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프구성 맥락수막염바이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림프구성 맥락수막염바이러스(LCMV)는 여러 바이러스주가 존재하는 바이러스로, 급성 감염을 유발하는 Armstrong주와 만성 감염을 유발하는 Clone 13주가 대표적이다. 이 바이러스는 구형 외피를 가지며, 2개의 음성 단일가닥 RNA 유전체를 포함하고 있다. LCMV는 주로 생쥐를 통해 전염되며, 감염된 생쥐의 소변, 호흡기 분비물, 모유, 물림, 공기 등을 통해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다. LCMV 감염은 아메리카,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등에서 발생하며, 장기 이식을 통해 감염될 경우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설치류 매개 질병 - 페스트
페스트는 쥐벼룩을 통해 전파되는 예르시니아 페스티스균에 의한 감염병으로, 림프절 부종, 전신 출혈, 폐렴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항생제로 치료 가능하지만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고, 역사적으로 대규모 범유행을 일으켰으며 현재도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고 생물무기로 사용될 가능성도 있다. - 설치류 매개 질병 - 살모넬라
살모넬라는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그람음성 간균 속으로, 두 종과 2,500개 이상의 혈청형이 존재하며, 오염된 식품 섭취를 통해 식중독 및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고, 식품 가열 조리 및 위생 관리, 장티푸스 백신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며, 항생제 내성 문제도 존재한다.
| 림프구성 맥락수막염바이러스 | |
|---|---|
| 기본 정보 | |
![]() | |
| 역 | 바이러스 |
| 계 | 리보바이러스계 |
| 문 | 네가르나바이러스문 |
| 강 | 엘리오바이러스강 |
| 목 | 분야바이러스목 |
| 과 | 아레나바이러스과 |
| 속 | 마마레나바이러스 |
| 종 | 림프구성 맥락수막염바이러스 |
| 하위 고리 | Lymphocytic choriomeningitis virus Lymphocytic choriomeningitis mammarenavirus |
2. 바이러스학
림프구성 맥락수막염바이러스(LCMV)에는 여러 가지 바이러스주(strain)가 존재하며, 그 중 가장 흔한 것은 LCMV Armstrong주와 LCMV Clone 13주이다.[1] 찰스 암스트롱이 1934년에 처음 분리한 Armstrong주는 세포독성 T세포 반응을 강하게 유발하여 숙주 내에서 빠르게 제거되는 급성 감염을 일으킨다.[1] 반면, Armstrong주의 변종인 Clone 13주는 비장 등 특정 장기에 친화성을 보이며, 세포독성 T세포 반응을 약하게 유발하여 숙주 내에서 지속적으로 증식하는 만성 감염을 유발하는 특징이 있다.[1]
2. 1. LCMV Armstrong 주
림프구성 맥락수막염바이러스(LCMV)의 여러 바이러스주(strain) 중 가장 흔한 것 중 하나이다. LCMV Armstrong주는 1934년 찰스 암스트롱이 뇌에서 분리한 최초의 LCMV 바이러스주이다.[1] 이 주는 보통 세포독성 T세포의 반응을 유발하기 때문에 감염된 숙주 내에서 빠르게 제거되는 특징을 보인다.[1] 이러한 이유로 Armstrong 주에 의한 감염을 급성 (Armstrong) LCMV 감염이라고 부른다.[1]2. 2. LCMV Clone 13 주
Clone 13주는 LCMV Armstrong 주의 변종이다. 이 바이러스주는 태어날 때부터 만성적으로 감염되어 있던 한 쥐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Clone 13주는 비장 및 다른 장기들에 대한 친화성을 가지고 있어 해당 부위에서 주로 발견된다. 이 주는 세포독성 T세포를 거의 활성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숙주의 면역 체계에 의해 잘 제거되지 않고 몸 안에서 계속 증식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Clone 13 주에 의한 감염은 만성 LCMV 감염으로 이어진다.[1]3. 구조
림프구성 맥락수막염바이러스(LCMV)는 외피를 가진 구형 바이러스로, 외피의 직경은 약 60 ~ 300 nm 범위이다. 유전체는 두 개의 음성 단일가닥 RNA 분자로 구성되며, 나선형 캡시드 안에 포장되어 있다.[2][3] 유전체와 외피의 상세한 구성 요소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유전체
- 소형 폴리펩타이드 (Z, 11 kDa)
L 단백질은 RNA 의존성 RNA 중합효소 기능을 수행하며, Z 단백질의 기능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두 단백질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암호화된다. 짧은 가닥 (S) 약 3.4 kb[2] 양면성 (Ambisense) * 핵단백질 (NP, 63 kDa)
* 당단백질 C (GPC, 75 kDa)[3]GPC는 번역 후 GP-1 (40~46 kDa)과 GP-2 (35 kDa)로 절단된다. 바이러스 외피의 돌기 단백질은 이 GP-1과 GP-2의 사량체로 구성된다.[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