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코프 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코프 수는 디오판토스 방정식 x² + y² + z² = 3xyz의 정수 해로, 마르코프 나무를 통해 생성된다. 이 수는 피보나치 수, 펠 수와 관련이 있으며, 특정 성질을 가진다. 예를 들어, 마르코프 수의 소수 약수는 4를 법으로 할 때 3과 합동이 아니며, 짝수 마르코프 수는 32의 배수보다 2 더 크다. 단일성 추측, 점근적 근사, 라그랑주 수와의 관계 등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연결되어 연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오판토스 근사 - 리우빌 수
리우빌 수는 유리수로 특별히 잘 근사될 수 있는 무리수이며, 초월수임을 증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리우빌 상수는 리우빌 수의 예시이다. - 디오판토스 근사 - 균등분포 정리
균등분포 정리는 수론과 역학계에서 수열의 균등 분포를 다루는 중요한 개념으로, 헤르만 바일 등에 의해 처음 증명되었고, 제곱수 수열 및 소수 수열의 균등 분포 증명, 일반화된 등분포 정리로 발전했으며, 현대에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피보나치 수 - 레오나르도 피보나치
레오나르도 피보나치는 힌두-아라비아 숫자 체계를 유럽에 소개하고 피보나치 수열을 제시하여 중세 수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상업 발달을 돕는 《산반서》를 저술하고 황금비와 관련된 피보나치 수열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도록 했다. - 피보나치 수 - 피보나치 힙
피보나치 힙은 최소 힙 속성을 가진 트리들의 집합으로, 각 노드의 차수를 특정 로그 값 이하로 유지하여 효율적인 삽입, 병합, 최소값 검색 연산을 지원하며, 다익스트라 알고리즘과 같은 그래프 알고리즘의 성능 향상에 활용된다. - 디오판토스 방정식 - 펠 방정식
펠 방정식은 제곱수가 아닌 양의 정수 n에 대해 꼴로 표현되는 디오판토스 방정식이며, 이차 수체에서 노름이 1인 원소를 찾는 문제로 해석되고, 자명한 해 외에 항상 정수해를 가지며, 해는 연분수 전개를 통해 구할 수 있고, 무리 제곱근의 유리 근삿값과 관련되어 고대부터 연구되었다. - 디오판토스 방정식 - 베주 항등식
베주 항등식은 주 아이디얼 정역에서 두 원소의 최대공약수를 그 두 원소의 정수 배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정리이며, 확장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통해 베주 계수를 구할 수 있고, 정수, 다항식 등 다양한 대수적 구조로 확장 가능하다.
마르코프 수 | |
---|---|
마르코프 수 | |
정의 | 방정식 x² + y² + z² = 3xyz의 양의 정수 해 |
다른 이름 | 마르코프 삼중항의 구성원 |
역사 | |
창시자 | Andrey Markoff |
발표 연도 | 1879년 |
성질 | |
발생 방식 | 마르코프 트리에서 발생 |
최소 마르코프 수 | 1 |
마르코프 수 중 소수 | 2, 5, 13, 29, 169, 433, 985, 5741, 6469, 7561, 14929, 21325, 140437, 237785, 419341, 543337, 3056065, 5142293, 6621809, 22107313, 23545001, 48647677, 67162781, 145224497, 417328633, 807546121, 1054406569 |
수열 | 1, 2, 5, 13, 29, 34, 89, 169, 194, 233, 433, 610, 985, 1325, 1597, 2897, 3682, 5741, 6466, 7561, 9077, 12701, 15125, 21325, 22649, 28657, 43261, 48382, 64661, 67657, 75025, 81009, 109441, 119305, 135137, 140437, 237785, 253970, 300169, 301037, 341561, 396401, 410405, 419341, 495205, 543337, 621337, 714281, 756098, 793129, 902377, 1090681, 1220021, 1307921, 1432049, 1540049, 1771193, 2048390, 22107313, 23545001, 3056065, 3290449, 3895009, 4036001, 4134037, 4181821, 4627393, 5142293, 5535881, 6468361, 6621809, 8164049, 8624665, 8626757, 10284581, 10923202, 11071681, 12936721, 13243601, 13930729, 14044321, 145224497, 158626577, 171305809, 242666201, 273240269, 323316601, 325687841, 352283437, 378355757, 382386866, 417328633, 470912737, 489002522, 546472849, 651377641, 698687329, 764773721, 807546121, 834653369, 903364441, 1054406569 |
OEIS | A002559 |
관련 항목 | |
관련 개념 | 마르코프 상수 |
관련 정리 | 마르코프 정리 |
참고 문헌 | Markoff, A. (1879). "First memory". Mathematische Annalen. 15 (3–4): 381–406. doi:10.1007/BF02086269. S2CID 179177894. Markoff, A. (1880). "Second memory". Mathematische Annalen. 17 (3): 379–399. doi:10.1007/BF01446234. S2CID 121616054. |
같이 보기 | 라그랑주 수 |
2. 마르코프 나무
마르코프 삼중항은 (1, 1, 1)에서 시작하는 이진 트리 구조를 형성하며, 이 구조를 마르코프 나무라고 부른다.
2. 1. 마르코프 삼중항 생성
새로운 마르코프 삼중항(''x'', ''y'', ''z'')은 기존 삼중항으로부터 두 가지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첫째, ''x'', ''y'', ''z''를 순열하여 삼중항을 ''x'' ≤ ''y'' ≤ ''z''가 되도록 정규화할 수 있다. 둘째, (''x'', ''y'', ''z'')가 마르코프 삼중항이면 (''x'', ''y'', 3''xy'' − ''z'')도 마르코프 삼중항이다. 이 연산을 두 번 적용하면 원래 삼중항으로 돌아간다.[1]각 정규화된 마르코프 삼중항을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1, 2 또는 3개의 정규화된 삼중항에 연결하면, 처럼 (1,1,1)에서 시작하는 그래프가 만들어진다. 이 그래프는 연결성 (그래프 이론)을 가지며, 모든 마르코프 삼중항은 이러한 연산을 통해 (1,1,1)에 연결될 수 있다.[1] 예를 들어 (1, 5, 13)에서 시작하면, ''z''를 1, 5, 13으로 설정했을 때 마르코프 나무에서 세 이웃 (5, 13, 194), (1, 13, 34), (1, 2, 5)를 얻는다.
(1, 1, 2)에서 시작하여 변환의 각 반복 전에 ''y''와 ''z''를 교환하면 피보나치 수가 포함된 마르코프 삼중항이 나열된다. 같은 삼중항에서 각 반복 전에 ''x''와 ''z''를 교환하면 펠 수가 포함된 삼중항이 나온다.
2의 영역에 인접한 모든 마르코프 수는 홀수 인덱스 펠 수(또는 2''n''2 − 1이 제곱수인 수)이며, 1의 영역에 인접한 모든 마르코프 수는 홀수 인덱스 피보나치 수이다.[2] 따라서 다음과 같은 형태의 무한히 많은 마르코프 삼중항이 존재한다.
:
여기서 ''F''''k''는 ''k''번째 피보나치 수이다.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형태의 무한히 많은 마르코프 삼중항이 존재한다.[2]
:
여기서 ''P''''k''는 ''k''번째 펠 수이다.
2. 2. 피보나치 수 및 펠 수와의 관계
마르코프 나무에서 2의 영역에 인접한 마르코프 수는 홀수 인덱스 펠 수(2''n''2 - 1이 제곱수인 수[2])이며, 1의 영역에 인접한 마르코프 수는 홀수 인덱스 피보나치 수이다.[2] 따라서 다음과 같은 형태의 무한히 많은 마르코프 삼중항이 존재한다.[2](1, ''F''2''n''-1, ''F''2''n''+1)
여기서 ''F''''k''는 ''k''번째 피보나치 수이다.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형태의 무한히 많은 마르코프 삼중항이 존재한다.[2]
(2, ''P''2''n''-1, ''P''2''n''+1)
여기서 ''P''''k''는 ''k''번째 펠 수이다.
3. 마르코프 수의 성질
두 개의 가장 작은 특이 삼중항 (1, 1, 1)과 (1, 1, 2)를 제외하면, 모든 마르코프 삼중항은 서로 다른 세 정수로 구성된다.[3]
3. 1. 단일성 추측 (Unicity Conjecture)
프로베니우스가 1913년에 언급했듯이[4], 단일성 추측은 주어진 마르코프 수 ''c''에 대해 ''c''를 가장 큰 요소로 갖는 정규화된 해가 정확히 하나 존재한다는 것이다.[3] 이 추측에 대한 수학적 증명이 주장되었지만, 정확한 증명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5] 마틴 아이그너[6]는 단일성 추측의 여러 약한 변형을 연구했다. 그의 고정 분자 추측은 2020년에 Rabideau와 Schiffler에 의해 증명되었고,[7] 고정 분모 추측과 고정 합 추측은 2023년에 Lee, Li, Rabideau 및 Schiffler에 의해 증명되었다.[8]3. 2. 모듈러 합동 관계
마르코프 수의 소수 약수는 4를 법으로 할 때 3과 합동이 아니며, 이는 홀수인 마르코프 수가 4의 배수보다 1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9] 또한 이 마르코프 수이면 의 소수 약수 중 4를 법으로 할 때 3과 합동인 것은 없다. 짝수 마르코프 수는 32의 배수보다 2 더 크다.[10]3. 3. 점근적 근사
돈 자기에는 1982년 논문에서 ''n''번째 마르코프 수(mn)가 점근적으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고 추측했다.[11]:mn = ⅓ eC√n+o(1)영어 (C = 2.3523414972...)

더욱이 그는 원래의 디오판토스 방정식의 근사인 x2 + y2 + z2 = 3xyz + 4/9영어가 f(t)영어 = 아크코사인 쌍곡선(3t영어/2)로 표현될 때 f(x) + f(y) = f(z)영어와 동등하다고 지적했다.[11] 이 추측은 1995년 그레그 맥셰인과 이고르 리빈에 의해 쌍곡 기하학의 기술을 사용하여 증명되었다.[12]
''n''번째 라그랑주 수는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n''번째 마르코프 수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Ln = √(9 - 4/mn2)영어
마르코프 수는 (고유하지 않은) 제곱 쌍의 합이다.
3. 4. 라그랑주 수와의 관계
''n''번째 라그랑주 수는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n''번째 마르코프 수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11]:
마르코프 수는 (고유하지 않은) 제곱 쌍의 합이다.[11]
4. 마르코프 정리
마르코프는 다음 사실을 보였다.
:
부호가 정해지지 않은 이진 이차 형식이고, 실수 계수를 가지며, 판별식 를 가질 때, 다음을 만족하는 정수 ''x'', ''y''가 존재하여 ''f''는 0이 아닌 값을 가지며, 그 절댓값은 최대
:
이다. 단, ''f''가 다음과 같은 형태의 ''마르코프 형식''일 경우에는 예외이다.[13] 상수와 곱해진 형식
:
이며, 다음을 만족한다.
:
여기서 (''p'', ''q'', ''r'')은 마르코프 삼중항이다.
5. 행렬 표현
행렬에 대한 대각합 함수를 tr로 표기했을 때, ''X''와 ''Y''가 SL2('''''')에 속한다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14]
:
만약 라면, 다음이 성립한다.[14]
:
특히, ''X''와 ''Y''가 정수 항목을 가진다면 tr(''X'')/3, tr(''Y'')/3, tr(''XY'')/3는 마르코프 삼중항이다. 만약 ''X''⋅''Y''⋅''Z'' = I이면 tr(''XtY'') = tr(''Z'')이다. 따라서 더 대칭적으로, 만약 ''X'', ''Y'', 그리고 ''Z''가 SL2()에 속하고 ''X''⋅''Y''⋅''Z'' = I이며 그들 중 둘의 교환자의 대각합이 −2이면, 그들의 대각합/3은 마르코프 삼중항이다.[14]
참조
[1]
서적
1957
[2]
OEIS
[3]
서적
1957
[4]
논문
Über die Markoffschen Zahlen
1913
[5]
서적
2004
[6]
서적
2013
[7]
논문
Continued fractions and orderings on the Markov numbers
2020
[8]
논문
On the ordering of the Markov numbers
2023
[9]
서적
2013
[10]
논문
Congruence and Uniqueness of Certain Markov Numbers
http://journals.impa[...]
[11]
논문
On the Number of Markoff Numbers Below a Given Bound
[12]
논문
Simple curves on hyperbolic tori
[13]
서적
1957
[14]
서적
2013
[15]
논문
First memory
http://gdz.sub.uni-g[...]
[16]
논문
Second memory
http://gdz.sub.uni-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