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가디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가디안은 필리핀 잠보앙가델수르주의 도시로, 1937년 시로 승격되었다. 수바논족이 처음 정착했으며, 이슬람교와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다양한 문화가 공존한다. 1952년 남삼보앙가주의 주도가 되었으며, 1969년 삼보앙가 반도에서 세 번째 도시가 되었다. 주요 산업은 농업, 어업, 광업, 서비스업이며, 파살라맛 축제와 메가욘 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일라나 만과 접해 있으며, 로툰다, 플라자 루스 등 관광 명소가 있다. 현재 시장 중심의 정부 형태를 띠고 있으며, 주요 인물로는 안토니오 세릴레스 등이 있다. 호주의 코마, 필리핀의 코로날 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주도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주도 - 칼리보
칼리보는 필리핀 아클란 주의 주도로 아클란 강 하류 평야에 위치하며, 아티-아티한 축제와 보라카이행 관문인 칼리보 국제공항으로 유명한 관광 중심지이다. -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파가디안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 | |
공식 명칭 | City of Pagadian |
별칭 | 40도 트라이시클의 고향, 남부의 작은 홍콩 |
표어 | Asenso Pagadian! (번영하는 파가디안!) |
국가 | 필리핀 |
지역 | 삼보앙가 반도 |
주 | 남부 삼보앙가 주 |
설립 | 1937년 3월 23일 |
시 승격 | 1969년 6월 21일 |
바랑가이 수 | 54개 (바랑가이 목록 참조) |
대표 | 디비나 그레이스 C. 유 |
유권자 수 | 141,747명 (2019년 필리핀 총선) |
시간대 | PST |
UTC 오프셋 | +8 |
우편 번호 | 7016 |
지역 코드 | 62 |
웹사이트 | 파가디안 공식 웹사이트 |
지리 | |
면적 | 378.80 제곱킬로미터 |
해발 고도 | 187 미터 |
최대 해발 고도 | 1402 미터 |
최소 해발 고도 | 0 미터 |
인구 통계 | |
인구 (2020년) | 210,452명 |
가구 수 | 46,919 가구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정치 및 경제 | |
소득 등급 | 1등급 도시 소득 등급 |
빈곤율 | 41.4% (2015년) |
수입 | 884,580,000 페소 (2020년) |
자산 | 2,888,460,000 페소 (2020년) |
지출 | 788,020,000 페소 (2020년) |
부채 | 280,490,000 페소 (2020년) |
서비스 제공 | |
전기 | Zamboanga del Sur I Electric Cooperative, Inc. (ZAMSURECO I) |
기후 | |
기후 유형 | 뚜렷한 건기나 우기 없이 상대적으로 균일한 강우량을 보이는 제4형 기후 |
언어 | |
모국어 | 세부아노어, 마긴다나오어, 이라눈어 |
종교 | |
가톨릭 교구 | 파가디안 교구 |
수호 성인 | 산토 니뇨 데 파가디안 |
2. 역사
1937년 3월 23일, 파가디안은 과거 삼보앙가 주 라방간(Labangan) 마을의 바리오(barrio)였다가 시로 승격되었다.[14] 초대 시장은 임시 시장인 호세 산손(Jose Sanson)이었고, 이후 노르베르토 바나 시니어(Norberto Bana Sr.)가 선거를 통해 최초의 정식 자치구 시장이 되었다.[14] 파가디안 자치구는 라바간과 디나스(Dinas) 자치구를 합병하여 형성되었으며,[14] 19개의 바랑가이(barangays)를 포함했다.[15]
1969년 6월 21일, R.A. 5478에 따라 삼보앙가 반도에서 세 번째 도시로 승격되었다.[19] 1990년,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 시대에 삼보앙가 반도 지방(Region IX)의 행정 중심을 파가디안으로 옮기는 제안이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그러나 2004년, 글로리아 아로요 대통령은 관광청, 노동고용청, 통상산업청만을 삼보앙가 시에 남겨두고, 다른 삼보앙가 반도 지방 정부 부서를 모두 파가디안으로 옮기는 정령을 발했다.
이러한 논란이 되어 온 지방 행정 중심 이전은 파가디안을 남부의 중요한 도시로 만들려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삼보앙가 시민 중에는 이는 삼보앙가 지역이 아로요 대통령을 선거에서 지원하지 않은 것에 대한 보복이라는 시각과, 이미 마닐라, 세부 시, 다바오 시, 말레이시아로 가는 항공로를 가지고 경제 특구도 있는 삼보앙가를 정치적 중심지에서 순수한 비즈니스와 무역 중심 도시로 만들려는 의도가 있다는 시각도 있다.
2. 1. 수바논족 정착 (초기 역사 시대)
파가디안에 처음으로 알려진 정착민은 수바논족이었다.[8] 파가디안이 될 지역에 정착한 사람들은 자신들을 "getaw Belengasa" 즉 "발랑가산 강 주변 사람들"이라고 불렀다.[8] 이는 인근의 수바넨족, 즉 "getaw Dumenghilas"(두망킬라스 강과 만 주변 사람들), "getaw Sibuguey"(시부게이 강과 만 주변 사람들) 또는 "getaw Thebed"(라방간의 더베드 강 주변 사람들)과 구별하기 위해서였다.[8] 이후 이라눈족과 마긴다나오족 정착민들이 들어와 사람들을 이슬람교로 개종시켰으며, 개종을 거부한 상당수의 수바논족은 고지대에 정착했다.2. 2. 이슬람교 확산 (20세기 이전)
파가디안은 이라눈족 다투인 술탄 다투 아코브의 통치를 받았다. 그의 딸은 파가디안의 일부인 투쿠란의 말라방 출신 이라논족인 다투 마카움방(타가 노노크 술탄)의 마음을 사로잡았는데, 그는 마구인다나오 술탄국의 초대 술탄인 샤리프 카붕수안의 혈통을 이은 샤리프 아포 투보의 아들이었다. 술탄 다투 아코브의 승인을 받아 다투 마카움방은 파가디안 술탄의 딸이자 라야의 로열 바이 푸트리인 바이 푸트리 파냐완 아코브와 결혼했다.[9]다투 밈발라와그로도 알려진 다투 아코브가 사망하자 그의 사위인 다투 마카움방(타가 노노크 술탄)이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현재 도시의 경계를 서쪽의 발랑가산 강에서 동쪽의 타와간 수르 강까지 정했다. 타와간 수르 강 너머는 다투 발림비간의 영토였다. 한때 다투 마카움방은 이 지역의 만연한 강도질과 해적 행위로 인해 필리핀 경찰의 지원을 요청했고, 말랑가스에 주둔한 티부르시오 바예스테로스 대령이 이끄는 분견대가 두마곡 섬에 주둔했다. 군인들의 도착은 평화와 질서를 회복하여 다른 지역에서 이주민들이 유입되는 결과를 낳았다.[9]
2. 3. 기독교 확산 (1900년대 초)
20세기 초, 산토 니뇨 데 세부를 숭배하는 세부 출신을 중심으로 기독교 정착민들이 파가디안에 유입되기 시작했다.[10] 1938년에는 증가하는 기독교 인구에 따라 파가디안 본당이 설립되었으며, 예수회, 콜롬반, 필리핀 사제들이 관리하였다.[10] 파가디안의 원래 산토 니뇨 교회는 현재의 산 호세 본당 교회 부지인 시청 광장 바로 맞은편에 있었으며, 현재의 산토 니뇨 대성당은 1968년에 건설되어 산프란시스코 구역에 위치하고 있다.[10]2. 4. 마르고사투비그 시대 (1920년대)
현재의 파가디안은 마르고사투비그의 시티오로 시작되었다.[12] 1927년 7월, 행정 명령 제70호의 시행에 따라 삼보앙가델수르의 라방안 지방 자치구에 속한 바리오가 되었다.[12]2. 5. 전쟁 전 시대 (1930년대)
1934년, 테오피스토 깅고나 시니어(Teofisto Guingona, Sr.) 국장은 필리핀 총독 레너드 우드(Leonard Wood)의 지시에 따라 라바간(Labangan) 정부 청사를 파가디안(Pagadian)으로 이전하는 작업을 추진했다.[13] 처음에는 기독교인들의 반대가 있었으나, 다투(Datus)들과의 회의 결과, 다투 발림비간(Datu Balimbingan) 위원회가 다투 마카움방(Datu Macaumbang)의 동의를 얻어 파가디안의 바리오(barrio) '탈포칸(Talpokan)'을 청사 이전 적합지로 결정했다.[13] 다투 마카움방은 이주하는 기독교인들에게 260 헥타르의 토지를 기증했다.[13]1937년 3월 23일, 파가디안은 국회의원 후안 S. 알라노(Juan S. Alano)의 주도로 행정 명령 77호에 따라 자치시가 되었다.[14] 초대 시장은 임시 시장인 호세 산손(Jose Sanson)이었고, 이후 노르베르토 바나 시니어(Norberto Bana Sr.)가 선거를 통해 최초의 정식 자치구 시장이 되었다.[14] 파가디안 자치구는 라바간과 디나스(Dinas) 자치구를 합병하여 형성되었으며,[14] 19개의 바랑가이(barangays)를 포함했다.[15]
2. 6.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가디안은 일본군에게 점령당했다. 1944년 11월 5일부터 20일까지 연합된 미국 및 필리핀군은 일본군으로부터 이 도시를 탈환하려 시도했으나, 일본군 16명이 사망했음에도 불구하고 실패하였다.[18] 필리핀 연방군과 필리핀 경찰의 사령부가 파가디안에 주둔했으며, 1944년 11월 21일부터 1946년 6월 30일까지 일본군과의 군사 작전 및 교전에 참여했다. 또한 1944년 11월 21일부터 1945년 8월 15일까지 민다나오 지역 해방 작전에서 활발히 활동했다.[18]2. 7. 1950년대~1970년대 및 계엄령 시대
1952년 6월 6일, 로셀러 T. 림 하원의원이 제정한 R.A. 711에 따라 삼보앙가가 남북으로 분리되었고, 3개월 후인 9월 17일 파가디안은 남삼보앙가 주의 주도가 되었다.[19] 1969년 6월 21일, R.A. 5478에 따라 삼보앙가 반도에서 세 번째 도시로 승격되었다.[19]1976년 8월 16일, 1976년 모로 만 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필리핀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 중 하나가 되었다.[19][20]
1970년대는 민다나오 섬에서 여러 분쟁이 발생한 시기였다.[21][22][23][24] 루손과 비사야 출신 정착민 유입으로 인한 토지 분쟁,[25][26] 마르코스 행정부의 일라가 민병대 지원,[22][23] 1968년 자비다 학살로 인한 모로 공동체의 분노와 분리주의 운동,[27][23] 경제 위기, 학생 시위 탄압, 계엄령 선포 등으로 많은 학생이 급진화되어 신인민군에 합류했다.[24][21]
1972년 9월 계엄령 선포는 인권 침해의 14년 기간을 시작하게 했다.[28][29] 정치적 반대자, 학생 운동가, 언론인 등에 대한 영장 없는 구금, 살인, 고문 등이 자행되었다.[30][31][32] 남삼보앙가에서는 통합 시민 방위군을 포함한 군부 지원 민병대가 저항 운동 진압에 동원되었다.[34][35] 파가디안에서는 필리핀 경찰과 관련된 인권 침해 사건으로 정치범 살해,[36] 민병대 및 무장 종교 단체 관련 폭력,[36] 검문소 민간인 살해 등이 있었다.[36][37] 특히, 바라가이 라방간 검문소에서 가톨릭 교회 노동자 마테오 올리바르가 살해된 사건은 지역 사회의 분노를 일으켰고, 올리바르는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 기념관에서 순교자로 기려졌다.[37]
2. 8. 도시 성장 (1980년대~현재)
1980년대에 벤자민 아라오 시장은 도시의 미래 확장을 위한 설계를 시작하여 북부 우회 도로를 제안했다.[38] 1990년 10월,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은 파가디안을 제9 지역(삼보앙가 반도)의 지역 중심지로 지정하는 행정 명령 429호를 발령했다.[38] 그러나 파가디안이 공식적으로 지역 중심지가 된 것은 2004년 11월 12일이었는데, 이는 이전 지역 중심지였던 삼보앙가 시의 반대로 인해 이관 과정이 지연된 것이 부분적인 원인이었다.2004년, 글로리아 아로요 대통령은 관광청, 노동고용청, 통상산업청만을 삼보앙가 시에 남겨두고, 다른 삼보앙가 반도 지방 정부 부서를 모두 파가디안으로 옮기는 정령을 발했다. 이러한 지방 행정 중심 이전은 파가디안을 남부의 중요한 도시로 만들려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삼보앙가 시민 중에는 이는 삼보앙가 지역이 아로요 대통령을 선거에서 지원하지 않은 것에 대한 보복이라는 시각과, 이미 마닐라, 세부 시, 다바오 시, 말레이시아로 가는 항공로를 가지고 경제 특구도 있는 삼보앙가를 정치적 중심지에서 순수한 비즈니스와 무역 중심 도시로 만들려는 의도가 있다는 시각도 있다.
2021년 12월 8일,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은 파가디안을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선언문 1247호에 서명했다.[39]
3. 지리
파가디안은 서부 민다나오 지역의 북동쪽에 위치하며, 일라나 만과 접해있다. 남서쪽으로는 티그바오, 두말리나오, 서쪽으로는 레이크우드, 동쪽과 북서쪽으로는 라방안, 북쪽으로는 미드살립 자치단체와 경계를 이룬다.
전체 시 면적의 약 45%는 북서쪽 부분의 가파른 경사 지형으로, 언덕과 산이 있으며, 약 15,090헥타르를 차지한다. 설탕 봉우리(1,376m), 피누키스 산 (1,213m), 팔팔란 산(650m)은 세 개의 주요 산봉우리이다. 북쪽과 중앙 부분의 지역은 완만한 경사에서 중간 정도의 경사를 이루며, 전체의 47%를 차지한다. 나머지 8%는 평평하거나 거의 평평하며, 도시의 동쪽과 남쪽 부분을 대부분 차지한다. 도시 지역은 약 845.48헥타르를 차지한다. 도시 지역의 해발 고도는 파가디안 만 근처의 1MSL ''(평균 해수면)''에서 바랑가이 산 호세 지역의 약 100MSL까지 다양하다.
티구마, 불라톡, 가타스, 발랑가산 강은 파가디안 만으로 흘러 들어가 자연 배수 역할을 한다. 지형 특성상 시의 54개 바랑가이 대부분은 홍수를 겪지 않는다. 도시의 저지대인 남부와 동부 지역은 특히 폭우 시에 가끔 홍수를 겪는다.
시의 남쪽은 모로 만 일부인 일라나 만에 면해 있다. 시의 주변에는 아름다운 백사장(화이트 비치, 봄바 비치, 무리카이 비치 등)이 많으며, 항구에서 모터보트 등으로 갈 수 있다. 또한 시가지 주변에는 농지나 삼림이 펼쳐진 구릉지가 둘러싸고 있으며, 폭포나 동굴도 많다.
3. 1. 기후
파가디안은 열대 기후 지역으로, 1월부터 3월까지는 건기, 4월부터 12월까지는 우기이다.[40] 연간 강수량은 2500~3000mm이며,[40] 필리핀 태풍 벨트 밖에 위치하여 열대 폭풍과 태풍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40]파가디안의 기온은 22.2도에서 32.9도 사이이다. 건기에는 바다에서 북동쪽으로 향하는 남서풍과 산맥에서 불어오는 무역풍이 분다.[40]
3. 2. 행정 구역
파가디안은 54개의 바랑가이로 정치적으로 세분된다. 각 바랑가이는 푸록으로 구성되며, 일부는 시티오를 가지고 있다.19개의 바랑가이가 도시로 분류되며, 나머지는 농촌이다. 도시로 분류되는 바랑가이는 다음과 같다.
- '''발랑가산 (포블라시온)'''
- '''발린타왁'''
- '''바날레'''
- '''부에나비스타'''
- '''다오'''
- '''두마고크'''
- '''가타스 (포블라시온)'''
- '''카윗'''
- '''룸비아'''
- '''나폴란'''
- '''산 프란시스코 (포블라시온)'''
- '''산 호세 (포블라시온)'''
- '''산 페드로 (포블라시온)'''
- '''산타 루시아 (포블라시온)'''
- '''산타 마리아'''
- '''산티아고 (포블라시온)'''
- '''산토 니뇨 (포블라시온)'''
- '''티구마'''
- '''투부란 (포블라시온)'''
그 외 농촌으로 분류되는 바랑가이는 다음과 같다.
- 알레그리아
- 발로이보안
- 보고
- 봄바
- 불라톡
- 불라완
- 담팔란
- 단루간
- 데보록
- 디토레이
- 구박
- 구방
- 카가와산
- 카하야간
- 칼라산
- 라 수에르테
- 라라
- 라피디안
- 레니엔자
- 리손 밸리
- 로르데스
- 로어 시바탕
- 루마드
- 마카싱
- 망가
- 무리케이
- 팔팔란
- 페둘로난
- 폴로야간
- 타와간 수르
- 툴랑간
- 툴라와스
- 어퍼 시바탕
- 화이트 비치
시의 남쪽은 모로 만의 일부인 일라나 만에 면해 있다. 시 주변에는 아름다운 백사장(화이트 비치, 봄바 비치, 무리카이 비치 등)이 많으며, 항구에서 모터보트 등으로 갈 수 있다. 또한 시가지 주변에는 농지나 삼림이 펼쳐진 구릉지가 둘러싸고 있으며, 폭포나 동굴도 많다.
4. 인구
파가디안 주민은 크게 세 그룹으로 분류된다. 첫 번째는 수바논족을 포함한 원주민 부족이고, 두 번째는 사바, 인도네시아 등 다른 지역에서 온 무슬림 정착민이며, 세 번째는 비사야와 루손 등지에서 온 기독교인 정착민이다.[41]
주요 언어는 세부아노어이다.[41] 국어인 필리피노어(타갈로그어)도 널리 이해되며, 소수 주민의 모국어이기도 하다. 무슬림 공동체에서는 마귄다나오족, 이라눈족, 마라나오족, 타우수그족, 사마-바자우족 언어가 사용된다. 수바넨어 방언은 원주민인 수바넨족이 사용한다. 그 외 힐리가이논족 및 삼보앙게뇨족 화자도 있다. 영어는 비즈니스의 주요 언어로 널리 사용된다.
5. 경제
파가디안은 필리핀의 1급 지방 도시로, 2009년부터 2016년까지 연평균 정기 수입은 662,511,106.21 페소였다.[42] 2023년 기준 총자산은 55억 6,800만 페소로 민다나오에서 7번째로 부유한 도시이다.[42] 주요 산업은 농업, 어업, 광업, 서비스업이다.
농업은 쌀, 옥수수, 코코넛, 과일, 근채류 및 축산물 생산과 함께 주요 경제 자원으로, 정부는 지역 농민을 위한 특별 자금 지원 프로그램과 '도시 생계 개발 지원 프로그램'(CILDAP)을 통해 재정 지원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대출을 제공한다. 해조류, 코코 가공, 카사바와 같은 원자재 생산과 나무, 대나무, 등나무, 강철 및 플라스틱으로 만든 소규모 가구 및 장식품 제조, 그리고 대나무, 등나무, 코코 껍질, 나무, 해양 조개, 세라믹 및 직조로 만든 수공예품도 지역 경제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어업은 파가디안 만과 일라나 만(이란운 만)에서 다양한 해양 제품이 생산되며, 해조류 양식업이 활발하다. 양식장에서는 뱅어, 새우, 게 등이 생산되고, 술루 해와 남중국해까지 진출하는 대형 원양 어선들이 파가디안 어항을 기지로 사용한다. 이 도시는 건어물 및 기타 해산물의 주요 공급 업체 중 하나이다.
광업은 바랑가이 리슨 밸리에서 남동쪽으로 1.5km 떨어진 지역(도시에서 약 49km)에서 금, 구리 및 몰리브덴을 생산한다.
서비스업은 잠보앙가 시에서 지역 사무소가 이전되면서 방문객이 증가하여 사업체가 늘어나고 있으며, 시티 상업 센터(C3 몰) 등 쇼핑몰 건설도 활발하다.
6. 문화
6. 1. 축제
파가디안 시는 도시의 수호성인인 아기 예수(산토니뇨)를 기리는 파살라맛 축제(Pasalamat Festival)를 매년 1월 셋째 주 일요일에 개최한다. 이 축제는 세부 시의 축제일과 일치하며, 수상 퍼레이드(레가타), 무역 전시회, ''무티야 응 파가디안(Mutya ng Pagadian)'' 미인대회, 카니발 쇼, 시민 군사 퍼레이드 등이 주요 행사로 진행된다.[43] 매년 6월 21일에는 도시 창립 기념일인 ''아라우 응 파가디안(Araw ng Pagadian)''을 기념한다.[43]잠보앙가델수르 주의 주도인 파가디안 시는 9월에 메가욘 축제(Megayon Festival)를 개최한다. 이 축제는 수바넨, 방사모로 무슬림, 그리고 기독교인 세 부족 정착민의 화합을 기념하며,[43] "단결과 연대"를 의미하는 수바넨어 단어 "''메가욘(Megayon)''"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44] 노래, 춤, 평화 의식, 음식 및 공예를 통해 세 문화 간의 단결과 이해를 증진하고, 환경 관련 활동, 평화 및 개발 포럼, 토착 스포츠 경기가 열린다.[44]
파가디안 시는 지역 중국인 커뮤니티를 기리기 위해 중국 설을 공식적으로 기념한다.
7. 관광
'''파가디안 로툰다'''는 북부 우회도로와 F.S. 파자레스 애비뉴가 만나는 원형 교차로이자 원형 공원으로, 일라나 만을 조망할 수 있다. 이 두 도로는 시내 중심가의 주요 도로 3개 중 2개에 해당한다(나머지 하나는 리잘 애비뉴). '''플라자 루스'''는 파가디안 시청 건너편에 위치한 공원으로, 매일 저녁 6시에 켜지는 음악 분수가 있다. '''다오 다오 섬'''은 일라나 만 내의 두 개의 섬으로, "다코"(큰)와 "가마이"(작은)로 구분된다. "다오 다오 다코"는 약 1헥타르 면적의 더 큰 섬으로, 항구에서 모터보트를 타고 약 7~10분 거리에 있으며, 인공 산호초가 있다. "다오 다오 가마이"는 만조 시 부분적으로 물에 잠기는 모래톱이다. '''스프링랜드 리조트'''는 천연 샘물을 이용한 리조트로, 수영장, 양어장, 다기능 홀을 갖추고 있다. '''''Puting Balasceb'''''는 "흰 모래"를 뜻하며, 흰색 모래톱이다. 도시의 외딴 바랑가이(Barangay)에서도 여러 동굴과 폭포를 찾아볼 수 있다.
'''주 정부 단지'''는 삼보앙가델수르 주의 시민, 스포츠 및 문화 센터로, 육상 트랙과 필드, 수영장, 실내/야외 스포츠 시설, 문화 마을, 유니티 공원 등이 있다.
8. 정부
파가디안은 시장 중심제 도시이다. 시의회는 부시장이 의장을 맡고, 선출된 시의원 10명, 그리고 상구니앙 카바타안(청년 의회)과 바랑가이 캡틴 협회(ABC)에서 각각 2명의 당연직 의원으로 구성된다. 시장, 부시장, 시의원은 3년 임기로 선출된다.
파가디안은 남삼보앙가 주 정부의 소재지이다.
2019-2022년 임기의 선출 공무원은 다음과 같다.
직책 | 이름 | 정당 | |
---|---|---|---|
하원의원 | 디비나 그레이스 C. 유 | 필리핀 민주당 - 라카스 응 바얀 | |
시장 | 사무엘 S. 코 | 자유당 (필리핀) | |
부시장 | 변호사 발도메로 "보이 발레렝" 페르난데스 | 필리핀 민주당 - 라카스 응 바얀 | |
시의원 | 샘 티라 F. 코 | 필리핀 민주당 - 라카스 응 바얀 | |
카이-카이 아수가스 | 필리핀 민주당 - 라카스 응 바얀 | ||
마조리 레벨로 | 필리핀 민주당 - 라카스 응 바얀 | ||
앨런 아리오사 | PDDS | ||
예수스 B. 바자문데 주니어 | 국민 연합 | ||
드라. 디키 페르난데스 | 필리핀 민주당 - 라카스 응 바얀 | ||
지거 아리오사 | 필리핀 민주당 - 라카스 응 바얀 | ||
닥터 아리엘 림 | PDDS | ||
아이코 유 토 | 국민 연합 |
9. 인프라
9. 1. 교통
세발 자전거 또는 바오바오(Bao-Bao)는 도심의 주요 대중교통 수단이며, 지프니는 보통 도시의 시골 바랑가이(barangays)를 운행한다.[45] 자가용이 교통량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 버스, 미니 버스, 지프니는 인근 자치구와 삼보앙가 델 수르의 다른 지역으로 가는 여행객들의 교통 수단이다. 이러한 단거리 교통 수단은 도심에 위치한 버스 터미널도 운행한다.'''공항'''. 파가디안 공항은 '주요 공항 1급'(또는 '주요 국내선')이 운행되며, 바랑가이 무리케이(Barangay Muricay)에 위치하며, 시내에서 약 5km 거리에 있다.[45] 이 공항은 삼보앙가 델 수르 주의 유일한 항공 관문으로 마닐라와 세부 간 직항편을 운행한다.
'''항구'''. 파가디안 시의 항구는 여객선과 화물선을 모두 운행하는 해운 회사에서 운행한다. 기항지에는 삼보앙가 시, 술루의 졸로, 시아시, 타위타위의 봉가오, 시탕카이, 코타바토 시가 있다.
'''통합 버스 터미널 (IBT-Main)'''. 2개의 주요 버스 회사와 여러 개의 소규모 공공 유틸리티 차량(PUV), 즉 밴이 운행하며, 터미널은 동쪽 및 서쪽으로 향하는 교통 수단, 특히 삼보앙가 시, 부투안, 오사미스, 디폴로그, 일리간, 카가얀데오로, 코타바토 시, 키다파완, 디고스, 다바오, 타쿠롱, 코로나달, 제너럴산토스로 향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역으로 언덕 위에 위치해 있다.
'''통합 버스 터미널 (부속 궁전)''', 여러 소규모 버스 회사 및 기타 소규모 PUV가 운행하며, 터미널은 특히 바가니안 반도 지역의 인근 마을로 향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역으로, 도시의 산타 루시아 구에 위치해 있다.

9. 2. 통신 및 유틸리티
필리핀 롱 디스턴스 텔레폰 컴퍼니(PLDT)와 Cruztelco가 주요 통신 사업자이다.[46] 교통 통신부(DOTC) 산하의 프로젝트인 파가디안 시 전화 교환소(PACITELEX)는 다른 전화 회사들이 아직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외딴 바랑가이에 서비스를 제공한다.[46] 다양한 휴대전화 서비스 제공업체가 이 도시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46]파가디안 시 수도국(PCWD 또는 PAWAD)은 도시에 식수를 공급한다.[46] 1976년에 설립된 PCWD는 14,000개 이상의 활성 서비스 연결을 보유하고 있으며, 심정 및 샘에서 물을 공급받는다.[46]
전기는 일리간 시에 있는 국가 전력 공사 수력 발전소에서 잠보앙가 델 수르 I 전기 협동 조합(ZAMSURECO I)이 공급하며, 마리아 크리스티나 폭포에서 물을 공급받는다.[46] 도시 전체 54개 바랑가이 중 약 77.70% 또는 42개 바랑가이가 24시간 전력 공급을 받는다.[46]
10. 교육
파가디안에는 다수의 고등학교와 대학교가 있다.
고등학교:
- 파가디안 주니어 칼리지 법인(PJCI) (중고등학교)
- 파가디안 몬테소리 센터 법인(PMCI) (중고등학교)
- 파가디안 시 챔버 스쿨
- 파가디안 시 과학 고등학교
- 파가디안 시 구원과 찬양 학습 센터(PCSPLC)
- 파가디안 시 파일럿 스쿨
- 삼보앙가델수르 국립 고등학교
- 홀리 차일드 아카데미
- 웨스트 프라임 호라이즌 연구소(고등학교 및 대학교)
- 파가디안 국제 필사우스 칼리지(고등학교 및 대학교)
대학교:
- 메디나 칼리지-파가디안
- 세인트 콜럼번 칼리지
- 사우던 민다나오 칼리지
- 서부 민다나오 주립 대학교 - 외부 연구 부서
- 삼보앙가 대학교 - 파가디안 캠퍼스
- 파가디안 캐피톨 칼리지
- 동부 민다나오 기술 칼리지
- 줌 직업 기술 학교
- 웨스트 프라임 호라이즌 연구소(고등학교 및 대학교)
- 우리 레이디 오브 트라이엄프 기술 연구소(OLT)
- 일라나 베이 뷰 칼리지
- 파가디안 시 국제 칼리지(PCIC)
- 삼보앙가델수르 파가디안 캐피톨 칼리지
- J.H. 세릴스 주립 칼리지(JHCSC)
- 동남아시아 연구소 파가디안 시 캠퍼스
- 루칸 리뷰 칼리지
- 파가디안 국제 필사우스 칼리지(고등학교 및 대학교)
11. 미디어
파가디안에는 AM 라디오 방송국, FM 라디오 방송국, TV 방송국, 케이블 및 위성 TV 제공업체 등이 있다.
AM 라디오 방송국
- DXPR 603 RMN 파가디안(라디오 민다나오 네트워크)
- DXBZ 756 라디오 바그팅 (바가니안 방송 공사)
- DXKP 1377 라디오 론다 (라디오 필리핀 네트워크)
FM 라디오 방송국
- 91.1 보이스 라디오 (카이사르 방송 네트워크)
- 91.9 라디오 나틴 (마닐라 방송 회사)
- 93.5 FMR (필리핀 집단 미디어 공사)
- 94.1 라디오 원 (MIT 라디오-TV 네트워크, Inc.)
- 96.7 iFM (라디오 민다나오 네트워크)
- 98.3 에너지 FM (초음파 방송 시스템)
- 99.1 뮤스 라디오 (사가이 방송 공사)
- 99.9 라디오 비스닥 (타임스 방송 네트워크 공사)
- 103.1 라디오 키들라트 (잠보앙가델수르 I 전기 협동조합, Inc.; 필리핀 방송 서비스와 제휴)
- 103.9 LCM FM (수빅 방송 공사; 라우드 크라이 미니스트리 운영)
- 104.7 라디오 삭토 (말린당 방송 네트워크 공사)
- 105.7 브리가다 뉴스 FM (베이콤 방송 공사/브리가다 매스 미디어 공사)
- 106.3 벨 FM (바가니안 방송 공사)
- 107.1 쥬안더 라디오 (캐피톨 방송 센터; RSV 방송 서비스 운영)
- 88.7 코코이백스 라디오
- 101.5 DXID-FM 이슬람 라디오
TV 방송국
- GMA 채널 3 파가디안
- GTV 채널 26 파가디안
- PTV - 11 피플스 텔레비전 네트워크
케이블 및 위성 TV 제공업체
- 키스멧 케이블 TV
- 유니크 케이블 TV
- 시그날 TV
- 샛라이트
- G 샛
12. 주요 인물
안토니오 세릴레스는 조셉 에스트라다 대통령 재임 시절 환경 천연 자원부 (DENR) 장관(1998년~2001년)을 역임했으며,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남삼보앙가 주의 주지사를 지냈다.[48] 마테오 올리바는 마르코스 독재 기간에 암살당한 파가디안 교구의 가톨릭 교회 활동가이자, 바탄요그 응가 망 바야니에서 마르코스 독재에 대한 종교계의 저항의 순교자로 공식 인정받은 최초의 인물 중 한 명이다.[48] 엔리케 오나는 전 보건부 장관(2010년~2014년 12월 19일)을 역임하였고, 전 국립 신장 및 이식 연구소 전무 이사를 지냈다. 프란세스 테레즈 핀락은 MNL48 팀 L의 멤버이며, 최고 판매 JPOP 현상인 AKB48의 공식 자매 그룹인 MNL48의 공식 멤버로 승격되기 전에 TGC 선발의 멤버였다. 디비나 그레이스 유는 현 남삼보앙가 주의 제1 지역구 하원의원이자 파가디안의 전 부시장이다. 빅터 유는 2019년부터 현재까지 남삼보앙가 주의 현 주지사이다.
13. 자매 도시
파가디안 시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 주의 코마와 1975년 필리핀-호주 개발 지원 프로그램(PADAP)을 통해 자매결연을 맺었다.[49] 이 협약은 잠보앙가델수르주 내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한 코마 시에 본사를 둔 스노위 마운틴 엔지니어링 공사와의 계약을 통해 체결되었다.[49] 또한 코로날 시와도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있다.
참조
[1]
웹사이트
Little Hongkong of the South
http://www.pagadian.[...]
2009-03-29
[2]
문서
DILG detail
[3]
웹사이트
Proclamation 1247
https://mirror.offic[...]
The Official Gazette
2021-11-08
[4]
웹사이트
Tourism Philippines
http://tourism-phili[...]
2012-07-17
[5]
웹사이트
The Inclined Tricycles of Pagadian City
http://journeyingjam[...]
2012-07-17
[6]
웹사이트
My Pagadian.com
https://web.archive.[...]
2009-03-31
[7]
웹사이트
Legend of Pagadian City
http://www.pagadian.[...]
Pagadian.com
2009-04-26
[8]
간행물
An introduction to Subanen culture
Ateneo de Zamboanga University
2002
[9]
블로그
The Iranon Tribe Blogspot
http://iranunnation.[...]
2009-03-29
[10]
웹사이트
History of the Diocese of Pagadian - translated from Cebuano
http://pagadian.com/[...]
Pagadian.com
2009-04-26
[11]
웹사이트
Ucan Diocesan Profiles
http://www.ucanews.c[...]
UCA News
2009-04-22
[12]
문서
Labangan Teachers, p69
2009-03-29
[13]
웹사이트
1stphilippines.com - Pagadian History
https://web.archive.[...]
2009-03-29
[14]
문서
History of Zamboanga del Sur, p37-38
2009-03-29
[15]
문서
History of Zamboanga del Sur, p38
2009-03-29
[16]
웹사이트
An act to create the municipality of Dimataling in the province of Zamboanga
http://lawph.com/sta[...]
LawPH.com
2011-04-09
[17]
웹사이트
An Act Creating Municipality of Dumalinao in the Province of Zamboanga Del Sur
http://lawph.com/sta[...]
LawPH.com
2011-04-12
[18]
서적
Wendell Fertig and His Guerrilla Forces in the Philippines: Fighting the Japanese Occupation
Jefferson, N.C.
2015
[19]
웹사이트
The Philippine Tsunami of 1976
http://www.drgeorgep[...]
www.drgeorgepc.com
2009-04-26
[20]
웹사이트
Phivolcs Report, Earthquake of 1976
https://web.archive.[...]
2009-03-31
[21]
서적
Turning rage into courage : Mindanao under martial law
http://worldcat.org/[...]
MindaNews Publications, Mindanao News and Information Cooperative Center
2002
[22]
문서
The Bangsamoro Struggle for Self-Determintation: A Case Study
http://manoa.hawaii.[...]
[23]
서적
Ethnicity in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09-02
[24]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First Quarter Storm
https://globalnation[...]
2020-09-15
[25]
서적
History of the Philippines: From Indios Bravos to Filipinos
https://books.google[...]
[26]
웹사이트
Cultural Survival Quarterly
https://www.cultural[...]
[27]
서적
Revolt in Mindanao : the rise of Islam in Philippine politics
https://www.worldcat[...]
[28]
웹사이트
Alfred McCoy, Dark Legacy: Human rights under the Marcos regime
http://www.hartford-[...]
Ateneo de Manila University
1999-09-20
[29]
서적
State and society in the Philippine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5
[30]
뉴스
'San Juanico Bridge,' other tortures detailed
http://newsinfo.inqu[...]
Philippine Daily Inquirer
2014-09-21
[31]
서적
History of the Filipino People
C & E Publishing
[32]
서적
Marcos Martial Law: Never Again
https://www.facebook[...]
Filipinos for a Better Philippines, Inc.
2016
[33]
뉴스
Gone too soon: 7 youth leaders killed under Martial Law
https://www.rappler.[...]
2018-06-15
[34]
웹사이트
Private Armed Militias Worsen Impunity
https://www.seapa.or[...]
2016-05-11
[35]
서적
The Philippines: Violations of the Laws of War by Both Sides
https://archive.org/[...]
Human Rights Watch
[36]
보고서
Report of an Amnesty International Mission to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1 – 28 Nov 1981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1981-11-28
[37]
웹사이트
Mateo Olivar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2023-06-20
[38]
Philippines Law Online
Philippines Law Online
http://www.lawphil.n[...]
2009-03-16
[39]
웹사이트
CONVERSION OF THE CITY OF PAGADIAN, ZAMBOANGA DEL SUR INTO A HIGHLY-URBANIZED CITY
https://www.official[...]
2023-07-05
[40]
웹사이트
Pagadian: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20-05-01
[41]
웹사이트
Cebuano, Hiligaynon, ilonggo, Aklanon, Capiznon, Kinaray-a, Bantoanon, Romblomanon, Cuyonon, Waray, Surigaonon, Butuanon, Tausog, dialect, cebuano, bisayans, visayans, bisaya, bisaya, bisdak, bisayang dako, bisaya, binisaya, bisaya, language
http://www.pagadian.[...]
Pagadian.org
2009-03-27
[42]
Youtube
Top 10 Wealthiest Cities in Mindanao 2023
https://youtube.com/[...]
2023-07-29
[43]
Unsapa.com - ZamboSur Anniversary
Unsapa.com - ZamboSur Anniversary
http://www.unsapa.co[...]
2009-04-26
[44]
PIA - Zamboanga del Sur
PIA - Zamboanga del Sur
http://www.pia.gov.p[...]
2009-04-26
[45]
CAAP Official Website – About Us
CAAP Official Website – About Us
http://www.caap.gov.[...]
[46]
Local Water Utilities Administration Website
Local Water Utilities Administration Website
http://www.lwua.gov.[...]
2009-03-28
[47]
웹사이트
UCA News
https://www.ucanews.[...]
1998-11-26
[48]
웹사이트
Martyrs and Heroes: Mateo Olivar
https://bantayogngmg[...]
2023-06-20
[49]
City of Pagadian Official Website - Geographical Location
City of Pagadian Official Website - Geographical Location
http://www.pagadian.[...]
2012-07-17
[50]
웹인용
Pagadian: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20-05-01
[51]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52]
문서
2000
[53]
문서
2003
[54]
문서
2006
[55]
문서
2012
[56]
문서
2015
[57]
문서
2018
[58]
문서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