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 윈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노 윈드는 르노가 생산한 소형 컨버터블이다. 2004년 파리 모터쇼에서 컨셉트카가 공개되었으며, 2010년에 출시되어 2013년에 단종되었다. 르노 클리오와 르노 메간의 디자인을 차용했으며, 180° 회전하는 일체형 금속 지붕을 특징으로 한다. 1.2리터 터보 엔진 또는 1.6리터 자연 흡기 엔진을 탑재했으며, 다이내믹, 다이내믹 S, 컬렉션, 고르디니 등 다양한 트림 라인으로 판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도입된 자동차 - 아우디 A7
아우디 A7은 아우디 A6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매끈한 루프 라인을 가진 4도어 쿠페 스타일 스포츠백으로, 메르세데스-벤츠 CLS 클래스, BMW 6 시리즈 그란 쿠페와 경쟁하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고성능 모델을 갖추고 2세대부터는 아우디 최초로 무빙 라이트가 적용되었으며 중국 시장에는 롱 휠베이스 세단형 A7L도 출시되었다. - 2010년 도입된 자동차 - 폭스바겐 아마록
폭스바겐 아마록은 폭스바겐에서 생산하는 중형 픽업트럭으로, 2010년부터 생산된 1세대 모델은 다양한 엔진과 구동 시스템, 페이스리프트를 거쳤으며, 2022년부터 생산되는 2세대 모델은 포드 레인저와 플랫폼을 공유하고 안전성과 파워트레인이 향상되었다. - 르노의 차종 - 르노 라구나
르노 라구나는 1993년 르노 21의 후속으로 출시된 르노의 중형차로, 해치백과 스테이션 왜건 두 가지 차체로 출시되었으며 3세대 모델에서는 닛산 티아나, 르노삼성 SM5와 플랫폼을 공유했고, 1997년에는 BTCC에서 우승하기도 했으나 2015년 르노 탈리스만이 출시되면서 단종되었다. - 르노의 차종 - 르노 메간
르노 메간은 1995년 르노 19의 후속으로 출시된 르노의 준중형차로, 다양한 차체 형태로 판매되었으며, 유로 NCAP 충돌 테스트에서 높은 안전성을 입증받았고, 메간 R.S.는 뉘르부르크링 랩 타임 기록을 갱신하며 주목받았다. - 로드스터 - 메르세데스-벤츠 SL
메르세데스-벤츠 SL은 "슈퍼 라이히트"의 약자로 불리는 2인승 로드스터로, 다양한 세대를 거치며 독특한 디자인과 기술적 특징을 가진 모델이며, 최신 7세대는 메르세데스-AMG에서 개발되어 AMG 모델로만 출시된다. - 로드스터 - 쉐보레 콜벳
쉐보레 콜벳은 1953년 출시 이후 8세대에 걸쳐 2인승 쿠페와 컨버터블 스타일을 유지하며 고성능을 추구해온 미국의 스포츠카이다.
르노 윈드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제조사 | 르노 |
생산 기간 | 2010년 – 2013년 |
조립 장소 | 슬로베니아 노보메스토 (르노 슬로베니아) |
차종 | 로드스터 (S) |
차체 스타일 | 2도어 컨버터블 |
구동 방식 | FF 레이아웃 |
플랫폼 | 클리오 II |
관련 차종 | 르노 트윙고 |
외관 디자인 | 야스 스즈키 |
내장 디자인 | 요한 오리 |
엔진 | |
엔진 종류 | 1.2 L D4FT 터보 I4 (가솔린) 1.6 L K4M-RS I4 (가솔린) |
엔진 상세 정보 | 직렬 4기통 1.6L DOHC K4M |
변속기 | |
변속기 종류 | 5단 수동 |
크기 | |
휠베이스 | 2368 mm |
전장 | 3822 mm |
전폭 | 1698 mm |
전고 | 1415 mm |
차량 중량 | 1206 - 1248 kg |
승차 정원 | 2명 |
최저 지상고 | 140mm |
섀시 | |
서스펜션 (전륜) | 스트럿 |
서스펜션 (후륜) | 트위스트 빔 |
2. 디자인
르노 윈드의 디자인은 소형차 트윙고를 기반으로 하지만, 독창적인 차체와 전동식 회전 격납식 루프를 갖추어 쿠페와 오픈카, 타르가 탑의 특징을 결합한 특징을 지닌다. 전체적인 디자인 방향은 클리오나 메간의 고성능 모델과 유사한 분위기를 풍긴다.
2004년 파리 모터쇼에서 공개된 윈드 컨셉트카를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양산형 모델은 2010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되었다. 컨셉트카 단계에서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휠과 페달, 문 개방 시 자동으로 접히는 기능 등이 제시되기도 했으나 양산형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윈드의 가장 큰 디자인 특징 중 하나는 페라리 슈퍼아메리카와 유사한 방식으로 180° 회전하여 수납되는 일체형 금속 루프이다. 이 독특한 루프 구조 덕분에 루프 개폐 상태와 관계없이 일정한 트렁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차량 개발 과정에는 르노 스포트가 참여하여 섀시, 엔진, 서스펜션, 시트, 스티어링 등 여러 부분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를 통해 스포티한 주행 성능을 강조했다.[5] 익스테리어 디자인은 메간 트로피 디자인에도 참여했던 어드밴스드 디자인 부문의 일본인 디자이너 스즈키 야스히로가 담당했다.[6] 내장 역시 트윙고와는 차별화된 윈드 고유의 디자인 요소들이 적용되었다.
2. 1. 외관

2004년 파리 모터쇼에서 공개된 윈드 컨셉트카는 2+1 로드스터 형태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양산형 모델은 2010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되었다. 양산형 모델은 컨셉트카와 달리 2인승이다.[2]
양산형 윈드는 트윙고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전체적인 크기와 자세, 와이퍼 작동 방식, 트윙고와 동일한 반원형 도어 핸들 등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외관 부품은 모두 윈드 전용으로 디자인되었다. 전장은 3830mm(일본 사양 3835mm)로, 기반 모델인 트윙고보다 230mm 길다. 디자인은 클리오나 메간의 고성능 모델과 유사한 측면도 있다. 익스테리어 디자인은 메간 트로피 디자인에도 참여했던 어드밴스드 디자인 부문의 일본인 스즈키 야스히로가 담당했다.[6]
가장 큰 특징은 전동식 회전 격납식 루프이다. 이는 페라리 슈퍼아메리카에서 영감을 받은 방식[4]으로, 루프 전체가 뒤쪽을 축으로 180도 회전하여 리어 데크 위에 수납된다. 리어 필러와 리어 윈도는 고정된 채 천장 부분만 열리는 구조로, 쿠페와 오픈카, 타르가 탑의 특징을 모두 갖추었다. 루프 개폐에는 12초가 소요되며, 이는 동급 컨버터블 중 빠른 편에 속한다. 루프를 열거나 닫은 상태에 관계없이 트렁크 용량은 270L를 확보하여 실용성을 고려했다.
2. 2. 내장
르노 윈드의 내장은 베이스가 된 트윙고와 차별화되어 고유한 디자인 요소들을 갖추고 있다.[5] 트윙고가 대형 디지털 속도계를 중앙에 배치한 것과 달리, 윈드는 3개의 아날로그 미터를 운전석 정면에 배치했다. 이 계기판은 오토바이를 연상시키는 반투명 커버로 덮여 있으며, 이 커버는 옵션으로 교체할 수 있다.시트는 헤드레스트가 일체형으로 된 버킷 시트 형태이며, 시트 뒤쪽에는 작은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시트와 스티어링 휠 개발에는 르노 스포트가 참여하여 스포티한 주행 감각을 더했다.[5]
오디오 조작 패널은 트윙고와 비슷한 디자인으로, 운전 중 조작하기 편리하도록 크게 기울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자인 때문에 시중에서 판매하는 인대시형 카 내비게이션 등으로 교체하기는 어렵다.
트렁크 공간은 전동식 하드탑 루프의 개폐 상태와 관계없이 항상 270L의 용량을 확보하여 실용성을 고려했다.
2. 3. 루프
르노 윈드의 루프는 다른 많은 개폐식 하드탑 차량과 다른 독특한 방식을 채택했다. 이는 2005년 페라리 수퍼아메리카에 적용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르노는 이 루프에 대한 권리를 사들여 윈드에 적용했다.[4]루프는 전체가 하나로 된 금속 재질이며, 전동식으로 작동한다. 루프를 열 때는 뒤쪽을 축으로 하여 180도 뒤집혀 리어 데크(트렁크 덮개 위)에 수납되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가졌다. 이때 리어 필러와 뒷유리(리어 윈도)는 고정된 상태로 남고 천장 부분만 열리게 되어, 쿠페와 오픈카는 물론 타르가 탑의 장점도 일부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방식 덕분에 루프를 여닫는 데 걸리는 시간은 12초에 불과하며, 이는 당시 컨버터블 차량 중 최고 수준의 속도였다. 또한, 루프를 열어 수납한 상태에서도 트렁크 공간이 줄어들지 않아 항상 270L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독창적인 전동식 회전 격납식 루프 시스템 개발에는 르노 스포트도 참여했다.[5]
3. 엔진 및 성능
2004년 파리 모터쇼에서 공개된 윈드 컨셉트카는 136PS (101kW)의 최고 출력과 191Nm의 토크를 내는 직렬 4기통 엔진을 탑재했다.
양산형 윈드에는 다음과 같은 두 종류의 직렬 4기통 가솔린 엔진이 탑재되었다.
엔진 종류 | 배기량 | 최고 출력 | 비고 |
---|---|---|---|
1.2L TCE 터보 | 1.2리터 | 100PS (74kW) | |
1.6L 자연 흡기 | 1.6리터 | 133PS (98kW) | 르노 트윙고 르노 스포트 모델과 공유 |
변속기는 5단 수동 변속기만 제공되었으며, 단종될 때까지 AT 사양은 출시되지 않았다.
차량 개발 과정에는 르노 스포트가 참여하여 엔진을 비롯해 섀시, 서스펜션, 시트, 스티어링 등 주요 부분을 조율했다.[5]
4. 트림 라인
트림 라인은 다이내믹(Dynamique), 다이내믹 S(Dynamique S), 그리고 한정판인 "컬렉션(Collection)"의 세 가지 모델이 있었다. 다이내믹 트림은 가장 기본형으로, 16인치 합금 휠과 에어컨을 기본 사양으로 갖추었다. 다이내믹 S 트림은 이보다 상위 트림으로, 17인치 합금 휠과 자동 온도 조절 장치를 갖추었다. 한정판 "컬렉션" 트림은 광택이 나는 검은색 접이식 루프와 빨간색 및 크롬 대시보드 인서트 등 가장 다양한 기능을 제공했다. 영국에서는 다이내믹, 다이내믹 S, GT 라인, 그리고 최상위 모델인 컬렉션 등급으로 구성되었다.
2011년 5월 26일, 도쿄 도내에서 열린 신형 메간 발표회에서 같은 해 여름 무렵까지 판매를 시작할 것이 발표되었고, 이후 같은 해 7월 6일에 정식으로 판매를 개시했다. 동시에 블랙 메탈 스타일 하드탑, 크롬 도어 미러, 데칼, 열선 내장 흑색 가죽 시트, 레드 클리어 미터 후드, 스피드라인 17인치 알루미늄 휠, 블루투스 대응 CD 일체형 AM/FM 전자 튜너 라디오 & USB 단자 등을 갖춘 "컬렉션"을 30대 한정으로 발표했다. 가격은 기본 차량보다 13만 엔 높은 268만엔이었으며, 7월 중에 완판되었다.
2012년 3월 8일에는 르노의 튜너였던 고르디니의 이름을 딴 "고르디니" 트림이 발매되었다. 블루 말트 M 색상의 전용 보디 컬러와 화이트 더블 스트라이프, 실버/블루 투톤 알로이 휠, 화이트 도어 미러, 루프 커버 화이트 카울, 화이트 스트라이프가 들어간 가죽 스티어링 휠, 고르디니 로고가 새겨진 시프트 노브, 고르디니 로고 자수가 처리된 가죽 스포츠 시트, 전용 배지 등을 채용하여 스포티한 느낌을 강조했다. 가격은 기본 차량보다 24만 엔 높은 279만엔이었다.
2013년 5월에 판매가 종료되었다.
5. 판매 종료
일본 시장에서는 2011년 5월 26일 신형 메간 발표회에서 같은 해 여름 출시가 예고되었고, 7월 6일부터 정식 판매가 시작되었다. 판매 개시와 동시에 블랙 메탈 스타일 하드탑, 크롬 도어 미러, 데칼, 열선 내장 가죽 시트 등을 갖춘 30대 한정판 "컬렉션" 모델(기본 가격 + 13만엔)이 출시되었으나, 같은 달 모두 판매되었다.
2012년 3월 8일에는 르노의 튜닝 브랜드 이름을 딴 "고르디니" 트림이 발매되었다. 전용 파란색(블루 말트 M) 차체 색상과 흰색 더블 스트라이프, 투톤 알로이 휠, 흰색 도어 미러 및 루프 커버, 고르디니 로고가 새겨진 가죽 스티어링 휠, 시프트 노브, 스포츠 시트 등을 적용하여 스포티함을 강조했다. 가격은 기본 모델보다 24만엔 높은 279만엔였다.
이후 2013년 5월에 판매가 종료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Geneva motor show 2010: Renault Wind
http://www.autocar.c[...]
Autocar
2014-02-02
[2]
웹사이트
Renault Wind: A Breath of Fresh Air in the Roadster Market
http://www.renault.c[...]
2010-02-02
[3]
웹사이트
Renault to cut five UK models
https://www.telegrap[...]
telegraph.co.uk
2011-12-19
[4]
웹사이트
Aus und vorbei
http://www.auto-news[...]
auto-news.de
2015-05-14
[5]
뉴스
【ルノー ウインド 日本発表】ルノースポールが作った“クーペロードスター”
http://www.carview.c[...]
カービュー
2011-07-06
[6]
문서
ルノーの場合、日本人デザイナーの例として永島譲二が手掛けた初代ルノー・サフランも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