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룰라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룰라주의는 2002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운동에서 시작되어, 룰라 대통령의 언론 비서관 앙드레 싱거가 만든 정치적 개념이다. 룰라주의는 노동자당의 좌파 정치에서 벗어나 보수 세력과의 화해를 추구하며,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 정부의 경제 정책과 룰라 정부의 분배 정책을 결합한 보수적 사회 협약을 지향한다. 사회 갈등 완화를 통해 빈곤과 불평등 감소를 목표로 하며, 국가 주도하에 취약 계층을 지원하는 현대화의 보수적 변형을 특징으로 한다. 룰라주의는 인플레이션 통제, 변동 환율, 예산 흑자를 기반으로 한 거시 경제 정책을 통해 룰라 정부와 카르도주 정부의 연속성을 나타낸다. 룰라주의는 라틴 아메리카 정치인들에게 정치 모델로 언급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사회 통합과 경제 발전을 위한 정책 모델로 참고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 2022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2022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는 극우 성향의 보우소나루 현 대통령과 좌파 성향의 룰라 전 대통령 간의 경쟁 끝에 룰라가 당선되었으며, 선거 부정 주장, 정치적 폭력, 허위 정보 유포 논란 속에 브라질의 심각한 정치적 양극화를 드러낸 사례로 평가받는다.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 노동자당 (브라질)
    노동자당은 1980년 브라질 군부 독재에 반대하는 세력들이 창당한 민주사회주의 정당으로, 룰라와 호세프 대통령을 배출하며 사회 복지 정책과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탄핵 후 정권을 잃었다가 2022년 룰라의 재집권으로 다시 여당이 되었다.
  • 21세기 사회주의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실바는 브라질의 노동운동가 출신 정치인으로, 2003년부터 2010년까지, 그리고 2023년부터 브라질 대통령을 역임하고 있으며, 사회복지 프로그램으로 빈곤 감소에 기여하고, 부패 스캔들과 아마존 열대우림 벌채 문제 등의 논란을 겪었으나, 2022년 대선에서 재선에 성공하여 현재 브라질 대통령으로서 국정을 운영하고 있다.
  • 21세기 사회주의 - 에보 모랄레스
    에보 모랄레스는 볼리비아 최초의 원주민 출신 대통령으로, 코카 재배 농민 운동을 이끌고 사회주의 운동을 통해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부정 선거 의혹으로 사임 후 망명 생활을 거쳐 귀국했으며, 현재 미성년자 성폭행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룰라주의 - [정당]에 관한 문서
개요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2003년부터 2011년까지 브라질 대통령, 2022년 재선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2003년부터 2011년까지 브라질 대통령, 2022년 재선
이름룰라주의
원어 이름Lulismo
정치
창시자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지도자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창립2003년
이념사회민주주의
사회자유주의
진보주의
민주사회주의
21세기 사회주의
발전주의
좌익 포퓰리즘
자유사회주의
케인스주의
환경주의
역사적 이념 (1단계)제3의 길
정치적 위치중도주의 ~ 좌익
지지 정당노동자당
브라질 희망 연합

2. 역사

"룰라주의"는 룰라의 정치 철학 및 정책 노선을 설명하기 위해 정치학자 앙드레 싱거가 제시한 개념이다.[22][27][28][29] 이는 2002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를 기점으로 형성되었으며, 기존 노동자당의 급진적 노선과는 달리 사회적 동원보다는 질서 안에서의 점진적 변화를 추구하는 특징을 보인다.[21][28]

룰라주의의 핵심은 이전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 정부의 거시 경제 안정 정책을 유지하면서도, 분배 정책을 통해 빈곤과 불평등을 완화하려는 시도에 있다.[27][21] 이를 위해 보수 세력과의 화해를 모색하고 사회 갈등을 관리하려 했으며,[28][34][35] 이는 "약한 개혁주의" 또는 "현대화의 보수적 변형"으로 평가받기도 한다.[35][36] 또한 특정 정당에 얽매이지 않는 비당파적 성격도 지닌다.[37] 한편, 룰라주의와 자유주의의 관계에 대한 논쟁도 존재하며,[30][31][32][33] 최근 브라질 정치 상황 변화 속에서 보다 급진적인 "룰라주의 2단계"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기도 했다.[38][39]

2. 1. 기원

"룰라주의"라는 용어는 정치학자 앙드레 싱거가 만들었다.[22][27][28][29] 그는 2003년부터 2005년까지 룰라의 언론 비서관이었고, 2002년부터 2007년까지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대변인을 지냈다. 룰라주의는 2002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운동 과정에서 시작되었으며, 2001년 말까지 노동자당이 추구했던 기존 좌파 정치 노선에서 벗어나 조직과 동원의 개념을 포기하는 특징을 보였다.[21] 이는 룰라주의가 질서 안에서 변화를 추구하는 모델이기 때문에, 대중 동원은 불필하며 사회적 갈등은 관리되어야 할 대상으로 보았기 때문이다.[28]

룰라주의는 룰라와 브라질의 주요 보수 세력 간의 화해를 모색했다.[28][34] 이는 이전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 정부(1995–2003)의 경제 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룰라 정부(2002–2010)의 분배 정책을 결합하려는 시도였다.[27] 이러한 접근은 "사회 갈등의 유화 정책"으로 평가받기도 하는데,[36] 특히 불평등이 심한 브라질 사회에서 지배 계층이 우려하는 급진적 변화 대신, "약한 개혁주의"의 틀 안에서 "빈곤과 불평등 감소"를 추진하는 방식이었다.[35] 이 모델은 가장 가난한 계층을 지원하는 데 국가의 역할을 강조하면서도, 기존의 사회 구조나 보수 엘리트의 경제적 이익과는 충돌하지 않는 "현대화의 보수적 변형"으로 설명되기도 한다.[36] 즉, 인플레이션 통제, 변동 환율제, 재정 흑자 유지라는 거시 경제 정책의 연속성 위에서 새로운 이념적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21]

룰라주의를 특징짓는 또 다른 점은 특정 정당에 얽매이지 않는 비당파적 성격이다. 이는 룰라가 창립한 노동자당을 포함한 여러 정당과 중첩되는 모습을 보였다.[37]

2. 2. 자유주의 논쟁

밀레니엄 연구소 Instituto Millenium|인스치투투 밀레니움pt를 위해 2009년에 작성된 한 기사에서는 "6년 이상의 룰라주의 이후 자유주의자들이 궁지에 몰렸다"고 언급했다. 파트리시아 카를루스 데 안드라데 역시 이 견해를 받아들이며, 브라질에서 '자유주의자'라는 용어가 '우익' 또는 '군사 독재 지지자'로 잘못 통용된다고 지적하고, "대중 여론을 위한 전쟁에서 소위 좌파가 항상 더 나았다"고 부연했다.[30] 룰라 다 실바 또한 언론과 서적에서 고전적 자유주의와는 다른 사회적 자유주의 의미에서의 "자유주의자"로 묘사되기도 했다.[31][32][33]

2. 3. 보수 세력과의 화해

룰라주의는 룰라와 대규모 브라질 보수 세력 간의 화해를 모색했다.[28][34] 이는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 (1995–2003) 정부의 경제 정책과 룰라 정부 (2002–2010)의 분배 정책을 결합한 보수적 사회 협약으로 평가된다.[27]

이러한 화해는 "사회 갈등의 유화 정책"으로 이해된다.[35] 이는 특히 브라질처럼 불평등이 심한 국가에서 부르주아지가 항상 두려워했던 사회 갈등을 완화하려는 시도였다.[35] 룰라주의는 "약한 개혁주의의 보호 아래" "빈곤과 불평등 감소 의제"를 추진했지만,[35] 동시에 브라질의 사회 구조적 문제는 건드리지 않아 보수 엘리트의 재정적 이익과 충돌하지 않았다.[36] 이러한 특징 때문에 룰라주의는 국가가 가장 가난한 사람들을 활용하는 데 "두드러진 역할"을 하는 "현대화의 보수적 변형"으로 설명된다.[36]

경제 정책 측면에서도 룰라 정부는 카르도주 정부와의 연속성을 보였는데,[21] 인플레이션 통제, 변동 환율 및 예산 흑자라는 세 가지 기둥을 기반으로 한 거시 경제 정책에서 룰라와 카르도주 정부의 연속성을 결합하는 새로운 이념적 틀을 만들었다.[21]

2. 4. 사회 통합 정책

룰라주의는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 (1995–2003) 정부의 경제 정책과 룰라 정부 (2002–2010)의 분배 정책을 결합한 보수적 사회 협약으로 평가받는다.[27] 이는 룰라와 대규모 브라질 보수 세력 간의 화해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28][34]

이러한 화해의 기조 아래,[36] 룰라주의는 "사회 갈등의 유화 정책"을 핵심으로 삼는다. 이는 브라질처럼 불평등이 심한 국가에서 부르주아 계층이 전통적으로 우려해 온 사회 갈등을 완화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35] 룰라주의는 "약한 개혁주의"의 틀 안에서 빈곤과 불평등 감소를 목표로 삼았지만,[35] 동시에 기존 질서 내에서의 변화를 추구했기 때문에 대규모 사회 동원은 불필요하다고 여겼고, 갈등 요소를 최소화하려 했다.[28]

이러한 사회 변화 모델은 국가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 가장 가난한 계층을 지원하는 형태를 띠지만, 근본적인 사회 구조 개혁에는 이르지 못하는 "현대화의 보수적 변형"으로 묘사된다. 즉, 브라질의 구조적인 문제는 건드리지 않음으로써 보수 엘리트의 경제적 이익과 충돌하지 않도록 조정되었다.[36] 또한, 거시 경제 정책 측면에서는 인플레이션 통제, 변동 환율제 유지, 재정 흑자 달성이라는 세 가지 원칙을 고수하며 카르도주 정부와의 정책적 연속성을 보였다.[21]

2. 5. 비당파적 성격

룰라주의를 정치 운동으로 구별하는 또 다른 특징은 비당파적 성격이다. 그것은 룰라가 설립한 노동자당을 포함한 정당과 중첩된다.[37]

2. 6. 룰라주의 2단계?

딜마 호세프 탄핵과 같은 브라질 정치의 후기 사건들, 2018년 4월 7일 룰라의 체포 및 미셰우 테메르 대통령의 노동법 개혁과 같은 일련의 정치적 변화 이후,[38] 일부 정치 평론가들 사이에서는 기존보다 더 급진적이고 좌파적인 성향을 띠는 룰라주의의 두 번째 단계에 대한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39]

3. 영향

오얀타 우말라, 호세 무히카, 마우리시오 푸네스, 페르난도 루고와 같은 여러 라틴 아메리카 정치인들은 룰라주의와 차비즘을 정치적 모델이자 워싱턴 컨센서스의 대안으로 언급했다.[40]

참조

[1] 논문 From Socialism to Social Democracy: Party Organiz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Workers’ Party in Brazil 2004
[2] 웹사이트 Is Social Democracy Possible in Latin America? https://www.research[...] 2021-12-29
[3] 서적 Economia e Sociedade: o Brasil e a América Latina na conjuntura de crise do capitalismo global Editora Oficina Universitária 2014
[4] 서적 New Neoliberalism and the Other: Biopower, Anthropophagy, and Living Money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8
[5] 서적 Walking the Forest with Chico Mendes: Struggle for Justice in the Amaz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9
[6] 웹사이트 Lula's Political Economy: Crisis and Continuity https://nacla.org/ar[...] 2023-08-12
[7] 서적 A History of the World from the 20th to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0
[8] 웹사이트 Lula's Political Economy: Crisis and Continuity https://nacla.org/ar[...] 2022-03-16
[9] 웹사이트 Brazil: Lula promises 'zero deforestation' following election victory https://www.euronews[...] 2023-07-29
[10] 웹사이트 Lula victory spurs hope for Amazon, fight against climate crisis https://www.aljazeer[...] 2023-07-29
[11] 웹사이트 Lula's victory in Brazil sparks optimism on deforestation, with ramifications for the world https://www.cnbc.com[...] 2023-07-29
[12] 뉴스 Lula vowed to safeguard the Amazon. After Bolsonaro, it won't be easy. https://www.washingt[...] 2023-07-29
[13] 뉴스 Lincoln Secco: "TRF-4 pode ter criado um lulismo mais radical, sem Lula e sem o PT, como é o peronismo" https://brasil.elpai[...] 2018-01-28
[14] 논문 The third way in Brazil? Lula's presidency examined http://scholar.sun.a[...] Stellenbosch University 2011-11-08
[15] 서적 Guardians of the Brazilian Amazon Rainforest: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nd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16] 서적 Latin America After Neoliberalism: Developmental Regimes in Post-Crisis State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2
[17] 뉴스 Lula wants to purge Brazil of Jair Bolsonaro's influence https://www.economis[...] 2023-12-29
[18] 웹사이트 Lula's Plan: A Global Battle Against Trumpism https://www.politico[...] 2023-12-29
[19] 웹사이트 Brazil Election: Left-Wing Lula Narrowly Beats Bolsonaro To Return To Presidency https://www.forbes.c[...]
[20] 웹사이트 An historic third term for the left-wing leader Lula https://www.france24[...] 2023-01-02
[21] 학술지 Raízes sociais e ideológicas do lulismo 2009
[22] 웹사이트 Brazil: Is 'Lulism' over? http://links.org.au/[...] 2013-06-23
[23] 서적 Transnational Governance and South American Politics: The Political Economy of Norm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
[24] 서적 Reinventing the Left in the Global South: The Politics of the Possib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25] 웹사이트 BNCC's Mission http://www.brazilcha[...] Brazilian-Norwegian Chamber of Commerce
[26] 웹사이트 Lula +10: results and evolution of "Lulism" http://www.brazilcha[...] Brazilian-Norwegian Chamber of Commerce
[27] 웹사이트 Cientista político André Singer explica sua tese sobre o lulismo http://www1.folha.uo[...] 2012-08-19
[28] 웹사이트 André Singer: 'O lulismo não é um monopólio do PT' http://ultimosegundo[...] 2012-09-30
[29] 웹사이트 Lula + 10: Achievements, directions and challenges of the social transformations in Brazil http://www.norlarnet[...] NorLARNet 2013-04-11
[30] 웹사이트 Conversa com Patrícia http://exame.abril.c[...] Instituto Millenium 2009-06-03
[31] 뉴스 Explained: Who Is Brazil's New President Lula Da Silva, What's The Road Ahead For Brazil? https://www.outlooki[...] 2023-01-02
[32] 뉴스 Guidelines for soy don't protect tropical forests in Brazil https://www.futurity[...] 2023-01-11
[33] 서적 Walking the Forest with Chico Mendes: Struggle for Justice in the Amaz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
[34] 웹사이트 Gustavo Gindre: Dilma e o esgotamento do lulismo http://www.viomundo.[...] Viomundo 2013-06-28
[35] 웹사이트 Os impasses do "lulismo" http://www.brasildef[...] Brasil de Fato 2013-01-03
[36] 논문 Os sentidos do lulismo: reforma gradual e pacto conservador 2012-11-01
[37] 웹사이트 Em 30 anos de PT, Lula se tornou maior do que o partido http://www.sul21.com[...] Sul 21 2010-10-07
[38] 웹사이트 L13467 http://www.planalto.[...] 2017-07-04
[39] 뉴스 Lincoln Secco: "TRF-4 pode ter criado um lulismo mais radical, sem Lula e sem o PT, como é o peronismo" https://brasil.elpai[...] 2018-01-28
[40] 웹사이트 Lulismo seduz América Latina mas é difícil de copiar http://oglobo.globo.[...] 2011-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