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사 산니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사 산니아는 이탈리아의 가수, 배우, 작사가로, Cus Cagliari 농구 선수로 활동하다가 1960년대 초 음악 경력을 시작했다. 1966년 Canzonissima 신인 콘테스트에서 우승하며 데뷔했고, 1968년 산레모 음악제에서 "Casa Bianca"로 2위를 차지하며 인기를 얻었다. 1970년대에는 연극과 뮤지컬에 참여했으며, 사르데냐어 음반을 발표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2008년 사망 이후에도 유작이 발매되었고, 사르데냐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가수 - 잔니 모란디
잔니 모란디는 1960년대 데뷔하여 수많은 히트곡과 산레모 음악제 우승을 통해 여러 세대에 걸쳐 사랑받는 이탈리아의 대표 가수이자 배우, 텔레비전 진행자이다. - 이탈리아의 가수 - 랄프 마테리
랄프 마테리는 1950년대에 활동한 미국의 트럼펫 연주자이자 음악가로, "Skokiaan" 커버와 "Crazy, Man, Crazy"로 빌보드 차트 12위에 올랐으며, "Caravan"으로 골드 디스크를 수상하는 등 여러 인기곡을 발표했다. - 1947년 출생 - 나빈 람굴람
나빈 람굴람은 모리셔스의 정치인으로, 1995년, 2005년, 2010년, 2024년에 총리직을 역임했으며, 아버지의 뒤를 이어 노동당 당수가 되었고, 다양한 논란에 연루되기도 했다. - 1947년 출생 - 지우마 호세프
지우마 호세프는 브라질의 정치인으로, 학생 운동과 무장 투쟁에 참여한 후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탄핵되었고, 현재 신개발은행 총재로 활동하고 있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마리사 산니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marisa Sannia |
출생 | 1947년 2월 15일 |
출생지 | 이탈리아 |
사망 | 2008년 4월 14일 |
장르 | 칸초네 |
활동 시기 | 1968년~ |
웹사이트 | 마리사 산니아 |
2. 초기 생애 및 경력
사르데냐 이글레시아스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 섬의 가장 큰 도시인 칼리아리로 이주하여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라디오 칼리아리의 아나운서로 잠시 활동했다.
원래 농구 선수로 활동하며 국가대표로도 거론될 만큼 뛰어난 실력을 보였으나, 1960년대 초 음악으로 전향하여 1966년 텔레비전 프로그램 "칸초네시마"의 신인 콘테스트 우승을 계기로 본격적인 가수 활동을 시작했다. 세르지오 엔드리 고와 루이스 엔리케스 바칼로프에게 발탁되어 1968년 산레모 뮤직 페스티벌에서 오르넬라 바노니와 함께 부른 "Casa Bianca"(하얀 집)로 2위를 차지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산레모에서의 성공 이후 첫 정규 앨범을 발매했으며, 이후 "눈물 한 방울"(A tear), "동료"(the company, 카를로 도니다와 모골 작곡, 루치오 바티스티가 1976년, 바스코 로시가 2007년에 리메이크), "사랑은 비둘기"(Love is a dove), "오늘 밤은 얼마나 감미로운지"(How sweet the evening tonight), "나의 땅"(my land) 등 여러 히트곡을 발표했다.
또한 칸초니시마(1972년 참가), 베니스 국제 경음악 페스티벌, 스위스에서 열린 '유럽을 위한 노래' 등 다양한 음악 행사에 참여했으며, 산레모 뮤직 페스티벌에는 1970년("L'Amore e Una Colomba" 사랑은 비둘기처럼, 잔니 나자로와 함께), 1971년("Com'è dolce la sera" 감미로운 저녁, 도나텔로와 함께), 1984년("Amore amore" 아모레 아모레)에도 참가하여 입상했다. 1970년에는 오사카 만박에 이탈리아 대표로 참가하여 일본을 방문하기도 했다.
2. 1. 농구 선수 시절
마리사 산니아는 원래 농구 선수였다. 그녀는 Cus Cagliari|쿠스 칼리아리it에서 뛰었으며, 뛰어난 실력으로 국가대표로도 거론될 정도였다. 그녀의 농구 선수 경력은 1960년대 초 음악 활동을 시작하기 전까지 이어졌다.2. 2. 음악 경력 시작
칼리아리 연고의 농구팀 쿠스 칼리아리(Cus Cagliari)에서 국가대표로도 거론될 만큼 뛰어난 선수였던 마리사 산니아는 1960년대 초 음악 경력을 시작하였다. 1966년 텔레비전 프로그램 "칸초네시마"의 신인 콘테스트에서 우승하며 포닛 체트라 레코드와 계약을 맺고 가수로 데뷔하였다.그녀의 재능은 세르지오 엔드리 고와 루이스 엔리케스 바칼로프에게 발탁되었다. 이들은 산니아의 데뷔 음반 "All or nothing"을 위한 곡을 작곡했으며, 1967년 텔레비전 프로그램 "Scala Reale"과 "세테보치" 출연을 지원하였다.
텔레비전 출연으로 얻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같은 해 뮤지컬 영화 "Kids of yellow flag"와 잔카를로 잔니니와 함께 출연한 "Stasera mi butto"에 참여하였다. "A postcard", "Be proud of me"(음반 비평가상 수상) 등 몇몇 곡으로 작은 성공을 거두었고, 1967년 'Festivalbar'에서는 신인 아티스트 부문 3위에 올랐다.
본격적인 명성은 1968년 산레모 뮤직 페스티벌에서 얻었다. 돈 배키가 작사하고 오르넬라 바노니와 함께 부른 "Casa Bianca"(하얀 집)로 2위를 차지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이 곡은 사랑스러운 외모와 개성적인 가창력과 더불어 그녀를 단숨에 스타로 만들었으며, 큰 성공을 거두어 피에트로 제르미 감독의 영화 "알프레도 알프레도"의 사운드트랙에도 삽입되었다.
산레모에서의 성공 이후, 산니아는 첫 번째 정규 앨범을 발매하며 본격적인 가수 활동을 이어갔다.
3. 가수 활동
쿠스 칼리아리(Cus Cagliari)에서 국가대표로도 활약했던 농구 선수 출신인 마리사 산니아는 1960년대 초 신인 가수 대회를 통해 음반 계약을 맺으며 음악계에 입문했다.
세르지오 엔드리 고와 루이스 엔리케스 바칼로프에게 재능을 인정받아 1966년 데뷔했으며, 텔레비전 프로그램 출연과 뮤지컬 영화 참여를 통해 인지도를 높였다. 1968년 산레모 음악제에서 오르넬라 바노니와 함께 부른 "카사 비앙카(Casa Bianca)"로 2위를 차지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고, 이후 "La compagnia", "L'amore è una colomba" 등 여러 히트곡을 발표했다. 산레모 음악제에는 1970년, 1971년, 1984년에도 참가하여 입상했다.
음악 활동 외에도 칸초니시마 등 다양한 음악 행사에 참여했으며,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에도 출연했다. 1970년대에는 연극 무대에도 진출하여 토니 쿠치아라와 함께 뮤지컬에 출연하고 조르조 알베르타치가 연출한 작품에 참여했다. 또한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의 동요 앨범 작업에 참여하고 자신의 작곡집을 출간하기도 했다.
활동 후반기에는 고향 사르데냐의 문화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사르데냐 시인의 작품에 곡을 붙인 사르데냐어 음반들을 발표했다. 1993년 발표한 Sa oghe de su Entu e de su maresrd를 시작으로, 1997년 "멜라그라나다(Melagranàda)", 2003년 직접 작곡한 곡들을 담은 "나나스 에 야나스(Nanas e Janas)" 등을 통해 사르데냐 음악과 시를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이는 높은 음악적 평가를 받았다.
1995년 연극 무대에 복귀했으며, 세르지오 엔드리고 헌정 앨범 및 공연에 참여하는 등 꾸준히 활동을 이어갔다.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의 시에 곡을 붙인 마지막 앨범 "로사 데 파펠(Rosa de papel)" 작업을 마쳤으나, 2008년 4월 14일 갑작스러운 질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이 앨범은 그녀의 사후인 2008년 11월에 발매되었다. 사후 그녀를 기리는 프레미오 마리아 카르타 상이 제정되었으며, 예술가 마리아 라이가 작품 전시회를 헌정하는 등 추모가 이어졌다.
3. 1. 초기 활동 및 발견
사르데냐 이글레시아스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칼리아리로 이주하여 고등학교를 마친 뒤 라디오 칼리아리의 아나운서로 활동했다. 뛰어난 농구 선수로 활동하며 국가대표로 선발되기도 했다.1960년대 초 음악 활동을 시작했으며, 1966년 텔레비전 음악 경연 프로그램인 '칸초니시마'의 신인 부문에서 우승한 것을 계기로 포닛 체트라(Fonit Cetra) 레코드사와 계약하고 같은 해 가수로 데뷔했다.
그녀의 재능은 세르지오 엔드리 고와 루이스 엔리케스 바칼로프에게 발견되었다. 이들은 산니아의 데뷔 음반 "올 오어 낫씽(All or Nothing)"의 곡을 쓰고 프로듀싱했으며, 1967년 텔레비전 프로그램 '스칼라 레알레(Scala Reale)'와 '세테보치' 출연을 성사시켰다.
텔레비전 출연으로 얻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같은 해 뮤지컬 영화 '황색 깃발의 아이들(Kids of yellow flag)'과 잔카를로 잔니니와 함께 출연한 '스타세라 미 부토(Stasera mi butto)' 두 편에 참여했다.
'엽서(A postcard)', '나를 자랑스러워 해(Be proud of me)' (음반 비평가상 수상) 등 몇 차례 작은 성공을 거두었고, 1967년 페스티발바르(Festivalbar) 신인 아티스트 부문에서 3위를 차지했다.
1968년 산레모 뮤직 페스티벌에서 돈 배키가 작곡하고 오르넬라 바노니와 함께 부른 곡 '카사 비앙카(Casa Bianca)'로 2위에 오르며 대중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녀의 사랑스러운 외모와 개성 있는 가창력은 단숨에 스타로 발돋움하게 만들었다. '카사 비앙카'는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피에트로 제르미 감독의 영화 알프레도 알프레도의 사운드트랙에도 사용되었다. 산레모에서의 성공 이후 첫 정규 앨범을 발매했다.
3. 2. 텔레비전 출연 및 영화 데뷔
세르지오 엔드리 고와 루이스 엔리케스 바칼로프의 눈에 띄어 1967년 텔레비전 프로그램 "Scala Reale"과 "세테보치"에 출연하며 본격적으로 대중에게 얼굴을 알리기 시작했다.이러한 텔레비전 출연으로 얻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같은 해 뮤지컬 영화 "Kids of yellow flag"와 잔카를로 잔니니와 함께 출연한 "Stasera mi butto"에 참여하며 영화 배우로도 데뷔했다.
이듬해인 1968년에는 산레모 뮤직 페스티벌에 참가하여 돈 배키가 작곡하고 오르넬라 바노니와 함께 부른 "Casa Bianca"로 2위를 차지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곡은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피에트로 제르미 감독의 영화 "알프레도 알프레도"의 사운드트랙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산레모에서의 성공 이후에도 산니아는 칸초니시마 (1972년), 베니스 국제 경음악 페스티벌, 스위스에서 열린 유럽을 위한 노래 등 다양한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음악 행사에 꾸준히 참여했다. 산레모 뮤직 페스티벌에는 1970년, 1971년, 1984년에도 다시 참가했다.
1980년대 초에는 텔레비전 드라마 "조지 샌드"에 조르조 알베르타치, 안나 프로클레머, 파올라 보르보니 등과 함께 출연했으며, 푸피 아바티 감독의 영화 "꿈을 꿀 수 있도록 도와줘"에도 참여하는 등 연기 활동도 이어갔다.
3. 3. 산레모 음악제와 성공
1968년 산레모 음악제에서 오르넬라 바노니와 함께 부른 "Casa bianca"(카사 비안카)로 2위에 입상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이 곡은 돈 배키가 작사했으며, 이 성공으로 산니아는 사랑스러운 외모와 개성 있는 가창력으로 단숨에 스타덤에 올랐다. "Casa bianca"는 큰 성공을 거두어 피에트로 제르미 감독의 영화 알프레도 알프레도의 사운드트랙에도 사용되었다.산레모에서의 성공 이후 첫 정규 앨범을 발매했으며, 이어서 "A tear", "the company"( 카를로 도니다와 모골 작곡, 후에 루치오 바티스티와 바스코 로시가 리메이크), "Love is a dove", "How sweet the evening tonight", "my land" 등 여러 히트곡을 발표하며 성공적인 경력을 이어갔다.
산니아는 이후에도 산레모 음악제에 여러 차례 참가했다. 1970년에는 잔니 나자로와 함께 "L'Amore e Una Colomba"(사랑은 비둘기처럼)를 불렀고, 1971년에는 도나텔로와 함께 "Com'è dolce la sera"(저녁의 눈동자)를 불렀다. 오랜 공백기 후인 1984년에는 "Amore amore"(아모레 아모레)를 가지고 다시 참가했으며, 이 곡들 역시 입상하며 그녀의 대표곡이 되었다.
3. 4. 기타 활동
쿠스 칼리아리(Cus Cagliari)에서 뛰어난 실력을 갖춘 농구 선수였으며 국가대표로 발탁되기도 했던 마리사 산니아는 1960년대 초 음악 경력을 시작했다. 신인 가수 발굴 대회를 통해 체트라 포니트와 음반 계약을 맺었다.그녀의 재능은 세르지오 엔드리고와 루이스 엔리케스 바칼로프에게 발탁되어, 그들은 그녀의 데뷔 음반 "All or nothing"의 곡을 작곡했다. 또한 1967년 텔레비전 프로그램 "스칼라 레알레"(Scala Reale)와 "세테보치" 출연을 도왔다.
텔레비전 출연으로 얻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같은 해 뮤지컬 영화 두 편에 참여했다. 잔카를로 잔니니와 함께 출연한 "Kids of yellow flag"와 "Stasera mi butto"가 그것이다.
"A postcard", "Be proud of me"(음반 비평가상 수상) 등 몇 차례 작은 성공을 거두고 1967년 페스티벌바 신인 부문에서 3위를 차지한 후, 1968년 산레모 가요제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돈 바키가 작곡하고 오르넬라 바노니와 함께 부른 "카사 비앙카"(Casa Bianca)로 2위를 차지했으며, 이 곡은 피에트로 제르미 감독의 영화 알프레도 알프레도의 사운드트랙에도 사용되었다.
산레모에서의 성공 이후 첫 정규 앨범을 발매했으며, 이후 "A tear", "La compagnia"(카를로 도니다와 모골 작곡, 1976년 루치오 바티스티, 2007년 바스코 로시가 리메이크), "L'amore è una colomba", "Com'è dolce la sera", "La mia terra" 등 여러 히트곡을 발표했다.
산니아는 영화 출연 외에도 칸초니시마 (1972년, 특히 니노 트리스탄의 노래 "A Kite"와 함께), 베네치아 국제 경음악 페스티벌, 스위스에서 열린 유럽 가요제(Un disco per l'Europa) 등 다양한 음악 행사에 참여했다. 산레모 가요제에는 1970년, 1971년, 1984년에도 참가했다.
1970년대 초에는 연극 활동에도 집중하여 토니 쿠치아라와 함께 뮤지컬 "카인과 아벨"(Caino e Abele), "변두리 이야기"(Storie di periferia)에 출연했으며, 조르조 알베르타치가 연출한 여러 연극 작품에도 참여했다. 세르지오 엔드리고의 지원으로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의 동요 모음집 앨범 "라르카"(L'arca) 작업에 참여했으며, 1973년에는 월트 디즈니 영화 삽입곡들을 모은 음반 "마리사 넬 파에세 델레 메라빌리에"(Marisa nel paese delle meraviglie, 영어명: Sannia Wonderland)를 발매했다.
1976년에는 첫 작곡집 "La pasta scotta"를 출판했다.
1980년대 초에는 조르조 알베르타치, 안나 프로클레메르, 파올라 보르보니와 함께 텔레비전 드라마 "조르주 상드"(George Sand)에 출연했으며, 푸피 아바티 감독의 영화 "아이우타미 아 소냐레"(Aiutami a sognare)에도 참여했다. 오랜 공백기 후 1984년 산레모 가요제에 "Amore amore"라는 곡으로 복귀했다.
1993년에는 20세기 초 사르데냐 시인 안티오코 카술라의 시에 곡을 붙인 사르데냐어 음반 Sa oghe de su Entu e de su maresrd를 발표했다. 산니아는 나중에 알베르타치와 함께 "아드리아노의 추억"- 1995년의 입구 초상화로 연극 무대로 돌아왔다.
1997년에는 현대 시인이자 작가인 프란체스코 마살라와 함께 두 언어로 된 시집에서 가져온 멜라그라나다라는 새로운 음반을 녹음했다. 2002년에는 세르지오 엔드리 고에게 헌정하는 "당신을 위한 노래"에 참여하여 "Hands holes"를 불렀다.
2003년에는 사르데냐어로 세 번째 컬렉션인 "Nanas and Janas"를 발표했으며, 새로운 가사와 음악은 그녀가 직접 작곡했다. 이 연구는 "두 언어 사이의 노래, 시의 길 위에서"라는 제목으로 요약된 시적이고 음악적인 리사이틀이며, 이탈리아와 해외의 중요한 전시회에서 발표되었다. 예를 들어 타오르미나 영화제의 The Night of the Poets all'anfiteatro Nora Roman, 그리고 로마가 세계를 만나는 전시회의 일부로 발표되었다. 2006년 1월 그녀는 "안녕 시인"이라는 세르지오 엔드리 고 헌정 콘서트에 참여하여 "The White Rose"와 "How ever tonight"를 불렀으며, 이 공연은 CD/DVD로 제작되었다.
그녀의 마지막 작품은 2008년 11월 사후에 출판 및 배포(Felmay - Egea 배포)되었으며 (사전 프레미오 텐코), "Rosa de papel"은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의 삶과 시에 헌정되었다. 이 컬렉션은 12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젊은 시인의 시에 곡을 붙인 그녀에게 특히 소중한 작품이다. 그중에는 "El nino mudo", "Rosa de papel", "Laberytos y espeyos", "Hi cerrado my balcon"과 같은 진정한 음악적 보석이 있다.
그녀는 또한 어린이들을 위한 칸초네 다우토레 페스티벌에서 우승했다. 산니아는 다른 예술가들의 작품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그녀의 몇몇 작곡은 스페인 가수 에스테르 포르모사에 의해 커버되기도 했다.
갑작스럽고 심각한 질병으로 인해 산니아는 2008년 4월 14일 사망했다. 2008년 8월에는 그녀를 기리는 프레미오 마리아 카르타 상이 제정되었다. 2009년 1월, 예술가 마리아 라이는 산니아에게 그녀의 작품 전시회를 헌정했다.
3. 5. 1970년 오사카 만국 박람회 방한
1970년 오사카 만국 박람회 참석차 일본을 방문했다.4. 연극 및 기타 활동
음악 경력을 시작하기 전, 마리사 산니아는 쿠스 칼리아리(Cus Cagliari) 소속의 유망한 농구 선수였으며, 국가대표팀에 선발되기도 했다.
음악계에 데뷔한 이후, 그녀는 가수 활동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재능을 발휘했다. 1967년 텔레비전 프로그램 출연을 계기로 같은 해 뮤지컬 영화 두 편에 참여하며 연기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칸초니시마 (1972년), 베니스 국제 경음악 페스티벌, 스위스에서 열린 유럽을 위한 노래 등 다양한 음악 행사에 참여하며 활동 영역을 넓혔다.
1970년대 초부터는 연극 무대에도 진출하여 토니 쿠키아라와 함께 뮤지컬에 출연하고 조르조 알베르타치가 연출한 작품에 참여하는 등 연극 배우로서의 경력을 쌓았다. 또한 비니시우스 지 모라에스의 동요 앨범 작업에 참여하고 월트 디즈니 영화 삽입곡 앨범을 발매하는 등 어린이를 위한 음악 활동에도 관심을 보였으며, 어린이들을 위한 칸초네 다우토레 페스티벌에서 우승하기도 했다.
1976년에는 첫 작곡집을 출판하며 싱어송라이터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1980년대에는 텔레비전 드라마와 영화에도 출연하며 꾸준히 연기 활동을 이어갔다. 특히 1990년대 이후로는 자신의 뿌리인 사르데냐 문화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바탕으로 사르데냐어로 된 음반들을 발표하며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해 나갔다. 그녀의 마지막 작품은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의 시에 곡을 붙인 앨범 Rosa de papel|로사 데 파펠es로, 사후에 발매되었다.
산니아의 작품은 다른 예술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어, 스페인 가수 에스터 포르모사 등이 그녀의 곡을 리메이크하기도 했다. 2008년 그녀가 사망한 후, 그녀를 기리기 위해 마리아 카르타 상이 제정되었으며, 예술가 마리아 라이는 자신의 작품 전시회를 산니아에게 헌정했다.
4. 1. 연극 활동
1970년대 초, 산니아는 연극 활동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토니 쿠키아라와 함께 뮤지컬 《카인과 아벨》(Caino e Abeleit), 《변두리 이야기》(Storie di periferiait) 두 편에 출연했으며, 조르조 알베르타치가 연출한 여러 연극 작품에도 참여했다.1980년대 초에는 텔레비전 드라마에도 출연했다. 조르조 알베르타치, 안나 프로클레머, 파올라 보르보니 등과 함께 드라마 《조르주 상드》(George Sand프랑스어)에 출연했다.
1995년에는 조르조 알베르타치와 다시 호흡을 맞추며 연극 《아드리아노의 추억 - 입구의 초상화》(Memorie di Adriano - Ritratto di un ingressoit)로 연극 무대에 복귀했다.
2003년부터는 "두 언어 사이의 노래, 시의 길 위에서"(Canzoni fra due lingue, sul cammino della poesiait)라는 제목으로 시와 음악을 결합한 리사이틀 공연을 선보였다. 이 공연은 이탈리아 국내외의 중요한 행사에서 발표되었는데, 예를 들어 타오르미나 영화제의 '시인의 밤'(La Notte dei Poetiit) 행사와 로마에서 열린 '로마가 세계를 만나는 전시회'(Roma incontra il mondoit) 등이 있다.
4. 2. 어린이 앨범 및 작곡 활동
1970년대 초, 산니아는 세르지오 엔드리 고의 지원을 받아 비니시우스 지 모라에스의 어린이 노래 모음집 앨범 "The Ark" 녹음에 참여했다. 1973년에는 월트 디즈니 영화 삽입곡들을 모아 "Sannia Wonderland"라는 제목의 음반을 발매하며 어린이들을 위한 음악 활동을 이어갔다. 또한, 어린이들을 위한 칸초네 다우토레 페스티벌에서 우승하기도 했다.1976년에는 첫 번째 작곡집 "The pasta sheet"를 출판하며 싱어송라이터로서의 면모를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1980년대 이후로는 자신의 뿌리인 사르데냐 문화와 언어에 대한 깊은 관심을 음악에 반영하는 데 주력했다.
1993년에는 20세기 초반에 활동했던 사르데냐 시인 안티오코 카술라의 시에 곡을 붙인 사르데냐어 음반 Sa oghe de su Entu e de su maresc를 발표했다. 이 음반은 그녀의 음악적 전환점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업으로 평가받는다. 1997년에는 현대 시인이자 작가인 프란체스코 마살라와 협력하여, 그의 시집을 바탕으로 한 음반 "멜라그라나다"를 녹음했다.
2003년에는 직접 작사, 작곡한 사르데냐어 곡들로 구성된 음반 Nanas and Janassc를 발표했다. 이 음반과 관련된 작업은 Tra due lingue cantando, lungo i sentieri della poesia|두 언어 사이의 노래, 시의 길 위에서it라는 제목의 시와 음악이 어우러진 리사이틀로 이어져, 타오르미나 영화제 등 이탈리아 국내외의 여러 중요한 무대에서 선보였다.
산니아의 마지막 작품은 2008년 사후에 발매된 Rosa de papel|로사 데 파펠es이다. 이 음반은 스페인의 시인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의 삶과 시에 헌정된 것으로, 로르카의 시에 산니아가 직접 곡을 붙인 12곡이 수록되어 있다. 이 음반은 그녀가 생전에 특별한 애정을 쏟았던 작업으로 알려져 있다.
산니아가 작곡한 일부 곡들은 스페인 가수 에스터 포르모사와 같은 다른 예술가들에 의해 다시 불리기도 했다.
4. 3. 텔레비전 드라마 및 영화 출연
1967년 텔레비전 프로그램 "Scala Reale"과 "세테보치"에 출연하며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인지도를 바탕으로 같은 해 뮤지컬 영화인 "Kids of yellow flag"와, 잔카를로 잔니니와 함께 출연한 "Stasera mi butto"에 참여하며 영화 배우로서의 경력도 시작했다.1972년에는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음악 경연 프로그램 중 하나인 칸초니시마에 참가했다.
1980년대 초에는 텔레비전 드라마 "조지 샌드"에 출연하여 조르조 알베르타치, 안나 프로클레머, 파올라 보르보니와 같은 배우들과 호흡을 맞췄다. 또한 푸피 아바티 감독의 영화 "꿈을 꿀 수 있도록 도와줘"에도 참여하며 연기 활동을 이어갔다.
5. 후기 활동 및 사르데냐어 음반
1980년대 초 산니아는 조르조 알베르타치, 안나 프로클레머, 파올라 보르보니와 함께 텔레비전 드라마 "조지 샌드"에 출연했으며, 푸피 아바티의 영화 "꿈을 꿀 수 있도록 도와줘"에도 참여했다. 1984년에는 오랫동안 무대를 떠나 있다가 "Amore amore 아모레 아모레"라는 곡으로 산레모 음악제에 복귀했다.
이후 산니아는 고향 사르데냐의 문화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특히 사르데냐의 옛 노래 연구와 사르데냐어 가창에 열정을 쏟았다. 1993년에는 20세기 초 사르데냐 시인 안티오코 카술라(Antíoco Casula)의 시에 곡을 붙인 사르데냐어 음반 Sa oghe de su Entu e de su maresrd를 발표했다. 이 음반은 그녀의 음악적 방향 전환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1995년에는 알베르타치와 함께 "아드리아노의 추억 - 1995년의 입구 초상화"로 연극 무대에 다시 섰다.
1997년에는 현대 시인이자 작가인 프란체스코 마살라(Francesco Masala)의 시를 바탕으로 한 사르데냐어 음반 Melagranàdasrd를 녹음했다. 2002년에는 세르지오 엔드리 고에게 헌정하는 음반 "당신을 위한 노래"에 참여하여 "Hands holes"를 불렀다. 2003년에는 그녀가 직접 작사, 작곡한 곡들을 포함한 세 번째 사르데냐어 음반 Nanas and Janassrd를 발표했다. 이 음반과 관련하여 "두 언어 사이의 노래, 시의 길 위에서"라는 제목의 시적이고 음악적인 리사이틀을 이탈리아 국내외(타오르미나 영화제 등)에서 선보였다. 2006년 1월에는 세르지오 엔드리 고 헌정 콘서트 "안녕 시인"에 참여하여 "The White Rose"와 "How ever tonight"를 불렀고, 이 공연은 CD/DVD로 제작되었다.
그녀의 마지막 작품은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의 삶과 시에 헌정된 음반 Rosa de papeles이다. 이 음반은 2008년 11월 그녀의 사후에 발매되었으며, 로르카의 시에 곡을 붙인 12곡이 수록되어 있다. 산니아의 작곡은 스페인 가수 에스터 포르모사가 커버하기도 했다.
산니아는 갑작스러운 병으로 2008년 4월 14일 칼리아리에서 사망했다. 사후 그녀를 기리기 위해 2008년 8월 "마리아 카르타" 상이 제정되었고, 2009년 1월에는 예술가 마리아 라이(Maria Lai)가 자신의 작품 전시회를 산니아에게 헌정했다. 그녀의 사르데냐어 음악 활동은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6. 사망 이후
2008년 4월 14일, 마리사 산니아는 칼리아리에서 갑작스러운 질병으로 사망했다.
사망 이후인 2008년 8월에는 그녀를 기리는 "마리아 카르타" 상(Premio Maria Carta)이 제정되었다. 같은 해 11월에는 그녀의 마지막 작품인 Rosa de papeles이 사후에 출판 및 배포되었다. 이 앨범은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의 삶과 시에 헌정되었으며, 프레미오 텐코(Premio Tenco)에서 사전에 소개되었다.
2009년 1월에는 예술가 마리아 라이(Maria Lai)가 산니아에게 자신의 작품 전시회를 헌정했다.
7. 음반 목록
wikitext
연도 | 원제 | 번역 제목 | 레이블 |
---|---|---|---|
1968년 | Marisa Sannia | 마리사 산니아 | 포닛 체트라 |
1970년 | Marisa Sannia canta Sergio Endrigo e le sue canzoni | 마리사 산니아는 세르지오 엔드리 고와 그의 노래를 부른다 | CGD |
1973년 | Marisa nel paese delle meraviglie | 이상한 나라의 마리사 | EMI 이탈리아 |
1976년 | La pasta scotta | 삶은 파스타 | CBS |
1993년 | Sa oghe de su entu e de su maresrd | 바람과 바다의 소리 | 테크노 레코드 |
1997년 | Melagranàda | 멜라그라나다 | Nar |
2003년 | Nanas e janas | 나나스와 야나스 | Nar |
2008년 | Rosa de papel | 종이 장미 | Felmay |
8. 영화 출연 목록
연도 | 제목 | 감독 |
---|---|---|
1967 | 반디에라 지알라의 아이들(I ragazzi di Bandiera Gialla) | 마리아노 로렌티 |
1967 | 오늘밤 던져버릴래(Stasera mi butto) | 에토레 마리아 피자리티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