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룩 (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룩은 체스 기물 중 하나로, 고대 인도 차투랑가에서 전차를 의미하는 'ratha'에서 유래되었다. 룩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이동할 수 있으며, 캐슬링이라는 특수한 이동에 참여할 수 있다. 룩은 일반적으로 폰 5개의 가치를 가지며, 비숍이나 나이트보다 강하고 두 개의 마이너 기물보다는 약하다. 룩은 초반에는 다른 기물에 막혀 활약하기 어렵지만, 중반전 및 종반전에는 그 존재감을 드러내며, 특히 7번째 랭크에 위치한 룩은 강력한 공격력을 발휘한다. 또한 룩은 '루키'라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으며, 문장학에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스의 기물 - 퀸 (체스)
    퀸은 체스 기물 중 하나로, 가로, 세로, 대각선으로 칸 수 제한 없이 이동하며 가장 강력한 기물로 평가받고, 룩과 비숍의 움직임을 결합한 형태로 폰 9개의 가치를 지닌다.
  • 체스의 기물 - 비숍 (체스)
    비숍은 체스에서 대각선으로 이동하는 기물로, 각 플레이어는 백색 칸과 흑색 칸 비숍을 하나씩 가지며, 일반적으로 폰 3개 가치로 평가되지만 상황에 따라 달라지고, '굿 비숍'과 '배드 비숍'으로 구분되며 엔드게임에서 특정 전략적 의미를 가진다.
  • 체스 - 아티피셜 캐슬링
  • 체스 - 대국 시계
    대국 시계는 체스, 장기, 바둑 등 시간제한 경기에서 사용되는 도구로, 모래시계에서 디지털 시계로 발전해 왔으며 다양한 시간 측정 방식과 편의 기능을 제공하고, 공정한 경기 진행을 위한 규칙과 게임별 사용 방식의 차이가 있다.
룩 (체스)
체스 기물 정보
명칭
다른 명칭
기물 종류체스 기물
5 (폰 기준)
움직임가로 또는 세로로 원하는 칸만큼 이동 가능
로마자 표기Ruk
유니코드
명칭 유래
페르시아어رخ (rokh/rukh, 전차)
이탈리아어Rocco

2. 역사

룩은 고대 인도 차투랑가에서 유래되었으며, 당시 '라타(ratha)'라고 불리며 전차를 의미했다.[14] 페르시아에서는 '루크(rukh)'라고 불렸고, 이는 아랍을 거쳐 유럽에 전해져 여러 언어에서 룩을 나타내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다.[28]

16세기경 마르코 지롤라모 비다의 저서에서 룩은 코끼리 등에 탑을 얹은 모습으로 처음 등장했고, 이후 코끼리는 사라지고 탑만 남아 현재와 같은 형태가 되었다.[16] 서양에서 룩은 일반적으로 작은 탑 모양이며, 이탈리아어 '토레(torre, 탑)' 등 여러 언어에서 탑을 의미하는 단어로 불린다.[17]

샹치쇼기에서는 룩이 전차(車)를 의미하는 기물로 나타난다.[15] 러시아어 '라디야(ладья, 배)', 태국어 '르아(เรือ, 배)' 등 일부 언어에서는 배를 의미하는데, 이는 아랍식 룩 기물 형태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0][21][22][23] 칸나다어에서는 '아네(ಆನೆ, 코끼리)'라고 불리는데, 다른 언어에서 비숍을 코끼리로 표현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25][26]

대영 박물관의 중세 루이스 체스맨에서 룩은 광전사 모습이다.

2. 1. 어원

한국어 명칭 '차(車)'는 고대 전차의 역할을 반영한 것으로, 룩의 직선적인 움직임을 잘 나타낸다. 영어 명칭 'rook'은 페르시아어 '루크()'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전차를 의미한다.[14] 일본어에서는 '룩(ルーク)'으로 표기되거나, '캐슬(castle)'로 불리기도 한다.[18]

3. 초기 배치 및 이동

룩은 체스판 양쪽 끝(a1, h1, a8, h8)에 배치된다.[1] 백 룩은 a1과 h1, 흑 룩은 a8과 h8에 놓는다. 룩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빈칸이 있으면 칸 수 제한 없이 이동할 수 있다. 다른 말을 뛰어넘을 수 없고, 아군 말이 있는 칸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적의 말이 있는 칸으로는 이동하여 그 말을 잡을 수 있다.

기보상에서는 R로 표기한다.[2]

3. 1. 캐슬링

룩은 킹과 함께 캐슬링이라는 특별한 이동을 할 수 있다. 캐슬링은 킹과 룩이 한 번도 움직이지 않았고, 킹과 룩 사이에 다른 기물이 없으며, 킹이 이동하는 경로가 공격받지 않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캐슬링을 할 때 킹은 룩 쪽으로 두 칸 이동하고, 룩은 킹이 지나온 칸으로 이동한다. 기보상에서는 킹의 움직임으로 간주한다.

4. 가치

룩은 일반적으로 5개의 가치를 지닌다. 보통 룩은 비숍이나 나이트보다 강하며, 이 두 기물보다 약 2폰 정도 더 가치가 있다. 그러나 비숍이나 나이트 두 개의 가치보다는 약 1폰 정도 가치가 낮다. 두 개의 룩은 보통 보다 약간 더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체스 기물의 상대적 가치 참조) 비숍이나 나이트를 잡고 룩을 잃는 것을 '상'을 얻는다고 표현한다.[29] 룩과 퀸은 '메이저 기물' 또는 '대기물'로 불리며, 비숍과 나이트는 '마이너 기물'로 불린다.

기물의 가치
비숍나이트
기물의 가치∞(무한대)95331


  • 이 평가는 일반적인 상황을 기준으로 하며, 체스의 국면(局面)에 따라 기물의 가치는 달라질 수 있다.
  •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2개의 룩은 퀸 하나보다 더 높게 평가된다. 특히 엔드게임에서 이러한 강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2개의 룩이 같은 행렬에 서서 서로를 지키면서 난공불락의 전술을 형성 할 수 있고, 킹의 개입 없이 체크메이트를 강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퀸은 다른 기물의 도움 없이 혼자서 체크메이트를 강제 할 수는 없다.

5. 전략

룩은 체스 초반에는 다른 기물에 막혀 활약하기 어렵지만, 중반 이후, 특히 엔드게임에서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종반전에는 킹을 제외하면 폰과 룩이 남을 확률이 매우 높다. 룩은 때때로 단독으로 적의 킹을 체크메이트 할 수 있는데, 이를 「백 랭크 메이트」라고 하며 실전에서도 자주 볼 수 있다.[12]

폰이 으로 프로모션할 때 스테일메이트가 된다면, 룩으로 프로모션하여 스테일메이트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룩은 체스 기물 중에서 유일하게 거꾸로 세워 놓을 수 있어, 폰이 퀸으로 프로모션할 때 여분의 퀸이 없고 자신의 룩이 잡힌 상태라면 룩을 거꾸로 뒤집어서 퀸을 대신하기도 한다.

5. 1. 전개

룩은 보통 캐슬링을 통해 연결되며, 오픈 파일(양쪽 폰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파일)이나 하프 오픈 파일(아군 폰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파일)에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 파일이 특히 중요하다면, 같은 파일에 두 개의 룩을 배치하는 '룩 더블링'을 할 수 있다.

7랭크(상대의 두 번째 랭크)에 있는 룩은 매우 강력하며, 상대의 전진하지 않은 폰을 위협하고 적의 킹을 가둔다. 7랭크에 있는 룩은 종종 폰 하나에 대한 충분한 보상으로 간주된다.[10] 레프 폴루가예프스키와 래리 에반스의 경기에서처럼 7랭크에 있는 룩은 백이 폰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무승부를 가능하게 한다.[11]

7랭크에 두 개의 룩은 종종 맹인 돼지 메이트로 승리하거나 적어도 영구 체크로 무승부를 만들기에 충분하다.[12]

룩을 적진의 7번째 랭크(흑 측이라면 2번째 랭크)에 침투시키는 "세븐스 랭크 룩" 형태는 중반전이나 종반전에서 매우 유리하며, 특히 룩을 2개 침투시킨 형태는 이상적인 공격 형태 중 하나이다.

5. 2. 세븐스 랭크 룩

7번째 랭크(흑은 2번째 랭크)에 있는 룩은 일반적으로 매우 강력하며, 상대의 전진하지 않은 을 위협하고 적의 을 가둔다.[9] 7번째 랭크에 있는 룩은 종종 하나에 대한 충분한 보상으로 간주된다.[9]

레프 폴루가예프스키와 래리 에반스의 경기에서처럼, 7번째 랭크에 있는 룩은 백이 폰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무승부를 가능하게 한다.[10][11]

7번째 랭크에 두 개의 룩은 종종 맹인 돼지 메이트로 승리하거나 적어도 영구 체크로 무승부를 만들기에 충분하다.[12]

룩을 적진의 7열(흑은 2열)에 침입시키면 중반전과 종반전에서 상당한 우위에 설 수 있으며, 특히 룩 2개를 7열(흑은 2열)로 올린 형태는 이상적인 공격 형태 중 하나이다.

5. 3. 엔드게임

룩은 폰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움직이며 많은 칸을 제어할 수 있어 엔드게임에서 가장 강력하다.[13] 룩은 전진하는 폰 뒤의 파일에 위치하지 않는 한, 적 폰의 프로모션을 막는 데 서투르다. 룩은 같은 파일에서 뒤에서 아군 폰의 프로모션을 가장 잘 지원한다(타라쉬 규칙 참조).[13]

룩 1개와 마이너 기물 1~2개 대 룩 2개의 포지션에서, 룩 1개를 가진 플레이어는 룩을 교환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13]

룩은 체크메이트를 전달하는 데 능숙하다. 단일 룩은 체크메이트를 강제할 수 있지만 단일 마이너 기물은 할 수 없다. 아래는 쉽게 강제할 수 있는 룩 체크메이트의 몇 가지 예시이다.

6. 체크메이트

룩은 체스에서 체크메이트를 하는 데 능숙하다. 단일 룩으로도 체크메이트를 강제할 수 있지만, 마이너 기물로는 불가능하다.

6. 1. 체크메이트 예시

룩은 체크메이트를 전달하는 데 능숙하다. 아래는 쉽게 할 수 있는 룩 체크메이트의 몇 가지 예시이다. 단일 룩은 체크메이트를 강제할 수 있지만 단일 마이너 기물은 할 수 없다.

  • 킹과 룩 메이트: 킹과 룩이 협력하여 적 킹을 보드 가장자리로 몰아넣어 체크메이트한다.
  • 백 랭크 체크메이트: 폰에 의해 보호받지 못하는 킹의 백 랭크(첫 번째 랭크)를 룩으로 공격하여 체크메이트한다.
  • 두 룩 체크메이트(래더 체크메이트): 두 룩이 번갈아 가며 킹을 몰아붙여 체크메이트한다.

7. 상징 및 기타

「신인」을 가리키는 영어 단어 '''루키'''(rookie)는 룩에서 유래했다.[30] 룩은 체스 기물 중 가장 늦게 전개되기 때문에, 다른 기물에 비해 「나중에 발휘하는 존재」(신참)로 여겨진다.[30] 마이너 리그에서는 싱글 A보다 낮은 등급을 루키라고 부른다.

샤라흐베르그하임-이름스테트(Scharrachbergheim-Irmstett)의 문장


체스 룩은 문장학에서 자주 사용되는 도형이다. 문장학에서 룩은 보통 중세 시대 체스 세트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일반적인 성벽 대신 두 개의 바깥쪽으로 굽은 뿔이 달려 있다. 룩은 대략 13세기부터 문장에 등장하기 시작했다.[30]

캐나다 문장학에서 체스 룩은 다섯째 딸을 나타내는 카덴스 표식이다.

유니코드에는 룩을 나타내는 세 개의 코드 포인트가 정의되어 있다.

코드설명
U+2656 흰색 체스 룩
U+265C 검은색 체스 룩
🨂U+1FA02 중립 체스 룩


참조

[1] 웹사이트 "Rook - noun²" https://www.oed.com/[...] 2023-07
[2] 웹사이트 Rocco https://www.treccani[...] Treccani 2024-03-18
[3] 웹사이트 Rocco https://www.etimo.it[...] Vocabolario etimologico della lingua italiana 2024-03-18
[4] 서적
[5]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New Oxford American Dictionary, The Oxford Companion to Chess, Let's Play Chess, The Everything Chess Basics Book
[6] 문서 The Official Rules of Chess, The US Chess Federation Official Rules of Chess, Official Chess Handbook, Official Chess Rulebook, The Official Laws of Chess, Bobby Fischer Teaches Chess, A World Champion's Guide to Chess, The Complete Book of Chess, Chess Fundamentals
[7] 웹사이트 The value of the chess pieces https://learn.chessb[...] 2021-03-11
[8]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Value Of Chess Pieces https://www.chesskid[...] 2021-03-11
[9] 서적
[10] 웹사이트 Lev Polugaevsky vs Larry Melvyn Evans (1970) https://www.chessgam[...]
[11] 서적
[12] 문서 The two rooks are sometimes colloquially referred to as "pigs on the seventh", because they often threaten to "eat" the opponent's pieces or pawns.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現代漢語詞典
[16] 웹사이트 Article by Dr. Hans Holländer, "CYCLOPES, ELEPHANTS AND CHESS ROOKS" http://www.chess-mus[...] 2020-02-26
[17] 웹사이트 מילון מורפיקס: צריח https://www.morfix.c[...] 2022-01-09
[18] 서적
[19] 서적
[20] 웹사이트 Studia Etymologica Cracoviensia https://books.google[...] Ksie̦garnia Akademicka 2002-01-04
[21] 웹사이트 ภาพแห่งปี! โรนัลโด้-เมสซี่โพสต์รูปเดียวกันขณะนั่งเล่นหมากรุก https://www.siamspor[...] 2022-11-20
[22] 웹사이트 Շախմատային նավակ https://chessschool.[...]
[23] 서적 A Short History of Chess https://books.google[...] Crown 2012-10-10
[24] 서적 The eighth continent: life, death, and discovery in the lost world of Madagascar HarperCollins
[25] 웹사이트 English :: Kannada Online Dictionary https://www.english-[...]
[26] 간행물 How the Elephant became a Bishop: An Enquiry into the Origin of the Names of Chess Pieces https://zenodo.org/r[...] 1907-01-01
[27] 웹사이트 Indian Chess Sets http://history.chess[...] History of Chess 2015-08-08
[28] 간행물 Of Rukhs and Rooks, Camels and Castles
[29] 문서 英語ではメジャー・ピース (major pieces) 、またはヘビー・ピース (heavy pieces) となる。
[30] 웹사이트 Chess pieces http://mistholme.com[...] Misthol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