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더로트링겐 공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더로트링겐 공국은 855년 로타링기아 왕국 분열 이후 형성된 공국으로, 현재의 벨기에, 네덜란드, 독일 일부 지역을 포괄했다. 959년 브루노 대공에 의해 니더로트링겐과 오베어로트링겐(로렌 공국)으로 분할되었으며, 이후 니더로트링겐은 황제의 직접 통치를 받거나 프랑스 왕의 동생인 카롤루스가 공작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1190년 브라반트 공작에게 봉토가 넘어가면서 공국은 소멸되었고, 작위는 '로티어 공작'으로 명맥만 유지되었다. 공국 소멸 이후 쾰른, 리에주, 위트레흐트 등 여러 제후국과 주교령이 니더로트링겐의 계승국이 되었으며, 브라반트 공국 등이 로티어 공작 작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70년대 설립 - 알아즈하르 대학교
    알 아즈하르 대학교는 970년 파티마 왕조 시대 카이로의 알 아즈하르 모스크에 부속된 마드라사로 시작하여 이슬람 학문 중심으로 성장, 현대에는 종합대학으로 개편되어 종교 연구와 교육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니더로트링겐 공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개요
977년 니더로트링겐 (분홍색)과 로렌 공국 (보라색)
977년 니더로트링겐 (분홍색)과 오베어로트링겐 (보라색)
별칭북부 로타링기아
위치동프랑크 왕국 (962년까지), 신성 로마 제국
존속 기간959년 ~ 1190년
수도브뤼셀
언어고대 네덜란드어
고대 프리지아어
고대 프랑스어
고대 저지 독일어
종교기독교
정치
정치 체제봉건 공국
지도자 칭호공작
초대 공작고트프리트 1세 (959년–964년)
마지막 공작고트프리트 8세 (1142년–1190년)
역사
주요 사건설립 (959년)
주요 사건해체 (1190년)
해체 이후
분할리에주 주교후국
쾰른 선제후국
캉브레 주교후국
클레베 공국
림뷔르흐 공국
나뮈르 백국
브라반트 공국
홀란트 백국
위트레흐트 주교후국
루뱅 백국
헬러 공국
율리히 공국
베르크 공국
론 백국
호른 백국

2. 역사

니더로트링겐 공국은 959년 브루노 대공이 로트링겐을 니더로트링겐과 오베어로트링겐으로 나누면서 시작되었다. 니더로트링겐은 라인강 하류, 오베어로트링겐은 라인강 상류에 위치했다. 두 공작령은 오토 1세가 세운 신성 로마 제국의 서쪽 변방이었다.[1]

이후 두 공작령은 서로 다른 길을 걸었다. 니더로트링겐은 977년 오토 2세카롤루스를 공작으로 임명하면서 황제 직할령에서 벗어났다. 1033년 고텔로 1세 때 잠시 통합되기도 했지만, 1044년 다시 분리되었다. 이후 니더로트링겐 공국은 쇠퇴한 반면, 오베어로트링겐 공국은 '로트링겐 공국'으로 불리며 로렌 공국으로 이어졌다.

시간이 흐르면서 니더로트링겐 공국은 황제 하인리히 4세와 하인리히 5세의 갈등에 휘말렸다. 1100년 하인리히 4세는 림뷔르흐 백작 하인리히를 축출했고, 하인리히 5세는 루뱅 백작 고트프리트 1세를 후임 공작으로 임명했다. 1190년 고트프리드 3세가 사망하자 하인리히 6세는 브라반트 공작 하인리히 1세에게 공국 봉토를 넘겼다. 이로써 니더로트링겐 공국은 영토를 상실하고, '로티어 공작'이라는 명목상의 작위만 남게 되었다.

2. 1. 로타링기아 왕국의 분열과 니더로트링겐의 성립 (9세기 ~ 10세기)

855년 중프랑크 왕국로타리우스 2세에게서 로타링기아 왕국이 분리되었다. 로타링기아 왕국은 9세기 후반 들어 분열되었다가 880년 루도비쿠스 3세 시절 리베몽 조약으로 재통합되었다. 911년 동프랑크 국왕 루도비쿠스 4세가 사망하자 카롤루스 3세가 다스리던 서프랑크 왕국으로 편입되었으며, 이후 공작위가 수여되어 공국으로 거듭났다. 925년기셀베르투스 공작은 독일왕 하인리히 1세에게 충성을 맹세하였으며 프랑스 라둘푸스 1세는 공작의 마음을 되돌리지 못했다. 이때부터 로트링겐 공국은 독일 왕국의 핵심 공국으로 남게 되었으며 중세 시대에도 프랑스와의 국경은 변하지 않았다.[1]

959년 독일 국왕 하인리히의 아들 브루노 대공은 로트링겐을 니더로트링겐과 오베어로트링겐(하로트링겐 / 상로트링겐)의 두 공작령으로 나누고 몬스 백작 고트프리트를 니더로트링겐 공작으로 임명하였다. 고트프리드의 봉토는 로트링겐 북부 라인강 하류지대에, 오베어로트링겐은 로트링겐 남부 라인강 상류지대에 해당되어 이러한 지명이 붙었다. 두 공작령은 962년 브루노의 형 오토 1세신성 로마 제국을 세운 이래 서부 변방지대에 속하게 되었다.[1]

2. 2. 니더로트링겐 공국의 쇠퇴와 분열 (11세기 ~ 12세기)

로타링기아 왕국은 855년 로타리우스 2세가 다스리던 중프랑크 왕국에서 분리되어 나왔다. 이 왕국은 9세기 후반 대부분 기간 동안 분할되었다가, 880년 리베몽 조약을 통해 젊은 루이 치하에서 재통합되었다. 911년 동프랑크어린 루이가 사망하자 서프랑크 왕국에 합병되었고, 이후 공국으로 재편되었다. 925년경 로렌 공작 길버트는 독일 왕 하인리히 1세에게 충성을 맹세했는데, 이는 프랑스 왕 라둘푸스 1세가 되돌릴 수 없었다. 이후 로트링겐은 독일의 주요 공국으로 남았으며, 중세 시대 내내 프랑스와의 국경은 변하지 않았다.

959년, 독일 왕 하인리히 1세의 아들 브루노 대공은 로트링겐을 니더로트링겐과 오베어로트링겐(상로트링겐)으로 나누고, 몬스의 고드프루아 1세를 니더로트링겐 공작으로 임명하였다. 고트프리드의 영토는 라인강 하류 지역인 북쪽에 위치했고, 오베어로트링겐은 라인강 상류 지역인 남쪽에 위치했다. 두 공작령은 962년 브루노의 형인 오토 1세가 세운 신성 로마 제국의 서쪽 부분을 형성했다.

이후 두 로트링겐 공작령은 서로 다른 역사를 겪었다. 니더로트링겐은 고트프리드의 아들 리하르가 사망한 후 황제의 직할령이 되었다가, 977년 오토 2세가 프랑스 왕 로테르의 동생 카롤루스를 니더로트링겐 공작에 임명하였다. 1033년 고텔로 1세 시기에 두 공작령이 잠시 통합되기도 했으나, 1044년에 다시 분리되었다. 이후 니더로트링겐 공국은 점차 쇠퇴하였고, 오베어로트링겐 공국이 '로트링겐 공국'으로 불리며 이후의 로렌 공국으로 이어졌다.

니더로트링겐 공국은 황제 하인리히 4세와 하인리히 5세 간의 갈등에 휘말리기도 하였다. 1100년 하인리히 4세가 림뷔르흐 백작 하인리히를 축출하고, 하인리히 5세가 루뱅 백작 고트프리트 1세를 후임 공작으로 임명하였다. 1190년 고트프리드 3세가 사망하자, 슈베비슈할에서 소집된 의회에서 황제 하인리히 6세는 그의 아들 브라반트 공작 하인리히 1세에게 공국의 봉토를 넘긴다는 결정을 내렸다. 이로써 니더로트링겐 공국은 영토를 완전히 상실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으며, 작위는 브라반트 공작의 소유로 넘어간 영지에 한정하여 '로티어 공작'(로트리크 공작)이라는 명목상의 작위로 남게 되었다.

3. 계승국

니더로트링겐 공국이 멸망한 이후, 이 지역의 많은 봉건 영지들은 제국자유령이 되었다. 로티어 공작 작위를 칭했던 계승국은 안트베르펜 변경백, 뢰번 백국, 브뤼셀, 브라반트 공국이다.

3. 1. 주요 제후국 및 주교령

니더로트링겐 공국이 역사 속으로 사라진 후, 그곳에 속해 있던 여러 봉토는 제국자유령에 속하게 되었다. 대표적인 계승국은 다음과 같다.

주요 제후국 및 주교령



니더로트링겐의 작위인 로티어 공작을 칭했던 계승국은 다음과 같다.

3. 2. 로티어 공작 칭호를 사용한 계승국

3. 3. 저지대 국가의 역사 (표)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83–)style="background:#FF9966; border-top:none; padding:0.25em 0.25em" |살리아 프랑크족style="background:#CC6633; -align:top;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0 0 0" |바타비style="background:#CC99FF;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0 0 0" |rowspan="2" style="background:#CC99FF; -align:top;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0 0 0" |style="background:#CC99FF; border-width: 0 1px 0 0; padding:0.25em 0.25em" |무인
(4세기–)작센족살리아 프랑크족
(4세기–)style="background:#CC99FF;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0 1px 0" |style="background:#CC99FF; border-width: 0 1px 0 0; padding:0.25em 0.25em" |프리지아 왕국
(–734)style="background:#CC6633;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0 0 0" |프랑크 왕국 (481–843)—카롤링거 제국 (800–843)오스트라시아 (511–687)style="background:#c1cbf2;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0 0 1px" |style="background:#c1cbf2;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0 0 0" |colspan="7" style="background:#c1cbf2;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1px 0 0" |colspan="9" style="background:#c1cbf2;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1px 0 1px" |중프랑크 (843–855)서프랑크
(843–)colspan="3" style="background:#c1cbf2; padding:0.25em 0.25em" |로타링기아 왕국 (855– 959)
저로렌 공국 (959–)colspan="3" style="background:#c1cbf2;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1px 1px 0 0" |프리지아colspan="2" style="background:#c1cbf2;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0 0 0" |style="background:#FFFFCC;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1px 1px 0 1px" |colspan="3" style="background:#c1cbf2;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1px 0 0" |

프리지아 자유
(11–16세기)

홀란트 백작령
(880–1432)

위트레흐트 주교령
(695–1456)

브라반트 공국

헬러 공국
(1046–1543)

플랑드르 백작령
(862–1384)

에노 백작령

나뮈르 백작령

리에주 주교령
(980–1794)

룩셈부르크 공국
(1059–1443) 

부르고뉴 네덜란드 (1384–1482)style="background:#FFFFCC; padding:0.25em 0.25em; padding:0.25em; border-width: 0 1px 0 1px" |style="background:#efcccb;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1px 0 0" |style="background:#efcccb;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1px 0 1px 1px" |--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1482–1795)
(17개 주 1543년 이후) style="background:#efcccb;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1px 0 0" |

네덜란드 공화국
(1581–1795)--
스페인령 네덜란드
(1556–1714) style="background:#efcccb;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1px 0 0" |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1714–1795)style="background:#FFFFCC; padding:0.25em; border-width:0 1px 0 1px" |style="background:#efcccb;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1px 0 0" | 
border

벨기에 연합주
(1790)
border

리에주 공화국
(1789–91)style="background:#dac1dd;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1px 1px 1px 0" | colspan="3" style="background:#efcccb; border:none; padding:0.25em 0.25em" |  

바타비아 공화국 (1795–1806)
홀란드 왕국 (1806–1810)
border

associated with French First Republic (1795–1804)
part of First French Empire (1804–1815)  

네덜란드 자치령 (1813–1815) 네덜란드 왕국 (1815–1830)
border

룩셈부르크 대공국
(1815–)
네덜란드 왕국 (1839–)
border

벨기에 왕국 (1830–)colspan="4" style="background:#f7d2a8;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0 1px 1px" |colspan="4" style="background:#dac1dd;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1px 1px 1px" |
룩셈부르크 대공국
(1890–)


참조

[1] 서적 Netherlands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Canada 1992
[2] 서적 The Numismatic Chronicle https://books.google[...] Royal Numismatic Society. 2006
[3] 서적 Warfare in Tenth-Century Germany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Ltd 2014
[4] 서적 Treaty of Joinville https://books.google[...] The Lawbook Exchange, Ltd. 2004
[5] 서적 Netherlands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Canada 1992
[6] 서적 The Numismatic Chronicle https://books.google[...] Royal Numismatic Society. 2006
[7] 서적 Warfare in Tenth-Century Germany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Ltd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