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당 (브라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동자당 (PT)은 1980년 브라질에서 창당된 정당으로, 1964년 군사 쿠데타 이후 억압받던 노동운동을 배경으로 민주사회주의를 표방하며 출범했다. 1982년 정당으로 등록되었으며,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를 중심으로 성장하여 2002년 대선에서 승리하며 집권했다. 이후 중도좌파, 사회민주주의 노선을 걸으며 복지 정책과 경제 성장을 추구했으나, 멘살랑, 카르와시 작전 등 부패 스캔들과 당내 갈등을 겪었다. 2022년 룰라가 재집권에 성공하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 2022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2022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는 극우 성향의 보우소나루 현 대통령과 좌파 성향의 룰라 전 대통령 간의 경쟁 끝에 룰라가 당선되었으며, 선거 부정 주장, 정치적 폭력, 허위 정보 유포 논란 속에 브라질의 심각한 정치적 양극화를 드러낸 사례로 평가받는다.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 룰라주의
룰라주의는 2002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운동에서 시작된 정치적 개념으로, 노동자당의 좌파 정치에서 벗어나 보수 세력과의 화해를 추구하며, 빈곤과 불평등 감소를 목표로 국가 주도하에 취약 계층을 지원하는 보수적 사회 협약을 지향한다. - 1980년 설립된 정당 -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은 전두환을 총재로 추대하여 창당, 1980년대 집권 여당으로 군림하다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에 흡수된 정당이다. - 1980년 설립된 정당 - 방글라데시 노동당
방글라데시 노동당은 1980년 여러 좌파 단체의 통합으로 설립되어 사회주의 이념에 기반한 사회 개혁과 노동자 계급의 권익 신장을 목표로 하며, 분열과 재결합을 거쳐 총선 참여 및 연립 정부 참여 등의 활동을 해왔다.
노동자당 (브라질) - [정당]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노동자당 |
약칭 | PT |
창립 | 1980년 2월 10일 |
정당 등록 | 1982년 2월 11일 |
본부 | 상파울루, 브라질, 브라질리아, 브라질 |
당원 수 | 1,608,140명 |
당원 수 기준 년도 | 2024년 |
기관지 | 포커스 브라질 |
학생 조직 | 청년 노동자당 |
싱크 탱크 | 페르세우 아브라모 재단 |
색상 | 빨강 하양 |
TSE 식별 번호 | 13 |
웹사이트 | 브라질 노동자당 |
정치 | |
총재 | 글레이시 호프만 |
부총재 | 워싱턴 콰콰 |
명예 총재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
이념 | 사회민주주의 진보주의 포퓰리즘 룰라주의 |
분파 | 민주사회주의 21세기 사회주의 가톨릭 좌파 해방신학 |
정치적 성향 | 중도좌파 |
분파 성향 | 좌익 |
전국 연합 | 희망의 브라질 |
지역 연합 | 상파울루 포럼 라틴 아메리카·카리브해 정당 상설 회의 |
국제 연합 | 진보동맹 |
의석 | |
주지사 | 1 / 27석 |
시장 | 180 / 5570석 |
연방 상원 | 9 / 81석 |
연방 하원 | 69 / 513석 |
메르코수르 의회 | 5 / 38석 |
주의회 | 83 / 1024석 |
시의원 | 1675 / 56810석 |
이미지 정보 | |
![]() | |
![]() |
2. 역사
군사정부 시기, 해방 신학의 영향을 받은 가톨릭 신자들, 대규모 파업을 주도한 노동조합 운동가들, 그리고 1979년 사면법 이후 망명에서 돌아온 좌파 지식인 등 다양한 세력이 결집하여 1980년 2월 10일 상파울루에서 창당했다.[34][97][98] 민주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내걸었으며, 1982년 2월 11일 정식 정당으로 등록되었다.[38][97][98]
창당 초기인 1982년 총선에서 하원 8석을 확보하며 원내에 진출했고, 당의 상징적 인물인 룰라는 1989년 대선에서 결선까지 진출했으나 패배했다. 이후 1994년과 1998년 대선에서도 연이어 패배했지만, 꾸준히 지지 기반을 넓혀나갔다.
마침내 2002년 대선에서 룰라가 약 60%의 득표율로 승리하며 노동자당은 처음으로 집권에 성공했고, 동시에 치러진 총선에서도 주요 정당으로 부상했다.[97][98] 룰라 정부는 경제 성장과 룰라주의로 불리는 사회 정책을 통해 높은 인기를 누렸고, 2006년 대선에서도 룰라가 재선에 성공하며 노동자당은 전성기를 맞았다.[97][98]
룰라의 뒤를 이어 2010년 대선에서는 지우마 호세프가 당선되어 집권을 연장했고, 2014년 대선에서도 재선에 성공했다. 그러나 재선 이후 경제 침체와 부패 스캔들 등으로 정치적 위기를 맞았고, 결국 2016년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이 탄핵되면서 13년간의 집권을 마감하고 야당으로 전락했다.[97][98]
2018년 대선을 앞두고 유력 후보였던 룰라 전 대통령이 부패 혐의로 구속되어 출마가 좌절되었고, 페르난두 아다지 후보가 나섰으나 사회자유당의 자이르 보우소나루에게 패배했다. 이후 보우소나루 정권 시기 동안 노동자당은 주요 야당으로 활동했다.[97][98]
2. 1. 창당 배경 (1980년대)
1964년 브라질 쿠데타로 들어선 군사정부 시기, 노동운동은 큰 탄압을 받았다. 군사정권은 기존의 주요 노동조합 연맹인 노동자총사령부(pt, CGT)를 해산시키고, 노동조합 활동에 직접 개입했다.[97][98] 당시 노동조합은 게투리오 바르가스 독재 시대부터 국가의 통제를 받는 준국가적 성격을 띠고 있었다.그러나 1970년대 후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가 이끈 ABC 지역(상파울루 인근 공업 지대)에서 1978년부터 1980년까지 대규모 파업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조직적인 노동운동이 다시 힘을 얻기 시작했다. 이러한 노동운동의 재부상은 국가의 직접적인 통제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노동운동 재편의 길을 열었다.[34] 이 운동은 처음에는 노동조합 정치에 집중하려 했으나, 국가의 영향력 아래 있는 보수적 노동조합 세력(CGT 재건 시도 등)과 브라질 공산당(PCB) 등 전통적인 좌파 정당의 영향력 속에서, 반스탈린주의 성향의 지도자들은 독자적인 정당 창당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동시에 1979년 사면법이 시행되면서 군사정권의 탄압을 피해 해외로 망명했던 좌파 지식인, 언론인, 예술가, 노동조합 활동가들이 대거 귀국했다. 이들 중 다수는 군부 독재 하에서 투옥과 고문을 겪은 이들이었다.[34][36] 이들은 귀국 후 노동운동 세력과 결합했으며, 해방 신학[33]의 영향을 받은 가톨릭 신자들, 군부 정권에 반대하는 다양한 운동가들이 합류했다.[34]
이러한 다양한 세력들이 모여 1980년 2월 10일, 상파울루의 시온 컬리지(pt)라는 가톨릭 여자 학교에서 노동자당(pt, PT)을 창당했다.[34] 노동자당은 창당 강령을 통해 민주사회주의[37] 국가 건설을 목표로 삼고, "착취, 지배, 억압, 불평등, 불의, 빈곤을 없애기 위해 투쟁하겠다"고 선언했다.[97][98]
노동자당은 1982년 2월 11일, 브라질 최고선거재판소(pt)로부터 정식 정당으로 인정받았다.[38] 첫 번째 당원증은 예술 비평가이자 전 트로츠키주의 활동가였던 마리우 페드로사(pt)에게 수여되었으며, 문학 학자 안토니우 칸디두(pt)와 역사학자 세르지우 부아르크 지 올란다(pt)가 뒤를 이었다.[39]
2. 2. 초기 활동과 성장 (1980년대 ~ 2002년)
브라질의 군사정부 시기, 해방 신학과 관련된 가톨릭 신자들, 대규모 파업을 주도한 노동조합 운동가들, 그리고 1979년 사면법 이후 망명에서 돌아온 좌파 지식인들이 모여 1980년 2월 10일 상파울루의 시온 컬리지(Colégio Sionpor)에서 창당했다.[34][97][98] 이들은 군부 독재에 반대하고 국가의 간섭 없는 노동 운동의 재편을 추구했으며, 민주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내걸었다.[37] 1982년 2월 11일, 브라질 최고선거재판소에 의해 공식 정당으로 등록되었다.[38][97][98]같은 해 11월에 열린 첫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의 주요 인물인 룰라는 낙선했지만, 노동자당은 하원에서 8석(득표율 3.5%)을 확보하며 원내에 진출했다.[97][98] 1988년 헌법 개정으로 대통령 직선제가 부활한 후 처음 열린 1989년 대통령 선거에서 룰라는 결선 투표까지 진출했으나, 페르난두 콜로르 지 멜루에게 5.7%의 근소한 차이로 패배했다.[41][42]
1994년 총선에서는 의회 의석을 늘리고 처음으로 주지사 2명을 배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43] 그러나 동시에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는 당시 경제 장관으로서 레알 계획을 통해 경제 안정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던 브라질 사회민주당(PSDB)의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 후보에게 1차 투표에서 큰 차이로 패배했다.[43] 1998년 대선에서도 룰라는 재선에 도전한 카르도주 대통령에게 다시 패배했다.

비록 연이은 대선에서는 패배했지만, 1988년 이후 노동자당은 상파울루, 포르탈레자, 벨루오리존치, 포르투알레그리, 고이아니아 등 주요 도시와 리우그란지두술, 에스피리투산투, 브라질 연방구와 같은 중요 주에서 선거에 승리하며 꾸준히 지지 기반을 넓혀나갔다. 특히 포르투알레그리 시정부 운영 당시에는 누진세 개혁과 시민 참여 예산제와 같은 진보적인 정책을 시행하기도 했다.[40]
이러한 꾸준한 성장과 당시 카르도주 정부 말기의 경제 위기 및 PSDB의 이미지 실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2002년 대통령 선거에서 룰라는 약 60%의 득표율로 마침내 첫 승리를 거두었다. 동시에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91석을 획득하여 하원 제1당으로 부상했다.
2. 3. 룰라 정부와 전성기 (2002년 ~ 2010년)
1998년 대통령 선거에서 룰라는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 대통령에게 다시 패배했지만, 2002년 10월 대통령 선거에서는 60%가 넘는 득표율로 첫 승리를 거두며 노동자당은 처음으로 집권에 성공했다.[68] 이는 브라질 사회민주당(PSDB)의 이미지 실추와 카르도주 정부 말기의 경제 위기 상황도 영향을 미쳤다. 이 선거와 동시에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에서 노동자당은 91석을 확보하며 최대 정당으로 부상했다.[68]룰라 정부는 빈곤층을 위한 가족 수당 정책인 보우사 파밀리아(Bolsa Família)[69][70]를 핵심 사회 정책으로 추진하는 한편, 실용적인 경제 정책을 통해 브라질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이러한 정책들은 국민들의 높은 지지를 얻는 기반이 되었다.
이러한 성공을 바탕으로 2006년 10월 대통령 선거에서도 룰라는 60% 이상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고, 노동자당은 여당 지위를 유지했다.[44][68] 같은 해 총선에서 노동자당은 브라질 하원 83석, 브라질 상원 11석을 확보했다.[44] 이로써 하원에서는 두 번째, 상원에서는 네 번째 규모의 정당이 되었으며, 5개 주의 주지사직을 차지했다.[44] 룰라 집권기(2002년~2010년) 동안 노동자당은 브라질 경제 부흥과 룰라주의에 힘입어 정치적으로 크게 성장하며 전성기를 누렸다.
2. 4. 지우마 호세프 정부와 위기 (2010년 ~ 2016년)
2010년 10월 대통령 선거에서는 룰라 대통령의 강력한 지지를 받은 지우마 호세프 비서실장이 노동자당(PT) 후보로 나섰다. 호세프는 결선 투표에서 PSDB의 조제 세라 후보를 56%의 득표율로 누르고 당선되어, 브라질 역사상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 되었다.[71] 이로써 노동자당은 집권 연장에 성공했다.
같은 해 총선에서 노동자당(PT)은 브라질 하원에서 88석을 얻어 창당 이후 처음으로 제1당이 되었으며(득표율 17.15%), 브라질 상원에서도 14석을 확보하여 제2당의 지위를 차지했다. 부통령 후보였던 미셰우 테메르가 속한 PMDB 등과의 연정을 통해, 호세프 정부는 룰라 정부 시절에는 갖지 못했던 상하 양원에서의 압도적인 다수 의석을 확보하며 안정적인 국정 운영 기반을 마련했다.

2014년 10월 대통령 선거에서 지우마 호세프는 재선에 도전했다. 1차 투표에서 41.6%를 득표하여 과반에 미치지 못했으나[45], 10월 26일 치러진 결선 투표에서 PSDB의 아에시오 네베스 후보를 51.6%의 득표율로 근소하게 누르고 재선에 성공했다.[72] 이로써 노동자당은 룰라 정부 시절을 포함하여 4회 연속으로 집권하게 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총선에서 노동자당의 하원 의석은 69석으로 이전 선거보다 감소했다.
재선 이후 경제 침체와 부패 스캔들 의혹 등으로 정치적 위기에 직면한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은 결국 탄핵 소추되었다. 2016년 8월, 상원의 탄핵 결정으로 호세프는 대통령직에서 물러났고, 부통령이었던 PMDB 소속의 미셰우 테메르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이로 인해 13년간 이어졌던 노동자당의 집권은 막을 내리고 야당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2. 5. 보우소나루 정권과 야당 시절 (2018년 ~ 2022년)
2018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노동자당의 유력 후보였던 룰라 전 대통령이 돈세탁 및 부정부패 혐의로 구속되면서 대선 출마가 사실상 좌절되는 큰 위기를 맞았다. 당시 사회자유당 소속의 극우 성향 후보 자이르 보우소나루가 높은 지지율을 얻자, 노동자당은 룰라를 대신하여 페르난두 아다지를 대선 후보로 내세웠다. 그러나 아다지 후보는 결선 투표에서 보우소나루에게 패배하여 2위에 머물렀다. 이 결과 사회자유당과 진보당 등 우익 정당들이 연립하여 자이르 보우소나루 정권을 출범시키면서, 노동자당은 16년 만에 다시 야당이 되었다.같은 해 치러진 총선에서도 노동자당은 브라질 하원에서 56석을 얻는 데 그쳐 이전 선거보다 12석이 줄었으며, 브라질 상원에서도 6석을 확보하는 데 그쳐 6석이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세력이 위축되었다.
자이르 보우소나루 정권(2019년 ~ 2022년) 시기 동안 노동자당은 주요 야당으로서 활동했다. 노동자당은 보우소나루 정부의 권위주의적 통치 방식과 아마존 개발 정책 등 환경 문제, 사회 정책 후퇴 등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며 대립각을 세웠다.
2. 6. 룰라의 재집권 (2022년 ~ 현재)
(내용 없음 -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해당 섹션 내용을 뒷받침할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3. 이념 및 정책
노동자당(PT)은 1980년 브라질 군부 정권에 반대하는 운동가, 노동조합원, 좌파 지식인 및 예술가, 그리고 해방 신학[33]과 관련된 가톨릭 신자 등 다양한 세력이 모여 창당했다.[34] 창당 초기에는 반스탈린주의와 민주사회주의[37]를 이념적 기반으로 삼았으며, 외채 불이행, 국유화, 급진적 토지 개혁 등 급진적인 사회주의 정책을 주장했다.[49]
1980년대 후반부터 당은 대중정당으로 나아가기 위해 초기 이념에서 점차 벗어나 복지 정책과 사회 정의 실현을 주요 목표로 삼기 시작했다. 1990년에는 상파울루 포럼 창립에 참여하여 신자유주의와 긴축 정책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99]
여러 차례의 선거를 거치며 당은 점진적으로 온건화되었고, 특히 2002년 룰라의 대통령 당선을 전후하여 중도좌파적 사회민주주의 노선으로 변화했다.[50] 룰라 집권 이후에는 신자유주의에 대한 온건한 대안으로 보우사 파밀리아와 같은 복지 정책 확대와 룰라주의를 내세웠다.[99] 룰라주의는 신자유주의와 긴축 정책에 반대하며, 외교적으로는 라틴아메리카주의와 반제국주의, 경제적으로는 탈신자유주의를 통한 경제 성장과 복지 확대를 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의 정책에는 창당 배경이 된 해방 신학의 영향이 꾸준히 반영되어 왔으며,[20][19] 빈곤 퇴치와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한 정책들이 중요하게 다뤄졌다.[18] 또한, CUT과 같은 노동조합과의 긴밀한 관계를 바탕으로 노동자의 권익 향상을 위한 정책도 추진해왔다.
3. 1. 이념적 스펙트럼
노동자당(PT)은 창당 초기 이념적으로 반스탈린주의와 민주사회주의[37]에 기초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부터는 반스탈린주의 조직에서 벗어나 대중정당으로 변모하기 위해 이러한 초기 이념을 폐기하고, 복지 정책과 사회 정의를 주요 구호로 내세웠다. 1990년에는 상파울루 포럼 창립에 참여하여 신자유주의와 긴축 정책에 대한 반대 입장을 다시 한번 분명히 했다.당은 특정 좌파 이념과 스스로를 명확히 연결짓지는 않았지만, "항상 자신을 사회주의자로 정의"했으며[49] 초창기에는 급진적인 입장을 많이 취했다. 예를 들어, 1988년 브라질 헌법 제정 의회에서는 브라질의 외채 불이행, 은행 및 광물 자원의 국유화, 급진적인 토지 개혁 등을 주장했다.[49] 또한, 당시 게임의 규칙을 완전히 수용하지 않는다는 신호로 PT 대표들은 헌법 초안 서명을 거부하기도 했다.[49]
룰라가 1989년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한 이후에도 당은 급진주의를 명확히 버리지 않았다.[49] 1993년 제8차 전국회의 결의안은 PT의 "혁명적이고 사회주의적인 성격"을 재확인하고, "급진적인 농지 개혁과 외채 중단"을 주장하며 "자본주의와 사유재산은 인류의 미래를 제공할 수 없다"고 선언했다.[49] 1994년 대선에서 룰라는 페르난두 엔리케 카르도주의 레알 계획을 "선거 사기"라고 비판했고,[49] 그해 당의 정부 프로그램은 "장기적인 자본주의 대안 건설 전략의 일환으로 독점 금지, 대농장 반대, 반제국주의적 변화"에 대한 약속을 담았다.[49]
1994년 룰라의 재패배 이후, 당은 점진적인 자기 성찰 과정을 시작했다.[49] 1997년 전국회의 결의안은 PT의 사회주의를 국가를 "더욱 투명하고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것으로 만들고자 하는 "민주 혁명"으로 재정의하며 정치적 비전을 강조했다.[49] 1998년 룰라의 세 번째 대선 공약에서는 사회주의적 제안이 삭제되었지만, 당 회의 결의안은 공약이 "PT의 사회주의 프로그램과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고 밝혀 모호함이 남았다.[49]
본격적인 변화는 1998년 패배 이후 나타났다.[49] 2002년 룰라의 네 번째 대선 운동에서는 ''브라질 국민에게 보내는 편지''를 통해 세금 및 연금 개혁, 경제 성장 촉진을 약속하며 공공연한 좌파 정책에서 벗어났다.[50] 또한 카르도주 정부의 일부 자유주의적 개혁을 수용하며 사실상 중도좌파적 사회민주주의 이념으로 전환했다. 이 선거에서 룰라는 압승을 거두었다. 2006년부터는 회의적인 우익 유권자들을 향해 신자유주의에 대한 온건한 대안으로 보우사 파밀리아와 룰라주의를 제시했다.[99] 룰라주의는 신자유주의와 긴축 정책에 반대하며, 외교적으로는 라틴아메리카주의와 반제국주의, 경제적으로는 탈신자유주의를 통한 경제 성장과 복지 정책에 초점을 맞춘다.


노동자당 내에는 여전히 다양한 이념적 흐름이 존재한다. 특히 강력한 좌파 가톨릭 세력은 마르크스 좌파, '새로운 노동 운동'과 함께 당 창설의 핵심 동력이었다.[51] 해방 신학[33]의 영향을 받은 가톨릭 기층 공동체(CEB)는 PT의 전국적인 조직망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51] 당의 이념에도 영향을 미쳤다. 해방 신학은 PT의 사회주의가 마르크스주의와 가톨릭 정치를 보완한다고 믿는 브라질 가톨릭 좌파에게 호소력을 가졌다.[51] 당의 공동 창립자인 해밀턴 페레이라는 가톨릭적 기원 덕분에 PT가 "브라질의 다양한 표현을 함께 가져온 당"이 되었다고 평가했다.[51] 룰라 역시 가톨릭 좌파가 노동조합보다 당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여러 차례 언급했다.[51] 해방 신학자 프라이 베토(Frei Betto), 주교 마우로 모렐리(Mauro Morelli), 가톨릭 변호사 출신 시장 파트루스 아나니아스(Patrus Ananias), 신학자 레오나르도 보프(Leonardo Boff)[52] 등 해방 신학과 관련된 인물들이 당 활동에 참여하거나 지지했으며, 이는 당의 정책과 수사에도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다.[18][53]
룰라 집권 이후 PT의 중도좌파 노선 전환은 많은 지지를 받았지만, 당내 좌파 세력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2003년 12월에는 사회보장개혁에 반대한 바바 의원과 엘로이사 엘레나 상원의원 등 4명의 반체제 의원이 제명되었고,[55] 이들은 2004년 PSOL을 창당했다. 2005년 1월에는 당의 급진파 당원 112명이 "PT는 더 이상 사회 변혁의 도구가 아니라 현상 유지의 도구"라는 내용의 ''단절의 선언(Manifesto of the Rupture)''을 발표하며 집단 탈당하기도 했다.
2005년 7월, 당은 멘살랑 스캔들이라는 심각한 부패 스캔들에 휘말렸다. 집권당 의원들이 브라질 노동당(PTB)의 로베르토 제퍼슨 의원이 제기한 불법 선거 자금 조성 및 금품 수수 혐의에 연루된 사실이 드러나면서 당은 큰 위기를 맞았고, 호세 제노이노(José Genoíno) 당 대표가 사퇴하고 타르소 젠로(Tarso Genro)가 후임이 되었다. 이 사건으로 일부 당원들이 탈당하여 대부분 PSOL로 합류했다.
3. 2. 주요 정책
노동자당은 창당 초기 반스탈린주의와 민주사회주의 이념을 가졌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대중 정당으로 나아가기 위해 복지 정책과 사회 정의를 핵심 가치로 삼았다. 상파울루 포럼 창립에 참여하며 신자유주의와 긴축 정책에 대한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99]
2000년대 들어 룰라주의를 중심으로 정책을 펼쳤다. 룰라주의는 신자유주의와 긴축 정책에 반대하고, 외교적으로는 라틴아메리카주의와 반제국주의를 추구하며, 경제적으로는 탈신자유주의를 통한 경제 성장과 복지 정책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 주요 정책들은 다음과 같다.
- 보우사 파밀리아 (Bolsa Família): 저소득층 가구에 현금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사회 복지 프로그램이다. 빈곤 감소뿐만 아니라, 아동의 학교 출석률과 예방 접종률을 높이는 등 교육 및 보건 지표 개선에도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노동자당은 이를 신자유주의에 대한 온건한 대안으로 제시했다.[99]
- 최저임금 인상: 룰라 정부와 이후 노동자당 정부는 최저임금을 꾸준히 인상하여 저임금 노동자들의 소득 증대와 구매력 향상에 기여했다. 이는 내수 시장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사회 주택 건설: '나의 집, 나의 삶'(Minha Casa, Minha Vidapt) 프로그램을 통해 저소득층과 서민들을 위한 대규모 주택 건설 및 공급을 지원하여 주거 안정에 기여하고자 했다.
- 대학 입학 할당제: 사회적 불평등 완화를 위해 저소득층, 흑인, 원주민 학생들의 대학 진학 기회를 확대하는 할당제를 도입했다. 이는 교육 접근성을 높여 계층 이동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 아마존 열대우림 보호: 아마존 열대우림의 무분별한 개발과 불법 벌채를 막기 위해 감시를 강화하고 보호 구역을 확대하는 등 환경 보호 정책을 추진했다. 이는 국제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동시에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정책으로 평가받는다.
- 남미 지역 통합 및 외교: UNASUR, MERCOSUR 등 남미 국가 간의 정치·경제적 통합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이는 미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고 지역 공동 번영을 추구하려는 라틴아메리카주의 및 반제국주의 노선에 따른 것이다.
- 토지 개혁 요구: 창당 초기에는 1988년 헌법 제정 의회에서 급진적인 토지 개혁을 주장했으며[49], 집권 이후에도 MST와 같은 사회 운동과의 연대를 통해 토지 소유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
- 해방 신학의 영향: 당의 정책에는 빈곤과 굶주림 퇴치를 위한 노력, 2010년 부패 방지를 위한 "깨끗한 슬레이트"(Ficha Limpapt) 법 제정 등 해방 신학의 영향이 반영되어 있다.[18] 해방 신학자 프라이 베토(Frei Betto) 등이 정책 자문에 참여하기도 했다.[18][51]
노동자당은 CUT과 같은 주요 노동조합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노동자의 권익 보호와 증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왔다. 초기 급진적인 입장에서 점차 온건화되었지만, 사회 정의 실현과 불평등 해소라는 핵심 가치는 주요 정책 전반에 걸쳐 꾸준히 추구되었다.
4. 조직
노동자당(Partido dos Trabalhadores|파르치두 두스 트라발랴도리스por, PT)은 1980년 2월 10일 상파울루의 시온 컬리지(Colégio Sion|콜레지우 시옹por)라는 사립 가톨릭 여자 학교에서 결성되었다.[34] 이 당은 브라질 군부 정권에 반대하는 운동가, 노동조합원, 좌파 지식인 및 예술가, 그리고 해방 신학[33]과 관련된 가톨릭 신자들이 모여 창당했다.[34] 창당 배경에는 ABC 지역의 노동 운동, 특히 1978년부터 1980년까지 이어진 대규모 파업과 이후 중앙노동자연맹(Central Única dos Trabalhadores|센트라우 우니카 두스 트라발랴도리스por, CUT)으로 발전한 노동계급회의(Conferência das Classes Trabalhadoras|콘페렌시아 다스 클라시스 트라발랴도라스por, Conclat)와의 연대가 있었다. 또한, 1979년 사면법에 따라 망명에서 돌아온 브라질의 옛 좌파 인사들도 합류했는데, 이들 중 다수는 언론인, 지식인, 예술가, 노동조합 조직가였으며 군부 정권[35] 아래에서 투옥과 고문을 당하고 수년간 망명 생활을 겪었다.[34][36] 딜마 루세프 역시 독재 정권 시절 투옥 및 고문을 당한 경험이 있다.[36]
노동자당은 민주사회주의[37] 이념을 바탕으로 출범했다. 1964년 쿠데타 이후, 게투리오 바르가스 독재 시대부터 준국가적 성격을 띠었던 브라질의 주요 노동조합 연맹인 노동자총사령부(Comando Geral dos Trabalhadores|코만두 제라우 두스 트라발랴도리스por, CGT)는 해산되었고, 노동조합들은 군부 정권의 개입을 받았다.
1970년대 후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가 이끈 ABC 지역의 파업을 통해 조직적인 노동 운동이 다시 활기를 띠면서, 국가의 직접적인 간섭 없이 노동 운동을 재편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처음에는 노동조합 정치에만 집중하려 했으나, 국가의 통제 아래 보수적인 노동조합주의가 계속되고 브라질 공산당(PCB)과 같은 전통적인 좌파 정당 지도자들이 노동조합 운동에 영향을 미치자, 반스탈린주의 지도자들의 격려 속에 ABC 지역의 노동조합 운동은 자체적인 정당을 조직하기로 결정했다.
노동자당은 1982년 2월 11일 브라질 최고선거재판소에 의해 공식적으로 정당으로 인정받았다.[38] 첫 번째 당원증은 예술 비평가이자 전 트로츠키주의 활동가였던 마리우 페드로사에게 발급되었으며, 이어서 문학 학자 안토니우 칸디두와 역사학자 세르지우 부아르크 디 올란다가 당원이 되었다.[39] 세르지우 부아르크 디 올란다의 딸인 아나 디 올란다는 후에 딜마 루세프 정부에서 문화부 장관을 역임했다.
창당 이후 당 대표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 1980년 2월 10일 | 1994년 1월 24일 |
루이 팔캉 | 1994년 | 1994년 |
조제 디르세우 | 1995년 | 2002년 |
조제 제노이누 | 2002년 | 2005년 |
타르수 젠루 (권한대행) | 2005년 | 2005년 |
리카르두 베르조이니 | 2005년 | 2006년 |
마르쿠 아우렐리우 가르시아 (권한대행) | 2006년 10월 6일 | 2007년 1월 2일 |
리카르두 베르조이니 | 2007년 1월 2일 | 2010년 2월 19일 |
조제 에두아르두 두트라 | 2010년 2월 19일 | 2011년 4월 29일 |
루이 팔캉 | 2011년 4월 29일 | 2017년 6월 3일 |
글레이시 호프만 | 2017년 6월 3일 | 현재 |
4. 1. 주요 파벌
노동자당 내부에는 약 30개의 정파( tendências|텐덴시아스por )가 존재한다. 이들 파벌은 루라가 속한 중도좌파 그룹인 아르티쿨라상(Articulação)부터 마르크스주의자, 기독교 사회주의자에 이르기까지 이념적으로 다양하다.5. 역대 선거 결과
노동자당(PT)은 창당 이후 꾸준히 대통령 선거와 총선에 참여하며 브라질 정치의 주요 세력으로 자리 잡았다. 1988년 이후 상파울루, 포르탈레자, 벨루오리존치, 포르투알레그리 등 주요 도시와 리우그란지두술, 에스피리투산투 등 중요 주에서 선거 승리를 거두며 기반을 다졌다. 특히 포르투알레그리 시정 당시 시행한 누진세 개혁과 참여 예산제는 주목할 만한 정책으로 평가받는다.[40]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2002년 룰라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며 처음으로 집권에 성공했고, 이후 여러 차례 대통령을 배출하며 브라질 정치의 중심축 역할을 해왔다. 상세한 역대 선거 결과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5. 1. 대통령 선거
선거 | 후보 | 부통령 후보 | 연합 | 1차 투표 | 결선 투표 | 결과 | ||
---|---|---|---|---|---|---|---|---|
득표수 | % | 득표수 | % | |||||
1989년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PT) | 호세 파울루 비솔 (PSB) | PT; PSB; PCdoB | 11,622,673 | 16.1% (#2) | 31,076,364 | 47.0% (#2) | 낙선 |
1994년 | 알로이지우 메르카단테 (PT) | PT; PSB; PCdoB; PPS; PV; PSTU | 17,122,127 | 27.0% (#2) | – | – | 낙선 | |
1998년 | 레오넬 브리졸라 (PDT) | PT; PDT; PSB; PCdoB; PCB | 21,475,211 | 31.7% (#2) | – | – | 낙선 | |
2002년 | 조제 알렌카르 (PL) | PT; PL; PCdoB; PMN; PCB | 39,455,233 | 46.4% (#1) | 52,793,364 | 61.3% (#1) | 당선 | |
2006년 | 조제 알렌카르 (PRB) | PT; PRB; PCdoB | 46,662,365 | 48.6% (#1) | 58,295,042 | 60.8% (#1) | 당선 | |
2010년 | 딜마 루세프 (PT) | 미셰우 테메르 (PMDB) | PT; PMDB; PR; PSB; PDT; PCdoB; PSC; PRB; PTC; PTN | 47,651,434 | 46.9% (#1) | 55,752,529 | 56.1% (#1) | 당선 |
2014년 | PT; PMDB; PSD; PP; PR; PDT; PRB; PROS; PCdoB | 43,267,668 | 41.6% (#1) | 54,501,118 | 51.6% (#1) | 당선 | ||
2018년 | 페르난두 아다지 (PT) | 마누엘라 다비우라 (PCdoB) | PT; PCdoB; PROS | 31,341,997 | 29.3% (#2) | 47,040,380 | 44.8% (#2) | 낙선 |
2022년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PT) | 제랄두 알크민 (PSB) | PT; PCdoB; PV; PSOL; REDE; PSB; 솔리다리에다지; Avante; Agir | 57,259,405 | 48.4% (#1) | 60,325,504 | 50.9% (#1) | 당선 |
출처: Election Resources: 브라질 연방 선거 – 결과 조회 |
노동자당(PT)은 창당 이후 꾸준히 대통령 선거에 참여하며 브라질 정치의 주요 세력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룰라)를 중심으로 여러 차례 대권을 노렸으며, 2000년대 이후에는 연속으로 대통령을 배출하며 집권당의 지위를 누렸다.
'''1989년 대통령 선거'''
1989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에서 룰라는 처음으로 대통령 후보로 나섰다. 1차 투표에서 2위를 차지하여 페르난두 콜로르 드 멜루와 결선 투표를 치렀다. 비록 1차 투표의 중도 및 좌파 후보들이 룰라를 지지했지만, 콜로르 후보는 Rede Globo와 같은 주요 언론의 강력한 지원을 등에 업고 선거 운동을 펼쳤다. 결국 룰라는 5.7%p라는 근소한 차이로 패배하며 첫 대권 도전을 마무리했다.[41][42]
'''1994년 및 1998년 대통령 선거'''
1994년 선거를 앞두고 룰라는 각종 여론 조사에서 선두를 달리는 유력 후보였다. 이에 위기감을 느낀 중도 및 우파 정당들은 당시 경제 장관이었던 페르난두 앙리케 카르도주를 중심으로 결집했다. 카르도주는 새로운 통화인 브라질 헤알을 도입하고 인플레이션을 억제한 레알 계획의 성공으로 높은 인기를 누렸고, 결국 1차 투표에서 54%를 득표하며 룰라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룰라에게는 아쉬운 패배였지만, 이 선거를 통해 노동자당은 의회 내 입지를 크게 넓히고 처음으로 주지사를 배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43] 1998년 선거에서도 룰라는 다시 카르도주에게 도전했지만, 재선에 성공한 카르도주에게 또다시 패배했다.
'''2002년 대통령 선거'''
카르도주 정부 말기의 경제 위기와 PSDB의 이미지 실추는 룰라에게 기회가 되었다. 2002년 선거에서 룰라는 이전보다 온건하고 실용적인 노선을 표방하며 중도층까지 포용하는 전략을 펼쳤다. 특히 '브라질 국민에게 보내는 편지'를 통해 세금 및 연금 개혁과 경제 성장 촉진을 약속하며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키려 노력했다.[50] 이러한 변화는 성공을 거두어, 룰라는 결선 투표에서 압도적인 표차로 승리하며 마침내 브라질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이는 노동자당 역사상 첫 대선 승리였다.
'''2006년 대통령 선거'''
2006년 선거에서 룰라는 재선에 도전했다. 임기 중 발생한 정치 스캔들(소위 '도시에 스캔들')에도 불구하고, 룰라 정부의 경제 성장과 빈곤층 지원 정책에 대한 높은 지지율을 바탕으로 결선 투표에서 6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여유롭게 재선에 성공했다.[44][56] 룰라는 2011년 1월 1일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2010년 대통령 선거'''
룰라의 뒤를 이을 후보로 딜마 루세프가 나섰다. 2010년 선거에서 루세프는 룰라 정부의 성과를 계승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에 실패했으나, 결선 투표에서 56%를 득표하며 조제 세르라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이로써 루세프는 브라질 역사상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 되었다.
'''2014년 대통령 선거'''
2014년 선거에서 루세프는 재선에 도전했다. 경제 성장 둔화와 부패 스캔들 등으로 어려운 선거가 예상되었으나, 결선 투표에서 PSDB의 아에시오 네베스 후보를 상대로 51.6%를 득표하며 매우 근소한 차이로 신승, 재선에 성공했다.[45]
'''2018년 대통령 선거'''
루세프 대통령 탄핵 이후 치러진 2018년 선거에서 노동자당은 당초 룰라를 후보로 내세우려 했으나, 부패 혐의로 수감되면서 출마가 좌절되었다. 대신 페르난두 아다지 전 상파울루 시장이 후보로 나섰다. 아다지는 결선 투표까지 진출했으나, 극우 성향의 자이르 보우소나루 후보에게 44.8% 대 55.1%로 패배했다.
'''2022년 대통령 선거'''
2022년 선거에서는 사면 복권된 룰라가 다시 대통령 후보로 나섰다. 룰라는 과거 경쟁자였던 중도 성향의 제랄두 알크민을 부통령 후보로 영입하며 중도 확장을 꾀했다. 현직 대통령 보우소나루와의 치열한 접전 끝에, 룰라는 결선 투표에서 50.9%를 득표하며 12년 만에 대통령직에 복귀하는 데 성공했다.
'''지역별 득표 성향'''
2000년대 이후 노동자당은 브라질 북동부 지역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룰라 정부 시절 시행된 빈곤층 지원 정책인 보우사 파밀리아 등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경제 중심지인 남동부 지역, 특히 상파울루주에서는 상대적으로 약세를 면치 못했다. 상파울루주에서 노동자당 후보가 승리한 것은 2002년 룰라 당선 때가 유일하다. 리우데자네이루주에서는 1998년부터 2014년까지 꾸준히 승리했지만, 이는 노동자당 자체의 인기보다는 경쟁 정당인 PSDB에 대한 반감이 더 크게 작용한 결과로 해석되기도 한다. 미나스제라이스주와 남부의 리우그란지두술주에서는 비교적 꾸준한 지지를 얻었다.
노동자당은 이러한 지역별 득표 차이를 이용해 북동부 유권자들의 표심을 자극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당은 이를 부인하며 오히려 야당이 남부와 남동부에서 지역감정을 조장한다고 반박한다.
2010년 대선 2차 투표 당시 IBOPE 여론 조사에 따르면, 딜마 루세프 후보는 최저임금 이하 소득 계층에서 26%p 차이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으며, 가톨릭 신자(58%), 흑인(65%), 혼혈(60%) 유권자들 사이에서도 과반의 지지를 얻었다.[54]
5. 2. 총선
1988년 이후 노동자당(PT)은 상파울루, 포르탈레자, 벨루오리존치, 포르투알레그리, 고이아니아와 같은 브라질 주요 도시들과 리우그란지두술, 에스피리투산투, 브라질 연방구와 같은 중요 주에서 선거에 승리하며 국내적으로 인기를 얻었다. 특히 포르투알레그리 시정을 통해 부유층에 대한 세금을 높여 빈곤층의 기본 서비스 재정을 마련하는 누진세 개혁과 시민 사회에 실질적인 의사결정권을 부여하는 참여 예산제 등 혁신적인 정책을 시행하며 주목받았다.[40] 이러한 성공은 2002년 대선에서 룰라 후보의 승리로 이어졌으며, 그는 브라질 사회민주당(PSDB) 소속의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 대통령의 뒤를 이었다. 경제적 자유주의를 표방하는 PSDB는 노동자당의 주요 경쟁 정당이며, 군사 독재 시절 여당이었던 국가재건동맹(ARENA)의 후신인 민주당(DEM) 역시 주요 경쟁 상대로 꼽힌다.'''1989년 대통령 선거'''
1989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에서 룰라는 페르난두 콜로르 지 멜루와 결선 투표에서 맞붙었다. 1차 투표에서 탈락한 중도 및 좌파 후보들이 룰라 지지를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콜로르 후보는 헤지 글로부 등 주요 언론의 강력한 지원에 힘입어 5.7%p의 근소한 차이로 룰라를 누르고 당선되었다.[41][42]
'''1994년 및 1998년 총선'''
1994년 브라질 총선을 앞두고 룰라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렸다. 이에 중도 및 우파 정당들은 당시 경제부 장관이었던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 후보 지지로 결집했다. 카르도주 장관은 새로운 통화인 헤알을 도입하고 인플레이션을 종식시킨 헤알 계획을 성공시키며 높은 지지를 받았다. 결국 카르도주는 1차 투표에서 54%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비록 대선에서는 패배했지만, 노동자당은 이 선거를 통해 의회 내 입지를 크게 넓혔고 처음으로 두 명의 주지사를 배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43] 1998년 브라질 총선에서 카르도주는 룰라를 다시 한번 꺾고 재선에 성공했다.
'''2002년 총선'''
2002년 브라질 총선에서는 PSDB 정부의 이미지 실추와 임기 말 경제 위기 등이 겹치면서, 룰라가 결선 투표에서 승리하여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노동자당은 하원에서 91석(18.4%), 상원에서 14석(21.3%)을 확보하며 원내 제1당으로 발돋움했다.
'''2006년 총선'''
2006년 브라질 총선에서 노동자당은 하원 83석(15.0%), 상원 10석(19.2%)을 얻었다. 룰라 대통령은 60% 이상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하여 2011년 1월 1일까지 임기를 수행했다.[44] 노동자당은 하원에서 두 번째, 상원에서 네 번째로 큰 정당 지위를 유지했으며, 5개 주의 주지사직을 확보했다.
'''2010년 총선'''
2010년 브라질 총선에서 노동자당은 하원 88석(16.9%)을 얻어 2002년 이후 처음으로 원내 제1당 지위를 되찾았다. 상원에서도 11명의 의원을 추가하여 총 15석으로 제2당이 되었다. 룰라 대통령의 후계자인 지우마 호세프 후보는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에 실패했으나, 결선 투표에서 56%를 득표하여 브라질 역사상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노동자당은 바이아, 세르지페, 아크레 주지사직을 유지하고 리우그란지두술과 브라질 연방구 주지사직을 탈환하는 등 총 13개 주에서 주지사직을 확보하거나 연정에 참여했다.
'''2014년 총선'''
2014년 브라질 총선에서 노동자당은 하원 68석(14.0%)을 얻어 이전 선거보다 의석수가 감소했다.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은 1차 투표에서 41.6%를 득표했고, 결선 투표에서 PSDB의 아에시우 네베스 후보를 51.6% 대 48.4%의 근소한 차이로 누르고 재선에 성공했다.[45]
'''2018년 총선'''
2018년 브라질 총선에서 노동자당은 하원 56석(10.3%), 상원 6석(14.5%)으로 의석수가 더욱 감소했다. 대선에서는 룰라 전 대통령이 부패 혐의로 수감되어 출마하지 못했고, 대신 출마한 페르난두 아다지 후보가 결선 투표에서 자이르 보우소나루 후보에게 패배했다.
'''2022년 총선'''
2022년 브라질 총선에서 노동자당은 희망의 브라질 연합의 일원으로 참여하여 하원 69석(13.9%), 상원 9석(12.2%)을 확보하며 의석수를 일부 회복했다. 대선에서는 룰라 후보가 복권되어 출마했으며, 결선 투표에서 자이르 보우소나루 현직 대통령을 누르고 당선되어 세 번째 임기를 시작하게 되었다.
선거 | 후보 | 부통령 후보 | 연합 | 1차 투표 | 결선 투표 | 결과 | ||
---|---|---|---|---|---|---|---|---|
득표수 | % | 득표수 | % | |||||
1989년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PT) | 조제 파울루 비솔 (PSB) | PT; PSB; PCdoB | 11,622,673 | 16.1% (#2) | 31,076,364 | 47.0% (#2) | 낙선 |
1994년 | 알로이지우 메르카단치 (PT) | PT; PSB; PCdoB; PPS; PV; PSTU | 17,122,127 | 27.0% (#2) | – | – | 낙선 | |
1998년 | 레오네우 브리졸라 (PDT) | PT; PDT; PSB; PCdoB; PCB | 21,475,211 | 31.7% (#2) | – | – | 낙선 | |
2002년 | 조제 알렝카르 (PL) | PT; PL; PCdoB; PMN; PCB | 39,455,233 | 46.4% (#1) | 52,793,364 | 61.3% (#1) | 당선 | |
2006년 | 조제 알렝카르 (PRB) | PT; PRB; PCdoB | 46,662,365 | 48.6% (#1) | 58,295,042 | 60.8% (#1) | 당선 | |
2010년 | 지우마 호세프 (PT) | 미셰우 테메르 (PMDB) | PT; PMDB; PR; PSB; PDT; PCdoB; PSC; PRB; PTC; PTN | 47,651,434 | 46.9% (#1) | 55,752,529 | 56.1% (#1) | 당선 |
2014년 | PT; PMDB; PSD; PP; PR; PDT; PRB; PROS; PCdoB | 43,267,668 | 41.6% (#1) | 54,501,118 | 51.6% (#1) | 당선 | ||
2018년 | 페르난두 아다지 (PT) | 마누엘라 다빌라 (PCdoB) | PT; PCdoB; PROS | 31,341,997 | 29.3% (#2) | 47,040,380 | 44.8% (#2) | 낙선 |
2022년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PT) | 제라우두 아우키민 (PSB) | PT; PCdoB; PV; PSOL; REDE; PSB; 솔리다리에다지; Avante; Agir | 57,259,405 | 48.4% (#1) | 60,325,504 | 50.9% (#1) | 당선 |
출처: [https://electionresources.org/br/president.php?election=1994&state=BR Election Resources: 브라질 연방 선거 – 결과 조회] |
6. 논란 및 비판
노동자당은 BANCOOP 사건과 같은 논란에 연루되기도 했다. 이 사건에는 당시 당 재무 담당자였던 주앙 바카리 네투(João Vaccari Neto)와 주택 조합의 다른 이사 4명이 관련되었다. 이 조합은 정부 계약을 통해 막대한 수익을 올렸으나, 서비스 계약 비용을 20% 부풀리고 계약을 이행하지 않는 등의 부정이 드러났다. 결국 조합은 1억브라질 헤알 이상의 적자를 내고 파산했으며, 자산 청산을 통해 조합원들의 손실을 최소화해야 했다.
6. 1. 멘살랑 스캔들 (2005년)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멘살랑 스캔들 (2005년)'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내용을 채울 수 없다.6. 2. 카르와시 작전 (2014년 ~ 현재)
카르와시 작전으로 알려진 부정부패 및 자금세탁 수사 과정에서 노동자당의 주요 인사들이 연루되었다. 당 대표였던 조앙 바카리 네투(João Vaccari Neto)와 그의 처제가 체포되었으며, 조제 제노이누, 조제 디르세우, 델시디오 두 아마랄, 안드레 바르가스, 델루비우 소아레스 등도 체포되었다.[58]특히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전 대통령은 2018년 4월에 부패 혐의로 체포되어 수감되었다.[58] 그러나 2021년 3월, 브라질 연방대법원은 룰라에 대한 모든 유죄 판결을 무효화했다.[59] 이러한 결정은 당시 수사를 이끌었던 세르지우 모루 판사가 검찰과 부적절하게 공모했다는 정황이 담긴 정보가 유출된 이후에 내려졌다.[60]
6. 3. 당내 갈등
루라가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노동자당(PT)은 기존의 좌익 사회주의 노선에서 중도좌파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정치적 성향을 바꾸었다. 이러한 변화는 많은 국민들에게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지만, 역사적으로 더 급진적인 성향을 가졌던 당의 일부 구성원들은 새로운 정치적 입장을 받아들이지 못하면서 일련의 내부 갈등을 겪게 되었다.이러한 갈등은 공개적인 논쟁으로 이어졌으며, 2003년 12월에는 사회보장개혁에 반대표를 던진 4명의 반체제 의원들이 당에서 제명되면서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다.[55] 제명된 의원 중에는 바바(Babá) 의원과 엘로이사 엘레나 상원의원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은 2004년 6월 사회주의와 자유당(Partido Socialismo e Liberdade − PSOL)을 창당했고, 엘로이사 엘레나는 PSOL 소속으로 2006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당시 브라질 역사상 여성 후보로서 가장 많은 표를 얻었다.[55]
또 다른 주요 사건으로는 2005년 1월 30일 포르투알레그레에서 열린 세계사회포럼에서 당의 급진적 지파에 속한 112명의 당원들이 집단 탈당을 선언한 일이 있었다. 이들은 Manifesto of the Rupture|단절의 선언pt이라는 제목의 선언문을 발표하며 "PT는 더 이상 사회 변혁의 도구가 아니라 현상 유지의 도구일 뿐"이라고 비판했고, 국제통화기금 정책을 비롯한 여러 경제 및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밝혔다.
참조
[1]
웹사이트
Revista Focus Brasil
https://pt.org.br/ta[...]
[2]
웹사이트
Página inicial - com gutenberg
https://fpabramo.org[...]
2023-09-06
[3]
웹사이트
Juventude do PT
https://pt.org.br/ta[...]
[4]
웹사이트
Estatísticas de filiação
https://sig.tse.jus.[...]
[5]
논문
From Socialism to Social Democracy: Party Organiz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Workers' Party in Brazil
https://www.doi.org/[...]
[6]
웹사이트
Is Social Democracy Possible in Latin America?
https://www.research[...]
[7]
뉴스
Guidelines for soy don't protect tropical forests in Brazil
https://www.futurity[...]
2022-11-02
[8]
서적
Dominant Elites in Latin America: From Neo-Liberalism to the 'Pink Tid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
[9]
웹사이트
Proposta do PT é "populista' e "estúpida", diz Dornbusch
https://www1.folha.u[...]
[10]
웹사이트
These Elections Could Reshape Latin America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7-10-31
[11]
논문
Raízes sociais e ideológicas do lulismo
2009
[12]
서적
Democratic Socialism: A Global Surve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13]
웹사이트
Apesar de resistência do PT, Lula quer participação de Meirelles em eventual governo, dizem aliados
https://www.cnnbrasi[...]
2016-09-21
[14]
서적
A estrela não é mais vermelha: as mudanças do programa petista nos anos 1990
Garçoni
[15]
서적
The Paradox of Adversity: New Left Party Survival and Collapse in Latin America
Harvard University
[16]
서적
Os católicos oPTaram?: os "setores católicos" e o Partido dos Trabalhadores (PT) na grande São Paulo (1978-1982)
[17]
서적
Religion and Brazilian Democracy: Mobilizing the People of G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논문
Seeking Liberation in Brazil
[19]
논문
Brazil and Lula, 2005: crisis, corruption and change in political perspective
Routledge
[20]
서적
Faith in Civil Society: Religious Actors as Drivers of Change
Uppsala Centr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1]
웹사이트
Participants of the Denpasar Seminar, 19 – 20 September 2016 - Progressive Alliance
http://progressive-a[...]
2016-09-22
[22]
논문
Brazilian left-wing activists on Facebook: the role of cultural events in political participation
[23]
뉴스
Dilma Rousseff and Brazil face up to decisive month
https://www.bbc.co.u[...]
BBC News
2016-03-29
[24]
웹사이트
"Dilma é muito mais de esquerda do que eu", afirma Lula
https://www.osul.com[...]
2016-01-20
[25]
뉴스
The demise of Brazil's great centrist party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18-11-01
[26]
뉴스
Jair Bolsonaro: Brazil's far-right president-elect accused of campaign funding irregularitie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8-11-14
[27]
웹사이트
PT elege maior bancada na Câmara e a segunda do Senado
http://www.jusbrasil[...]
2010-10-05
[28]
뉴스
Lula's Chosen Heir Surges in Brazil Presidential Poll
http://www.businessw[...]
Business Week
2010-02-01
[29]
뉴스
As cinco piores taxas de popularidade dos presidentes do Brasil
https://veja.abril.c[...]
Veja
2017-07-27
[30]
웹사이트
Saiba como eram e como ficaram as bancadas na Câmara dos Deputados, partido a partido
https://g1.globo.com[...]
2018-10-08
[31]
웹사이트
PT "desaparece" das capitais, MDB lidera prefeituras e DEM é o que mais cresce; veja destaques
https://www.infomone[...]
2020-11-30
[32]
Youtube
Hino do PT - Workers' Party of Brazil
https://www.youtube.[...]
2011-09-18
[33]
논문
From Socialism to Social Democracy: Party Organiz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Workers' Party in Brazil
http://lasa.internat[...]
[34]
웹사이트
Saiba mais sobre a história do PT
http://noticias.terr[...]
Agência Brasil
2006-06-24
[35]
웹사이트
Para que não se esqueça, para que nunca mais aconteça
http://congressoemfo[...]
2014-04-02
[36]
웹사이트
Leader's Torture in the '70s Stirs Ghosts in Brazil
https://www.nytimes.[...]
2016-11-22
[37]
웹사이트
Manifesto aprovado na reunião do Sion
http://www2.fpa.org.[...]
Fundação Perseu Abramo
2006-04-24
[38]
웹사이트
Political parties registered under the Supreme Electoral Court
http://www.tse.gov.b[...]
Tribunal Superior Eleitoral
[39]
간행물
Onde estão os intelectuais brasileiros
http://www.revistafo[...]
Fórum
2009-05
[40]
서적
Introduction to Latin America Twenty-First Century Challenges
[41]
웹사이트
Brazil – The Presidential Election of 1989
http://countrystudie[...]
Countrystudies.us
2010-11-01
[42]
웹사이트
author:"Boas" intitle:"Television and Neopopulism in Latin America" – Google Acadêmico
https://scholar.goog[...]
2010-11-01
[43]
서적
Brazil: Carnival of the Oppressed
Latin America Bureau
1995
[44]
뉴스
Brazil re-elects President Lula
http://news.bbc.co.u[...]
BBC
2006-10-30
[45]
웹사이트
Eleições 2014
http://www.eleicoes2[...]
2021-11-21
[46]
웹사이트
Brookings Institution
http://www.brookings[...]
[47]
서적
Policy Studies Review Annual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2016-11-22
[48]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the Workers' Party in Brazil, 1989–200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11-22
[49]
웹사이트
Convocação: Dia Nacional de Mobilização Dilma Presidente 27 DE OUTUBRO
http://dilmanarede.c[...]
Secretaria de cultura do PT-DF
2010-10-22
[50]
웹사이트
https://www1.folha.u[...]
2020-12-04
[51]
서적
The Paradox of Adversity: New Left Party Survival and Collapse in Latin America
Harvard University
2014
[52]
서적
Os católicos oPTaram?: os "setores católicos" e o Partido dos Trabalhadores (PT) na grande São Paulo (1978-1982)
2010
[53]
서적
The new politics of inequality in Latin America: rethinking participation and represen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54]
뉴스
Entre mais pobres, Dilma teve 26 pontos de folga
http://politica.esta[...]
O Estado de S. Paulo
2010-11-07
[55]
뉴스
Lula's purge: The Workers' Party sheds its dissenters
http://www.economist[...]
2003-10-01
[56]
뉴스
Lula cleared of electoral scandal
http://news.bbc.co.u[...]
2010-11-01
[57]
웹사이트
Portal da Cidadania
http://www.radiobras[...]
2019-01-22
[58]
뉴스
Brazil Workers' Party treasurer arrested in Petrobras corruption investigation
https://www.theguard[...]
2016-11-22
[59]
뉴스
Brazil judge annuls ex-leader Lula's convictions
https://www.bbc.com/[...]
2021-03-08
[60]
웹사이트
The Dirty Problems With Operation Car Wash: News reports have pointed to serious wrongdoing at the heart of the anti-corruption inquiry that has shaken many Latin American countries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9-08-21
[61]
웹사이트
Esquerda Marxista (Marxist Left) decides to leave PT
http://www.marxist.c[...]
2015-06-26
[62]
웹사이트
How Lula's party fell from grace: the toppling of the Brazilian left
http://www.newstates[...]
New Statesman
2017-07-20
[63]
뉴스
Dilma Rousseff and Brazil face up to decisive month
https://www.bbc.co.u[...]
BBC News
2017-07-20
[64]
웹사이트
ルラ政権[ブラジル]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10-27
[65]
뉴스
Populist Policies Let Brazil's Tomorrow Slip Away
https://www.nytimes.[...]
2017-02-09
[66]
웹사이트
Progressive Alliance Parties & Organisations
https://progressive-[...]
2019-11-21
[67]
웹사이트
O PARTIDO Diretório Nacional
http://www.pt.org.br[...]
2012-11-10
[68]
웹사이트
O Partido(政党)
http://www.pt.org.br[...]
[69]
간행물
4章「ブラジルにおける現金給付政策」
https://www.ide.go.j[...]
アジア経済研究所
2014-10-28
[70]
일반
PBFの説明
[71]
뉴스
ブラジル、初の女性大統領誕生へ 与党ルセフ氏当選
https://www.afpbb.co[...]
2012-11-10
[72]
뉴스
ブラジル大統領 再選 ルセフ氏 革新政権4期目
https://www.jcp.or.j[...]
2014-10-28
[73]
기타
[74]
웹인용
Estatísticas do eleitorado – Eleitores filiados
http://www.tse.jus.b[...]
2022-09-30
[75]
웹사이트
Os Sentidos do Lulismo - Reforma gradual e pacto conservador - André Singer
http://www.companhia[...]
2015-06-07
[76]
서적
Democratic Socialism: A Global Survey
http://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4-08-15
[77]
웹인용
Proposta do PT é "populista' e "estúpida', diz Dornbusch
https://www1.folha.u[...]
[78]
웹인용
These Elections Could Reshape Latin America
https://www1.bloombe[...]
Bloomberg
2017-09-01
[79]
웹사이트
Os Sentidos do Lulismo - Reforma gradual e pacto conservador - André Singer
http://www.companhia[...]
2015-06-07
[80]
뉴스
Guidelines for soy don't protect tropical forests in Brazil
https://www.futurity[...]
2022-11-02
[81]
서적
Dominant Elites in Latin America: From Neo-Liberalism to the 'Pink Tid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
[82]
서적
Democratic Socialism: A Global Surve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83]
서적
A estrela não é mais vermelha: as mudanças do programa petista nos anos 1990
Garçoni
[84]
서적
Pra que PT: Origem, Projeto e Consolidação do Partido dos Trabalhadores
Cortez
[85]
서적
PT: a lógica da diferença: o Partido dos Trabalhadores na construção da democracia brasileira
Ática
[86]
저널
Raizes sociais e ideológicas do lulismo
[87]
저널
Seeking Liberation in Brazil
[88]
저널
Brazil and Lula, 2005: crisis, corruption and change in political perspective
Routledge
[89]
서적
Faith in Civil Society: Religious Actors as Drivers of Change
Uppsala Centr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90]
웹사이트
How Lula’s party fell from grace: the toppling of the Brazilian left
https://www.newstate[...]
2016-11-14
[91]
웹사이트
Dilma Rousseff and Brazil face up to decisive month
https://www.bbc.com/[...]
2016-05-29
[92]
뉴스
The demise of Brazil’s great centrist party
https://www.economis[...]
2018-11-22
[93]
뉴스
Jair Bolsonaro: Brazil's far-right president-elect accused of campaign funding irregularities
https://www.independ[...]
2018-11-22
[94]
뉴스
Jair Bolsonaro: Brazil's far-right president-elect accused of campaign funding irregularities
https://www.independ[...]
2018-11-22
[95]
뉴스
Jair Bolsonaro: Brazil's far-right president-elect accused of campaign funding irregularities
https://www.independ[...]
2018-11-22
[96]
서적
Partido dos Trabalhadores: bibliografia comentada (1978-2002)
http://novo.fpabramo[...]
Editora Fundação Perseu Abramo
[97]
저널
From Socialism to Social Democracy: Party Organiz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Workers' Party in Brazil
http://lasa.internat[...]
[98]
웹인용
브라질 노동자당의 역사
http://www.pt.org.br[...]
2012-11-10
[99]
웹사이트
Manifesto aprovado na reunião do Sion
http://www2.fpa.org.[...]
Fundação Perseu Abramo
2006-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