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델룽 상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델룽 상수는 이온 결정의 격자 에너지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무차원 상수이다. 특정 이온 위치에서 다른 모든 이온에 의한 정전기적 포텐셜을 계산하며, 결정 구조에 따라 값이 달라진다. 마델룽 상수는 격자 에너지 계산을 위한 이론식에 사용되며, 염화 나트륨과 같은 이온 결정의 격자 에너지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델룽 상수를 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초기에는 무한 급수를 이용했으나 수렴하지 않는 문제가 있어 에발트 방법과 같은 다른 방법들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체화학 - 얀-텔러 효과
    얀-텔러 효과는 비선형 분자 또는 이온의 전자 상태가 축퇴되었을 때 분자 구조가 자발적으로 변형되어 대칭성이 낮아지고 에너지 준위가 낮아지는 현상으로, 분자 및 고체 상태 시스템의 구조, 분광학적 특성, 반응성에 영향을 미친다.
  • 고체화학 - 부가생성물
    부가생성물 이온은 질량 분석기 이온원에서 생성되는 이온으로, 전구 이온의 모든 원자에 추가적인 원자나 분자가 결합된 형태를 가진다.
  • 이론화학 - 해밀토니언 (양자역학)
    양자역학에서 해밀토니언은 계의 총 에너지를 나타내는 연산자로서, 고전역학의 해밀토니안에서 유래하며 슈뢰딩거 방정식을 통해 계의 시간적 진화를 결정하고, 그 고유값은 허용된 에너지 준위를 나타낸다.
  • 이론화학 - 계산화학
    계산화학은 컴퓨터를 활용하여 분자 및 물질의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양자화학, 분자역학, 밀도범함수이론 등의 방법론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정보 공유를 촉진한다.
  • 고체물리학 - 원자가띠
    원자가띠는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설명하는 밴드 이론의 중요한 개념으로, sp3 혼성 궤도에 의해 형성되며, 스핀-궤도 상호작용 등에 의해 여러 밴드로 나뉜다.
  • 고체물리학 - 전도띠
    전도띠는 고체 내에서 전자가 존재할 수 있는 에너지 범위로, 밴드갭과 관련 있으며, 고체의 전기 전도도는 원자가 띠에서 전도 띠로 전자를 이동시키는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
마델룽 상수
일반 정보
이름마델룽 상수
분야결정학
기호M
정의이온 결정 내 이온의 정전 에너지와 관련된 상수
중요성결정 구조의 안정성 및 격자 에너지 계산
염화 나트륨 구조1.747565
염화 세슘 구조1.762675
섬아연광 구조1.641321
수학적 표현
공식M = \sum_{j \neq i} }}
설명여기서 r_ij는 i번째 이온과 j번째 이온 사이의 거리, z_j는 j번째 이온의 전하를 나타냄. 합은 기준 이온을 제외한 격자의 모든 이온에 대해 수행됨.
역사
제안자에르빈 마델룽
발표 연도1918년
관련 개념
관련 항목격자 에너지
이온 결정
정전기
참고 문헌
참고 문헌Madelung, E. (1918). Das elektrische Feld in Systemen von regelmässig angeordneten Punktladungen. Phys. Z., XIX, 524–533.

2. 배경

기존에 격자 에너지(ΔU)를 구할 때는 이온결합의 대상이 되는 두 원자 간 상호작용만 고려했고, 두 원자의 전하, 핵 간 거리 등을 통해 격자에너지를 구했다. 하지만 이온결합의 대상이 되는 원자 외에도 이온 격자 구조에서 주위 이온들이 영향을 끼치므로, 보다 정확한 격자에너지를 구하기 위해 마델룽 상수를 도입하게 되었다.[20]

염화 나트륨형 격자


이온 결정에서 정전기적인 포텐셜 에너지를 나타내는 상수를 마델룽 상수라고 부르며, 결정 구조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상수이다.

3. 기본 개념 및 표현

격자 에너지(ΔU)를 구할 때, 기존에는 이온 결합 대상인 두 원자 간의 상호작용만 고려했지만, 실제 이온 격자 구조에서는 주위 이온들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더 정확한 격자 에너지를 구하기 위해 마델룽 상수가 도입되었다.[20]

마델룽 상수는 특정 이온 위치(ri)에서 격자의 다른 모든 이온에 의한 전기적 전위(Vi)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 V_i = \frac{e}{4 \pi \varepsilon_0 } \sum_{j \neq i} \frac{z_j}{r_{ij}}\,\!

여기서,


  • rij는 i번째와 j번째 이온 사이의 거리이다.
  • zj는 j번째 이온의 전하 수
  • e는 기본 전하, 1.6022×10-19 C
  • 4πε0 = 1.112×10-10 C2/(J⋅m); ε0는 진공 유전율이다.


가장 가까운 이웃 거리(r0)로 거리를 정규화하면 전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V_i = \frac{e}{4 \pi \varepsilon_0 r_0 } \sum_{j} \frac{z_j r_0}{r_{ij}} = \frac{e}{4 \pi \varepsilon_0 r_0 } M_i

여기서 Mi는 i번째 이온의 (무차원) 마델룽 상수이다.

: M_i = \sum_{j} \frac{z_j}{r_{ij}/r_0}.

단위 셀 부피의 세제곱근(w)을 기준으로 참조 길이를 정하는 경우도 있으며, 입방계의 경우 이는 격자 상수와 같다. 이 경우 마델룽 상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overline{M}_i = \sum_{j} \frac{z_j}{r_{ij}/w}=M_i \frac{w} {r_0}.

4. 계산 방법

마델룽 상수는 무한 급수 형태로 표현되기 때문에 직접 계산하기 어렵다. 초기에는 가장 가까운 이온부터 순차적으로 더하는 방식으로 계산했지만, 이 방식은 수렴하지 않는다.[14][15][16] 예를 들어, 염화 나트륨형 격자에서 나트륨 이온을 중심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은 무한 급수로 표현된다.

:M_{\rm{NaCl}} = 6 - \frac{12}{\sqrt{2}} + \frac{8}{\sqrt{3}} - \frac{6}{2} + \frac{24}{\sqrt{5}} - \cdots

하지만 이 급수는 수렴하지 않는데, 이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배열 때문에 급수의 합이 크게 진동하기 때문이다.[15][16]

이후 확장 큐브나 확장 구를 이용한 합산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확장 구 방법은 수렴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2][3]

NaCl에 대한 마델룽 상수
NaCl에 대한 마델룽 상수를 계산하기 위한 확장 구 방법(발산)과 확장 큐브 방법(수렴) 비교


현재는 에발트 방법(Ewald method)[6]적분 변환을 이용하거나, 보르웨인 등이 제시한 해석적 연속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한다.[4] Evjen 방법[5]과 같이 빠르게 수렴하는 공식도 존재하며, 그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7]

:12 \, \pi \sum_{m, n \geq 1, \, \mathrm{odd}} \operatorname{sech}^2\left(\frac{\pi}{2}(m^2+n^2)^{1/2}\right)

다음은 주요 결정 구조의 마델룽 상수 값이다.[18][19]

결정 구조마델룽 상수 M
염화 나트륨형 구조1.747558
염화 세슘형 구조1.762670
섬아연광형 구조1.63806
우르츠광형 구조1.6413
형석형 구조5.03878
적동광형 구조4.11552
금홍석형 구조4.816



마델룽 상수는 결정 구조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며, 격자 에너지 계산에 사용된다.

5. 결정 구조와 마델룽 상수

결정 구조에 따라 마델룽 상수는 고유한 값을 가진다. 염화 나트륨(NaCl) 구조의 경우, Na와 Cl 이온에 대해 두 개의 마델룽 상수가 존재하며, 크기는 같고 부호는 반대이다.[20] 주요 결정 구조에 따른 마델룽 상수 값은 아래 표와 같다.[18][19]

결정 구조마델룽 상수 M
염화 나트륨형 구조1.747558
염화 세슘형 구조1.762670
섬아연광형 구조1.63806
우르츠광형 구조1.6413
형석형 구조5.03878
적동광형 구조4.11552
금홍석형 구조4.816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배위수가 감소함에 따라 마델룽 상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이온 반경과 관련된 결정화 경향을 설명한다. 세슘 염화물과 섬아연광 구조 사이의 중간인 형석 구조가 마델룽 상수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20]

6. 일반화 및 확장

마델룽 상수 계산은 이온의 전하 밀도점전하로 근사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한다. 이는 이온의 전자 분포가 구형 대칭일 경우에 허용된다. 그러나 특정 결정학적 점군의 격자 위치에 이온이 있는 경우에는 전하 밀도의 고차 모멘트, 즉 다중극자 모멘트를 고려해야 할 수 있다.[8] 정전기학에 따르면 두 점전하 간의 상호 작용은 임의의 형태를 가진 두 전하 분포 간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는 일반적인 테일러 급수의 첫 번째 항만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마델룽 상수는 단극자-단극자 항만을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로 고체 내 이온의 정전기적 상호 작용 모델은 쌍극자, 사중극자 등과 같은 고차 다중극자 모멘트를 포함하는 점 다중극자 개념으로 확장되었다.[9][10] 이러한 개념은 고차 마델룽 상수 또는 소위 정전기적 격자 상수의 결정을 필요로 한다. 정전기적 격자 상수의 적절한 계산은 이온 격자 위치의 결정학적 점군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쌍극자 모멘트는 극성 격자 위치, 즉 ''C''1, ''C''1''h'', ''C''''n'' 또는 ''C''''nv'' 위치 대칭(''n'' = 2, 3, 4 또는 6)을 나타내는 위치에서만 발생할 수 있다.[11] 이러한 2차 마델룽 상수는 격자 에너지 및 이극성 결정의 기타 물리적 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2]

7. 유기 염에의 응용

마델룽 상수는 유기 염의 격자 에너지를 설명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즈고로디나와 동료들은 임의의 결정 구조에 대한 마델룽 상수를 계산하는 일반화된 방법(EUGEN 방법이라고 함)을 설명했다.[13]

참조

[1] 논문 Das elektrische Feld in Systemen von regelmäßig angeordneten Punktladungen
[2] 서적 Introduction to Solid State Physics Wiley
[3] 논문 Das Selbstpotential einer endlichen Reihe neutraler äquidistanter Punktepaare
[4] 논문 Convergence of Lattice Sums and Madelung's Constant
[5] 논문 On the Stability of Certain Heteropolar Crystals https://authors.libr[...]
[6] 논문 Die Berechnung optischer und elektrostatischer Gitterpotentiale https://zenodo.org/r[...]
[7] 논문 Ten Problems in Experimental Mathematics http://crd-legacy.lb[...] 2006-03-09
[8] 논문 Methods of Calculating the Crystalline Electric Field
[9] 논문 On the calculation of lattice sums
[10] 논문 The equivalent charge concept and its application to the electrostatic energy of charges and multipoles
[11] 논문 Crystal-field induced dipoles in heteropolar crystals – I. concept https://www.research[...]
[12] 논문 Crystal-field induced dipoles in heteropolar crystals – II. physical significance https://www.research[...]
[13] 논문 The Madelung Constant of Organic Salts
[14] 서적 コットン・ウィルキンソン無機化学 培風館
[15] 논문 Das Selbstpotential einer endlichen Reihe neutraler äquidistanter Punktepaare
[16] 논문 Convergence of Lattice Sums and Madelung's Constant
[17] 논문 応用化学統合演習におけるマーデルング定数の数値計算を活用したPBL教育
[18] 서적 無機化学 実教出版
[19] 서적 無機化学 朝倉書店
[20] 서적 무기화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