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 크리스티나 디 보르보네두에시칠리에 왕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아 크리스티나 디 보르보네두에시칠리에는 양시칠리아 왕국의 공주이자 스페인 국왕 페르난도 7세의 왕비이며, 스페인 여왕 이사벨 2세의 어머니이다. 그녀는 페르난도 7세 사후 섭정으로 활동했으나, 두 번째 결혼으로 인해 섭정직을 잃고 망명했다. 이후 프랑스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스페인 왕실 묘소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왕태후 - 대부인 (백제)
대부인은 백제 무령왕의 부인으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유물과 은팔찌의 명문을 통해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사후 태비 또는 왕태비로 추존되어 529년 무령왕릉에 합장되었다. - 왕태후 - 조반나 디 사보이아
이탈리아 공주이자 불가리아 왕비였던 조반나 디 사보이아는 이탈리아 국왕의 딸로 태어나 불가리아 왕과 결혼 후 왕비로 재임하며 자선 활동과 유대인 난민 지원에 헌신했다. - 스페인의 섭정 - 프란시스코 프랑코
프란시스코 프랑코는 스페인 내전에서 승리 후 1939년부터 1975년 사망할 때까지 스페인을 독재 통치한 군인이자 정치가이다. - 스페인의 섭정 - 막시밀리안 2세 (신성 로마 황제)
막시밀리안 2세는 16세기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종교적 관용 정책과 예술 장려를 통해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간의 갈등 완화를 시도했으나 외교적 한계도 드러냈다. - 보르보네두에시칠리에가 - 페르디난도 1세 (양시칠리아)
페르디난도 1세는 나폴리와 시칠리아, 양시칠리아 왕국을 통치한 군주로,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시기 시칠리아로 망명 후 복위하여 양시칠리아 왕국의 초대 국왕이 되었으나 자유주의 혁명으로 오스트리아의 영향력 아래 놓였다. - 보르보네두에시칠리에가 - 프란체스코 1세 (양시칠리아)
프란체스코 1세는 양시칠리아의 국왕 페르디난도 1세의 아들로, 1825년 부왕의 뒤를 이어 즉위했지만, 보수적인 정치를 펼치며 암살 위협에 시달렸다.
마리아 크리스티나 디 보르보네두에시칠리에 왕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마리아 크리스티나 페르디난다 디 보르보네 |
다른 이름 | 마리아 크리스티나 데 보르본, 프린세사 데 라스 도스 시칠리아스 |
출생일 | 1806년 4월 27일 |
출생지 | [[파일:Bandiera del Regno di Sicilia 4.svg|border|25x20px]] 시칠리아 왕국, 팔레르모 |
사망일 | 1878년 8월 22일 |
사망지 | , 르아브르 |
매장지 | , 산 로렌소 데 엘 에스코리알, 엘 에스코리알 수도원 |
배우자 | 페르난도 7세 (1829년 결혼, 1833년 사별) 아구스틴 페르난도 무뇨스 (1833년 결혼, 1873년 사별) |
자녀 | 이사벨 2세 루이사 페르난다 마리아 암파로 마리아 데 로스 밀라그로스 아구스틴 페르난도 마리아 크리스티나 후안 호세 |
아버지 | 프란체스코 1세 |
어머니 | 마리아 이사벨라 디 스파냐 |
왕가 | 부르봉-시칠리아 가문 |
통치 정보 | |
스페인 왕비 즉위 | 1829년 12월 11일 |
스페인 왕비 퇴위 | 1833년 9월 29일 |
스페인 섭정 즉위 | 1833년 9월 29일 |
스페인 섭정 퇴위 | 1840년 10월 12일 |
군주 | 이사벨 2세 |
작위 | |
정배 칭호 | 스페인 왕비 |
별칭 | 섭정 |
2. 생애
양시칠리아 왕국의 국왕 프란체스코 1세와 왕비 스페인의 마리아 이사벨라 사이에서 태어났다. 1829년 12월 11일, 후계자를 얻지 못했던 외숙부이자 고모부인 스페인 국왕 페르난도 7세와 마드리드에서 결혼하여 스페인 왕비가 되었다. 페르난도 7세는 아들을 기대했지만,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두 딸 이사벨 2세와 루이사 페르난다를 낳았다.
1833년 페르난도 7세가 사망하고 왕위계승법이 변경되면서 큰딸 이사벨이 이사벨 2세로 즉위했고,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딸을 대신해 섭정이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살리카 법에 따라 왕위 계승권을 주장한 페르난도 7세의 동생 몰리나 백작 카를로스는 이에 반발하여 카를로스 전쟁을 일으켰다. 카를로스 측은 보수 세력의 지지를 받았고, 마리아 크리스티나와 이사벨 2세 측은 군대와 자유주의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전쟁은 결국 이사벨 측의 승리로 끝났다.
페르난도 7세가 사망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1833년 12월 28일,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왕실 경호관이었던 아구스틴 페르난도 무뇨스와 비밀리에 재혼하여 그와의 사이에서 일곱 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 재혼 사실이 알려지고 대신들과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그녀는 국민들의 신망을 잃었다. 결국 의회와 군대에 의해 섭정 권리를 박탈당하고 1840년 남편과 함께 스페인에서 추방되었다.
1844년 딸 이사벨 2세가 친정을 시작하면서 스페인으로 돌아왔고, 새 남편은 작위를 받았다. 그러나 여전히 국민들의 미움을 받아 1854년 다시 프랑스로 망명했다. 1868년 스페인 혁명으로 딸 이사벨 2세마저 폐위되어 프랑스로 망명하자 함께 지냈다. 1874년 손자 알폰소 12세가 스페인 국왕으로 즉위했지만, 마리아 크리스티나와 이사벨 2세는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것을 우려한 정부에 의해 스페인 거주가 허용되지 않았다.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1878년 프랑스 르아브르에서 사망했다.
2. 1. 탄생과 배경
1806년 4월 27일 팔레르모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당시 나폴리·시칠리아의 왕자였던 프란체스코 1세이며, 어머니는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4세의 딸인 마리아 이사벨이다.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이들 사이에서 둘째 딸로 태어났다.1816년, 할아버지인 페르디난도 1세가 나폴리와 시칠리아를 통합하여 국호를 양시칠리아 왕국으로 바꾸면서, 마리아 크리스티나의 공식 칭호도 '나폴리 시칠리아 공주'에서 '양시칠리아 공주'로 변경되었다.
2. 2. 스페인 왕비
1829년 5월 27일, 스페인 국왕 페르난도 7세의 세 번째 부인인 마리아 요제파 아말리아 폰 작센이 사망하면서 왕위 계승 문제가 중요하게 떠올랐다. 이미 나이가 많고 병약했던 페르난도 7세에게는 남자 후계자가 없었기에, 왕의 동생인 몰리나 백작 카를로스를 지지하는 세력과의 잠재적인 왕위 계승 분쟁 가능성이 있었다. 페르난도 7세는 후계자를 얻기 위해 재혼을 결심했고, 카스티야 평의회를 소집하여 왕의 재혼을 위임했다. 이때 페르난도 7세의 조카이자 마리아 크리스티나의 언니였던 루이사 카를로타 공주의 제안으로, 양시칠리아 왕국의 공주였던 마리아 크리스티나가 새로운 왕비 후보로 거론되었다. 페르난도 7세는 그녀를 마음에 들어 했고, 두 사람은 1829년 12월 11일 마드리드의 아토차 성모 마리아 대성당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페르난도 7세는 마리아 크리스티나에게 외숙부이자 고모부(아버지 프란체스코 1세의 여동생 마리아 안토니아의 남편)였다.마리아 크리스티나의 결혼은 당시 스페인의 정치적 갈등, 즉 스페인 자유주의 세력과 카를로스파(Carlists) 간의 대립 속에서 이루어졌다. 자유주의자들은 마리아 크리스티나를 환영하며 그녀를 지지했고, 그녀가 마드리드에 처음 도착했을 때 입었던 망토의 파란색은 자유주의 진영의 상징색이 되기도 했다. 반면, 절대 왕정의 유지를 원했던 보수적인 카를로스파는 펠리페 5세가 도입한 살리카 법에 따라 여성의 왕위 계승이 금지되어 있으므로, 왕위는 페르난도 7세의 동생 카를로스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페르난도 7세는 아들을 기대했으나,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두 딸을 낳았다.
이름 | 생몰년 | 비고 |
---|---|---|
이사벨 2세 | 1830년 10월 10일 ~ 1904년 | 스페인 여왕 |
루이사 페르난다 | 1832년 1월 30일 ~ 1897년 | 1846년, 몽팡시에 공작 앙투안 도를레앙과 결혼 |
자신의 딸에게 왕위를 물려주기 위해, 페르난도 7세는 1830년 3월 1830년 국사 조칙(Pragmatic Sanction of 1830)을 발표했다. 이는 1789년 카를로스 4세가 코르테스 헤네랄레스의 비밀 회의에서 승인했던 내용을 공식화한 것으로, 살리카 법을 폐지하고 여성의 왕위 계승을 가능하게 하는 조치였다.
1832년 여름, 왕가가 라 그란하 왕궁에 머무는 동안 페르난도 7세는 마차 사고로 중상을 입고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었다. 왕의 임종이 가까워졌다고 판단되자, 카를로스파 각료인 프란시스코 타데오 칼로마르데는 마리아 크리스티나에게 압력을 넣어 국사 조칙을 폐지하도록 강요했다. 페르난도 7세가 의식을 잃은 상태에서 폐지 칙령에 서명했고, 이 소식이 공표되자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정치적으로 고립되는 듯 보였다. 그러나 페르난도 7세가 기적적으로 의식을 회복하면서 상황은 반전되었다. 당시 안달루시아에 있던 마리아 크리스티나의 언니 루이사 카를로타 공주가 급히 라 그란하로 와서 페르난도 7세를 설득했고, 국왕은 국사 조칙 폐지를 번복하고 다시 효력을 발생시켰으며, 칼로마르데를 해임했다.
1833년 9월 29일 페르난도 7세가 사망하자, 1830년 국사 조칙에 따라 장녀 이사벨이 이사벨 2세로 즉위했다. 하지만 살리카 법에 따른 자신의 왕위 계승권을 주장한 몰리나 백작 카를로스는 이에 불복하고 반란을 일으켜 카를로스 전쟁이 발발했다. 카를로스파는 페르난도 7세가 동생 카를로스를 후계자로 지명했으나 마리아 크리스티나가 이를 무시했으며, 이사벨을 후계자로 인정한 문서의 서명은 위조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카를로스파는 가톨릭교회와 보수 세력의 지지를 받았으나, 마리아 크리스티나와 이사벨 2세는 군대와 자유주의자들의 지지를 확보하여 결국 왕위를 지켜내는 데 성공했다.
2. 3. 섭정과 카를로스 전쟁
1833년 9월 29일 페르난도 7세가 사망하자, 그의 유언과 1830년 국사 조칙에 따라 어린 딸 이사벨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이사벨 2세를 대신하여 섭정이 되었다.그러나 페르난도 7세의 동생인 몰리나 백작 카를로스는 살리카 법에 따른 기존 왕위 계승법을 근거로 자신이 적법한 왕위 계승자라고 주장하며 이사벨 2세의 즉위에 강력히 반발했다. 그는 페르난도 7세가 여성의 왕위 계승을 허용하기 위해 불법적으로 계승법을 변경했다고 주장했으며, 일부 지지자들은 마리아 크리스티나가 페르난도 7세의 유언을 조작하고 서명을 위조했다는 의혹까지 제기했다.
카를로스와 그의 지지자들(카를리스타)은 절대 왕정으로의 회귀와 전통 사회 질서 유지를 원했으며, 주로 보수적인 가톨릭교회 세력과 봉건 귀족들의 지지를 받았다. 반면, 마리아 크리스티나와 이사벨 2세("이사벨리노스"라고도 불림) 측은 자유주의 헌법 제정과 사회 개혁을 추구하는 자유주의자들의 지지를 얻었다. 1829년 마리아 크리스티나가 처음 마드리드에 도착했을 때 입었던 파란색 망토는 자유주의 세력의 상징색이 될 정도로, 그들은 그녀를 지지자로 여겼다.
카를로스가 무력을 통해 왕위를 차지하려 하면서 제1차 카를리스타 전쟁(카를로스 전쟁)이 발발했다. 이 전쟁은 단순한 왕위 계승 분쟁을 넘어, 스페인의 미래를 둘러싼 자유주의와 보수주의 세력 간의 내전으로 확대되었다. 카를리스타 세력은 상당한 지지 기반을 가졌으나, 군부가 이사벨 2세에게 충성을 맹세하면서 마리아 크리스티나 측이 최종적으로 전쟁에서 승리하여 딸의 왕위를 성공적으로 지켜냈다.
페르난도 7세 생전에도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은 이미 존재했다. 1830년 3월, 페르난도 7세는 자신의 딸에게 왕위를 물려주기 위해 여성의 계승을 금지했던 살리카 법의 효력을 정지시키는 1830년 국사 조칙을 발표했다. 1832년 여름, 라 그란하 왕궁에서 페르난도 7세가 마차 사고로 중태에 빠지자, 카를리스타 측의 프란시스코 타데오 칼로마르데는 위독한 국왕과 마리아 크리스티나에게 압력을 넣어 국사 조칙을 폐지하도록 강요했다. 페르난도 7세가 사망한 것으로 오인되어 폐지 소식이 공표되기도 했으나, 국왕이 의식을 되찾고 당시 안달루시아에 있던 마리아 크리스티나의 여동생 루이사 카를로타 공주가 급히 라 그란하로 와서 페르난도 7세를 설득하여 국사 조칙을 다시 시행하게 하고 칼로마르데를 해임시켰다.

2. 4. 두 번째 결혼과 몰락
1833년 9월 29일 남편 페르난도 7세가 사망한 지 불과 3개월 만인 12월 28일,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왕실 경호관이자 전직 하사관이었던 아구스틴 페르난도 무뇨스(1808–1873)와 비밀리에 결혼했다.[1] 무뇨스는 왕실 경호대에 입대하여 마리아 크리스티나의 눈에 띄었는데, 그가 마차 사고를 막아섰다거나 단순히 그녀의 손수건을 주워주었다는 등 여러 이야기가 전해진다.[2]마리아 크리스티나는 평민 출신인 무뇨스와의 결혼을 공식적으로 발표하면 딸 이사벨 2세의 섭정 자격을 잃게 될 것을 우려하여 결혼 사실을 숨기려 했다. 그러나 두 사람의 관계는 스페인 궁정 내에 널리 알려졌고,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무뇨스와의 사이에서 여러 자녀를 두었다.
이름 | 생몰년 | 작위 | 배우자 |
---|---|---|---|
마리아 암파로 | (1834년 11월 17일 – 1864년 8월 19일) | 비스타 알레그레 여백작 | 블라디슬라프 차르토리 스키 공작 (1828–1894) |
마리아 데 로스 밀라그로스 | (1835년 11월 8일 – 1903년 7월 9일) | 카스티예호 여후작 | Filippo Massimiliano Del Drago Biscia Gentili, II principe di Mazzano ed Antuni|필리포 마시밀리아노 델 드라고 비스차 젠틸리, 제2대 마차노와 안투니 공it (1824–1913) |
아구스틴 | (1837년 3월 15일 – 1855년 7월 15일) | 초대 타랑콘 공작, 에콰도르 공 | |
페르난도 | (1838년 4월 27일 – 1910년 12월 7일) | 제2대 리안사레스 공작, 제2대 타랑콘 공작 | 엘라디아 베르날도 데 키로스 이 곤잘레스 데 시엔푸에고스 (1839–1909) |
마리아 크리스티나 | (1840년 4월 19일 – 1921년 12월 19일) | 초대 이사벨라 여후작 | 제8대 캄포 사그라도 후작 |
후안 | (1844년 8월 29일 – 1863년 4월 2일) | 초대 레쿠에르도 백작 | |
안토니오 | (1842년 11월 3일 – 1847년) | ||
호세 | (1846년 12월 21일 – 1863년 12월 17일) | 초대 그라시아 백작 |
결국 마리아 크리스티나가 낮은 신분의 군인과 재혼했다는 소식이 퍼지면서 그녀는 국민들의 신망을 크게 잃었다. 원래부터 자유주의 성향의 대신들과 정책에 비협조적이었던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재혼 문제까지 겹치면서 정치적 입지가 더욱 약화되었다. 1836년 8월 13일, 라 그란하 여름 궁전에서 군인들이 반란을 일으켜 헌법 승인을 강요했을 때, 일부 군인들은 무뇨스를 인질로 잡고 그를 '과포'(guapo, 매력적인 남자)라 부르며 총살하겠다고 위협하여 마리아 크리스티나를 압박하려 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결국 의회의 자유주의 지도자들과 군부는 마리아 크리스티나의 섭정직 사퇴를 요구했다. 1840년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더 이상 버티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섭정직을 포기하고 남편 무뇨스와 함께 스페인을 떠났다. 군 지휘관 발도메로 에스파르테로 장군이 새로운 섭정이 되었다.
1844년 딸 이사벨 2세가 친정을 시작하자, 여왕은 어머니와 새아버지를 스페인으로 다시 불러들였다. 이사벨 2세는 무뇨스에게 리안사레스 공작 작위를 수여하고, 이복 동생들에게도 귀족 작위를 주었다. 그러나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여전히 국민들에게 미움을 받았고, 결국 1854년 무뇨스와 자녀들을 데리고 프랑스로 다시 망명했다.
1868년 스페인에서 혁명이 일어나 이사벨 2세가 폐위되고 프랑스로 망명하면서 마리아 크리스티나와 함께 지내게 되었다. 1874년 이사벨 2세의 아들 알폰소 12세가 스페인 국왕으로 즉위했지만, 마리아 크리스티나와 이사벨 2세가 국정에 영향력을 행사할 것을 우려한 신정부는 두 사람의 스페인 거주를 금지했다.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1878년 프랑스 르아브르에서 사망했으며, 유해는 스페인 왕실 묘지인 엘 에스코리알 수도원에 안장되었다.
2. 5. 프랑스 망명과 사망
1840년 발도메로 에스파르테로 장군이 마리아 크리스티나를 대신하여 섭정의 지위에 오르자, 신정권은 마리아 크리스티나와 그녀의 남편 아구스틴 페르난도 무뇨스를 스페인에서 추방했다. 1843년 에스파르테로 장군이 실각하자 그녀는 남편과 함께 스페인으로 돌아왔다. 1844년 딸 이사벨 2세가 친정을 시작하면서 어머니와 새아버지를 스페인으로 다시 불러들였고, 이사벨 2세는 의붓아버지 무뇨스에게 리안사레스 공작 작위를 수여했다.[3]그러나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여전히 국민들에게 미움을 받았고, 결국 1854년 남편 무뇨스와 그 사이에서 낳은 아이들을 데리고 프랑스로 다시 망명했다. 프랑스는 그녀가 남은 생애 동안 머무르는 주요 거주지가 되었다. 그녀는 1842년에 구입했던 말메종 성 등지에서 지냈다.
1868년 스페인에서 혁명이 일어나 왕정이 붕괴되자, 국왕 자리에서 물러난 딸 이사벨 2세 역시 어머니가 있는 프랑스로 망명했다. 1870년 이사벨 2세는 퇴위하고 장남 알폰소 12세에게 왕위를 양위할 것을 선언했다. 1874년 알폰소 12세가 스페인 국왕으로 즉위하게 되었으나, 왕정 복고를 추진한 세력은 신왕의 통치에 어머니 이사벨 2세나 할머니 마리아 크리스티나가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경계했다. 이 때문에 두 사람은 알폰소 12세의 즉위식 참석은 허락받았지만, 스페인 국내에 거주하는 것은 금지되었다.

말년에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병이 재발하여 심한 기침, 실신, 발열 증세에 시달렸다. 그녀는 1878년 8월 22일 프랑스의 르아브르에서 사망했다. 페르난도 7세의 왕비이자 이사벨 2세의 어머니였던 그녀의 유해는 스페인 왕실의 묘소인 엘 에스코리알 수도원의 왕실 묘소에 안장되었다.
3. 가계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양시칠리아 왕국의 국왕 프란체스코 1세 (양시칠리아)와 그의 두 번째 왕비인 스페인의 마리아 이사벨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부르봉 왕가 출신이었고, 어머니는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4세 (스페인)와 마리아 루이사 왕비의 딸이었다. 따라서 그녀는 양시칠리아와 스페인 양쪽의 부르봉 왕가 혈통을 이어받았다.
3. 1. 첫 번째 결혼과 자녀
1829년 12월 11일 마드리드에서 외숙부이자 고모부인 스페인 국왕 페르난도 7세와 결혼했다. 페르난도 7세는 앞서 세 번의 결혼에서 후계자를 얻지 못했기 때문에 마리아 크리스티나에게 아들을 기대했으나, 그녀는 두 딸을 낳았다.- 이사벨 2세(1830~1904): 스페인 여왕
- 루이사 페르난다(1832~1897)
1833년 9월 29일 페르난도 7세가 사망한 후, 왕위계승법이 변경되면서 큰딸 이사벨이 스페인의 왕위를 물려받았다. 그러나 살리카 법에 따른 기존의 왕위계승법에 따르면 왕위는 페르난도 7세의 동생인 몰리나 백작 카를로스가 계승해야 했다. 카를로스는 조카딸의 즉위에 반발하여 카를로스 전쟁을 일으켰다. 카를로스 측은 페르난도 7세가 본래 동생을 후계자로 지명했으나 마리아 크리스티나가 이를 무시했으며, 이사벨을 후계자로 인정한 페르난도 7세의 서명은 위조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보수적이고 봉건적인 성향의 카를로스 지지자들과 달리, 마리아 크리스티나와 이사벨 2세의 지지자들은 자유주의자들이었다. 카를로스 전쟁은 최종적으로 이사벨 측의 승리로 끝났다.
3. 2. 두 번째 결혼과 자녀
1833년 12월 28일, 남편 페르난도 7세가 사망한 지 불과 3개월 만에,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왕실 경호관 출신 아구스틴 페르난도 무뇨스 (1808–1873)와 비밀리에 귀천상혼을 했다.[1] 무뇨스는 왕실 경호대에 입대하여 마리아 크리스티나의 눈길을 끌었다고 전해진다.[2]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이 결혼을 공식적으로 발표하면 섭정 자격을 잃을 수 있었기에 비밀로 유지하려 했으나, 궁정 내에서는 널리 알려진 사실이었다.마리아 크리스티나와 무뇨스 사이에서는 7명의 자녀가 태어났다.
이름 | 생몰년 | 작위 및 설명 | 배우자 |
---|---|---|---|
마리아 암파로 | 1834년 11월 17일 – 1864년 8월 19일 | 초대 비스타 알레그레 여백작 | 블라디슬라프 차르토리스키 공작 (1828–1894) |
마리아 데 로스 밀라그로스 | 1835년 11월 8일 – 1903년 7월 9일 | 초대 카스티예호 여후작 | 마차노와 안투니의 필리포 마시밀리아노 델 드라고 왕자 (1824–1913) |
아구스틴 마리아 | 1837년 3월 15일 – 1855년 7월 15일 | 초대 타란콘 공작, 에콰도르 공 | |
페르난도 마리아 | 1838년 4월 27일 – 1910년 12월 7일 | 제2대 리안사레스 공작, 제2대 타란콘 공작 | 엘라디아 베르날도 데 키로스 이 곤잘레스 데 시엔푸에고스 (1839–1909) |
마리아 크리스티나 | 1840년 4월 19일 – 1921년 12월 19일 | 초대 라 이사벨라 여후작 | 제8대 캄포 사그라도 후작 |
안토니오 무뇨스 이 데 보르본 | 1842년 11월 3일 – 1847년 | ||
호세 마리아 | 1843년 12월 21일 – 1863년 12월 17일 | 초대 그라시아 백작 |
1836년 8월, 라 그란하 여름 궁전에서 군인들이 반란을 일으켜 마리아 크리스티나에게 헌법 승인을 강요했을 때, 그들은 무뇨스를 붙잡아 guapo|과포spa(매력적인 남자)라 부르며 위협하기도 했다. 결국 마리아 크리스티나가 평민 출신 군인과 재혼했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그녀는 국민들의 신망을 크게 잃었다. 재혼 사실과 더불어 그녀가 자유주의 장관들의 정책을 진심으로 지지하지 않는다는 인식은 그녀의 정치적 입지를 약화시켰다.
결국 의회의 자유주의 지도자들과 군부는 마리아 크리스티나에게 섭정직 사퇴를 요구했다. 1840년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더 이상 버티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섭정직을 포기하고 남편 무뇨스와 함께 스페인을 떠나 프랑스로 망명했다. 군 지휘관 발도메로 에스파르테로 장군이 새로운 섭정이 되었다.
1844년 딸 이사벨 2세가 친정을 시작하자, 마리아 크리스티나와 무뇨스는 스페인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이사벨 2세는 새아버지 무뇨스에게 리안사레스 공작 작위를 수여하고, 이복 형제자매들에게도 귀족 작위를 주었다. 그러나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여전히 국민들에게 인기가 없었고, 결국 1854년 다시 프랑스로 망명길에 올랐다.
3. 3. 조상
1. 마리아 크리스티나 디 보르보네두에시칠리에 | 2. 프란체스코 1세 (양시칠리아) | 4. 페르디난도 1세 (양시칠리아)[4] | 8. 카를로스 3세 (스페인)[6] (= 12) |
---|---|---|---|
9. 마리아 아말리아 (작센)[6] (= 13) | |||
5. 마리아 카롤리나 (오스트리아)[4] | 10. 프란츠 1세 (신성 로마 제국 황제)[7] | ||
11. 마리아 테레지아 (오스트리아)[7] | |||
3. 마리아 이사벨 (스페인) | 6. 카를로스 4세 (스페인)[5] | 12. 카를로스 3세 (스페인)[6] (= 8) | |
13. 마리아 아말리아 (작센)[6] (= 9) | |||
7. 마리아 루이사 (파르마)[5] | 14. 필리포 (파르마 공작)[8] | ||
15. 루이즈 엘리자베스 (프랑스)[8] |
참조
[1]
서적
Bastardos y Borbones: Los hijos desconocidos de la dinastía
https://books.google[...]
2016-01-25
[2]
문서
Riansares, Augustin Fernandez Muñoz, Duke of
[3]
서적
Elenco de Grandezas y Títulos Nobilarios Españoles
Ediciones Hidalguia
1996
[4]
문서
Francis I. of the Two Sicilies
[5]
백과사전
María de la O Isabel de Borbón
http://dbe.rah.es/bi[...]
Real Academia de la Historia
[6]
서적
Genealogie ascendante jusqu'au quatrieme degre inclusivement de tous les Rois et Princes de maisons souveraines de l'Europe actuellement vivans
https://books.google[...]
Frederic Guillaume Birnstiel
[7]
서적
Genealogie ascendate
https://books.google[...]
[8]
서적
Genealogie ascendate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