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텀은 1202년 리 고종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1209년 꽉복의 난으로 옹립되어 잠시 황제의 자리에 올랐으나, 쩐리에 의해 난이 평정된 후 기록에서 사라졌다. 꽉복의 난 당시 고종과 황태자는 귀화강으로 도주했으며, 이후 쩐리의 도움으로 고종이 수도로 복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02년 출생 - 장세걸
몽골 장유의 가신에서 남송 장군으로 망명한 장세걸은 남송 멸망 후 망명 정권을 이끌며 원나라에 저항하다 참파로 망명 중 폭풍으로 사망하여 남송 멸망의 상징으로 기록되었다. - 1202년 출생 - 사천택
사천택은 금나라에서 몽골 제국으로 투항하여 오고타이 칸에게 특별한 지위를 받고 남송 공략과 쿠빌라이 칸 옹립에 기여한 인물로, 원나라 건국에 공을 세우고 쿠빌라이 칸 시기 재상으로서 여러 정책을 추진했다. - 몰년 미상 - 미와 와사부로
미와 와사부로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경찰 관료로, 항일 운동가들을 탄압하여 "염라대왕"이라 불렸으며 조선어에 능통했고, 해방 이후 행적은 불분명하다. - 몰년 미상 - 이태준
이태준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이자 문학평론가로, 섬세한 문체와 서정적인 분위기로 현실을 그린 단편소설들을 발표하여 주목받았으며, 특히 1930년대 〈달밤〉, 〈까마귀〉, 〈복덕방〉 등의 작품으로 한국 단편소설의 미학을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월북 후 숙청되어 정확한 사망 시기와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리텀 | |
---|---|
기본 정보 | |
휘 | 忱 (침) |
성씨 | 이 (李, Yi) |
묘호 | 헌종 (憲宗, Heonjong) |
시호 | 선무예성영명인효대왕 (宣武睿聖英明仁孝大王, Seonmu Yeseong Yeongmyeong Inhyo Daewang) |
성 | 명 (命, Myeong) |
재위 기간 | 847년 ~ 859년 |
출생 | 810년 |
사망 | 859년 |
부친 | 이의 |
모친 | 곽씨 (당)|곽씨 |
배우자 | 왕귀비 (王貴妃) |
2. 생애
리 왕조 제7대 황제 고종의 차남으로, 티엔뜨자투이 17년(1202년) 8월에 태어났다. 1208년 팜주의 반란 진압 과정에서 팜빈지가 죽임을 당하자, 1209년 팜빈지 가문의 장수 꽉복에 의해 황제로 옹립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쩐리가 반란을 평정하면서 고종이 복위되었고, 이후 리텀의 행적은 불분명하다.[1]
2. 1. 출생과 초기 생애
티엔뜨자투이 17년(1202년) 8월에 출생하였다. 리텀의 탄생을 계기로 연호가 티엔뜨자투이에서 찌빈롱응(治平龍應)으로 개정되었다.2. 2. 꽉복의 난과 옹립
찌빈롱응 4년(1208년), 팜주가 반란을 일으키자 고종은 팜빈지에게 토벌을 명했다. 1209년, 고종이 팜주의 참언을 믿고 팜빈지와 그 아들을 죽였다. 이에 팜빈지의 가문 장수 꽉복이 고종에게 불만을 품고 병사를 이끌고 궁중에 침입하여 리텀을 황제로 옹립하였다. 리텀은 담지몽과 응우옌찐(Nguyễn Chính) 등에게 관직을 수여하였다. 고종과 황태자 하오삼(Hạo Sảm, 훗날의 혜종)은 귀화강(歸化江)으로 도주하였다.[1]2. 3. 반란 진압과 이후 행적
같은 해, 쩐리(진리)가 군대를 이끌고 수도를 공격해 꽉복의 난을 평정하였다.[1] 고종은 쩐리의 도움으로 수도로 복귀하였다.[2] 반란 진압 이후 리텀의 행적은 기록되지 않아 알 수 없다.3. 평가 및 의의
리텀은 리 왕조 혼란기에 잠시 옹립되었던 인물로, 베트남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는 않는다. 1209년 꽉복의 난 때 옹립되었으나, 같은 해 쩐리가 반란을 평정하면서 리텀의 행적은 기록에서 사라졌다.[3] 꽉복의 난은 리 왕조의 쇠퇴와 쩐 왕조의 등장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평가된다. 리텀의 옹립과 몰락은 이 시기 권력 투쟁의 복잡성과 취약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4. 가계
티엔뜨자투이 17년(1202년) 8월에 고종의 차남으로 태어났다.[1] 훗날 리 왕조를 계승하는 혜종의 형이다.
참조
[1]
서적
大越史記全書
[2]
서적
ベトナム史略
[3]
논문
ヴェトナム李朝の軍事行動と地方支配
https://doi.org/10.2[...]
京都大学東南アジア地域研究研究所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