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에주 주교후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에주 주교후국은 10세기에 위이 백국에 세속 영주권을 부여받아 성립되었으며, 프랑스 혁명까지 약 8세기 동안 자치를 유지했다. 노트게르 주교 시기 도시의 교구 조직이 강화되었고, 이후 '북방의 아테네'로 불릴 정도로 교육 기관이 번성했다. 13세기와 14세기에는 상류층과 하류층 간의 분쟁이 있었고, 15세기에는 도시 약탈과 파괴가 일어났다. 14세기 말 부르고뉴 공국의 영향력이 커졌고, 1468년 용담공 샤를에 의해 민주주의 지배가 종식되었다. 1540년대 카를 5세에 의해 비공식적으로 지배받았으며, 스페인 길을 구성하는 합스부르크 동맹의 일부가 되었다. 18세기 말 프랑스 백과전서파의 사상이 유입되어 리에주 혁명의 발판이 마련되었고, 1795년 프랑스에 합병되면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인강 하류-베스트팔렌 관구 - 뮌스터 주교후국
    뮌스터 주교후국은 795년경 뮌스터 교구 설립으로 시작되어 1803년 세속화될 때까지 존속한 신성 로마 제국의 제후국으로, 주교의 세속 권력 강화, 종교 개혁, 전쟁 피해, 세속화 등의 역사를 거쳤다.
  • 네덜란드의 옛 나라 - 니더로트링겐 공국
    니더로트링겐 공국은 로타링기아 왕국에서 분리되어 성립되었으며, 니더로트링겐과 오베로트링겐으로 분할된 후 신성 로마 제국의 서쪽 변방을 형성했으나, 위세 약화로 영토적 권위를 상실하고 브라반트 공작에게 작위가 넘어간 명목상의 공국이다.
  • 네덜란드의 옛 나라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게르마니아 인페리 오르는 현재의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남부, 벨기에 일부,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일부 지역에 걸쳐 있던 고대 로마 제국의 속주로, 라인 강 국경을 지키는 군사적 요충지이자 서로마 제국 멸망 후 프랑크 왕국의 중심지가 되었다.
리에주 주교후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1350년경 지도
1350년경 지도
기본 정보
나라 이름리에주 주교후국
현지 이름리에주 주교후국
다른 표기




존속 기간 시작340년대
존속 기간 끝1795년
다음리에주 공화국
프랑스 제1공화국
리에주 주교후국 국기
국기
리에주 주교후국 문장
문장
수도리에주
공용어라틴어
고대 프랑스어
프랑시앵어 (프랑스어)
왈롱어
독일어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정부 형태선거영주제
정치 지도자
주교성 세르바티우스 (초대 주교, 통에런, 340년대–384년)
성 람베르투스 (마스트리히트, 670년–700년)
노트게르 (초대 주교후, 972년–1008년)
(마지막, 1792년–1794년)
역사
시대중세
교구 생성340년대
세속권 확보980년
부용 영주령 구입1096년
룬 백국 합병1366년
호른 백국 합병1568년
리에주 혁명1789년–1791년
프랑스 합병1795년
주교후 해체 협약 승인1801년 9월 10일
면적

2. 중세 시대

1559년 이전 중세 리에주 주교구 (녹색).


중세 시대 리에주 주교후국은 신성 로마 제국 내에서 상당한 자치권을 누리며 발전했다. 10세기 위이 백국에 대한 세속 영주권을 얻은 것을 시작으로, 주교들은 영지를 확장하고 제후로서의 지위를 확립했다.[1]

11세기 리에주는 '북방의 아테네'로 불릴 정도로 학문과 교육이 번성했으며, 스테파노 9세, 니콜라오 2세 등 교황과 파리 대학교의 주요 학자들을 배출했다. 리에주의 알제와 같은 주요 지식인들이 활동했다.[1]

베르뒹의 앙리 집권기(1075년–1091년)에는 전쟁 방지와 하느님의 평화를 위한 재판소(''tribunal de la paix프랑스어'')가 설치되었다.[1] 오트베르(1091년–1119년)는 부용 영주령을 매입하여 영토를 확장했다.[1] 나뮈르의 앙리(1119년–1121년)는 순교자로 숭배받았다. 쥘리에의 알렉상드르 시기(1128년–1134년) 교황, 황제, 클레르보의 성 베르나르가 리에주를 방문했다. 체링겐의 라울 기간은 베긴 수도회 창설에 기여한 개혁가 말 더듬이 랑베르의 연설로 특정 지어진다.[1]

루벵의 알베르는 1191년에 리에주 주교로 선출됐지만, 하인리히 6세는 이 선출에 대한 논란을 핑계로 회흐슈타트의 로테르를 주교 자리에 앉혔다. 알베르의 선출은 1192년에 교황의 승인을 받았으나, 랭스에서 독일 기사 세 명에게 암살당했다.[1] 1195년, 알베르 드 카위크(Albert de Cuyck, 1195년–1200년)는 리에주 사람들의 선거권을 공식적으로 승인하였다.[1] 12세기, 리에주 대성당의 사제단은 주교후령 역사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1]

13세기와 14세기에는 상류층과 하류층 간의 분쟁이 격화되었고, 15세기에는 도시가 약탈당하고 파괴되기도 했다.[4] 투로트의 로베르 주교(1240년–1246년) 재임 기간, 코르니용 수도원의 수녀였던 성 줄리아나는 환상을 통해 성찬을 기리는 축일 제정을 계획했다.[4] 생슈르의 위그는 1252년 성찬을 의무로 제정했다.[4] 리에주 출신 교황 우르바노 4세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을 교회 전체에 의무화했다.[4] 교황 그레고리오 10세는 무능한 겔더른의 하인리히 주교(1247년–1274년)를 해임했다.[4] 아돌프 2세 드 라 마르크 주교(1313년–1344년) 통치 기간에 체결된 펙스 조약은 주교후와 가신들 간의 관계를 규정했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부 불화는 계속되었고, 호른의 아르놀트 주교(1378년–1389년) 시대에는 대중파가 승리했다.[4]

2. 1. 초기 발전

중세 리에주 주교들의 교구는 1559년까지 그들이 소유했던 영지보다 훨씬 넓었지만, 영지는 기부와 인수를 통해 점차 넓혀졌다. 10세기에 주교들은 위이 백국에 대한 세속 영주권을 수여받았다. 노트게르 주교 (972년–1008년)와 그의 후임자들은 신성 로마 제국의 제후로 불렸다. 이 상황은 프랑스 혁명까지 지속되었으며, 거의 여덟 세기에 이르는 시기를 거쳐 리에주 주교후는 신성 로마 황제의 휘하에 남아있긴 하지만 자치 수준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프랑스와 독일 사이의 전략적 위치에서 비롯한 국제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주교들의 능력 덕분이었다.[1]

중세를 거쳐, 주교후는 1096년에 부용 영주령 (1678년 프랑스에 양도), 1366년에 룬 백국(Looz프랑스어), 1568년에 호른 백국 등을 획득하며 더욱 확대되었다.[1]

주교후국의 창시자인 노트게르는 성 람베르투스 대성당 및 주교들의 궁전을 재건하고, 리에주 도시 내 다른 건축 활동(성 바오로 교회, 전도사 성 요한 교회, 상트크루아 교회, 성 데니스 교회 등)에도 관여했다.[1] 또한 도시의 교구 조직도 강화했다.[1] 그는 위령의 날 준수를 전파한 초대 교회 지도자 중 한 명이었으며, 본인의 교구에서 위령의 날 행사를 인가했다.[1] 노트게르의 통치 하에서, 에라클루스의 학문을 이어받은 리에주의 교육 기관들이 번영했다. 이 두 주교들 (그리고 와조)로, "리에주의 학교 기관들은 당대 가장 빛나는 문학 중심지 중 하나였다".[1] 11세기에 리에주는 '북방의 아테네'로 알려졌다.[1] "리에주는 한 세기 이상 과학 분야에서 다른 국가들 사이에서 한 번도 회복하지 못한 위치를 차지했다.".[1] 이후의 주교들은 노트게르의 유산을 이어나갔다.[1] 리에주의 학교들은 여러 뛰어난 학자들을 양성해냈고, 스테파노 9세, 니콜라오 2세 등의 교황도 배출했다.[1] 또한 교구 차원에서도 생티에리의 기욤, 리에주의 제라르, 퐁텐의 고드프루아 등 많은 중요한 박사들도 파리 대학교에 공급했다.[1] 리에주의 알제 (1055년–1131년)는 이 시대의 중요한 지식인 중 한 명이었다.[1]

2. 2. 종교적, 문화적 번영



노트게르 주교 통치 하에, 에라클루스의 학문을 이어받은 리에주의 교육 기관들은 번영했다. 노트게르와 에라클루스, 와조 이 세 명의 주교들 덕분에 "리에주의 학교 기관들은 당대 가장 빛나는 문학 중심지 중 하나였다".[1] 11세기에 리에주는 '북방의 아테네'로 알려지기도 했다.[1] "리에주는 한 세기 이상 과학 분야에서 다른 국가들이 한 번도 회복하지 못한 위치를 차지했다.".[1] 이후 루즈의 발데리크(1008년–1018년), 월보도(1018년–1021년), 두란두스 (1021년–1025년), 레기나르드(1025년–1038년), 니타르드 (1038년–1042년), 학식 있는 와조, 테오뒤엥 (1048년–1075년) 등은 노트게르의 유산을 이어나갔다.[1]

리에주의 학교들은 여러 뛰어난 학자들을 양성해냈고, 가톨릭 교회에 스테파노 9세, 니콜라오 2세 등의 교황을 배출하기도 했다.[1] 또한 교구 차원에서도 생티에리의 기욤, 리에주의 제라르, 퐁텐의 고드프루아 등 많은 중요한 박사들을 파리 대학교에 공급하기도 했다.[1] 리에주의 알제 (1055년–1131년)는 이 시대의 중요한 지식인 중 한 명이었다.[1]

주교후국의 창시자인 노트게르는 성 람베르투스 대성당 및 주교들의 궁전도 재건하였다.[1] 그는 또한 본인의 통치 때 번영을 누리던 리에주 도시 내 다른 건축 활동에도 관여했었다 (성 바오로 교회, 전도사 성 요한 교회, 상트크루아 교회, 성 데니스 교회 등).[1]

2. 3. 정치적 갈등과 민주주의적 요구

13세기와 14세기에 리에주 주교후국에서는 상류층과 하류층 간의 분쟁이 자주 발생했으며, 이는 15세기에 도시의 약탈과 파괴로 절정에 달했다.[4] 투로트의 로베르 주교(1240년–1246년) 재임 기간, 코르니용 수도원의 수녀였던 성 줄리아나는 환상을 통해 성찬을 기리는 축일 제정을 계획했다.[4] 로베르 주교는 이를 허락했으나, 성 줄리아나의 사망으로 축일 제정은 미뤄졌다.[4] 이후 도미니코회 수도원장이자 교황 특사였던 생슈르의 위그가 1252년 리에주 교구에서 성찬 축일을 의무화했다.[4] 리에주 출신 부주교였던 트루아의 장은 교황 우르바노 4세로 선출되어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을 교회 전체에 의무화했다.[4] 또 다른 리에주 부주교는 교황 그레고리오 10세가 되어 무능한 겔더른의 하인리히 주교(1247년–1274년)를 해임했다.[4] 아돌프 2세 드 라 마르크 주교(1313년–1344년) 통치 기간에 체결된 펙스 조약은 주교후와 가신들 간의 관계를 규정했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부 불화는 계속되었고, 호른의 아르놀트 주교(1378년–1389년) 시대에는 대중파가 승리했다.[4] 1366년에는 룬 백국이 리에주 주교후국에 합병되었다.[4]

3. 부르고뉴와 합스부르크의 영향

리에주의 주교좌 궁정


중세 시대에 리에주 주교후국은 부용 영주령(1096년, 1678년 프랑스에 양도), 룬 백국(1366년), 호른 백국(1568년) 등을 획득하며 영토를 확장했다. 1384년 플랑드르 백작 플랑드르의 루이 2세가 사망하면서 부르고뉴령 네덜란드를 통한 저지대 국가의 통일이 시작되었고, 리에주는 부르고뉴 공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선량공 필리프의 정치적 계략에 따라 리에주 주교 루이 드 부르봉이 리에주 통치자가 되었으나, 리에주 사람들은 이에 저항하여 리에주 전쟁이 발발했다. 용담공 샤를은 디낭(1466년)과 리에주(1468년)를 파괴하며 리에주의 민주주의 지배를 종식시켰다.

카를 5세는 1540년대 네덜란드 17주를 통일하고 리에주 주교후령도 비공식적으로 지배하였다. 그는 에라르 드 라 마르크를 리에주 주교후로 임명하여 리에주의 회복을 이끌었으며, 에라르는 예술을 후원하고 종교 개혁에 맞서 싸웠다. 교황 바오로 4세는 1559년 교황 칙서를 통해 저지대에 새로운 주교구들을 설치했는데, 이는 리에주 교구의 희생을 통해 이루어졌다.

17세기에 리에주 주교들은 대부분 외국인이었고, 이들의 잦은 부재는 시루와 그리누 등에 자유를 주었으나, 바이에른의 막시밀리안 하인리히가 1681년 칙령으로 이를 막았다. 18세기 중엽에는 프랑스 백과사전의 사상이 리에주에 들어오기 시작했고, 주교 프랑수아샤를 드 벨 브뤼크는 이를 부추겨 1789년 리에주 혁명의 발판을 마련했다.

3. 1. 부르고뉴 공국의 개입

1384년 플랑드르 백작 플랑드르의 루이 2세가 사망하면서, 부르고뉴령 네덜란드를 통한 저지대 국가의 통일이 시작되기 시작했다. 리에주 주교후국은 명목상으로는 독립 상태를 유지했지만, 부르고뉴 공국은 리에주에 대한 영향력을 점차 확대해 나갔다.[3] 리에주 주교 루이 드 부르봉 (1456년~1482년)은 선량공 필리프의 정치적 계략에 따라 리에주 통치자에 올랐다.[3]

리에주 사람들은 부르고뉴 통치에 저항하였고, 이는 리에주 전쟁으로 이어졌다. 용담공 샤를은 1466년에 디낭을, 1468년에는 리에주를 파괴하며 리에주의 민주주의 지배를 종식시켰다.[3]

3. 2.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

카를 5세는 1540년대 네덜란드 17주의 통일을 완수했고, 비공식적으로 리에주 주교후령도 지배하였다.[3] 에라르 드 라 마르크 (1505년–1538년)는 카를 5세에 의해 리에주 주교후로 지목되었으며, 리에주의 회복 시기를 이끌었다. 에라르는 계몽적인 예술 후원자였으며, 종교 개혁자들에 대한 투쟁을 시작하였고, 그의 후임자들, 특히 흐루스베이크의 제라르 (1564년–1580년)가 이를 이어나갔다. 이 투쟁을 지원하기 위해 바오로 4세칙서('Super Universila', 1559년 5월 12일)를 통해 저지대에 새로운 주교구들을 설치했다. 이 새로운 주교구들은 리에주 교구의 희생으로 만들어졌는데, 리에주의 여러 사목구들이 루르몬트, 스헤르토헨보스, 나뮈르 교구로 이관되거나, 메헬렌, 앤트워프 등 기존 교구에 추가되었다. 결과적으로 리에주 교구 내 관할 대리구의 수는 13개로 감소했다.

리에주는 스페인이 지배하던 롬바르디아와 스페인령 네덜란드 사이의 군사 통행로인 스페인 길을 구성하는 합스부르크 동맹의 마지막 연결 고리였다. 리에주는 스페인 영토로 완전히 둘러싸여 있었지만, 중립 조약을 통해 보호받았으며, 스페인 군대는 주교후의 영토를 통과할 때 한 곳에서 이틀 이상 머물지 않아야 했다. 80년 전쟁에서 합스부르크의 군사 계획상 리에주 주교후의 중요성은 1595년 네덜란드의 침입을 저지하기 위한 스페인의 개입을 촉발했다.[4]

3. 3. 스페인 길과 80년 전쟁

리에주는 스페인령 네덜란드와 롬바르디아를 잇는 군사 통로인 스페인 길의 핵심 고리였다. 스페인 영토로 완전히 둘러싸인 리에주는 중립 조약을 통해 스페인 군대의 통과를 허용했는데, 이 조약은 스페인 군대가 주교후 영토에서 이틀 이상 머물지 않도록 규정했다.[4]

80년 전쟁에서 리에주 주교후국의 전략적 중요성은 매우 컸으며, 1595년 네덜란드의 침입을 막기 위한 스페인의 개입은 이를 잘 보여준다.[4]

4. 프랑스 혁명과 해체

18세기 중엽 프랑스의 백과전서파 사상이 리에주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드 벨브뤼크 주교(1772년–1784년)는 이 사상을 부추겼고, 이는 1789년 리에주 혁명의 발판을 마련했다.[4] 프랑스 혁명과 부분적으로 관련이 있던 세자르콩스탕탱프랑수아 드 횐스브뢰크 주교후의 절대주의 통치에 대한 항의는 리에주 혁명으로 발전하였다. 1791년을 시작으로, 이 혁명은 신성 로마 제국의 명령으로 파견된 군대에 진압되었다.

1795년에 리에주 주교후국은 프랑스에 합병되면서 해체되었다. 주교후국의 영토는 뫼즈앙페리외르, 우르트, 상브레즈 등 데파르망으로 나뉘었다.

5. 갤러리

성 람베르투스의 순교


스타블로 세 폭 제단화는 뫼즈 미술의 예시이다 (뉴욕시 모건 라이브러리 & 뮤지엄 소장)


성 람베르투스 대성당과 대주교후 궁전 (18세기)

참조

[1] 서적 Speaking in Other Voices: An Ethnography of Walloon Puppet Theater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1
[2] 문서 투표 번호 47번
[3] 웹인용 Chapter II: Habsburg Rule in the Netherlands http://www.authora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06-09
[4] 서적 The Army of Flanders and the Spanish Road, 1567–1659: The Logistics of Spanish Victory and Defeat in the Low Countries' Wa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