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칼리아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리아리는 이탈리아 사르데냐 섬의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온 유서 깊은 곳이다. 페니키아인, 카르타고, 로마 제국, 반달족, 비잔틴 제국 등 다양한 문명의 지배를 받았으며, 사르데냐 중세 왕국 시대에는 수도 역할을 했다. 14세기 아라곤 왕관의 지배를 받으면서 사르데냐 왕국의 행정 수도가 되었고, 이후 스페인, 사보이아 가문의 지배를 거쳐 1870년 이탈리아에 통합되었다. 현재 칼리아리는 사르데냐 자치주의 행정 중심지이자 주요 무역 및 산업 도시로,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주요 명소로는 고대 카랄리스의 유적, 산 사투르니노 성당, 칼리아리 대성당, 카스텔로 지구 등이 있으며, 매년 5월 1일에 열리는 성 에피시오 축제가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리아리 광역시의 코무네 - 콰르투산텔레나
    콰르투산텔레나는 이탈리아 사르데냐 섬의 코무네로, 칼리아리에서 4마일 거리에 위치하며 긴 해안선과 몰렌타르기우스 호수를 특징으로 하고, 프레누라게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칼리아리 주디카토에 속했고, 현재는 3차 산업을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했으며, 품질 좋은 와인과 전통 빵으로 유명하고, 이스 아레나스 경기장과 카피타나 마리나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칼리아리 광역시의 코무네 - 실리고
    실리고는 경상북도 울진군에 위치한 동해안 어촌 마을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중세 시대의 유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을 배출했다.
  • 이탈리아의 로마 도시 - 헤르쿨라네움
    헤르쿨라네움은 이탈리아 에르콜라노에 위치한 고대 로마 도시로, 오스칸족이 건설한 후 로마의 무니키피움이 되었으나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묻혀 1709년에 발견되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파피루스의 빌라 등 다양한 유적을 통해 고대 로마 도시의 모습을 보여준다.
  • 이탈리아의 로마 도시 - 제노바
    제노바는 이탈리아 리구리아 주의 주도이자 리구리아 해와 아펜니노 산맥 사이에 있는 항구 도시로, 로마 해군 기지에서 자치 도시, 공화국으로 발전하여 지중해 무역을 장악했으나 굴곡을 겪었으며, 프랑스 합병 후 이탈리아 왕국에 병합되었고, 콜럼버스 출생지로 유명하며, 현재는 항만 및 관광 산업의 중심지이다.
  • 이탈리아의 주도 - 로마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고대 로마 제국의 중심지로,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문화유산을 지닌 세계적인 도시이며, 왕정과 공화정을 거쳐 로마 제국을 건설하고 지중해 세계를 지배했으며, 가톨릭 교회의 중심지로서 유럽 역사와 르네상스 및 바로크 시대 예술과 건축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는 이탈리아와 유럽 연합의 중요한 중심지이다.
  • 이탈리아의 주도 - 밀라노
    밀라노는 이탈리아 북부 롬바르디아주의 주도이자 이탈리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로, 역사적 중심지로서 르네상스 시대 번성 후 경제적 중심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패션, 디자인, 금융, 예술의 중심지이자 2026년 동계 올림픽 공동 개최지이다.
칼리아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칼리아리
로마자 표기Cagliari
다른 이름카스텔두(Casteddu)
이전 명칭카랄리스(Caralis)
별칭카스텔두 데 칼라리스(Casteddu de Càlaris)
국가이탈리아
지역사르데냐
광역시칼리아리 광역시 (CA)
시장마시모 제다
시장 소속 정당진보당 (사르데냐)
면적85.45 km²
인구 (2015년)154,460명
도시권 인구420,000명
인구 통계칼리아리 시민, 카스텔다주(Cagliaritano, Casteddaju)
해발고도4 m
우편 번호09100
지역 번호070
ISTAT 코드092009
수호성인성 사투르니누스
축일10월 30일
공식 웹사이트칼리아리 시 공식 웹사이트
지리
지형해발 0 - 709m
지진 구역4
행정 구역
분구피리(Pirri)
인접 코무네#인접 코무네 참조
종교
관할 교구칼리아리 대교구
로마자 표기 및 발음
영어 발음, ,
기타
코무네 코드B354
이미지
칼리아리 깃발
깃발
칼리아리 전경
바스티오네 디 산 레미, 마리나 피콜라, 카스텔로 전경, 산 사투르니노 대성당, 시청, 보나리아 대성당, 포에토 해변, 몬테 클라로 공원, 몰렌타르지우스 공원
칼리아리 문장
문장
칼리아리 시가지
칼리아리 시가지
칼리아리 코무네 지도
칼리아리 현의 코무네 영역

2. 역사

칼리아리 지역은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다. 바다와 비옥한 평야 사이에 위치하여 지리적 이점이 있었고, 두 개의 늪지와 주변의 높은 산들은 방어와 피난에 유리했다. 산텔리아 곶(Cape Sant'Elia)에서는 몬테 클라로 문화(Monte Claro culture)의 토기와 도무스 데 야나스(domus de janas)를 포함한 선사 시대 유적이 발견되었다.

'''카랄리'''(𐤊𐤓𐤋𐤉|krlyxpu)는 기원전 8세기/7세기경 페니키아인들이 타로스(Tharros) 등과 함께 건설한 식민지 중 하나였다.[14] 칼리아리는 요새화된 정착지였으며, 현재 마리나(Marina) 지역에 위치했고, 스탐파체(Stampace) 지역에는 부속 성역이 있었다.

기원전 238년 제1차 포에니 전쟁 이후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제2차 포에니 전쟁 동안 '''카랄리스'''(Caralis)는 집정관 티투스 만리우스 토르콰투스(독재관)(Titus Manlius Torquatus (dictator))의 본부였으며,[16] 섬의 주요 해군 기지이자 집정관의 거주지였다.[17] 로마 제국 하에서 칼리아리는 섬의 수도였으며, ''무니키피움(municipium)'' 지위를 얻었다.[24]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칼리아리는 반달족, 오스트로고트족,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차례로 받다가 점차 독립적인 칼리아리 사법구의 수도가 되었다. 칼리아리 사법국은 1020년경에 탄생하여 1258년 피사 공화국에 의해 멸망했다.[28][29]

14세기 아라곤 왕관은 피사인들과의 일련의 전투 끝에 사르데냐를 정복했다.[3] 아라곤의 알폰소 4세가 이끄는 아라곤 군대는 카스텔 디 카스트로 공성전(1324-1326) 동안 보나리아에 요새를 건설했고, 카스텔 디 카스트로는 사르데냐 왕국의 행정 수도가 되었다.[3]

1718년, 합스부르크 가문의 짧은 통치 이후 칼리아리와 사르데냐는 사보이아 가문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8세기 후반 프랑스 혁명 전쟁 동안 프랑스는 지중해에서의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칼리아리를 정복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870년대 이탈리아 통일 이후 도시는 급속히 성장했다. 항구 근처의 흰색 대리석 시청을 포함한 수많은 건물들이 아르누보 양식과 전통적인 사르데냐 풍의 꽃 장식이 결합된 영향을 보여준다.[32]

제2차 세계 대전 중 카리아리는 1943년 2월 연합군에 의해 집중적으로 폭격을 받았다. 이로 인해 2,000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했고,[33] 건물의 약 80%가 파손되었다.[33]

2. 1. 고대

칼리아리 지역은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다. 바다와 비옥한 평야 사이에 위치하여 지리적 이점이 있었고, 두 개의 늪지와 주변의 높은 산들은 방어와 피난에 유리했다. 몬테 클라로 문화(Monte Claro culture)의 토기와 도무스 데 야나스(domus de janas)를 포함한 선사 시대 유적이 산텔리아 곶(Cape Sant'Elia)에서 발견되었다.

몬테 클라로 문화의 토기


'''카랄리'''(𐤊𐤓𐤋𐤉|krlyxpu)는 기원전 8세기/7세기경 페니키아인들이 타로스(Tharros) 등과 함께 건설한 식민지 중 하나였다.[14] 지명의 어원은 확실치 않으나, 페니키아어는 아니며 다른 사르데냐어나 소아시아 지명과 유사성이 있다고 한다.[15] 페니키아인 정착지는 현재 칼리아리 중심부 서쪽 산타 질라 석호(Stagno di Santa Gilla)에 있었으며, 이곳은 로마 시대 ''포르투스 스키피오(Portus Scipio)''의 위치이자 8세기 아랍 해적을 피해 온 사람들의 피난처였다. 산텔리아 곶에서도 페니키아인 정착지가 발견되었다.

국립 고고학 박물관에 있는 푸니크 시대 비문인 지아르디노 비로키 비문(Giardino Birocchi inscription)


기원전 6세기 후반 카르타고가 사르데냐를 장악하면서 칼리아리는 크게 성장했고, 투비크세두 묘지(Tuvixeddu necropolis)가 대표적인 유적이다. 칼리아리는 요새화된 정착지였으며, 현재 마리나(Marina) 지역에 위치했고, 스탐파체(Stampace) 지역에는 부속 성역이 있었다.

투비크세두(Tuvixeddu)의 묘지


기원전 238년 제1차 포에니 전쟁 이후 칼리아리는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제2차 포에니 전쟁 동안 '''카랄리스'''(Caralis)는 집정관 티투스 만리우스 토르콰투스(독재관)(Titus Manlius Torquatus (dictator))의 본부였으며, 햄프시코라(Hampsicora)와 카르타고에 대한 작전이 수행되었다.[16] 또한, 섬의 주요 해군 기지이자 집정관의 거주지였다.[17]

로마인들은 옛 푸니크 도시 동쪽에 ''비쿠스 무니투스 카랄리스(vicus munitus Caralis)''라는 새로운 정착지를 건설했다. 바로 아타시누스(Varro Atacinus)에 따르면, 두 도시는 기원전 2세기 동안 점차 합쳐졌고, 복수형 이름 '''카랄레스'''(Carales)가 사용되었다.[18]

플로루스(Florus)는 칼리아리를 사르데냐의 ''우르브스 우르비움(urbs urbium)''(수도)라고 불렀으며, 그라쿠스(Gracchus)에게 점령되어 처벌받았다고 기록했지만,[19] 리비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도시들은 로마에 충실했고 반란은 산악 부족에 국한되었다.[20]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Pompey) 사이의 내전에서 카랄리스 시민들은 최초로 카이사르를 지지했고, 다른 도시들도 따랐다.[21] 카이사르는 아프리카에서 돌아오는 길에 이곳에 들렀으며,[22] 몇 년 후 섹스투스 폼페이우스(Sextus Pompeius)의 부관 메나스(해방 노예)(Menas (freedman))에게 함락되었다.[23]

로마 제국 하에서 칼리아리는 섬의 수도였으며, ''무니키피움(municipium)'' 지위를 얻었다.[24]

피아차 델 카르미네(Piazza del Carmine)에서 로마 공공 건물의 유적이 발견되었고, 비아 로마(Via Roma) 근처에는 일반 주택 지역, 마리나 경사면에는 부유한 주택들이 있었다. 칼리아리의 로마 원형극장(Roman amphitheatre of Cagliari)은 카스텔로(Castello) 서쪽에 위치해 있다.

'이스 첸투 스칼라스'(Is Centu Scalas, "백 개의 계단"), 칼리아리의 로마 원형극장(Roman amphitheatre of Cagliari)


카랄리타니(Karalitani) 선주와 상인들, 오스티아 안티카(Ostia Antica)의 모자이크


그리스도인(Christians) 공동체는 3세기 초부터 칼리아리에 있었고, 3세기 말에는 주교가 있었다. 4세기 중반 칼리아리의 루키페르(Lucifer of Cagliari) 주교는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Athanasius of Alexandria)에 대한 판결에 반대하여 테바이스(Thebais) 사막으로 유배되었다.[25]

클라우디아누스(Claudian)는 카랄리스가 곶으로 뻗어 있으며 항구를 보호한다고 묘사했다. 항구는 대형 선박을 위한 정박지였고, 칼리아리 석호(Stagno di Cagliari)는 내부 항구로 사용되었다.[26] 플리니우스의 카랄리타눔 프로몬토리움(Caralitanum Promontorium)은 카포 카보나라(Capo Carbonara)이며, 피카리아(Ficaria) 섬[27]은 현재 ''이졸라 데이 카볼리(Isola dei Cavoli)''(사르데냐어로 ''이술라 데 이스 카부루스(Isula de is Càvurus)'', "게 섬")라고 불린다.

2. 2. 중세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칼리아리는 반달족, 오스트로고트족,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차례로 받다가 점차 독립적인 칼리아리 사법구의 수도가 되었다. 칼리아리 사법국은 1020년경에 탄생하여 1258년 피사 공화국에 의해 멸망했다.[28][29] 칼리아리 사법구는 캄피다노 평원, 술치스-이글레시엔테 및 올리아스트라 산악 지대를 포함하는 광대한 지역이었다.

피사의 코끼리탑 (1307)


11세기, 피사 공화국은 칼리아리 사법구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피사와 제노바 공화국은 이탈리아와 북아프리카 사이의 상업로를 통제하기 위한 전략적 기지로서 사르데냐에 큰 관심을 가졌다.

1215년, 피사의 람베르토 비스콘티(Lamberto Visconti)는 칼리아리의 베네데타(Benedetta of Cagliari) 여왕에게 산타 이지아(Santa Igia) 동쪽 언덕을 내놓도록 강요했다. 1216~17년 피사 상인들은 "카스텔 디 카스트로"라는 새로운 요새 도시를 건설했는데, 이는 현대 칼리아리 시의 기원으로 간주된다.

1258년, 윌리엄 3세의 패배 후, 피사인들과 동맹국들은 산타 이지아의 옛 수도를 파괴했다. 칼리아리 사법구는 갈루라, 아르보레아, 델라 게라르데스카(della Gherardesca) 가문, 피사 공화국에 의해 분할 통치되었다.

현재 카스텔로 지역을 둘러싸고 있는 요새 중 일부는 피사인들이 건설했는데, 조반니 카풀라(Giovanni Capula)가 설계한 두 개의 흰색 석회암 탑도 포함된다.

2. 3. 근세

아라곤 왕관은 14세기 피사인들과의 일련의 전투 끝에 사르데냐를 정복했다.[3] 아라곤의 알폰소 4세가 이끄는 아라곤 군대는 카스텔 디 카스트로 공성전(1324-1326) 동안 더 남쪽 언덕인 보나리아에 요새를 건설했다.

1572년 게오르크 브라운의 ''Civitates orbis terrarium''에 나온 칼리아리의 모습


아라곤 군대가 마침내 이 요새 도시를 정복했을 때, 카스텔 디 카스트로 (카탈루냐어로 ''Castel de Càller'' 또는 간단히 Càller)는 새로 생긴 사르데냐 왕국의 행정 수도가 되었으며, 이 왕국은 나중에 스페인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3] 투스카니 사람들이 추방된 후,[3] 카스텔로 지구는 보나리아의 아라곤 정착민들에 의해 다시 채워졌고, 원주민들은 스탐파체와 빌라노바에 집중되었다.

사르데냐의 국왕이자 아라곤의 국왕이었고 후에 스페인의 국왕이 된 국왕들은 총독에 의해 칼리아리에서 대표되었으며, 총독은 왕궁에 거주했다.

칼리아리 왕궁 내부


16세기에 도시의 요새는 성채 건설로 강화되었고, 아라곤인들의 권리와 혜택은 모든 시민들에게 확대되었다. 17세기 초에는 대학교가 설립되어 지적 생활이 비교적 활발했다.[3]

2. 4. 근대

1718년, 합스부르크 가문의 짧은 통치 이후 칼리아리와 사르데냐는 사보이아 가문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사보이아 가문은 사르데냐 왕국의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했지만, 왕국 의회는 토리노에 있었고, 의원들은 대부분 피에몬테나 본토 출신 귀족들이었다.[4]

18세기 후반 프랑스 혁명 전쟁 동안 프랑스는 지중해에서의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칼리아리를 정복하려 했다. 프랑스 군대는 포에토 해변에 상륙하여 칼리아리로 진격했지만, 혁명군에 맞서 싸우기로 결정한 사르데냐인들에게 패배했다. 칼리아리 시민들은 도시 방위에 대한 대가로 사보이아 가문으로부터 자치권을 요구했다. 예를 들어, 칼리아리의 귀족들은 왕국의 의회에 사르데냐 대표를 요구했다. 사보이아 가문이 사르데냐인들에게 어떤 양보도 거부하자 칼리아리 주민들은 반란을 일으켜 피에몬테 통치자들과 함께 왕국의 모든 대표들을 축출했다.[4] 이 반란은 4월 마지막 주말에 칼리아리에서 ''Sa die de sa Sardigna''(사르데냐의 날)로 기념된다. 그러나 사보이아 가문은 짧은 기간의 자치 통치 후 도시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았다.[4]

2. 5. 현대

1870년대 이탈리아 통일 이후 도시는 급속히 성장했다. 수많은 건물들이 아르누보 양식과 전통적인 사르데냐 풍의 꽃 장식이 결합된 영향을 보여주는데, 대표적인 예로 항구 근처의 흰색 대리석 시청이 있다.[32] 많은 건물들이 19세기 말 오토네 바카레다 시장 재임 기간에 세워졌다. 1905년 그는 정치적 반대자들에 의해 부추겨진 터무니없는 생활비 폭등에 대한 격렬하고 유혈이 낭자한 폭동에 직면해야 했다. 이 폭동으로 여러 명의 희생자와 광범위한 물질적 피해가 발생했다.[32]

1943년, 카리아리 근처 몬세라토 비행장에 떨어지는 B-17 플라잉 포트리스의 폭탄


제2차 세계 대전 중 카리아리는 1943년 2월 연합군에 의해 집중적으로 폭격을 받았다. 폭격과 열악한 생활 조건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도시에서 시골로 대피했다. 폭격으로 인한 사망자는 2,000명이 넘었고[33] 건물의 약 80%가 파손되었다.[33]

1943년 9월 연합군과의 이탈리아 휴전 후 독일군이 카리아리와 사르데냐 섬을 장악했지만, 이탈리아 본토의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곧 평화적으로 철수했다. 그 후 미국 육군이 카리아리를 장악했다. 도시 근처의 공항 (엘마스, 몬세라토, 데치모만누, 현재 NATO 공군기지)은 연합군 항공기가 북아프리카 또는 이탈리아 본토와 시칠리아로 비행하는 데 사용되었다.

전쟁 후 카리아리의 인구는 다시 증가했고, 새로운 주거 지역에 많은 아파트 단지와 휴양 시설이 건설되었다.

3. 지리

칼리아리 시는 사르데냐 남부, 칼리아리 만 중앙에 위치하며, "천사들의 만(Golfo degli Angeli)"이라고도 불린다. 이 도시는 카스텔로(Castello) 역사 지구의 언덕과 중기-후기 마이오세의 다른 아홉 개의 석회암 언덕 주변, 그리고 캄피다노(Campidano) 평야 위에 100m 해발 고도에 펼쳐져 있다. 캄피다노 평야는 알프스 조산 운동 시대의 지구조 운동으로 형성된 지구열곡으로, 사르데냐를 유럽 대륙에서 분리시킨 지구대이다.[35]

소위 악마의 안장(Sella del Diavolo)


바다의 침입은 칼리아리 지역의 석회질 퇴적물을 남겨 여러 언덕을 형성했다. 중세 시대 요새 도시가 생겨난 카스텔로 외에도, 우르피누 산, "악마의 안장"이라 불리는 성 엘리아스 언덕, 고대 묘지가 있는 투부만누와 투비크세두, 바실리카가 있는 보나리아 언덕, 성이 있는 산 미켈레 언덕 등이 있다. 현대 도시는 언덕과 바다 사이의 평평한 공간, 포에토 해변, 산타 질라와 몰렌타르지우스의 석호와 연못을 차지하며, 만, 평야, 산으로 둘러싸인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한다. 겨울에는 젠나르젠투의 눈 덮인 봉우리도 보인다.

빌라노바 역사 지구 전경


칼리아리는 카스텔로, 마리나, 스탐파체, 빌라노바의 네 역사 지구와 19세기 중반 이후 성장한 여러 현대 지구로 구성된다. 칼리아리도(省) 중앙부, 칼리아리 만에 접한 코무네(시)이다. 칼리아리 시가지는 오리스타노 남동쪽 약 89km, 로마 남서쪽 약 410km에 위치한다.

칼리아리 시가지 주변에는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습지가 두 곳 있는데, 서쪽의 Stagno di Cagliari[116]와 동쪽의 Stagno di Molentargius[117]이다. 1980년 제1회 람사르 협약 당사국 총회가 칼리아리에서 개최되었다.

칼리아리는 열대성 지중해성 기후(쾨펜: ''Csa'')를 가지며,[39] 덥고 건조한 여름과 온화한 겨울을 특징으로 한다.[45][40] 6월 중순부터 9월 중순까지는 비가 드물고, 우기는 9월에 시작된다.[41] 미스트랄과 시로코 바람이 자주 불며, 여름에는 해풍 시로코(사르데냐어로 ''s'imbattu'')가 더위를 식혀준다.[42]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14.7°C15°C17.5°C19.9°C24.1°C28.7°C31.7°C32.1°C28.1°C23.9°C19°C15.7°C
평균 최저 기온 (°C)5.4°C5.1°C7.3°C9.7°C13.3°C17.3°C19.9°C20.5°C17.5°C13.9°C10°C6.8°C
평균 강수량 (mm)37.1mm33.9mm32.1mm45.6mm26.2mm12.5mm3.1mm11.4mm38.5mm43.9mm74mm54.9mm


3. 1. 피리

피리


칼리아리 코무네는 피리 마을(약 3만 명의 주민)이라는 한 개의 구역을 가지고 있다. 피리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캄피다노 지역의 마을을 흡수하여 급속히 성장하였다.

3. 2. 공원 및 휴양

칼리아리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녹색"이 풍부한 도시 중 하나로, 시민 1인당 87.5m2의 공원과 녹지 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36] 온화한 기후 덕분에 자카란다, 뱅갈보리수, 에리스리나, 피쿠스 레투사, 아라우카리아, 대추야자, 카나리아야자, 멕시코 부채야자 등 다양한 아열대 식물이 자란다.

주요 도시 공원은 다음과 같다.

  • 몬테 우르피누 공원: 가장 울창한 숲을 자랑하며, 알레포 소나무, 홀름오크, 마스틱, 주니퍼, 케르메스 오크, 야생 올리브, 유포르비아 덴드로이데스 등으로 이루어진 지중해 관목이 빽빽하게 들어선 언덕이다. 약 25ha에 걸쳐 있다.

몬테 우르피누 공원에서 바라본 칼리아리 전경

  • 산 미켈레 언덕 공원: 약 25ha이며 정상에 중세 성이 있다.

산 미켈레 언덕과 정상에 있는 성

  • 테라마이니 공원: 약 13ha이며 플라밍고와 다른 섭금류 조류가 서식하는 작은 연못이 있다.
  • 몬테 클라로 주립 공원: 약 22ha이며 언덕 위에 있는 오래된 저택에 주립 도서관이 있다.

몬테 클라로 공원

  • 엑스-베트레리아 피리 공원: 약 2.5ha이다.
  • 구시가지 공원: 시내에서 가장 오래된 공원으로 19세기에 조성되었으며, 아름다운 자카란다 산책로가 있다.

구시가지 공원의 로마 조각상


몰렌타르지우스-살리네 자연공원[37]은 도시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몬테 아르코수나 마이도피스와 같은 일부 산악 공원에는 큰 숲과 야생 동물(사르데냐 사슴, 멧돼지 등)이 있다. 칼리아리는 100개 탑의 길의 시작점이자 종착점이다.[38]

칼리아리 시가지 주변에는 습지대가 넓게 펼쳐져 있으며,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습지가 두 곳 있다(이탈리아의 람사르 협약 등록지 목록 참조). 하나는 Stagno di Cagliari[116]이고, 다른 하나는 Stagno di Molentargius[117]이다. 1980년 제1회 람사르 협약 당사국 총회는 칼리아리에서 개최되었다.

3. 3. 해변

포에토 해변의 항공 사진


칼리아리의 주요 해변은 포에토 해변이다. 디아볼로의 안장(Sella del Diavolo)에서 쿠아르투 산텔레나 해안선까지 약 8km에 걸쳐 있다. 포에토는 해변과 몰렌타르지우스 염전 사이의 서쪽 구역에 있는 지역 이름이기도 하다.

산텔리아(Sant'Elia) 지역 근처에는 칼라모스카(Calamosca) 해변이 있다. 칼라모스카 해변과 포에토 해변 사이, 디아볼로의 안장 절벽 사이에는 작은 만인 칼라 피게라(Cala Fighera)가 있다.

칼리아리는 산타 마르게리타 디 풀라, 키아, 제레메아스, 솔라나스, 빌라시미우스, 코스타 레이와 같은 다른 해안 지역과도 가깝다.

3. 4. 기후

칼리아리는 열대성 지중해성 기후(쾨펜: ''Csa'')를 가지고 있어[39] 덥고 건조한 여름과 온화한 겨울을 특징으로 한다.[45][40] 1월 평균 기온은 약 10°C이고, 8월 평균 기온은 약 25°C이다. 6월 중순부터 9월 중순까지는 비가 드물며, 짧은 오후 소나기에 국한된다. 우기는 9월에 시작되고, 첫 추위는 12월에 찾아온다.[41]

바람이 자주 부는데, 특히 미스트랄과 시로코가 자주 분다. 여름에는 해풍 시로코(사르데냐어로 ''s'imbattu''라고 함)가 기온을 낮추고 더위를 식혀준다.[42]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14.7°C15°C17.5°C19.9°C24.1°C28.7°C31.7°C32.1°C28.1°C23.9°C19°C15.7°C
평균 최저 기온 (°C)5.4°C5.1°C7.3°C9.7°C13.3°C17.3°C19.9°C20.5°C17.5°C13.9°C10°C6.8°C
평균 강수량 (mm)37.1mm33.9mm32.1mm45.6mm26.2mm12.5mm3.1mm11.4mm38.5mm43.9mm74mm54.9mm


4. 인구

2014년 칼리아리에는 154,356명이 거주했으며, 남녀 성비는 0.86이었다.[47] 18세 이하 미성년자는 12.92%, 연금 수령자는 24.81%로 평균 연령은 47.44세였다. 출산율은 인구 1,000명당 6.29명이고, 가구당 평균 인구는 2.11명이며 1인 가구 비율은 42.53%이다.

2020년 기준, 인구의 5.8%는 외국인이었으며, 필리핀인, 우크라이나인, 루마니아인, 세네갈인, 중국인 순이었다.[48]

1928년 파시스트 정권 시대에 인접한 지방 자치단체들이 칼리아리에 합병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피리를 제외하고 다시 자치권을 회복했다.

다음은 현재 경계 내 칼리아리의 역사적 인구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연도인구
14855,088
16037,868
167813,428
168817,390
169815,677
172818,365
175120,948
177124,254
177627,102
178125,905
182131,935
182430,685
183831,157
184433,700
184833,826
185735,369
186137,243
187137,135
188143,472
190161,678
191170,132
192173,024
193183,359
193688,122
1951117,292
1961155,931
1971189,957
1981197,517
1991183,659
2001164,249
2011149,883
2021149,092


4. 1. 광역시

칼리아리 광역시 지도; 광역시의 중심 도시는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칼리아리 광역시는 2016년 사르데냐 주 법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이탈리아 통계청(ISTAT)에 따르면 약 42만 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이 광역시는 만 연안을 따라 위치한 17개의 자치구와 캄피다노 평원 내부 20km까지의 지역을 포함한다.

칼리아리 광역시는 넓은 분지(산타 질라 석호와 약 30km2 규모의 소금 공장), 몰렌타르지우스 석호(16.22km2)와 인구가 감소한 산악 지대(해발 1100m) 사이의 캄피다노 평원에 걸쳐 있다. 산악 지역은 대부분 사르데냐 자치주의 산림청이 관리하는 숲으로 덮여 있다. 서쪽으로는 카포테라와 풀라 산맥에 256km2에 달하는 숲이 있으며, 몬테 아르코수 WWF 자연보호구역에는 36km2의 면적이, 동쪽의 세르페디 산과 세테 프라텔리에는 총 132km2의 숲이 있다.

칼리아리 광역시는 사르데냐 주에서 최근 두 차례 인구 조사 사이에 인구가 증가한 자치구들로 정의된다. 이러한 자치구들은 도시 지역으로 이주하는 이민자들을 수용하며, 주요 중심지인 칼리아리 시에는 고령 인구가 많다.

지난 세기 동안 칼리아리 광역시 자치구의 인구는 354% 증가했고, 지난 50년 동안에는 158% 증가했다(1911년: 128,444명, 1961년: 288,683명, 2011년: 454,819명). 같은 기간 사르데냐 전체의 인구 증가율은 각각 88%와 15%였다(1911년: 868,181명, 1961년: 1,419,362명, 2011년: 1,639,362명). 칼리아리 지역으로의 도시화는 백분율로 볼 때 인상적이며, 섬의 수도를 점차 인구가 감소하는 농촌 지역으로 둘러싸인 대도시로 만들었다. 이러한 도시화는 칼리아리에 대부분의 경제 활동과 부가 집중되는 현상으로도 나타난다.

5. 경제

2014년 칼리아리 시민 1인당 소득은 23,220유로로 전국 평균의 122%였으며, 칼리아리 광역시의 평균 소득은 19,185유로로 전국 평균의 103%였다.[49] 칼리아리는 사르데냐 섬 인구의 26%를 차지하지만, 섬 전체 GDP의 31%를 생산한다.[49]

칼리아리는 사르데냐 자치주의 행정 중심지이자 주요 무역 및 산업 중심지이다. 이탈리아에서 물동량 기준 4번째, 승객 수 기준 18번째 항구이다.[50] 오샹(Auchan), 메트로(Metro AG), 리들(Lidl), 미디어월드, 유로닉스(Euronics), 예스크, 이케아(IKEA),[51] 까르푸(Carrefour), 바타(Bata Shoes) 등 많은 상업 센터와 유럽 체인점이 있다. 아마존 고객 서비스 센터도 칼리아리에 있다.[52]

사르데냐 은행(Banco di Sardegna)과 칼리아리 은행(Banca di Cagliari)은 BPER 그룹에 속하며 이탈리아 증권거래소(Borsa Italiana)에 상장되어 있다. 칼리아리와 카포테라 사이의 마키아레두-그로가스트루 지역은 사르데냐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지역 중 하나이다.[53] 칼리아리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큰 어시장 중 하나를 보유하고 있으며, 통신 제공업체인 티스칼리(Tiscali)도 칼리아리에 본사를 두고 있다.

코카콜라(Coca-Cola), 하이네켄(Heineken), 유니레버(Unilever), 브리지스톤(Bridgestone), 에니 그룹과 같은 다국적 기업들이 이 도시에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유럽의 6대 정유소 중 하나인 사라스는 사로크(Sarroch)의 광역시 내에 위치해 있다.

관광은 이 도시의 주요 산업 중 하나이다.

6. 주요 명소

대성당.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바다뱀을 공격하는 사자상. 12세기


코끼리 탑


칼리아리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명소가 있다.

  • 칼리아리 대성당(Cattedrale di Santa Maria di Castello): 성모 승천과 성 체칠리아에게 봉헌되었으며, 칼리아리 대교구의 주교좌이다. 1930년대 복원 작업을 통해 바로크 양식의 파사드가 중세 피사 양식으로 바뀌었다. 종탑은 원형 그대로이며, 내부에는 피사 대성당을 위해 조각된 12세기 설교단이 있다.[28][29] 납골당에는 산 사투르니노 교회에서 발견된 순교자의 유물이 보관되어 있다.
  • 산 사투르니노 교회(Basilica di San Saturnino): 사르데냐에서 가장 중요한 초기 기독교 건축물 중 하나로, 5세기에 건립되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시대에 순교한 성 칼리아리의 사투르니누스에게 봉헌되었다.
  • 산 루키페로 교회(Chiesa di San Lucifero): 17세기에 건립되었으며, 칼리아리 주교였던 성 루키페로에게 봉헌되었다. 지하에는 초기 기독교 시대의 납골당이 있다.
  • 노스트라 시뇨라 디 보나리아 성당(Santuario di Nostra Signora di Bonaria): 1324년에서 1329년 사이에 건립되었으며, 고딕 양식 출입구와 스페인 배에서 떨어져 보나리아 언덕 기슭으로 흘러들어온 목조 성모상이 있다.
  • 로마 시대의 원형극장: 바위 덩어리를 파내어 만들었으며, 칼리아리의 흰 석회암으로 지어졌다. 현재도 여름에 야외 오페라와 콘서트가 열린다.
  • 1930년대 조성된 지역: 아르데코 건축과 파시스트 정권 시대의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의 건물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법원이 있으며, 몬테 울피누 시립 공원과 칼리아리 대학교 부속 식물원이 근처에 있다.
  • 카스텔로 지구: 13세기 흰 석회암으로 지어진 판크라치오 탑과 코끼리 탑이 있다.

7. 문화

칼리아리는 독특한 문화적 전통을 가지고 있다. 섬의 다른 지역과 달리, 칼리아리 요리는 다양한 현지 해산물을 기반으로 한다. 카탈루냐 요리, 시칠리아 요리, 제노바 요리의 영향을 받았지만, 칼리아리 음식은 독특하고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73]

칼리아리 식당에서 제공되는 해산물


칼리아리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부리다(burrida)가 있는데, 이는 소형 상어를 이용한 마리네로 전채 요리로 제공된다. 훌륭한 와인 또한 칼리아리 사람들의 만찬의 일부이다. 캄피다노 평원 인근 포도밭에서 생산되는 칸노나우(Grenache), 누라구스(Nuragus di Cagliari), 나스코(Nasco di Cagliari), 모니카(Monica), 모스카우, 지로(Girò di Cagliari), 말바시아(Malvasia) 등이 있다.[73]

칼리아리의 고유어는 로망스어에 속하는 사르데냐어(''sardu'')이며, 특히 그 지역 변종인 캄피다네세 방언(''campidanesu'')의 ''casteddaju''이다. 이탈리아어와 함께 칼리아리의 공용어로 선포되었다.[85] 칼리아리가 고대 로마 속주에서 중심 도시였기 때문에 로마, 카르타고, 콘스탄티노플에서 온 혁신을 받아들였으며, 그 언어는 아마도 5세기 제국의 중심 도시의 후기 라틴어 도시 방언을 반영했을 것이다.

새로운 리릭 극장(오페라 하우스)


칼리아리는 작곡가 엔니오 포리노(엔니오 포리노), 영화, 연극 및 TV 감독 난니 로이(난니 로이), 배우 지아니 아구스(지아니 아구스), 아메데오 나자리(아메데오 나자리), 피에르 안젤리(피에르 안젤리)(안나마리아 피에랑젤리 출생)의 출생지 또는 거주지였다.

칼리아리는 오페라가 이 도시에 확고한 전통을 가지고 있다. 1993년 칼리아리 리릭 극장(칼리아리 리릭 극장)이 개장하였다.[66] 내부에는 자체 강당이 있는 음악원과 음악 공원이 있는 음악 단지가 있다. 칼리아리는 테너인 조반니 마테오 마리오(조반니 마테오 데 칸디아, 1810~1883)와 피에로 스키아바치(Piero Schiavazzi, 1875~1949), 바리톤 안젤로 로메로(1940년생), 콘트랄토 베르나데트 망카 디 니사(베르나데트 망카 디 니사, 1954년생) 그리고 소프라노 지우시 데비누(Giusy Devinu, 1960~2007)와 같은 오페라 가수들의 고향이었다. 이탈리아 팝 가수 마르코 카르타(마르코 카르타)도 1985년 칼리아리에서 태어났다.

구 마시모 극장(Teatro Massimo)은 최근에 개조되었으며 현재 사르데냐 안정극장(Teatro Stabile of Sardinia)의 자리이다.[67] 17세기 산타 테레사 교회(Santa Teresa) 건물에 있는 시립 강당은 칼리아리 연극 예술학교(Scuola di Arte Drammatica di Cagliari)의 자리이며,[68] 살리네 극장(Teatro delle Saline)[69]은 아크로아마(Akroama), 혁신 안정극장(Teatro Stabile di Innovazione)의 본거지이다.[70] 도시에 있는 코미디 및 풍자 연극 단체중 가장 잘 알려진 단체는 전통적인 캄피다네세(campidanese) 코믹 연극의 도시 버전을 제공하는 "라폴라 연극단(Compagnia Teatrale Lapola)"이다.[71] [72]

베피 비냐, 안토니오 세라(안토니오 세라), 미켈레 메다(Michele Medda)가 설립한 만화책 학교인 국제만화센터(Centro Internazionale del Fumetto)[73]는 수십 년 동안 활동해왔다. 설립자들은 네이선 네버(네이선 네버)와 레그스 위버(레그스 위버)라는 만화 캐릭터를 발명하고 디자인했다.

사르데냐의 주요 일간지는 1889년 칼리아리에서 창간된 ''L'Unione Sarda''이다. 이 신문은 1994년 자체 웹사이트를 구축한 유럽 최초의 신문 중 하나이며, 발행 부수는 약 8만 5천 부이다. 이탈리아 국영 방송사인 RAI의 주요 지역 본부가 칼리아리에 있다. 또한, 두 개의 지역 방송국과 수많은 인터넷 뉴스 사이트가 있다.

우니폴 도무스 내부 (2017년부터 세리에 A 축구 클럽 칼리아리 칼초의 홈구장)


칼리아리는 1970년 이탈리아 리그에서 우승한 축구팀 칼리아리 칼초의 연고지이다. 1920년에 창단된 이 클럽은 1970년부터 2017년 여름까지 산텔리아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렀으며, 이후 임시로 사르데냐 아레나(현 우니폴 도무스)로 이전했다. 산텔리아는 1990년 FIFA 월드컵 3경기가 열린 경기장이었다.[86]

칼리아리는 서핑, 카이트서핑, 윈드서핑, 요트와 같은 수상 스포츠를 즐기기에 좋은 장소이다. 필드하키 또한 인기가 높으며, G.S. 암시코라와 C.U.S. 칼리아리 두 팀이 이탈리아 최상위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G.S. 암시코라는 남자부에서 이탈리아 다른 팀보다 많은 20회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여자부에서도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칼리아리의 스포츠 시설은 다음과 같다.

시설명종목
우니폴 도무스축구
칼리아리 테니스 클럽[87]테니스
록펠러 스포츠 홀다목적
록펠러 스케이트 링크스케이트
비아 델로 스포르 체조장체조
테라 마이니 올림픽 수영장수영
암시코라 경기장[88]필드하키
라리 난테스 수영장[89][90]수영
에스페리아 수영장수영
리카르도 산토루 육상 경기장육상
시립 수영장수영
아쿠아스포르트 수영장수영
포에투 경마장[91]경마
마리오 시디 펜싱 체육관펜싱
물리누 베치우 탁구장탁구
C.U.S. 칼리아리 대학 스포츠 센터 시설[92]대학 스포츠


7. 1. 박물관 및 미술관

칼리아리 박물관 도시


시립 미술관


프란체스코 치우사의 ''죽은 자의 어머니'', 시립 미술관


칼리아리 식물원


칼리아리 박물관 도시 "치타델라 데이 무세이"(Citadel of Museums)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이 있다.

  • '''칼리아리 국립 고고학 박물관(Museo archeologico nazionale di Cagliari)'''는 사르데냐에서 가장 중요한 고고학 박물관으로, 신석기 시대(기원전 6000년)부터 초기 중세(서기 1000년경)까지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74]
  • '''스테파노 카르두 시립 태국 미술관'''(Museo civico d'arte siamese Stefano Cardu)은 20세기 초 칼리아리의 수집가가 모은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태국 미술품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다.[75]
  • '''클레멘테 수시니 해부학 밀랍인형 박물관'''(Museo delle cere anatomiche Clemente Susini)은 세계 최고 수준의 해부학 밀랍인형 컬렉션으로, 19세기 초 의학 및 외과 지식 수준을 보여주는 인체를 완벽하게 묘사하고 있다. 이 컬렉션은 조각가 클레멘테 수시니가 제작했으며, 1803년에서 1805년 사이 피렌체 해부학교에서 실시된 시체 해부의 정확한 복제품을 포함하고 있다.[76]
  • '''국립 회화관'''(Pinacoteca nazionale)[77]
  • '''시립 미술관'''(Galleria comunale d'arte)은 수집가(잉그라오 컬렉션)가 도시에 기증한 중요한 이탈리아 현대 회화 작품과 사르데냐 예술가들의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78]
  • '''루이지 필로니 사르데냐 컬렉션'''(Collezione sarda Luigi Piloni)[79]
  • '''ExMà''', '''MEM''', '''산 미켈레 성(Castello di San Michele)''', '''유대인 거리'''(Il Ghetto) 전시 센터[80]
  • '''보나리아 박물관'''(Museo di Bonaria) (보나리아 대성당 박물관)은 흥미로운 감사패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81]
  • '''대성당 박물관'''(Museo del Duomo)[82]
  • '''성 외울라리아 보물 박물관'''(Museo del tesoro di Sant'Eulalia)은 중요한 로마 시대 지하 공간을 보유하고 있다.[83]
  • '''칼리아리 식물원'''(Orto botanico di Cagliari)[84]

7. 2. 축제 및 행사

성 에피시오 축제 기간 중 칼리아리의 전통 민속 의상


성 에피시오(Sant'Efisioit, Sant'Efissrd) 축제는 매년 5월 1일에 열리는 칼리아리에서 가장 중요한 종교 행사이다. 이 축제 기간 동안 사르데냐 전역의 민속 그룹 출신 수천 명이 전통 의상을 입고 행렬에 참가한다. 성 에피시오 성인상은 전통적인 고대 민병대(Milicia), 부시장(Alter Nos), 수많은 수도회, 그리고 소가 끄는 수레와 함께 노라(현대 풀라 근처)까지 행렬을 하는데, 전설에 따르면 이곳에서 성인이 참수당했다고 한다. 이 행렬은 가장 오래된 행렬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약 70km에 달하는 4일간의 행렬로 이탈리아에서 가장 긴 종교 행렬이며 지중해 지역에서 가장 큰 행렬이기도 하다. 칼리아리에서 노라까지의 거리는 약 35km이다.[72]

1652년부터 사르데냐 전역에 전염병이 퍼져 특히 칼리아리를 강타하여 약 만 명의 주민이 사망했다. 전설에 따르면, 1656년 성 에피시오가 레모스 백작(Francisco Fernández de Castro Andrade, Conde de Lemoses)에게 나타나 5월 1일에 행렬을 하면 도시를 전염병으로부터 해방시켜 주겠다고 약속했다. 칼리아리 시는 전염병이 사라지면 성인을 기리는 행렬을 매년 스타파체 지구에서 시작하여 성인이 순교한 노라에서 끝나는 행렬을 개최할 것을 맹세했다. 그해 9월에 전염병이 끝나자, 이듬해 5월 1일부터 행렬과 축제가 정기적으로 열리게 되었다. 이 행렬은 전쟁 중에도 성인의 동상을 트럭에 실어 폭격으로 황폐해진 도시 폐허를 통과하여 노라에 무사히 도착하는 등 계속되었다.[72]

칼리아리의 다른 축제 및 행사로는 다음이 있다.[72]

  • 카니발
  • 성주간부활절 행사
  • 5월에 열리는 파올라의 성 프란체스코 해상 행렬과 7월에 열리는 보나리아 성모 해상 행렬
  • 5월 초 칼리아리 박람회
  • 오디 메드컵 레가타

7. 3. 언어

칼리아리의 고유어는 로망스어에 속하는 사르데냐어(''sardu'')이며, 특히 그 지역 변종인 캄피다네세 방언(''campidanesu'')의 ''casteddaju''이다. 이탈리아어와 함께 칼리아리의 공용어로 선포되었다.[85]

칼리아리의 고급 언어는 전통적으로 섬 남부 전체 지역의 언어적 표준 모델이었고, 캄피다네세 지역 전체 중산층이 사용하는 고급 사회 언어이자 작가와 시인을 위한 문학적 표준 모델이었다. 그러나 교육과 대중매체에서 이탈리아어가 필수적으로 사용되면서 젊은 세대 사이에서는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 이탈리아어가 공식적이든 비공식적이든 사회 관계에서 점점 더 우세해지면서, 사르데냐어는 일상생활에서 주로 주변적인 역할로 밀려났다. 젊은이들은 종종 사르데냐어를 여전히 사용하는 노인 친척들로부터 얻은 수동적인 언어 능력만 가지고 있으며, 부모는 이탈리아어만 사용하거나 사르데냐어와 이탈리아어를 섞어 사용하는 속어(''italianu porceddinu'')를 사용하기도 한다.

칼리아리가 고대 로마 속주에서 중심 도시였기 때문에 로마, 카르타고, 콘스탄티노플에서 온 혁신을 받아들였으며, 그 언어는 아마도 5세기 제국의 중심 도시의 후기 라틴어 도시 방언을 반영했을 것이다.

칼리아리도에서는 사르데냐어 캄피다네세 방언이 사용된다.

7. 4. 음식

칼리아리는 독특한 미식 전통을 가지고 있다. 섬의 다른 지역과 달리, 칼리아리 요리는 다양한 현지 해산물을 기반으로 한다. 카탈루냐 요리, 시칠리아 요리, 제노바 요리의 영향을 받았지만, 칼리아리 음식은 독특하고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73]

칼리아리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부리다(burrida)가 있는데, 이는 소형 상어를 이용한 마리네로 전채 요리로 제공된다.

훌륭한 와인 또한 칼리아리 사람들의 만찬의 일부이다. 캄피다노 평원 인근 포도밭에서 생산되는 칸노나우(Grenache), 누라구스(Nuragus di Cagliari), 나스코(Nasco di Cagliari), 모니카(Monica), 모스카우, 지로(Girò di Cagliari), 말바시아(Malvasia) 등이 있다.[73]

7. 5. 미디어

사르데냐의 주요 일간지는 1889년 칼리아리에서 창간된 ''L'Unione Sarda''이다. 이 신문은 1994년 자체 웹사이트를 구축한 유럽 최초의 신문 중 하나이며, 발행 부수는 약 8만 5천 부이다.

이탈리아 국영 방송사인 RAI의 주요 지역 본부가 칼리아리에 있다. 또한, 두 개의 지역 방송국과 수많은 인터넷 뉴스 사이트가 있다.

7. 6. 스포츠



칼리아리는 1970년 이탈리아 리그에서 우승한 축구팀 칼리아리 칼초의 연고지이다. 1920년에 창단된 이 클럽은 1970년부터 2017년 여름까지 산텔리아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렀으며, 이후 임시로 사르데냐 아레나(현 우니폴 도무스)로 이전했다. 산텔리아는 1990년 FIFA 월드컵 3경기가 열린 경기장이었다.[86]

칼리아리는 서핑, 카이트서핑, 윈드서핑, 요트와 같은 수상 스포츠를 즐기기에 좋은 장소이다. 필드하키 또한 인기가 높으며, G.S. 암시코라와 C.U.S. 칼리아리 두 팀이 이탈리아 최상위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G.S. 암시코라는 남자부에서 이탈리아 다른 팀보다 많은 20회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여자부에서도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칼리아리의 스포츠 시설은 다음과 같다.

시설명종목
우니폴 도무스축구
칼리아리 테니스 클럽[87]테니스
록펠러 스포츠 홀다목적
록펠러 스케이트 링크스케이트
비아 델로 스포르 체조장체조
테라 마이니 올림픽 수영장수영
암시코라 경기장[88]필드하키
라리 난테스 수영장[89][90]수영
에스페리아 수영장수영
리카르도 산토루 육상 경기장육상
시립 수영장수영
아쿠아스포르트 수영장수영
포에투 경마장[91]경마
마리오 시디 펜싱 체육관펜싱
물리누 베치우 탁구장탁구
C.U.S. 칼리아리 대학 스포츠 센터 시설[92]대학 스포츠


8. 행정

칼리아리는 사르데냐 자치주의 행정 사무소와 칼리아리주의 행정 사무소 중심지이다. 또한 이탈리아 중앙 행정부의 여러 지방 사무소가 있다.

칼리아리에는 문화유산청[93], 사르데냐 기록 보관소[94], 문화유산부[96]의 고고학 감독관[95], 사르데냐와 지방의 고용 및 사회 정책부, 재정경제부[97]의 지역 사무소, 그리고 보건부의 일부 지점 사무소가 있다.

칼리아리에는 사르데냐 법무부의 모든 형사, 민사, 행정 및 회계 법원이 항소 고등법원까지 있다.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부온 카미노(Buon Cammino) 감옥이 있었는데, 누구도 탈출하지 못한 것으로 유명했다. 새로운 현대식 감옥이 인근 우타 마을에 지어졌다.

9. 교육

칼리아리 대학교 "Aula Magna"


칼리아리는 1626년에 설립된 사르데냐에서 가장 큰 공립대학교인 칼리아리 대학교[11]의 본거지이다. 현재 공과대학, 의과대학, 경제학부, 법정치학부, 기초과학부, 생물학 및 약학부, 인문학부 등 6개 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약 35,0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98] 대학의 모든 과학 학부와 대학 병원은 몬세라토에 위치한 새로운 "대학 시타델"로 이전되었다. 칼리아리 시내에는 공과대학과 인문학부가 있으며, 성곽에는 수천 권의 고서를 소장한 18세기 궁전에 총장실이 있다.

칼리아리는 사르데냐 교황청 신학부와 유럽 디자인 연구소의 본부이기도 하다.

10. 보건

산 미켈레 병원


칼리아리의 평균 수명은 남성 79.5세, 여성 85.4세이다.

17세기부터 칼리아리에 공립 병원이 있었다. 최초의 현대식 병원 건물은 19세기 중반 건축가 가에타노 치마(Gaetano Cima)가 설계하였다. 이 병원은 현재도 운영 중이지만, 모든 부서는 몬세라토에 있는 새로운 대학병원으로 이전될 예정이다.[99]

주세페 브로츠(Giuseppe Brotzu) (산 미켈레) 병원[100]은 1993년 간 이식, 심장 이식, 췌장 이식 및 골수 이식과 같은 분야에서 고도로 전문화된 국가적으로 중요한 병원으로 인정받았다.

그 외 칼리아리의 공립 병원으로는 산티시마 트리니타 병원(일반적으로 이스 미리오니스(Is Mirrionis)라고 함), 호흡기 질환 전문 비나기(Binaghi) 병원, 외상, 고압 의학 및 척수 손상 전문 마리노(Marino) 병원, 종양학 전문 부신코(Businco) 병원, 지중해 빈혈, 유전 질환 및 희귀 질환 전문 미크로시테미코(Microcitemico) 병원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많은 사립 병원이 있다.

11. 교통

이탈리아 사르데냐섬의 주요 도로들이 시작되는 지점인 예네 광장에 있는 칼로 펠리체 왕 동상


칼리아리 시는 칼리아리-엘마스 국제공항을 통해 항공편이 운항되며, 철도와 버스로 시내와 연결된다.[101] 데치오만누 공항을 비롯한 여러 공항들이 도시 인근에 있다.

칼리아리에서 시작되는 국도는 다음과 같다.

포에토와 빌라시미우스는 지방도 17호선으로 연결된다.[101]

칼리아리 항은 구항과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로 나뉘며,[104] 치비타베키아, 나폴리, 팔레르모로 가는 여객선이 운항된다.

칼리아리 지하철


칼리아리에는 이탈리아 철도 기차역,[105] 협궤 철도 종착역, 버스, 트롤리버스, 메트로칼리아리가 운행된다.

11. 1. 공항

카리아리-엘마스 국제공항 체크인 구역


칼리아리 시는 칼리아리 중심부에서 수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는 칼리아리-엘마스 국제공항을 통해 운항된다.[101] 2018년 기준 약 4,370,000명의 승객을 기록하며 이탈리아에서 13번째로 많은 승객을 처리하는 공항이다. 철도선이 도시와 공항을 연결하며, 보행로가 기차역과 터미널을 연결한다. 또한 터미널은 SS 130 고속도로와 도시 중심부 마테오티 광장에 있는 중앙 버스 터미널까지 ARST 회사[102]에서 운영하는 버스 서비스를 통해 연결된다.

도시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다른 공항들이 있다. 데치오만누 공항은 NATO 군사 공항이며, 세르디아나(특히 스카이다이빙에 사용됨[103]), 카스티아다스, 데치모푸추 등 세 곳의 항공 스포츠 전용 활주로가 있다.

11. 2. 도로

다음은 칼리아리에서 시작되는 국도이다.

  • 사사리-포르토토레스(오리스타노까지 고속도로와 유사) 및 올비아까지 이어지는 카를로 펠리체(Carlo Felice) 국도(SS131 중앙 누오레세 지선)이다.[101]
  • 이글레시아스카르보니아까지 이어지는 이글레시엔테(Iglesiente) 국도이다.[101]
  • 칼리아리와 토르톨리, 올비아를 잇는 오리엔탈레 사르다(Orientale Sarda) 국도로 코르시카 맞은편 팔라우에서 끝난다.[101]
  • 칼리아리와 술치스를 해안을 따라 잇는 술치타나(Sulcitana) 국도이다.[101]
  • 칼리아리타나(Cagliaritana) 국도이다.[101]
  • 발라오와 올리아스트라까지 이어지는 델 제레이(del Gerrei) 국도이다.[101]
  • 지방도 17호선은 포에토와 빌라시미우스를 연결한다.[101]

11. 3. 항구

칼리아리 항은 구항과 새로운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 두 부분으로 나뉜다. 칼리아리-사로크 항만 시스템은 2017년 약 3800만ton의 물동량을 기록하며 이탈리아에서 세 번째로 큰 화물 항구이다.[104]

칼리아리에서는 치비타베키아, 나폴리, 팔레르모로 가는 여객선 정기 운항편이 있다. 칼리아리에는 '수 시쿠'(Lega Navale)와 '마리나 피콜라'라는 두 개의 작은 관광 항구도 있다.

11. 4. 철도



칼리아리의 이탈리아 철도 기차역은 이글레시아스, 카르보니아, 올비아(Olbia), 골포 아란치(Golfo Aranci), 사사리(Sassari) 및 포르토 토레스(Porto Torres)로 향하는 열차 서비스를 제공한다.[105]

인근 몬세라토(Monserrato) 코뮌에는 아르바탁스(Arbatax)와 소르고노(Sorgono)로 이어지는 협궤 철도의 종착역이 있다.

11. 5. 도시 및 교외 교통

칼리아리는 이탈리아 철도 기차역이 있어 이글레시아스, 카르보니아, 올비아(Olbia), 골포 아란치(Golfo Aranci), 사사리(Sassari) 및 포르토 토레스(Porto Torres)로 가는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105]

인근 몬세라토(Monserrato)에는 아르바탁스(Arbatax)와 소르고노(Sorgono)로 이어지는 협궤 철도의 종착역이 있다. CTM[106](30개 이상의 노선 운영)과 ARST[107]에서 운영하는 버스와 트롤리버스는 시내와 광역권 내의 여러 지역을 연결한다. 칼리아리는 이탈리아에서 트롤리버스 네트워크가 광범위하게 구축된 몇 안 되는 도시 중 하나이며,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차량을 전면 교체했다. 경전철 서비스인 메트로칼리아리(MetroCagliari)는 레푸블리카 광장(Piazza Repubblica)과 몬세라토(Monserrato) 근처의 새로운 대학 캠퍼스(1호선), 그리고 몬세라토(Monserrato) 산 고타르도(San Gottardo)와 세티모 산 피에트로(Settimo San Pietro)(2호선)를 연결한다. 레푸블리카 광장(Piazza Repubblica)과 기차역, 시내버스 및 시외버스 정류장이 있는 도시 교통 허브인 마테오티 광장(Piazza Matteotti)을 잇는 노선이 계획 중이다. 이탈리아 주요 철도 운영업체인 트레니탈리아(Trenitalia)는 칼리아리 중앙역(Cagliari Central Station)과 데치모마누(Decimomannu)를 잇는 지하철 열차 서비스를 운영하여 공항과 시내를 연결한다. 소니노 가(Via Sonnino) - 시청(Palazzo Civico), 레푸블리카 광장(Piazza Repubblica), 조반니 23세 광장(Piazza Giovanni 23), 마리나 피콜라(Marina Piccola) 등에 대여소가 있는 공공 자전거 공유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다.

12. 국제 관계

칼리아리는 이탈리아에서 트롤리버스 네트워크가 광범위하게 구축된 몇 안 되는 도시 중 하나이다.[106] CTM[106]과 ARST[107]에서 운영하는 버스와 트롤리버스는 시내와 광역권 내의 여러 지역을 연결한다. 경전철 서비스인 메트로칼리아리(MetroCagliari)는 레푸블리카 광장과 몬세라토(Monserrato) 근처의 새로운 대학 캠퍼스(1호선), 몬세라토(Monserrato) 산 고타르도(San Gottardo)와 세티모 산 피에트로(Settimo San Pietro)(2호선)를 연결한다. 트레니탈리아(Trenitalia)는 칼리아리 중앙역과 데치모마누(Decimomannu)를 잇는 지하철 열차 서비스를 운영하여 공항과 시내를 연결한다.

12. 1. 자매 도시

칼리아리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도시국가
부에노스아이레스Buenos Aires|부에노스아이레스es, 아르헨티나
나뉴키Nanyuki|나뉴키영어, 케냐
피사Pisa|피사it, 이탈리아
베르첼리Vercelli|베르첼리it, 이탈리아
토리노Torino|토리노it, 이탈리아
파도바Padova|파도바it, 이탈리아 (2002년 이후)
비엘라Biella|비엘라it, 이탈리아 (2003년 이후)


12. 2. 영사관

2018년 현재 칼리아리에는 다음 국가들의 영사관이 있다.[108]

칼리아리에 설치된 영사관 목록
국가


참조

[1] 문서 Population data from Istat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Italy)
[2] 백과사전 Cagliari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3] 사전 Cagliari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19-05-05
[4] 웹사이트 Cagliari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5-05
[5] 사전 Aarhus Merriam-Webster 2019-05-05
[6] 웹사이트 Regione Autonoma della Sardegna http://www.regione.s[...] Regione.sardegna.it 2015-05-03
[7] 웹사이트 Statistiche Istat http://dati.istat.it[...] Dati.istat.it 2015-05-03
[8] 웹사이트 Data services - Eurostat http://appsso.eurost[...]
[9] 웹사이트 Cagliari art (Italian Language Schools and Courses to Learn Italian in Italy.) http://www.it-school[...] It-schools.com 2010-04-20
[10] 웹사이트 Nell'Italia delle tasse Milano stacca tutti - Guarda il reddito del tuo Comune http://www.ilsole24o[...] Il Sole 24 ORE 2013-10-15
[11] 웹사이트 Universitр degli studi di Cagliari http://www.unica.it/ unica.it 2015-05-03
[12] 웹사이트 Chiesa di Cagliari http://www.chiesadic[...] Chiesadicagliari.it 2015-03-05
[13] 종교 Archdiocese of Cagliari Catholic-hierarchy 2015-01-23
[14] 문서 De Bello Gildonico, IV A.D.
[15] 서적 La lingua sarda, storia spirito e forma
[16] 문서 Livy xxiii. 40, 41
[17] 문서 Id. xxx. 39
[18] 서적 Storia della Sardegna antica Il Maestrale
[19] 문서 ii. 6. § 35
[20] 문서 xli. 6, 12, 17
[21] 서적 Commentarii de Bello Civili
[22] 서적 B. Afr.
[23] 문서 xlviii. 30
[24] 문서
[25] 서적 Ecclesiastical History
[26] 문서 B. Gild. 520-24
[27] 문서
[28] 서적 Il Giudicato di Cagliari: storia, società, evoluzione e crisi di un regno sardo
[29] 서적 Santa Igia. La Città del Giudice Guglielmo edizioni Condaghes
[30] 웹사이트 Guide to Cagliari, Villasimius, Costa Rei http://www.charmings[...] 2009-02
[31] 서적 The National Cyclopaedia of Useful Knowledge, Vol.IV Charles Knight
[32] 웹사이트 Bacaredda Ottone - Cimitero Monumentale di Bonaria - Cagliari https://cimiterobona[...] 2017-00-00
[33] 웹사이트 Comune Cagliari News, Bombe su Cagliari: cronologia di una strage http://www.comunecag[...]
[34] 웹사이트 Ch. 2 and 3 http://www.online-li[...]
[35] 서적 Atlante della Sardegna Editrice la Zattera
[36] 웹사이트 Urbes http://www.istat.it/[...]
[37] 웹사이트 Parco Molentargius - Saline http://www.parcomole[...] Parcomolentargius.it 2015-05-03
[38] 웹사이트 The 100 towers way, the path to fall in love with Sardinia https://travel.thewo[...] 2017-10-16
[39] 웹사이트 Cagliari, Italy Köppen Climate Classification (Weatherbase) http://www.weatherba[...] 2019-05-28
[40] 논문 Ecophysiology of Economic Plants in Arid and Semi-Arid Lands Springer Berlin Heidelberg 1998
[41] 웹사이트 Climate and Average Weather Year Round in Cagliari https://weatherspark[...] 2024-02-14
[42] 논문 The climatology of sea breezes on Sardinia https://rmets.online[...] 2002-06-30
[43] Excel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CagliariElmas-16560 https://www.nodc.noa[...] NOAA 2024-02-28
[44] 웹사이트 moyennes 1981/2010 http://meteo-climat-[...]
[45] 웹사이트 Climatologia - Ricerca Dati http://clima.meteoam[...] Servizio Meteorologico 2019-05-28
[46] 웹사이트 Cagliari, Italy Travel Weather Averages (Weatherbase) http://www.weatherba[...] 2019-05-28
[47] 웹사이트 Statistiche demografiche ISTAT http://demo.istat.it[...] Demo.istat.it 2015-05-03
[48] 웹사이트 Cittadini stranieri Cagliari 2020 https://www.tuttital[...] 2023-01-25
[49] 웹사이트 La classifica dei redditi dei comuni italiani - Twig http://www.twig.pro/[...] 2016-07-06
[50] 웹사이트 AUTORITA' DI SISTEMA PORTUALE - MOVIMENTI PORTUALI https://www.assoport[...] 2008
[51] 웹사이트 Punto IKEA ordina, arreda di Cagliari orari, aperture http://www.ikea.com/[...] 2016-07-03
[52] 웹사이트 Cagliari, Italy http://www.amazon.jo[...] 2015-10-13
[53] 웹사이트 http://www.cict.it
[54] 서적 Sardinia Smyth
[55] 서적 La Sardegna fenicia e punica edizioni Chiarella 1984
[56] 논문 Cagliari - indagini archeologiche presso il bastione di Santa Caterina https://www.fastionl[...]
[57] 문서 Hymno a Càller
[58] 문서 Caralis panegyricus
[59] 웹사이트 Bastion of Saint Remy, history of one of Cagliari's symbols https://www.cagliari[...] 2024-02-13
[60] 웹사이트 Biblioteche - Direzione regionale beni culturali e paesaggistici della Sardegna http://www.sardegna.[...]
[61] 웹사이트 Provincia di Cagliari | Biblioteca Provinciale Ragazzi http://www.provincia[...] Provincia.cagliari.it 2015-05-03
[62] 웹사이트 Sardegna Biblioteche - Attività - Biblioteca regionale http://www.sardegnab[...] Sardegnabiblioteche.it 2015-05-03
[63] 웹사이트 Comune di Cagliari| MEM - Mediateca del Mediterraneo: Biblioteca Comunale Generale e di Studi Sardi - Archivio Storico - Mediateca http://www.comune.ca[...] Comune.cagliari.it 2015-05-03
[64] 서적 Miscellaneous codex preserved in the Civic Library of Cagliari 1954
[65] 서적 El Forastero Emprenta A. Galgerin 1636
[66] 웹사이트 Teatro Lirico Web-site http://www.teatrolir[...] Teatroliricodicagliari.it 2010-04-20
[67] 웹사이트 Teatro Massimo di Cagliari http://www.teatrosta[...]
[68] 웹사이트 Scuola d'Arte Drammatica Cagliari - Tetatro stabile d'arte contemporanea Akròama http://www.scuoladit[...] Scuoladiteatrocagliari.it 2015-05-03
[69] 웹사이트 Teatro delle Saline http://www.teatrodel[...] Teatrodellesaline.it 2015-05-03
[70] 웹사이트 Akròama T.L.S. - Contemporary Art Theatre http://www.akroama.i[...] Akroama.it 2015-05-03
[71] 웹사이트 Compagnia Teatrale LAPOLA http://www.lapola.eu[...] Lapola.eu 2015-05-03
[72] 웹사이트 Teatro Popolare - Teatru Populari - Progetto http://teatrupopular[...]
[73] 웹사이트 Centro Internazionale del Fumetto - Cagliari http://www.centroint[...] Centrointernazionalefumetto.com 2015-05-03
[74] 웹사이트 Musei - Soprintendenza Archeologia della Sardegna http://www.archeocao[...] Archeocaor.beniculturali.it 2012-06-24
[75] 웹사이트 Comune di Cagliari| Museo d'Arte Siamese Stefano Cardu http://www.comune.ca[...] Comune.cagliari.it 2015-05-03
[76] 웹사이트 Le cere anatomiche di Clemente Susini dell'Universit? Di Cagliari http://pacs.unica.it[...]
[77] 웹사이트 Pinacoteca Nazionale di Cagliari - Home http://www.pinacotec[...] Pinacoteca.cagliari.beniculturali.it 2015-05-03
[78] 웹사이트 Galleria Comunale d'Arte Cagliari http://www.galleriac[...] Galleriacomunalecagliari.it 2015-05-03
[79] 웹사이트 Ateneo - unica.it - Universitŕ degli studi di Cagliari http://www.unica.it/[...] unica.it 2015-05-03
[80] 웹사이트 Camù Centri d'Arte e Musei http://www.camuweb.i[...] Camuweb.it 2015-05-03
[81] 웹사이트 Nostra Signora di Bonaria - Museo del Santuario di Bonaria http://www.bonaria.e[...]
[82] 웹사이트 Museo del Duomo di Cagliari http://www.museoduom[...] Museoduomodicagliari.it 2014-06-20
[83] 웹사이트 Museo del Tesoro di Sant'Eulalia - Musei - I luoghi dell'arte e della cultura - Luoghi - Cagliari Turismo http://www.cagliarit[...] Cagliariturismo.it 2015-05-03
[84] 웹사이트 Orto Botanico di Cagliari http://www.ccb-sarde[...] Ccb-sardegna.it 2015-05-03
[85] 뉴스 Cagliari, il sardo diventa lingua ufficiale: il Consiglio dice sì al nuovo Statuto - Sardiniapost http://www.sardiniap[...] 2015-11-03
[86] 웹사이트 FIFA World Cup 1990 - Group F - Historical Football Kits http://www.historica[...] Historicalkits.co.uk 2015-05-03
[87] 웹사이트 Tennis Club Cagliari - Home http://www.asdtennis[...] Asdtennisclubcagliari.it 2015-04-29
[88] 웹사이트 Amsicora - Cagliari http://www.amsicorac[...] Amsicoracagliari.it 2015-05-03
[89] 웹사이트 Rarinantes Cagliari http://www.rarinante[...] Rarinantescagliari.it 2013-01-24
[90] 웹사이트 Cagliaritana Nuoto https://sites.google[...] 2015-05-03
[91] 웹사이트 Home http://www.ippodromo[...] Ippodromocagliari.it 2015-05-03
[92] 웹사이트 Centro Universitario Sportivo Cagliari : Homepage http://www.cuscaglia[...] Cuscagliari.it 2015-05-03
[93] 웹사이트 Home - Soprintendenza per i Beni Architettonici, Paesaggistici, Storici, Artistici ed Etnoantropologici per le province di Cagliari e Oristano http://www.sbappsaec[...] Sbappsaecaor.beniculturali.it 2015-05-03
[94] 웹사이트 La Soprintendenza archivistica - Soprintendenza Archivistica per la Sardegna http://www.sa-sardeg[...] Sa-sardegna.beniculturali.it 2015-05-03
[95] 웹사이트 Home - Soprintendenza Archeologia della Sardegna http://www.archeocao[...] Archeocaor.beniculturali.it 2015-05-03
[96] 웹사이트 Home-Page Sito web del Ministero dei beni e delle attività culturali e del turismo http://www.benicultu[...] Beniculturali.it 2015-05-03
[97] 웹사이트 Ragioneria Generale dello Stato - Ministero dell'Economia e delle Finanze http://www.rgs.mef.g[...] Rgs.mef.gov.it 2015-05-03
[98] 웹사이트 Classifica Atenei Statali 2012 http://www.censismas[...] Censismaster.it 2015-05-03
[99] 웹사이트 AouCagliari - Presidi sanitari - Presidio Policlinico Monserrato http://www.aoucaglia[...] Aoucagliari.it 2015-05-03
[100] 웹사이트 Azienda Ospedaliera Brotzu - Home page http://www.aobrotzu.[...] Aobrotzu.it 2015-05-03
[101] 웹사이트 Cagliariairport - it http://www.sogaer.it[...] Sogaer.it 2013-03-01
[102] 웹사이트 ARST - - Home http://www.arst.sard[...] Arst.sardegna.it 2013-03-26
[103] 웹사이트 Skydive Sardegna en http://www.skydivesa[...] Skydivesardegna.com 2013-03-26
[104] 문서 dati-2014 http://www.porto.cag[...] 2017-07-00
[105] 웹사이트 Acquista il biglietto con le nostre offerte http://www.trenitali[...] Trenitalia.com 2015-05-03
[106] 웹사이트 CTM Cagliari http://www.ctmcaglia[...] Ctmcagliari.it 2015-05-03
[107] 웹사이트 ARST - - Home http://www.arst.sard[...] Arst.sardegna.it 2015-05-03
[108] 웹사이트 Consolati | Corpo Consolare della Sardegna https://web.archive.[...] 2015-05-09
[109] 웹사이트 Tavola: Popolazione residente - Cagliari (dettaglio loc. abitat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3-04-06
[110] 웹사이트 Tavola: Superficie territoriale (Kmq) - Cagliari (dettaglio comunal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3-04-06
[111] 웹사이트 Total Resident Population on 1st January 2019 by sex and marital status http://demo.istat.it[...] 2020-04-05
[112] 서적 現代地図帳 2006-2007 二宮書店
[113] 웹사이트 放送界の動き(ヨーロッパ) - 放送研究と調査(月報) 2007年4月 https://www.nhk.or.j[...] 2017-07-21
[114] 뉴스 이탈리아 기산에 총돌 朝日新聞 1979-09-14
[115] 웹사이트 Teatro Lirico Web-site http://www.teatrolir[...]
[116] 웹사이트 Stagno di Cagliari https://rsis.ramsar.[...] Ramsar Convention Secretariat 2016-12-05
[117] 웹사이트 Stagno di Molentargius https://rsis.ramsar.[...] Ramsar Convention Secretariat 2016-12-05
[118] Excel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CagliariElmas-16560 https://www.nodc.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4-02-28
[119] 웹인용 moyennes 1981/2010 http://meteo-climat-[...]
[120] 웹인용 Climatologia - Ricerca Dati http://clima.meteoam[...] 이탈리아 공군 기상국 2019-05-28
[121] 웹인용 Cagliari, Italy Travel Weather Averages (Weatherbase) https://web.archive.[...] 2019-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