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키우스 카틸리우스 세베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키우스 카틸리우스 세베루스는 고대 로마의 정치인으로, 다양한 공직을 역임하며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 그는 재무관, 호민관을 거쳐, 로마의 무료 곡물 배급 책임자, 아시아 속주의 프로콘술 보조자, 도로 책임자, 제22군단 지휘관, 재무직 프라이펙투스 등을 역임했고, 이후 집정관에 올랐다. 114년에는 카파도키아-아르메니아 총독으로 임명되어 파르티아 원정에 참여하여 훈장을 받았으며, 117년에는 시리아 총독을 지냈다. 그는 두 번째 집정관을 거쳐 아프리카 속주 총독, 로마시 정무관을 역임하며 하드리아누스의 총애를 받았다. 카틸리우스는 다수미아 폴라와 결혼했으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의 후손으로 추정되는 인물들이 아르발 형제단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라티아 총독 - 가이우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 바수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 바수스는 페르가몬 출신으로 아탈로스 왕조 및 갈라티아 대족장 가문 출신인 로마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게미나 제13군단의 트리부누스 밀리툼으로 시작해 여러 속주의 관직과 군단 레가투스를 거쳐 유대 속주 총독, 집정관, 여러 지역의 총독을 역임하다 다키아 반란 당시 다키아 속주의 황제 총독으로 사망했다.
  • 140년 사망 - 교황 히지노
    교황 히지노는 그리스 출신으로 136년 또는 138년부터 140년 또는 142년까지 재임한 제9대 교황이며, 그의 재위 기간 동안 발렌티누스와 케르도가 로마에서 활동했고, 성직 위계를 정비했다는 기록이 있다.
  • 140년 사망 - 대 파우스티나
    대 파우스티나는 로마 황후로 미모와 지혜, 자선 활동으로 존경받았으며, 남편 안토니누스 피우스에 의해 신격화되어 로마 제국 전역에서 숭배받았다.
  • 카파도키아 총독 - 가이우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 바수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 바수스는 페르가몬 출신으로 아탈로스 왕조 및 갈라티아 대족장 가문 출신인 로마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게미나 제13군단의 트리부누스 밀리툼으로 시작해 여러 속주의 관직과 군단 레가투스를 거쳐 유대 속주 총독, 집정관, 여러 지역의 총독을 역임하다 다키아 반란 당시 다키아 속주의 황제 총독으로 사망했다.
  • 카파도키아 총독 - 마르쿠스 스타티우스 프리스쿠스
    마르쿠스 스타티우스 프리스쿠스는 2세기 로마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여러 속주 총독을 역임하며 군사적, 정치적으로 활약했고, 파르티아 전쟁에서 아르메니아를 정복했으며, 아비디우스 카시우스의 반란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에게 알렸다.
루키우스 카틸리우스 세베루스
기본 정보
이름루키우스 카틸리우스 세베루스
로마자 표기Lucius Catilius Severus
출생서기 65년/70년경
사망서기 138년경
경력
원로원 의원2세기
집정관110년
아시아 속주 총독117/118년-118/119년
로마 시 장관120년대
두 번째 집정관120년
시리아 속주 총독119년-122년
세 번째 집정관120년
법무관107년 이전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고문해당사항 없음

2. 생애

카틸리우스 세베루스의 경력(쿠르수스 호노룸)은 이탈리아 안티움에서 발견된 비문을 통해 알려져 있다.[14][3] 그는 아시아 속주재무관으로 공직 생활을 시작하여 원로원 의원이 되었고, 이후 호민관을 거쳐 법무관을 역임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인 경로와 달리, 카틸리우스는 첫 집정관이 되기 전에 로마의 곡물 배급, 속주 총독 보좌, 도로 관리, 군단 지휘, 재정 관리 등 이례적으로 여섯 개의 다양한 공직을 거치며 폭넓은 경험을 쌓았다.[15][4] 110년, 그는 첫 번째 집정관(보좌 집정관)으로 선출되었다.

집정관 임기 후, 그는 권위 있는 사제단인 셉템비리 에풀로눔에 입단했다. 이후 카파도키아-아르메니아 총독(114년)으로 임명되어[16][5] 트라야누스 황제의 파르티아 원정에 참여해 군사적 공훈(도나 밀리타리아)을 세웠다. 117년 가을,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즉위하자 그의 후임으로 시리아 총독에 임명되어 119년까지 재임했다.[17][6]

120년에는 두 번째로 집정관직을 역임했으며,[18][7] 이후 원로원 의원 경력의 정점으로 여겨지는 아프리카 속주프로콘술 총독직(124년 또는 125년)[19][8]로마시 정무관[12][1] 직책을 연이어 맡았다. 이처럼 중요한 두 직책을 모두 역임했다는 사실은 그의 뛰어난 능력과 성공적인 경력뿐만 아니라, 하드리아누스 황제로부터 깊은 신임을 받았음을 증명한다.

2. 1. 초기 경력

카틸리우스 세베루스의 '쿠르수스 호노룸'(명예로운 경력)은 안티움에서 발견된 비문을 통해 알려져 있다.[3] 기록상 확인되는 그의 첫 공직은 전통적인 공화정 시대의 정무관직인 재무관이었다. 그는 아시아 속주의 재무관으로 근무했으며, 이 경력을 통해 원로원 의원이 될 수 있었다. 이후 그는 호민관으로 진급했다. 안티움 비문에는 그가 법무관을 역임했다는 사실이 누락되어 있지만, 이후 그가 맡은 직책들을 고려할 때 법무관직을 거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집정관 후보가 되는 원로원 의원은 군단 지휘관이나 속주 총독, 혹은 재무 관련 고위직 등 두 개 정도의 주요 공직을 거치는 것이 보통이었으나, 카틸리우스는 집정관이 되기 전에 무려 여섯 개의 공직을 역임했다. 이는 그의 능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이례적인 경력 경로였다. 그가 거친 공직들은 다음과 같다.

집정관 이전 역임 공직
순서직책명설명시기
1Prefectus frumenti dandi|프라이펙투스 프루멘티 단디la로마의 무료 곡물 배급 책임자-
2아시아 속주 프로콘술레가투스아시아 속주 총독 보좌관-
3Curator|큐라토르la이름이 명시되지 않은 특정 도로 관리 책임자-
4프리미게니아 제22군단의 레가투스 레기오니스군단 지휘관-
5아이라리움 밀리타레 책임자퇴역 군인 연금 기금 관리 책임자105년–107년
6아이라리움 사투르니 책임자국가 재정(국고) 관리 책임자108년–110년

[4]

이러한 다양한 경험을 쌓은 후, 카틸리우스는 그의 첫 집정관직에 오르게 된다.

2. 2. 주요 관직

카틸리우스 세베루스의 경력 경로(쿠르수스 호노룸)는 이탈리아 안티움에서 발견된 한 비문을 통해 자세히 알 수 있다.[14][3] 기록상 확인되는 그의 첫 공직은 전통적인 로마 공화국 시기의 정무관직인 재무관( quaestor|퀘스토르la)이었으며, 구체적으로는 아시아 속주에서 근무했다. 이 직책을 통해 그는 원로원 의원이 될 자격을 얻었다. 이후 그는 호민관( tribunus plebis|트리부누스 플레비스la)으로 진급했다. 비록 안티움 비문에는 법무관( praetor|프라이토르la) 역임 사실이 생략되어 있지만, 그가 이후 맡은 고위직들을 고려할 때 법무관직을 거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집정관에 오르려는 원로원 의원은 군단장(레가투스 레기오니스)이나 속주 총독(프로콘술 또는 황제 속주 총독), 혹은 재정 관련 고위직(프라이펙투스) 등 두 가지 정도의 주요 공직을 거치는 것이 보통이었으나, 카틸리우스는 이례적으로 여섯 개에 달하는 공직을 역임하며 경력을 쌓았다. 그의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 프라이펙투스 프루멘티 단디(prefectus frumenti dandi|프라이펙투스 프루멘티 단디la): 로마 시민들에게 무료로 곡물을 배급하는 중요한 직책을 맡았다.
  • 레가투스(legatus|레가투스la): 아시아 속주프로콘술 총독을 보좌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 도로 관리 책임자(curator|쿠라토르la): 이름이 명시되지 않은 특정 도로의 관리를 책임졌다.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legatus legionis|레가투스 레기오니스la): 프리미게니아 제22군단의 지휘관을 맡아 군 경력을 쌓았다.
  • 재무 프라이펙투스(praefectus|프라이펙투스la): 두 개의 중요한 재무 관련 직책을 연이어 맡았다.
  • 아이라리움 밀리타레(군사 재정 금고) 관리 책임자 (105년 ~ 107년)
  • 아이라리움 사투르니(국가 재정 금고) 관리 책임자 (108년 ~ 110년)[15][4]


이처럼 다양한 분야에서 능력을 인정받은 카틸리우스는 110년에 마침내 첫 번째 집정관(보좌 집정관)으로 선출되었다.

집정관 임기를 마친 후에도 그의 경력은 계속 이어졌다. 그는 고대 로마의 가장 권위 있는 사제단 중 하나인 셉템비리 에풀로눔에 입단하여 종교적인 명예도 얻었다. 114년에는 카파도키아-아르메니아 지역의 총독으로 임명되었고,[16][5] 재임 기간 중 트라야누스 황제의 파르티아 원정에 참여하여 군사적 공로를 인정받아 여러 개의 군사 훈장(도나 밀리타리아)을 수여받았다.

117년 가을, 트라야누스 황제가 사망하고 하드리아누스가 새로운 황제로 즉위하자, 하드리아누스는 카틸리우스를 자신의 후임으로 시리아 총독에 임명했다. 덕분에 하드리아누스는 로마로 돌아올 수 있었고, 카틸리우스는 119년까지 시리아 총독직을 수행했다.[17][6]

120년에는 두 번째로 집정관직을 역임하는 영예를 누렸으며,[18][7] 이후 124년 또는 125년에는 원로원 의원들이 갈 수 있는 가장 명망 높은 속주 총독직 중 하나인 아프리카 속주프로콘술 총독직을 맡았다.[19][8] 아프리카 총독 임기를 마친 뒤에는 로마시 정무관으로 임명되어 수도 로마의 행정을 총괄했다.[12][1] 아프리카 속주 총독과 로마시 정무관은 성공적인 원로원 경력의 정점으로 여겨지는 직위였는데, 카틸리우스가 이 두 직책을 모두 역임했다는 사실은 그의 뛰어난 능력과 경력뿐만 아니라, 하드리아누스 황제로부터 깊은 신임을 받았음을 증명한다.

2. 3. 카파도키아-아르메니아 총독

114년에 카파도키아-아르메니아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5] 그는 총독 재임 기간 동안 트라야누스 황제의 파르티아 원정에 참여하였고, 이 공로로 여러 개의 군사 훈장인 도나 밀리타리아를 수여받았다.

2. 4. 시리아 총독

트라야누스 황제가 사망한 뒤인 117년 가을, 그의 후계자인 하드리아누스는 카틸리우스를 시리아 총독으로 임명하여 하드리아누스 본인이 로마로 돌아갈 수 있도록 했다. 카틸리우스는 119년까지 시리아 총독으로 재임했다.[6]

2. 5. 이후 경력

120년에 두 번째 집정관을 지낸 후,[7] 카틸리우스는 124/125년에 아프리카 속주프로콘술 총독[8]을 역임했고, 이후 로마시 정무관이 되었다.[1] 이러한 직책 중 하나만 맡는 것도 성공적인 원로원 경력의 정점으로 여겨졌는데, 그가 두 직책을 모두 역임했다는 것은 그의 성공뿐만 아니라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총애를 받았음을 증명한다.

3. 가족 관계

카틸리우스는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툴루스의 미망인이었던 다수미아 폴라의 세 번째 남편으로 여겨진다.[20] 툴루스는 자신의 조카 대 도미티아 루킬라를 입양했는데, 그녀는 훗날 로마 황제가 되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할머니였다.[21] 이 인연으로 카틸리우스는 어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양육에도 영향을 미쳤다.[21]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훗날 카틸리우스 세베루스가 자신의 삶에 미친 영향에 대해 "공공 교육 기관에 다니지 않고 집에서 좋은 교사들을 만났으며, 그런 일에 아낌없이 돈을 쓰는 것이 의무라는 것을 배웠다"고 회상했다.[22]

183년과 213년부터 218년까지 아르발 형제단의 일원으로 확인된 두 명의 그나이우스 카틸리우스 세베루스는 카틸리우스의 후손이거나 최소한 그의 가문 출신일 것으로 추정된다.[13]

참조

[1] 서적 The Antonines: The Roman Empire in Transition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 서적 Adoptive and polyonymous nomenclature in the Roman Empire Societas Scientiarum Fennica
[3] CIL
[4] 간행물 "L'aerarium saturni et l'aerarium militare. Administration et prosopographie sénatoriale" http://www.persee.fr[...] École Française de Rome
[5]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6]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7] 논문 "Ein Consul Suffectus Q. Aburnius in drei fragmentarischen Diplomen"
[8]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9] 서적 The Women of Pliny's Lette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 서적 A Companion to Marcus Aurelius John Wiley & Sons
[11] 서적 Meditations
[12] 서적 The Antonines: The Roman Empire in Transition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3] 서적 Adoptive and polyonymous nomenclature in the Roman Empire Societas Scientiarum Fenica
[14] CIL
[15] 간행물 "L'aerarium saturni et l'aerarium militare. Administration et prosopographie sénatoriale" http://www.persee.fr[...] École Française de Rome
[16]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17]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18] 논문 "Ein Consul Suffectus Q. Aburnius in drei fragmentarischen Diplomen"
[19]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20] 서적 The Women of Pliny's Lette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1] 서적 A Companion to Marcus Aurelius John Wiley & Sons
[22] 서적 Medita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