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긴다나오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긴다나오어는 필리핀 민다나오 섬의 마긴다나오 주에 거주하는 마긴다나오인의 언어이다. 19세기 후반까지 마긴다나오 술탄국의 언어로 사용되었으며, 스페인 식민 시대에 유럽인에 의해 연구되기 시작했다. 세 가지 주요 방언(일루드, 라야, 비왕겐)이 존재하며, 음운 체계는 모음과 자음으로 구성된다. 문법적으로는 대명사와 수사가 사용되며, 라틴 문자로 표기하지만 과거에는 자위 문자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나오어군 - 마라나오어
마라나오어는 필리핀 민다나오섬의 라나오델수르주와 라나오델노르테주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라나오어라고도 불리며 독특한 음운 체계, 문법 구조, 목적어 중심의 문장 구조, 다양한 격 표지가 특징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 마긴다나오어 | |
|---|---|
| 개요 | |
| 언어 이름 | 마긴다나오어 |
| 고유 이름 | Basa Magindanawn |
| 사용 국가 | 필리핀 |
| 사용 지역 | 마긴다나오델노르테주 마긴다나오델수르주 술탄쿠다라트주 노스코타바토주 사우스코타바토주 사랑가니주 잠보앙가델수르주 잠보앙가시부가이주 다바오델수르주 다바오델노르테주 다바오옥시덴탈주 부키드논주 |
| 사용자 | 마긴다나오족 |
| 언어 인구 | 2,021,099명 (2020년) |
| 언어 분류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필리핀어군 중앙 필리핀어군 다나오어군 |
| 문자 | 라틴 문자 아랍 문자 (자위 문자) |
| 방언 | 타우 사 일루드 타우 사 라야 비왕엔 |
| 지위 | 필리핀의 지역 언어 |
| 관리 기관 | 필리핀 언어 위원회 |
| 언어 코드 | |
| ISO 639-3 | mdh |
| Glottolog | magu1243 |
| 지도 정보 | |
![]() | |
2. 역사
마긴다나오어는 19세기 후반 스페인 식민 시대 말기까지 존속한 마긴다나오 술탄국의 언어이기도 했다.[3][4]
마긴다나오어는 세 가지 주요 방언으로 나뉜다: 일루드(Ilud), 라야(Laya), 그리고 비왕겐(Biwangen).[1]
마긴다나오어에는 모음과 자음 음소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각각 하위 문단인 '모음'과 '자음' 문단을 참고하라.
유럽인이 이 언어에 대해 최초로 연구한 기록은 19세기 후반 필리핀에서 활동한 카탈루냐 출신 예수회 사제 하신토 후안마르티(Jacinto Juanmartí)에 의해 이루어졌다.[3][4] 그는 마긴다나오어로 된 여러 기독교 종교 서적을 집필했는데, 1888년에는 짧은 어휘 목록이 포함된 마긴다나오어-스페인어 이중언어판 "성서 역사"를 출판했으며,[5][4] 여기에는 아랍 문자와 라틴 알파벳 모두를 사용하여 마긴다나오어가 기록되었다. 1892년에는 마긴다나오어-스페인어/스페인어-마긴다나오어 사전과 참고 문법을 출판하기도 하였다.[6] 1898년 스페인-미국 전쟁 이후 스페인에서 미국으로 필리핀의 주권이 이전된 직후, 미국 행정부는 1903년 간략한 입문서와 어휘집,[7] 그리고 1906년 후안마르티의 참고 문법 영어 번역본[8] 등 영어로 된 여러 마긴다나오어 관련 자료를 출판하기 시작했다.
그 이후로 필리핀과 외국 저자들에 의해 마긴다나오어에 관한 다수의 저서가 출판되었다.
3. 분포
각 방언의 분포 지역은 다음과 같다:[1]방언 사용 지역 일루드(Ilud) 코타바토 시(Cotabato City), 마긴다나오 델 노르테 주의 술탄 쿠다라트, 파랑, 다투 오딘 신수아트, 남 우피, 북 우피, 카분탈란, 마긴다나오 델 수르 주의 다투 피앙, 다투 운사이, 샤리프 아구악, 암파투안, 마마사파노, 구인둘룽간, 술탄 사 바롱기스, 파갈룽간, 파가가완, 탈리타이, 탈라얀 시의 여러 지방 자치구.
북 코타바토 주에서는 피그카와얀, 리붕간, 밉사야프, 알레오산, 알라마다, 바니실란, 카르멘, 피킷, 카바칸, 마탈람, 키다파완, 믈랑 시의 여러 지방 자치구.라야(Laya) 마긴다나오 델 수르 주의 불루안, 다투 파글라스, 제너럴 살리파다 K. 펜다툰, 파글랏 시의 여러 지방 자치구와 북 코타바토 주의 툴루난.
술탄 쿠다라트 주의 람바용, 에스페란자, 이술란, 세나토르 니노이 아키노, 바굼바얀, 타쿠롱, 프레지던트 키리노, 콜룸비오, 루타얀 시의 여러 지방 자치구.
남 코타바토 주의 산토 니뇨, 수랄라, 노랄라, 방가, 레이크 세부, 코로나달, 탄탄간, 폴로몰록, 탐파칸, 투피 시의 여러 지방 자치구.
다바오 시, 다바오 델 수르 주, 다바오 델 노르테 주, 다바오 오리엔탈 주, 부키드논 주의 일부 지역.비왕겐(Biwangen) 제너럴 산토스, 사란가니 주, 술탄 쿠다라트 주의 해안 지역 자치구들(팔림방, 칼라망시그, 레박), 삼보앙가 델 수르 주와 삼보앙가 시부가이 주의 해안 지역 자치구들, 삼보앙가 델 노르테 주의 일부 지방 자치구들, 그리고 파가디안.
피킷(Pikit), 마탈람(Matalam), 파갈룽간(Pagalungan), 파가가완(Pagagawan) 시의 일루드 방언은 발음과 억양은 다르지만 어휘는 유사하다.[1]
4. 음운
4. 1. 모음
| 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 고모음 | i | ɨ ~ ə | u |
| 중모음 | e | o | |
| 저모음 | a |
e와 o 모음은 타갈로그어나 세부아노어를 통해 스페인어에서 유입된 외래어와 말레이어에서 유입된 외래어에만 나타난다.
4. 2. 자음
| colspan="2" | | 순음 | 치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 파열음 | 무성 | p | t | k | ||
| 유성 | b | d | (dʒ) | ɡ | ||
| 마찰음 | s (z) | h | ||||
| 비음 | m | n | ŋ | |||
| 탄음 | ɾ | |||||
| 측음 | l | |||||
| 유음 | w | j | ||||
음소 /z/와 /dʒ/는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10][9] /dʒ/는 /d + s/(예: /dʒaɭumˈani ka/ / (ə)dsalumani ka/ '그것을 반복해!')와 /d + i/(모음 앞에 다른 모음이 오는 경우, 예: /ˈmidʒas/ /midias/ '스타킹') 순서에 대한 동위변이체로도 나타난다. /z/는 유성 자음 앞에서 /s/의 동위변이체로도 나타난다. /ɾ/는 또한 떨림음 /r/이 될 수 있다.[10][9]
/ɾ/와 /l/은 'l'이 쓰인 단어에서 서로 바꿔 사용할 수 있으며, 어느 것이 더 많이 사용되는지에 따라 마긴다나오어의 지역 방언을 나타낸다. /l/은 또한 모음 사이에 올 때 역설음 /ɭ/로 들릴 수 있다.[10] 코타바토 시와 그 주변에서 사용되는 마긴다나오어의 라야(Raya) 또는 저지대 방언은 'l'보다 'r'을 선호하는 반면, 다투 피앙과 내륙 지역에서 사용되는 보다 보수적인 고지대 방언은 'l'을 선호한다.
5. 문법
마긴다나오어의 문법은 마라나오어와 유사하게, 대명사가 단어나 형태소 앞에 자유롭게 또는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11]
5. 1. 대명사
마긴다나오어 대명사는 마라나오어와 마찬가지로 단어나 형태소 앞에 자유롭게 또는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11]| 주격 (자유어미) | 주격 (결합어미) | 소유격/능격 (결합어미) | 목적격 (자유어미) | |
|---|---|---|---|---|
| 나 | saki|사키mdh | aku|아쿠mdh | ku|쿠mdh | laki|라키mdh |
| 너(단수) | seka|세카mdh | ka|카mdh | 'engka|엥카mdh ~ nengka|넹카mdh | leka|레카mdh |
| 그/그녀/그것 | sekanin|세카닌mdh | sekanin|세카닌mdh | nin|닌mdh | lekanin|레카닌mdh |
| 우리(이중) | sekita|세키타mdh | ta|타mdh | ta|타mdh | lekita|레키타mdh |
| 우리(너 포함) | sekitanu|세키타누mdh | tanu|타누mdh | tanu|타누mdh | lekitanu|레키타누mdh |
| 우리(너 제외) | sekami|세카미mdh | kami|카미mdh | nami|나미mdh | lekami|레카미mdh |
| 너희들 | sekanu|세카누mdh | kanu|카누mdh | nu|누mdh | lekanu|레카누mdh |
| 그들 | silan|실란mdh | silan|실란mdh | nilan|닐란mdh | kanilan|카닐란mdh |
5. 2. 수사
| 마긴다나오어 | |
|---|---|
| 1 | isamdh / samdh |
| 2 | duamdh |
| 3 | telumdh |
| 4 | patmdh |
| 5 | limamdh |
| 6 | nemmdh |
| 7 | pitumdh |
| 8 | walumdh |
| 9 | siawmdh |
| 10 | sapulumdh |
| 20 | dua pulumdh |
| 30 | telu pulumdh |
| 40 | pat pulumdh |
| 50 | lima pulumdh |
| 60 | nem pulumdh |
| 70 | pitu pulumdh |
| 80 | walu pulumdh |
| 90 | siaw pulumdh |
| 100 | magatusmdh |
| 1,000 | sangibumdh |
6. 어휘
마긴다나오어의 어휘는 색깔과 기본 표현으로 나눌 수 있다. 색깔 관련 어휘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며, 기본 표현은 다음과 같다.
| 영어 | 마긴다나오어 | 영어 | 마긴다나오어 |
|---|---|---|---|
| 잘 지내세요? | Ngin i betad engka|응인 이 베타드 엥카mdh | 좋은 아침 | Mapia mapita|마피아 마피타mdh |
| 좋은 오후 | Mapia maudtu|마피아 마우드투mdh | 좋은 오후 | Mapia malulem|마피아 말룰렘mdh |
| 좋은 하루 | Mapia gay|마피아 가이mdh | 좋은 저녁 | Mapia magabi|마피아 마가비mdh |
| 이제 갑니다 | Lemu aku den|레무 아쿠 덴mdh | 다음에 또 만나요 | Sampay sa tundug a kutika|삼파이 사 툰두그 아 쿠티카mdh |
| 정말 부지런하시네요 | Sangat i katulanged nengka / Matulanged ka a benal|상가트 이 카툴랑게드 넹카 / 마툴랑게드 카 아 베날mdh | 정말 친절하시네요 | Sangat i kalimu nengka / Malimu ka a benal|상가트 이 칼리무 넹카 / 말리무 카 아 베날mdh |
| 정말 아름다우세요 | Sangat i kanisan nengka / Manisan ka a benal|상가트 이 카니산 넹카 / 마니산 카 아 베날mdh | 감사합니다! | Sukran!|수크란!mdh |
| 감사합니다! | Sukran sa leka!|수크란 사 레카!mdh | 정말 감사합니다! | Sukran a benal!|수크란 아 베날!mdh |
| 천만에요 | Afwan|아프완mdh | 어서오세요! | Talus ka!|탈루스 카!mdh |
| 예 | Uway|우와이mdh | 아니요 | Di|디mdh |
| 없음 | Da|다mdh | 아님 | Kena|케나mdh |
| 누구? | Entain?|엔타인?mdh | 뭐? | Ngin?|응인?mdh |
| 어디? | Endaw?|엔다우?mdh | 어떤? | Endaw san|엔다우 산?mdh |
| 언제? | Kanu?|카누?mdh | 어떻게? | Panun?|파눈?mdh |
| 왜? | Enduken?|엔두켄?mdh | 이것 | Inia|이니아mdh |
| 저것 | Intu/Nan|인투/난mdh | 저기 | San|산mdh |
| 여기 | Sia|시아mdh | ~안에 | Lu|루mdh |
6. 1. 색깔
| 영어 | 마긴다나오어 |
|---|---|
| 검정 | maitem|마이템mdh |
| 흰색 | maputi|마푸티mdh |
| 빨강 | maliga|말리가mdh |
| 주황색 | kulit|쿨릿mdh |
| 노랑 | binaning|비나닝mdh |
| 녹색 | gadung|가둥mdh |
| 파랑 | bilu|빌루mdh |
| 보라색 | lambayung|람바융mdh |
| 분홍색 | kasumba|카숨바mdh |
| 회색 | kaumbi|카움비mdh |
| 갈색 | malalag|말랄락mdh |
6. 2. 기본 표현
| 영어 | 마긴다나오어 | 영어 | 마긴다나오어 |
|---|---|---|---|
| 잘 지내세요? | Ngin i betad engka|응인 이 베타드 엥카mdh | 좋은 아침 | Mapia mapita|마피아 마피타mdh |
| 좋은 오후 | Mapia maudtu|마피아 마우드투mdh | 좋은 오후 | Mapia malulem|마피아 말룰렘mdh |
| 좋은 하루 | Mapia gay|마피아 가이mdh | 좋은 저녁 | Mapia magabi|마피아 마가비mdh |
| 이제 갑니다 | Lemu aku den|레무 아쿠 덴mdh | 다음에 또 만나요 | Sampay sa tundug a kutika|삼파이 사 툰두그 아 쿠티카mdh |
| 정말 부지런하시네요 | Sangat i katulanged nengka / Matulanged ka a benal|상가트 이 카툴랑게드 넹카 / 마툴랑게드 카 아 베날mdh | 정말 친절하시네요 | Sangat i kalimu nengka / Malimu ka a benal|상가트 이 칼리무 넹카 / 말리무 카 아 베날mdh |
| 정말 아름다우세요 | Sangat i kanisan nengka / Manisan ka a benal|상가트 이 카니산 넹카 / 마니산 카 아 베날mdh | 감사합니다! | Sukran!|수크란!mdh |
| 감사합니다! | Sukran sa leka!|수크란 사 레카!mdh | 정말 감사합니다! | Sukran a benal!|수크란 아 베날!mdh |
| 천만에요 | Afwan|아프완mdh | 어서오세요! | Talus ka!|탈루스 카!mdh |
| 예 | Uway|우와이mdh | 아니요 | Di|디mdh |
| 없음 | Da|다mdh | 아님 | Kena|케나mdh |
| 누구? | Entain?|엔타인?mdh | 뭐? | Ngin?|응인?mdh |
| 어디? | Endaw?|엔다우?mdh | 어떤? | Endaw san?|엔다우 산?mdh |
| 언제? | Kanu?|카누?mdh | 어떻게? | Panun?|파눈?mdh |
| 왜? | Enduken?|엔두켄?mdh | 이것 | Inia|이니아mdh |
| 저것 | Intu/Nan|인투/난mdh | 저기 | San|산mdh |
| 여기 | Sia|시아mdh | ~안에 | Lu|루mdh |
7. 문자
마긴다나오어는 라틴 문자로 쓰이며, 과거에는 자위 문자로 쓰였다. 하신토 후안마르티(Jacinto Juanmartí)가 출판한 언어 관련 저서 중, 그의 성서 역사서 《Compendio de historia universal》에는 자위 문자와 라틴 문자로 쓰인 마긴다나오어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다.[5]
| 문자 | 이름 | 소리 |
|---|---|---|
| A | a | |
| B | ba | |
| D | da | |
| E | e | |
| G | ga | |
| H | ha | |
| I | i | |
| J | ja | |
| K | ka | |
| L | la | |
| M | ma | |
| N | na | |
| Ng | nga | |
| P | pa | |
| R | ra | |
| S | sa | |
| T | ta | |
| U | u | |
| W | wa | |
| Y | ya | |
| Z | za |
| 문자 | 이름 |
|---|---|
참조
[1]
웹사이트
Ethnicity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3-07-04
[2]
웹사이트
Tagalog is the Most Widely Spoken Language at Home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2024-07-15
[3]
서적
Juanmartí, Jacinto, S. I. (1833-1897)
https://www.bvfe.es/[...]
2020-10-10
[4]
학술지
Literatura misional y hagiografía en el siglo XIX: Jacinto Juanmartí, un misionero jesuita en Filipinas (1833–1897)
2018
[5]
서적
Compendio de historia universal desde la creación del mundo hasta la venida de Jesucristo y un breve vocabulario en castellano y en moro maguindanao
http://bdh.bne.es/bn[...]
Koh Yew Hean
[6]
서적 # 추정. harvp는 인용 방식이므로 자료 유형을 특정할 수 없음.
# 상세 정보 부족으로 제목을 추출할 수 없음
[7]
서적 # 추정. harvp는 인용 방식이므로 자료 유형을 특정할 수 없음.
# 상세 정보 부족으로 제목을 추출할 수 없음
[8]
서적 # 추정. harvp는 인용 방식이므로 자료 유형을 특정할 수 없음.
# 상세 정보 부족으로 제목을 추출할 수 없음
[9]
서적
Maguindanaon: Dialogs and Drills
https://zorc.net/pub[...]
Dunwoody Press
[10]
서적
Sketch of Magindanaon phonology
Nasuli, Malaybalay, Bukidnon: SIL.
[11]
서적
Papers in Philippine Linguistics No. 10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79
[12]
웹사이트
Maguindanao
http://www.ethnologu[...]
2015
[13]
간행물
Philippine Census, 2000. Table 11. Household Population by Ethnicity, Sex and Region: 2000
2000 # 연도만 추출 가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