사전
Rūs
2018-07-26
[51]
논문
Ibn Faḍlān and the Rūsiyyah
https://www.journals[...]
[52]
서적
Vikings in the South
Bloomsbury
[53]
서적
[54]
서적
Arabic Sources on the Norse: English Translation and Notes Based on the Texts Edited by A. Seippel in ‘Rerum Normannicarum fontes Arabici’
Dyburad
[55]
논문
Ibn Rusta's Lack of "Eloquence", the Rus, and Samanid Cosmography
[56]
서적
The Viking World
Routledge
[57]
서적
Living Islamic History
Edinburgh University Press
[58]
서적
A History of the Viking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9]
서적
The Hammer and the Cross: A New History of the Vikings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6-07-25
[60]
서적
Beyond the Northlands: Viking Voyages and the Old Norse Saga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1-28
[61]
서적
Byzantino-Nordica 2004: Papers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f Byzantine Studies Held on 7–11 May 2004 in Tartu, Estonia
https://books.google[...]
Morgenstern Society
2016-09-28
[62]
서적
The Viking Road to Byzantium
Allen & Unwin
[63]
서적
From Goths to Varangians: Communication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Baltic and the Black Sea
Aarhus University Press
2021-01-29
[64]
서적
Rusʹ i vari︠a︡hy : istoryko-etymolohichne doslidz︠h︡enni︠a︡
Dovira
2006
[65]
논문
"Russkie" nazvaniya porogov u Konstantina Bagryanorodnogo
http://resource.hist[...]
2022-02-05
[66]
서적
De administrando imperio
Dumbarton Oaks Center for Byzantine Studies
1967
[67]
서적
De administrando imperio
https://books.google[...]
Ioannes Balduini
2022-02-05
[68]
서적
The World of the Khazars: New Perspectives
BRILL
2021-01-28
[69]
웹사이트
Annales Bertiniani
https://www.dmgh.de/[...]
2022-02-03
[70]
서적
Drevni︠a︡i︠a︡ Rusʹ v svete zarubezhnykh istochnikov : khrestomatii︠a︡. Vol. 4
https://books.google[...]
Russkiĭ fond sodeĭstvii︠a︡ obrazovanii︠u︡ i nauke
2022-02-03
[71]
서적
The Viking World
Routledge
2021-01-24
[72]
서적
A Companion to Russian History
John Wiley & Sons
2009-04-06
[73]
서적
California Slavic Studies, Volume XVI: Slavic Culture in the Middle Ages
Univ of California Press
2021-01-08
[74]
서적
Neglected Barbarians
https://books.google[...]
Brepols
2022-02-03
[75]
학술지
Who were the early Rusʹ?
https://www.academia[...]
2022-02-03
[76]
서적
The works of Liudprand of Cremona ...
https://babel.hathit[...]
E.P. Dutton & company
2022-01-09
[77]
서적
The Relations Between Ancient Russia and Scandinavia and the Origin of the Russian State: ...
https://books.google[...]
James Parker and Company
2022-01-18
[78]
간행물
Fagrskinna
1902-1908
[79]
서적
The Beginnings of Russian History
Cambridge at the University Press
1946
[80]
간행물
In the 11 c., Adam of Bremen wrote about the Temple at Uppsala, where there were three statues of the main gods, Odin, Thor and Freyr. In Norse mythology, Freyr was seen as the progenitor of the Swedish royal house.
[81]
학술지
Jahrbücher für Geschichte Osteuropas
[82]
서적
The Christianization of Ancient Russia: A Millennium, 988–1988
Unesco
2021-01-31
[83]
학술지
Archaeological view of Christianization on two sides of the Baltic Sea
http://rcin.org.pl/C[...]
Institute of Archaeology and Ethnology, Polish Academy of Sciences
2021-01-31
[84]
서적
History and Heroic Tale: A Symposium
Odense University Press
2021-02-01
[85]
서적
Russian Epic Studies
https://archive.org/[...]
Walter de Gruyter
[86]
학술지
Die skandinavischen Personennamen in den Birkenrindeninschriften
[87]
웹사이트
Runor
https://app.raa.se/o[...]
2021-02-09
[88]
간행물
Nadpisi i znaki na kostiakh s gorodishscha Maskovichi (Severo-Zapadnaia Belorussiia)
[89]
서적
Writing, Society and Culture in Early Rus, c.950–13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90]
서적
Skandinavische Spuren in der alt-russischen Sprache und Dichtung. En Beitrag zur Sprach- und Kulturgeschichte des ost- und nord-europäischen Raumes im Mittelalter
München
[91]
서적
The Nordic Languages
[92]
웹사이트
витязь. "Vasmer's Etymological Dictionary" online
https://vasmer.slova[...]
2021-02-05
[93]
서적
The Nordic Languages
[94]
간행물
Proto-Germanic, Gothic, Balkan-Germanic, and West Germanic loanwords in Old East Slavic.
[95]
서적
Skandinavische Spuren in der alt-russischen Sprache und Dichtung. En Beitrag zur Sprach- und Kulturgeschichte des ost- und nord-europäischen Raumes im Mittelalter
München
[96]
서적
Russische historische Grammatik. Vol III: Entwicklung des Wortschatzes
Heidelberg
[97]
서적
Linguistic Interrelations in Early Rusʹ. Northmen, Finns and East Slavs. (Ninth to eleven centuries).
Rome/Edmonton/Toronto
[98]
서적
The Nordic Languages
[99]
서적
The Nordic Languages
[100]
학술지
Review Article: Back in Old Rus and the USSR: Archaeology, History and Politics
[101]
간행물
Warfare, Trade or Colonisation? Some General Remarks on the Eastern Expansion of the Scandinavians in the Viking Period
Örebro
[102]
학술지
Review Article: Back in Old Rus and the USSR: Archaeology, History and Politics
[103]
서적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Runes and Runic Inscriptions in Göttingen, 4–9 August 1995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21-01-26
[104]
서적
The Poetic Edda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1-27
[105]
웹사이트
Two rare Viking boat burials uncovered in Sweden
https://arkeologerna[...]
2021-01-27
[106]
논문
Människor deponerade i våtmark och grav En analys av äldre järnålderns och vikingatidens deponeringstraditioner
https://www.archaeol[...]
[107]
서적
[108]
논문
The Origin of the Rusʹ
1977-07
[109]
서적
Ukraine and Russia: Representations of the Past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8
[110]
서적
The "Varangian Problem": Science in the Grip of Ideology and Politics
Routledge
2013
[111]
서적
Rus
Garland
1993
[112]
서적
Russian Historiography after the Fall
Blackwell
2009
[113]
서적
The "Varangian Problem": Science in the Grip of Ideology and Politics
Routledge
2013
[114]
논문
Baltic Migrants in the Middle Dnipro Regi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Late Viking Age Archaeological Complex of Ostriv, Ukraine
2022
[115]
서적
北欧史
[116]
서적
ヴァイキングの足跡
[117]
서적
北欧史
[118]
서적
ヴァイキングの足跡
[119]
서적
ヴァイキングの足跡
[120]
서적
ヴァイキングの足跡
[121]
서적
ヴァイキングの足跡
[122]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he Viking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123]
논문
Gothic Connections. Contacts between eastern Scandinavia and the southern Baltic coast 1000 BC – 500 AD
http://www.arkeologi[...]
Uppsala University
2001
[124]
서적
The Vikings in History
Routledge
2004
[125]
웹사이트
rus – folkestamme
https://snl.no/rus/f[...]
Store norske leksikon
null
[126]
서적
The Russian Primary Chronicle
Medieval Academy of America
1953
[127]
서적
The Vikings in History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